부여군 갑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여군 갑은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신설되어 부여군 부여면, 규암면, 은산면, 외산면, 내산면, 구룡면, 홍산면을 관할했던 대한민국의 옛 선거구이다. 제헌 국회의원 선거에서 남궁현이 당선되었으며, 이후 이석기, 한광석 등이 국회의원을 지냈다. 제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부여군 갑, 을 선거구가 통합되면서 폐지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여군의 정치 - 부여군·서천군·보령군
부여군·서천군·보령군은 1973년 제9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신설되어 1988년 부여군, 서천군, 대천시·보령군으로 재편될 때까지 존속했던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구이다. - 부여군의 정치 - 부여군 (1988년 선거구)
부여군 선거구는 1988년 13대 총선을 앞두고 부여군·서천군·보령군 선거구에서 분리되어 신설, 2000년 16대 총선까지 존속하다 인구 미달로 청양군과 통합되어 폐지되었으며, 김종필, 김학원 의원이 당선되었다. - 충청남도의 폐지된 선거구 - 공주시·연기군
공주시·연기군은 2000년 제1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공주시 선거구와 연기군 선거구가 통합되어 2000년부터 2012년까지 존속했던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구였으나, 2012년 연기군 지역이 세종특별자치시로 편입되면서 폐지되었다. - 충청남도의 폐지된 선거구 - 아산시 (선거구)
아산시 선거구는 1995년 아산시 출범과 함께 설치되어 제19대 국회의원 선거까지 존재했으며, 제20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아산시 갑, 아산시 을로 분구되면서 폐지되었다. - 1948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단양군 (선거구)
단양군 선거구는 1948년 신설되어 1963년 제천군과 통합 폐지될 때까지 5번의 국회의원 선거를 치렀으며, 조종승, 장영근, 조종호 등이 당선되었다. - 1948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고창군 갑
고창군 갑은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위해 신설되어 고창군 지역을 관할했으며, 1963년 선거구 통합으로 폐지되었고 김영동, 김수학, 정세환, 류진 등이 국회의원으로 활동했다.
부여군 갑 - [선거구 정보]에 관한 문서 | |
---|---|
대한민국 선거구 정보 | |
일반 정보 | |
이름 | 부여군 갑 |
의회 | 국회 |
연도 | 1948 |
폐지 | 1963 |
유형 | 국회 |
이후 선거구 | 부여군 |
의원수 | 1인 |
2. 역사
1948년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부여군 부여면, 규암면, 은산면, 외산면, 내산면, 구룡면, 홍산면을 관할하는 선거구로 신설되었다.
1963년 대한민국 제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부여군 갑, 을 선거구가 통합되면서 부여군 선거구를 이루게 됨에 따라 폐지되었다.
3. 역대 국회의원
4. 역대 선거 결과
선거명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남궁현 대한독립촉성국민회 13,718 49.86% 이덕희 대동청년단 6,895 25.06% 이만승 무소속 3,399 12.35% 민택기 무소속 2,335 8.48% 김재연 무소속 1,162 4.22% 합계 27,509표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 이석기 무소속 10,960 35.86% 남궁현 대한국민당 10,099 33.04% 조경교 무소속 5,377 17.59% 천병만 무소속 2,168 7.09% 김재종 무소속 1,074 3.51% 주병건 무소속 884 2.89% 합계 30,562표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 이석기 무소속 9,500 29.67% 유진영 무소속 6,973 21.77% 남궁현 대한독립촉성국민회 6,568 20.51% 한광석 자유당 6,249 19.51% 김대덕 무소속 2,234 6.97% 김대수 무소속 493 1.53% 합계 32,017표 대한민국 제4대 국회의원 선거 한광석 자유당 20,479 57.65% 이석기 민주당 15,039 42.34% 합계 35,518표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 이석기 민주당 20,254 53.75% 남궁현 무소속 10,457 27.75% 김덕현 사회대중당 3,808 10.10% 이덕희 무소속 3,162 8.39% 합계 37,681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