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코바르 급수탑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코바르 급수탑은 1968년 크로아티아 부코바르에 건설된 급수탑이다. 높이 50m, 2,200 m³의 용량을 갖춘 이 급수탑은 유럽에서 가장 큰 급수탑 중 하나였으며, 전망대 레스토랑이 운영되기도 했다. 1991년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 중 부코바르 전투에서 600회 이상 포격을 받아 심각하게 파괴되었으나, 이후 보존되어 전쟁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2020년 재개장하여 박물관, 추모 공간, 전망대 등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세계 거대 탑 연맹의 회원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급수탑 - 노가타 배수탑
노가타 배수탑은 1935년 도쿄도 나카노구에 건설된 근대 수도 시설 유산으로, 2000년 급수 기능 종료 후 미즈노토 공원으로 재탄생하여 재해 시 응급 급수 시설로 활용되며, 2010년 대한민국 국가등록문화재로 지정, 문화적 의미도 지닌다. -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 - 구유고슬라비아 국제형사재판소
구유고슬라비아 국제형사재판소는 1991년 이후 구 유고슬라비아 지역에서 발생한 국제 인도법 위반 행위에 대한 책임을 묻기 위해 설립된 국제 재판소로, 특정 범죄에 대한 관할권을 가지고 종신형까지 선고할 수 있었으며, 모든 절차를 완료하고 종료 후 잔여 기능은 국제 잔여 형사 재판 기구로 이관되었다. -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 - 워싱턴 협정
워싱턴 협정은 1994년 크로아티아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가 크로아티아-보스니아 전쟁을 종식시키고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연방을 수립하기 위해 체결한 협정으로, 미국의 주도적인 외교적 노력으로 성사되어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연방 발족의 계기가 되었다.
부코바르 급수탑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위치 정보 | |
![]() | |
기본 정보 | |
이름 | 부코바르 급수탑 |
위치 | 부코바르, 크로아티아 |
건축 유형 | 급수탑 |
상태 | 복원됨 |
상세 정보 | |
역사 | |
완공 | 1968년 |
재개장 | 2020년 |
건축 및 디자인 | |
건축가 | Plan d.o.o. |
시공사 | Hidrotehna Zagreb d.o.o. |
기타 정보 | |
웹사이트 | 부코바르 급수탑 웹사이트 |
2. 역사
1968년 부코바르 급수탑이 건설된 후, 1991년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 중 부코바르 전투에서 세르비아군의 포격으로 심각하게 파괴되었다. 전쟁 이후 부코바르의 고통을 상징하는 추모 공간으로 보존되었으며, 2020년 재개장했다.
2. 1. 건설 배경 (1968년)
부코바르 급수탑은 1968년 도시 중앙에 있던 기존 급수탑(현재의 부코바르 크로아티아 공화국 광장 옆)을 대신하기 위해 신축되었다. 높이는 50m이며, 당시 부코바르의 공원과 야영장 등이 모여 있던 외곽 지역인 부코바르 입구에 지어졌다.[6][7] 당시 급수탑의 용량은 2,200 m³으로 유럽에서 가장 큰 급수탑 중 하나였다.[8] 급수탑 정상에는 부코바르와 다뉴브강을 한 번에 내려다볼 수 있는 전망대 레스토랑이자 카페인 "카페 급수탑"(Vodotoranj)이 있었다. 이 레스토랑은 1970년 폐업했으며 그 후에는 급수탑 용도로만 사용되었다.이 급수탑은 1960년대 후반에 'Plan' 사가 설계하고 'Hidrotehna Zagreb' 사가 건설했다. 급수탑은 미트니차 지구의 'Najpar-bašća'로 널리 알려진 도시 공원에 건설되었다.[2]

2. 2. 부코바르 전투와 상징성 (1991년)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 당시 부코바르 전투가 발발하면서, 부코바르 급수탑은 세르비아군의 집중 포격을 받았다. 600회 이상의 포탄을 맞은 급수탑은 심각하게 파괴되었지만, 무너지지 않고 도시의 상징으로 자리 잡았다.[8] [1] [3]부코바르 포위전 동안, 부코바르 미트니체(Mitnice) 출신의 23세 청년 이비차 이바니카는 급수탑 옥상에 크로아티아의 국기를 처음으로 게양했고, 도시가 함락되기 직전까지 국기를 지켜냈다.[9] [10]

2. 3. 보존 및 재개장 (2020년)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이 끝난 후 부코바르 급수탑 보존 계획이 등장하였고,[9] 2019년경 보수 공사가 시작되어 2020년 10월 30일 재개장했으며, 다음 날인 11월 1일 일반인에게도 공개되었다.[11] 프라뇨 투지만 크로아티아 대통령에 의해 부코바르 재통합 후 급수탑 재건이 시작되었지만, 이 과정은 중단되었고 급수탑은 대신 부코바르가 겪었던 고통과 고난을 기리는 추모 공간이 되었다.[5]부코바르 급수탑은 "부코바르 급수탑 공사"가 관리하고 있으며, 건물은 추모 계단, 추모실, 전망대가 있어 한 번에 최대 70명을 수용할 수 있다. 급수탑 옆에는 단층의 100석 규모 원형 극장과 어린이 놀이터, 카페가 있으며 입장객을 받는다.[11]
3. 건축 및 시설
부코바르 급수탑은 1968년 도시 중앙에 있던 기존 급수탑을 대신하기 위해 신축되었다. 높이는 50m이며, 당시 부코바르의 공원과 야영장 등이 모여 있던 외곽 지역인 부코바르 입구에 지어졌다.[6][7] 당시 급수탑의 용량은 2200m3으로 유럽에서 가장 큰 급수탑 중 하나였다.[8] 급수탑 정상에는 부코바르와 다뉴브강을 한눈에 내려다볼 수 있는 전망대 레스토랑 겸 카페인 "카페 급수탑"(Vodotoranj)이 있었다. 이 레스토랑은 1970년 폐업했으며 그 후에는 급수탑 용도로만 사용되었다.
3. 1. 원형과 현재의 모습
부코바르 급수탑은 1968년 도시 중앙에 있던 기존 급수탑(현재의 부코바르 크로아티아 공화국 광장 옆)을 대신하기 위해 신축되었다. 높이는 50m이며, 당시 부코바르의 공원과 야영장 등이 모여 있던 외곽 지역인 부코바르 입구에 지어졌다.[6][7] 당시 급수탑의 용량은 2200m3으로 유럽에서 가장 큰 급수탑 중 하나였다.[8] 급수탑 정상에는 부코바르와 다뉴브강을 한번에 내려다볼 수 있는 전망대 레스토랑이자 카페인 "카페 급수탑"(Vodotoranj)이 있었다. 이 레스토랑은 1970년 폐업했으며 그 후에는 급수탑 용도로만 사용되었다.1991년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이 발발하자 부코바르 포위전이 시작되었다. 세르비아군의 600회 이상의 포격을 맞은 부코바르 급수탑은 심각하게 파괴되었으며 전투의 상징으로 자리잡았다.[8] 부코바르가 포위되는 동안 부코바르 미트니체(Mitnice)에 살던 23세 이비차 이바니카가 처음으로 급수탑 옥상에 크로아티아의 국기를 게양했으며 함락 직전까지 끝까지 게양되었다.[9][10]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이 끝난 후 부코바르 급수탑의 보존 계획이 등장하였고,[9] 2019년 경 보수 공사가 시작된 급수탑은 2020년 10월 30일 공사를 마치고 재개장했으며 하루 뒤인 11월 1일 일반인에게도 공개되었다. 부코바르 급수탑은 같은 이름의 "부코바르 급수탑 공사"가 관리하고 있으며, 급수탑 건물은 추모 계단, 추모실, 전망대가 있어 한 번에 최대 70명을 수용할 수 있다. 급수탑 옆에는 단층의 100석 규모 원형 극장과 어린이 놀이터, 카페가 있으며 입장객을 받는다.[11]
3. 2. 부속 시설
1970년에 폐업한 급수탑 정상의 "카페 급수탑"(Vodotoranj)은 부코바르와 다뉴브강을 한눈에 내려다볼 수 있는 전망대 레스토랑 겸 카페였다.[8] 이후 급수탑은 급수 용도로만 사용되었다.2020년 10월 30일 재개장한 부코바르 급수탑은 "부코바르 급수탑 공사"가 관리하며, 추모 계단, 추모실, 전망대를 갖추고 최대 70명을 수용할 수 있다.[11] 급수탑 옆에는 100석 규모의 단층 원형 극장, 어린이 놀이터, 카페가 마련되어 있다.[11]
4. 문화적, 사회적 의미
1991년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 발발 당시 세르비아군에게 600회 이상의 포격을 맞은 부코바르 급수탑은 심각하게 파괴되었으며, 이 전투의 상징이 되었다.[8] 부코바르 포위전 동안 부코바르 미트니체(Mitnice)에 살던 23세 이비차 이바니카가 처음으로 급수탑 옥상에 크로아티아의 국기를 계양했으며, 함락 직전까지 이 국기가 펄럭였다.[9][10]
전쟁 이후 부코바르 급수탑 보존 계획이 등장했고,[9] 2019년경 보수 공사가 시작되어 2020년 10월 30일 재개장했으며, 다음 날인 11월 1일 일반에 공개되었다. 부코바르 급수탑은 "부코바르 급수탑 공사"가 관리하며, 건물 내에는 추모 계단, 추모실, 전망대가 있어 최대 70명을 수용할 수 있다. 급수탑 옆에는 100석 규모의 단층 원형 극장, 어린이 놀이터, 카페가 마련되어 방문객을 맞이한다.[11]
크로아티아에 부코바르가 재통합된 후, 프라뇨 투지만 크로아티아 대통령에 의해 급수탑 재건이 추진되었으나 중단되었고, 대신 부코바르가 겪은 고통과 고난을 기리는 추모 공간으로 조성되었다. 2020년 10월 30일 공식 개장 후 다음 날부터 일반에 공개되었다.[5]
참조
[1]
웹사이트
Iconic War-Damaged Tower Reopens in Croatia’s Vukovar
https://balkaninsigh[...]
2020-10-30
[2]
뉴스
Ne potkopavajte Vodotoranj da se ne sruši
http://www.vukovarsk[...]
2010-07-16
[3]
뉴스
International Criminal Tribunal for the former Yugoslavia, page 2567
https://www.icty.org[...]
[4]
웹사이트
World Federation of Great Towers
https://www.great-to[...]
[5]
뉴스
Vukovar Water Tower – a symbol of Croatian unity officially opened
http://www.croatiawe[...]
2020-10-31
[6]
뉴스
Jutarnji list: Vukovarski Vodotoranj postaje memorijalno spomen-obilježje
http://www.jutarnji.[...]
2007-10-06
[7]
간행물
Najveći infrastrukturni zahvat u Vukovarsko-srijemskoj županiji
http://www.casopis-g[...]
Časopis Građevinar
2015-12
[8]
뉴스
Jutarnji list: Vodotoranj ostaje sa svih svojih 600 rana
http://www.jutarnji.[...]
2016-03-21
[9]
뉴스
Glas Slavonije: Vukovarski vodotoranj: Simbol stradanja, otpora i opstanka!
http://www.glas-slav[...]
[10]
간행물
Vukovarski vodotoranj - simbol otpora
https://web.archive.[...]
VP Magazin za vojnu povijest
2012-07-05
[11]
웹인용
VUKOVAR WATER TOWER
https://vukovarskivo[...]
vukovarski vodotoranj
2021-07-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