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북노리층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북노리층은 옥천 누층군 최하부의 지층으로, 주로 충청북도 제천시와 충주시 일대에 분포한다. 서창리층을 부정합으로 덮으며, 암회색 석회질함력천매암으로 구성된다. 제천 지질도폭과 충주 지질도폭, 황강리 지질도폭 등에서 북노리층의 분포와 지질 구조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제천시의 지리 - 월악산
    월악산은 충청북도와 경상북도 경계에 위치한 신성한 산으로, 아름다운 경관과 역사적 유적, 충주호 등으로 유명하다.
  • 제천시의 지리 - 옥천 누층군
    옥천 누층군은 한국 중부 지역에 넓게 분포하는 변성퇴적암 지층으로, 우라늄 함량이 높고 지표 자연방사선량이 상대적으로 높은 지역으로 알려져 있으며, 형성 시기와 층서에 대해서는 여러 논쟁이 존재하며 활발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 충주시의 지리 - 요도천
    제공된 정보 부족으로 요도천에 대한 요약을 제공할 수 없습니다.
  • 충주시의 지리 - 달천
    달천은 특정 하천이 아닌 여러 지역에서 사용되는 지명으로, 충청북도와 경상북도 등의 달천과 그 지류들의 위치, 수질, 기능, 환경 문제 등을 다루고 있으며, 일부 지류는 정보가 부족하여 추가 조사가 필요하다.
  • 충청북도의 지리 - 영동군
    영동군은 충청북도 남부에 위치하며, 소백산맥과 노령산맥이 만나는 지점으로 높은 산지를 이루고 있으며, 포도, 감 등의 특산물과 영동난계국악축제로 유명하다.
  • 충청북도의 지리 - 변성암
    변성암은 기존 암석이 고온, 고압, 화학적 변화를 겪어 광물 조성과 조직이 변한 암석으로, 재결정 작용에 의한 조직 변화와 엽리 구조를 보이며, 변성 작용 유형과 원암, 광물 조성, 조직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분류되고 지구 지각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며 건축 자재 등으로 활용되지만, 토목 공사나 건강에 위협을 줄 수도 있다.
북노리층
북노리층 정보
제천시 청풍면 오산리 지방도 제532호선 도로변의 북노리층
제천시 청풍면 오산리 지방도 제532호선 도로변의 북노리층
시대선캄브리아기
시기선캄브리아기
유형퇴적암
주 암질함력 천매암질암
나머지 암질규암, 석회암
이름 유래제천시 한수면 북노리
명명황강리 지질도폭 (1965)
상위 단위옥천 누층군
하층서창리층
상층명오리층
지역충주시, 제천시
지질 정보 시스템MGEO 지질정보시스템 1:5만 지질도

2. 옥천 누층군에서의 위치

북노리층은 옥천 누층군의 기저에 놓이며, 상부의 황강리층과는 정합적인 관계를 가진다.

2. 1. 초기 연구

1965년 충주 지질도폭에서는 옥천 누층군을 밑에서부터 시대 미상의 고운리층, 서창리층, 계명산층, 향산리 돌로마이트질 석회암층, 대향산 규암층, 북노리층, 명오리층, 황강리층, 문주리층으로 구분하고 고운리층은 오르도비스기조선 누층군으로 간주하였다.[2] 같은 해 황강리 지질도폭에서는 옥천 누층군을 밑에서부터 북노리층, 명오리층, 황강리층, 문주리층으로 구분하고 서창리층조선 누층군옥천 누층군부정합 관계에 있는 별개의 지층으로, 옥천 누층군조선 누층군보다 아래에 있는 것으로 해석하였다.[3]

1968년 김옥준은 충주시-문경시 지역의 옥천 누층군을 밑에서부터 계명산층, 향산리 돌로마이트층, 대향산 규암층, 문주리층, 황강리층으로 구분하였고, 명오리층과 북노리층은 황강리층의 일부인 것으로 보았다.[4]

1998년 이민성 외는 북노리층과 그 상부의 황강리층은 빙하 기원으로 해석되는 다이아믹타이트(diamictite)로 해석되며 규암석회암 쇄설물(클라스트; Clast)을 포함하고 있다고 하였다. 북노리층에는 층리가 없으나 쇄설물의 배열로부터 층리면으로 보이는 구조가 발달한다. 이 층리면의 평균적인 주향은 북동 45°, 경사는 북서 55°이다. 지층의 두께는 약 200m이다.[5]

2. 2. 후기 연구

김옥준(1968)은 충주시-문경시 지역의 옥천 누층군을 하부로부터 계명산층, 향산리 돌로마이트층, 대향산 규암층, 문주리층, 황강리층으로 구분하였고, 명오리층과 북노리층은 황강리층의 일부인 것으로 간주하였다.[4]

이민성 외(1998)에 의하면 북노리층과 그 상부의 황강리층은 빙하 기원으로 해석되는 다이아믹타이트(diamictite)로 해석되며 규암석회암 쇄설물(클라스트; Clast)을 포함하고 있다. 북노리층에는 층리가 없으나 쇄설물의 배열로부터 층리면으로 보이는 구조가 발달한다. 이 층리면의 평균적인 주향은 북동 45°, 경사는 북서 55°이다. 지층의 두께는 약 200 m이다.[5]

3. 지역별 분포

북노리층은 옥천 누층군의 최하부 지층으로, 주로 암회색 석회질 함력천매암으로 구성되며, 1 cm 내외의 역은 석회암규암으로 구성된다. 최상부에는 두께 15~20 m의 백색 세립결정질 석회암이 협재되어 있다.[1]

황강리 지질도폭(1965)에 의하면 북노리층은 함력천매암질암으로 구성되며 관봉 단층 서측에서는 북노리를 중심으로 북동-남서 방향으로, 관봉 단층 동측에서는 용곡리에서 수산리까지 남-북 방향으로 분포한다. 적보산~대미산 부근에서 제천시 한수면 서창리까지 북동 30~40° 주향으로 발달하고, 북서쪽으로 45~60° 경사지거나 국부적으로 남서 20°의 경사를 가진다. 최상부에는 두께 15~20 m의 연속적인 백색 석회암 지층이 존재한다. 이 지층은 각섬암과 서창리층부정합으로 덮는다.[1]

3. 1. 제천시

옥천 누층군 최하부의 지층으로 서창리층부정합으로 덮으며 관봉 단층 동부에 남-북 방향으로 길쭉하고 좁게 대상 분포한다. 분포지 남부와 북부에서는 북북서와 북북동 주향의 단층에 의해 서창리층과 접하고 분포가 중단된다.[6][1]

3. 2. 충주시

충주 지질도폭(1965)에 의하면 북노리층은 옥천 누층군의 최하부 지층으로, 적보산(698.7 m) 북측 사면에서 북동 주향의 세곡 단층에 의해 서창리층과 접한다. 이 지층은 주로 암회색 석회질함력천매암으로 구성되며, 1 cm 내외의 역은 석회암규암으로 구성된다. 지층 최상부에는 두께 15~20 m의 백색 세립결정질 석회암이 협재되어 있다. 지층의 주향은 북동 60°, 경사는 남동 70°이다.[1]

황강리 지질도폭(1965)에 의하면 북노리층(PZocp)은 옥천 누층군의 최하부 지층으로, 함력천매암질암으로 구성되며 관봉 단층 서측에서는 북노리를 중심으로 북동-남서 방향으로, 관봉 단층 동측에서는 용곡리에서 수산리까지 남-북 방향으로 분포한다. 전자의 경우 적보산~대미산 부근에서 제천시 한수면 서창리까지 북동 30~40° 주향으로 발달하고, 북서쪽으로 45~60° 경사지거나 국부적으로 남서 20°의 경사를 가진다. 최상부에는 두께 15~20 m의 연속적인 백색 석회암 지층(lst)이 존재한다. 이 지층은 각섬암(후자만 해당)과 서창리층을 부정합으로 덮으며, 적보산-살미면 신당리 간 지역에서는 북동 40° 주향의 세곡 단층에 의해, 한수면 서창리 북부에서는 관봉 단층에 의해 서창리층과 접한다.[1]

4. 사진
















참조

[1] 웹인용 MGEO 지질정보시스템 1:5만 지질도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 웹인용 忠州 地質圖幅說明書 (충주 지질도폭설명서)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65-01-01
[3] 웹인용 黃江里 地質圖幅說明書 (황강리 지질도폭설명서)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65-01-01
[4] 저널 忠州聞慶間의 沃川系의 層序와 構造 (Stratigraphy and Tectonics of Okcheon System in the Area between Chungju and Munkyeong) https://scholar.kyob[...] 1968-01-01
[5] 저널 Glaciogenic diamictite of Ogcheon System and its geologic age, and paleogeography of Korean Peninsula in Late Paleozoic (옥천계의 빙하기원 다이아믹타이트와 그 지질시대 및 고생대 말의 한반도의 고지리) https://www.dbpia.co[...] 1998-12-01
[6] 웹인용 堤川 地質圖幅說明書 (제천 지질도폭설명서)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67-0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