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강리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황강리층은 옥천 누층군에 속하는 지층으로, 지질 시대와 조선 누층군과의 관계에 대한 논쟁이 지속되고 있다. 초기 연구에서는 시대 미상으로 여겨졌으나, 코노돈트 화석 발견과 CHIME 연령 측정 결과 등을 통해 고생대 오르도비스기 설이 제기되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선캄브리아기라는 주장도 있으며, U-Pb 연대 측정 결과에 따라 다양한 지질 시대가 제시되고 있다. 황강리층은 충주시, 제천시, 괴산군, 보은군, 청주시, 옥천군 등지에 분포하며, 다양한 암석과 광물 조성을 보인다. 특히 옥천군 군북면의 부소담악과 돌팡깨는 황강리층의 대표적인 노두로 알려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보은군의 지리 - 보은 삼년산성
보은 삼년산성은 신라 시대에 축조되어 삼국 통일 과정에서 중요한 전략적 요충지 역할을 한 돌로 쌓은 산성으로, 축성에 3년이 걸렸다는 기록에서 유래되었으며, 성 내부 유적과 출토 유물은 당시 신라의 건축 기술과 사회상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 보은군의 지리 - 속리산
속리산은 충청북도 보은군과 경상북도 상주시에 걸쳐있는 역사적, 문화적 가치가 높은 산으로, 문장대, 천왕봉을 포함한 봉우리들, 법주사를 비롯한 사찰들, 정이품송 등의 명승지와 다양한 동식물이 서식하는 국립공원이다. - 옥천군의 지리 - 창리층
창리층은 충청, 대전, 전북 일대에 분포하는 옥천 누층군 최하위의 변성퇴적암 지층으로, 정확한 생성 시기는 불분명하며, 옥천 누층군 및 조선 누층군과의 관계 연구, 우라늄 함유 지층 존재, 기반암 문제 등이 보고되고, 한반도 지체구조 및 광물자원 연구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 옥천군의 지리 - 옥천 누층군
옥천 누층군은 한국 중부 지역에 넓게 분포하는 변성퇴적암 지층으로, 우라늄 함량이 높고 지표 자연방사선량이 상대적으로 높은 지역으로 알려져 있으며, 형성 시기와 층서에 대해서는 여러 논쟁이 존재하며 활발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 괴산군의 지리 - 달천
달천은 특정 하천이 아닌 여러 지역에서 사용되는 지명으로, 충청북도와 경상북도 등의 달천과 그 지류들의 위치, 수질, 기능, 환경 문제 등을 다루고 있으며, 일부 지류는 정보가 부족하여 추가 조사가 필요하다. - 괴산군의 지리 - 속리산
속리산은 충청북도 보은군과 경상북도 상주시에 걸쳐있는 역사적, 문화적 가치가 높은 산으로, 문장대, 천왕봉을 포함한 봉우리들, 법주사를 비롯한 사찰들, 정이품송 등의 명승지와 다양한 동식물이 서식하는 국립공원이다.
황강리층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이름 | 황강리층 |
시대 | 신원생대 |
시기 | 신원생대 |
유형 | 퇴적암 |
주 암질 | 함력천매암질암, 석회질 다이아믹타이트 |
나머지 암질 | 석회암 |
이름 유래 | 제천시 한수면 황강리 마을 |
상위 단위 | 옥천 누층군 |
위치 정보 | |
지역 | 제천시, 충주시, 괴산군, 보은군, 옥천군, 대전광역시 |
추가 정보 | |
![]() |
2. 지질 시대 논쟁
황강리층의 지질 시대는 학계에서 오랫동안 논쟁의 대상이었다.[1] 옥천 누층군은 심한 변형 작용을 받아 화석이 거의 없고 구조적 해석이나 방사능 절대연령 측정도 어려워 그 형성 시기와 조선 누층군과의 관계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기 때문이다.[2]
초기 연구에서는 옥천 누층군을 시대 미상으로 보았으나, 장기홍(1972)은 향산리 돌로마이트질 석회암층에서 고배류 화석을 발견하고 계명산층을 선캄브리아기로, 향산리 돌로마이트층, 대향산 규암층, 문주리층 및 창리층을 조선 누층군에 대비하였다.[2] 이재화 외(1989)는 황강리층에서 오르도비스기에 해당하는 코노돈트 화석을 발견하여[3] 옥천 누층군이 고생대에 해당한다는 주장을 제기하였다. 클루젤 외(1991, 1992)는 옥천 누층군과 조선 누층군의 지층들은 동일 시대의 지층으로, 두 누층군의 암상의 차이는 분지의 깊이에 따른 횡적 퇴적상의 변화(lateral equivalent)로 보았다.[4][5][6][7]
그러나 최근에는 옥천 누층군이 조선 누층군 이전의 지층이라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계명산층[8]과 문주리층[9][10]은 선캄브리아기에 해당하는 U-Pb 연대측정 결과가 나왔으나, 황강리층은 코노돈트 화석[1]과 CHIME 연령(369±10 Ma; 데본기)[11]과 SHRIMP U-Pb 연령(최저 746±32 Ma; 신원생대)[12]이 모두 다른 결과를 보이고 있다. 최덕근 외(2012)는 옥천 누층군이 모두 선캄브리아기에 해당하는 것으로 보았으며, 장기홍(1972)이 발견한 고배류 화석을 부정하고 충주호 지역에서 옥천 누층군이 단층에 의해 고생대의 조선 누층군 위로 충상되어 있다고 해석했다.[13] 최덕근 외는 중국 난후아 분지의 다이아믹타이트 지층과의 대비를 통해 황강리층의 지질시대를 신원생대 크리오스진기(Cryogenian)로 보았다.[1]
이와 같이 옥천대 내에 분포하는 조선 누층군과 옥천 누층군의 대비 및 옥천 누층군의 지질시대 문제는 현재까지도 해결되지 않은 문제로 남아 있다.
2. 1. 선캄브리아기 설
2. 2. 고생대 오르도비스기 설
2. 3. 기타 연구
3. 분포 지역
3. 1. 제천시
제천시 제천 지질도폭(1967)에 의하면 충주시 동량면 손동리 지역에 분포하나 단층에 의해 옥천 누층군의 상부 2개 층이 낙하하여 지표에서 명오리층과 북노리층 없이 황강리층이 서창리층과 단층으로 접하고 있다.[1] 그리고 남-북 방향의 인등산 단층 서부에서는 본 층이 단층으로 떨어져 지표상에 분포하지 않는다.[1] 이 지역에서는 북서 25~35°의 주향과 남서 30~40°의 경사를 가진다.[1]3. 2. 충주시
충주 지질도폭(1965)에 의하면 충주시 살미면 설운리, 용천리, 문강리, 수안보면 수회리, 괴산군 장연면 추점리와 방곡리에 넓게 분포하며 상부의 문주리층, 하부의 명오리층과 정합으로 접한다. 전 층이 암회색 함력(含礫)천매암질암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괴산군-살미면-수안보면 경계 지역에서 중생대의 화강반암에 의해 관입당하였다.(→따라서 중생대 혹은 그 이전의 지층이다.) 본 지층 내에는 크고 작은 습곡 구조가 발달되며 특히 살미면 설운리의 북동 방향의 배사축을 중심으로 북측은 북서 40~45°, 남측은 남동 50~60°의 경사를 가진다. 주향은 대체로 북동 방향이다.[1]이재화 외(1989)는 충주시 갈마고개 부근 황강리층의 석회암질 역(礫)에서 코노돈트, 완족동물의 패각, 삼엽충 파편 등으로 구성된 미화석군을 발견하였다. 산출된 코노돈트 화석은 대체로 유럽의 트레마도시안(Tremadocian)에서 아레니지안(Arenigian)에 해당하는 층서범위로 하부 오르도비스기이며 이 화석군에 근거하여 황강리층의 지질시대를 초기 오르도비스기 이후인 것으로 해석하였다.[26]
이하영 외(1989)는 충주시와 옥천군의 황강리층 석회암역에서 ''Microdictyon'' sp.?의 화석을 발견하고 황강리층을 고생대 오르도비스기 초기 이후에 대비했다.[27]
이지민 외(2000)는 충주시와 수안보온천 사이의 갈마고개, 마당바위 그리고 충주호 부근 살미면 내사리 지역에서 석회암역의 시료를 채취하고 스트론튬 동위원소 분석을 실시하여, 황강리층의 퇴적시기는 적어도 고생대 오르도비스기 이후인 것으로 추정하였다.[29]
스즈키 외(2006)는 충주시 지역 황강리층에 들어 있는 화강편마암 자갈의 CHIME 연령을 369±10 Ma로 측정하고 황강리층이 370~280 Ma에 퇴적되었다고 추정하였다. 화강편마암 자갈은 석영, 미사장석, 사장석, 녹니석으로 구성되고 부수적으로 저어콘, 제노타임, 모나자이트, 인회석, 티탄철광(ilmenite)을 포함한다.[30]
일반 | 이산화 규소 | 이산화 타이타늄 | 산화 알루미늄 | 산화 철(II) | 산화 마그네슘 | |||||||||
---|---|---|---|---|---|---|---|---|---|---|---|---|---|---|
wt.% | 43.8~70.2 | 0.46~3.71 | 13.1~19.2 | 4.98~14.2 | 1.88~9.41 | |||||||||
희토류 | 바나듐 | 크로뮴 | 코발트 | 니켈 | 구리 | 아연 | 루비듐 | 스트론튬 | 이트륨 | 지르코늄 | 나이오븀 | 바륨 | 납 | 토륨 |
ppm | 56~329 | 26~406 | 19~69 | 5~112 | 1~150 | 63~188 | 1~211 | 35~655 | 22~67 | 133~384 | 12~60 | 52~1503 | 1~88 | 1~27 |
충주시 수안보면 중산리 산 41-7 (N 36°52'55.33", E 127°58'54.96")에는 국도 제3호선 도로사면에 황강리층의 암상을 대표적으로 보여주는 노두가 드러나 있다. 이 노두는 변성작용을 받아 천매암화된 함력이암이며 이암 내에 작은 역들이 무질서하게 분포한다.[31]
3. 2. 1. 인성 금-은 광상
인성 금-은 광상은 옥천 누층군 황강리층에 발달한 열극충진 금-은 광상으로 충청북도 괴산군 장연면 추점리에 위치한다. 황강리층은 본 광상의 동남쪽에서 흑색 세립천매암인 서창리층과 부정합으로 접하고 서북쪽에서는 황강리층 위로 운모질 천매암, 석영-흑운모 편암으로 구성된 문주리층이 정합적으로 놓인다.[32]3. 3. 괴산군
괴산-옥천 지역의 황강리층은 화강암의 관입으로 불연속적으로 분포한다. 괴산 지질도폭(1972)에 의하면 함력천매암질암으로 구성되고 문주리층을 정합으로 덮으며 괴산군 감물면 매전리, 장연면 장암리, 오가리, 송덕리와 칠성면의 대부분 지역에 분포한다. 장풍광산은 괴산군 장연면 오가리에 위치하며 황강리층 내 함력천매암질암과 천매암을 관입한 흑운모 화강암중에 부존되어 있다. 화강암의 석영맥은 황동광과 황철석을 수반한다.[33]3. 4. 보은군, 청주시
용유리 지질도폭(1973)에 의하면 괴산군 청천면 상신리, 보은군 산외면 장갑리, 백석리, 동화리, 속리산면 백현리, 북암리 서부에 분포하며 주로 역(礫)을 포함하는 흑색 내지 회백색 천매암으로 구성된다. 엽리는 북동 주향에 북서 경사를 보인다. 청천면 사담리의 덕가산 일대에는 규화된 부분도 있다.[34] 미원 지질도폭(1979)에 의하면 보은군 산외면 탁주리, 구티리, 내북면 서지리에 분포하며 습곡에 의해 양쪽으로 문주리층과 부정합으로 접한다. 대체로 하부는 암회색함력석회질천매암, 상부는 흑색함력천매암질암으로 구성된다.[35]임순복 외(2007)는 보은군 회남면~청주시 상당구 미원면 지역의 옥천 누층군을 비공식적으로 6개 지층으로 구분하였는데 황강리층은 다양한 역(clast)들을 함유하는 사질~니질암이며 역의 종류는 석회암, 규암, 점판암, 천매암, 화강편마암, 편암 등 다양하다. 황강리층 직하부에는 최대 9 m 두께의 결정질 석회암이 특징적으로 발달한다. 황강리층의 두께는 700~1200 m로 추정된다.[1]
최덕근 외(2013)는 보은군 수한면 동정리(N 36°28.395' E 127°39.570') 지역에 분포하는 황강리층의 석회질 메타다이아믹타이트의 쇄설성 저어콘 SHRIMP U-Pb 연대측정을 실시하여 신원생대와 그 이전에 해당하는 연령값을 찾아내었다. 이 지역 저어콘의 우라늄 함량은 45~696 ppm, 토륨 함량은 30~680 ppm이며 207Pb/235U, 206Pb/238U, 207Pb/206Pb 연대는 모두 선캄브리아기에 해당한다. 3개 연대 중 최저 연대는 신원생대에 해당하는 746±32 Ma, 최고 연대는 시생대와 원생대의 경계 부근인 2632±19 Ma이다.[36]
보은군 회인면 건천리 산 14-2 (N 36°28'43.35", E 127°38'33.19")에는 수리티재 정상, 국도 제25호선의 도로변에 황강리층과 금강석회암의 부정합면이 드러난 노두가 대규모로 노출되어 있다. 황강리층은 (암)회색의 함력사질~니질암으로 구성되며 아래의 금강석회암에서 유래된 것으로 보이는 암석 조각들이 길게 신장된 형태로 포함되어 있다.[1]
3. 5. 옥천군
보은 지질도폭(1977)에 의하면 황강리층은 옥천군 안내면과 군북면에 넓게 분포하며 문주리층과 창리층을 부정합으로 덮고 암회색 함력니질암으로 구성된다.[37] 옥천 지질도폭(1978)에 의하면 황강리층은 광역변성작용을 받은 함력석회질니질암으로 하부에 금강석회암이 놓인다. 유백색의 중립결정질석회암인 금강석회암은 창리층 상위, 황강리층 하위에 놓이며 두께는 대개 2~4 m, 일부 지역에서 30 m이다.[38]옥천군 군서면 월전리, 국도 제37호선의 월전교차로 도로변에는 아래 사진과 같이 국도 제37호선(대청로)를 따라 황강리층이 200 m에 걸쳐 대규모로 드러나 있으며 월전교차로 바로 남서쪽에는 황강리층의 암회색 노두와 대비되는 밝은색의 암맥이 관입해 있다.

옥천군 군북면 이평리의 환산로 도로변에는 황강리층과 문주리층의 노두가 드러나 있다.
옥천군 군북면 옥천군 군북면 이백리 산 15-7, 비야대정로 도로변에는 황강리층의 노두가 드러나 있다.
옥천군 동이면 우산리 산 12-19, 지방도 제505호선 도로변에는 황강리층의 노두가 드러나 있다.
옥천군 군서면 상중리 산 23-4 (N 36°17'32.36", E 127°30'39.30")의 도로사면에는 황강리층의 노두가 드러나 있다. 이곳의 황강리층은 천매암화된 함력이암으로 구성되며 층리면은 뚜렷하지 않다. 이암 내 역은 수 mm~10 cm 크기며 무질서하게 분포한다.[1]
== 부소담악 ==
옥천군 군북면 추소리 263-3 (N 36°21'15.97", E 127°33'31.09")의 '''추소정 부소담악'''은 물 위로 솟은 황강리층의 암석이 700 m에 걸쳐 병풍처럼 늘어서 있는 기암절벽으로 탐방 데크길이 조성되어 있다.[1] 부소담악은 절벽으로 통행에 위험해 추소정 정자 이후 130 m까지만 탐방이 가능하고 그 이후는 통행이 금지되어 있다.
== 돌팡깨 ==
돌팡깨는 대한민국 충청북도 옥천군 군북면 항곡리에 위치한 옥천 누층군 황강리층 바위이다.
돌팡깨는 옥천군 군북면 항곡리 마을에 드러난 거대한 검은색 바위를 지칭하는 고유명사이다. 돌팡깨에는 안내판과 나무데크로 만들어진 탐방로가 설치되어 있다. 돌팡깨는 비야대정로 도로변에 위치해 접근성이 좋다. 바로 앞에 식당과 주차장이 있으며 도로명주소는 옥천군 군북면 비야대정로 536, 지번은 군북면 항곡리 152이다.
산골짜기에서 금을 캤다고 해서 유래된 항곡마을 입구에 널리 퍼져있는 옥천대 변성퇴적암인 흑색 금강석회암 지대로 마을 주민들은 이곳을 돌무더기가 있는 언저리라는 뜻으로 돌팡깨라고 부른다.[39]
현지 안내문에 의하면 군북면 항곡마을은 마을 입구 돌팡깨를 중심으로 널리 퍼져있는 옥천 습곡대의 변성퇴적암인 흑색 금강석회암(황강리층) 지대이다. 항곡마을은 꾀꼬리봉과 백골산이 품어주어 아늑하고 평화스러우며 들어내지 않는 여유로움이 있는 곳으로 마을 전체가 옥천 누층군 황강리층의 흑색바위의 거대한 힘에 의해 평화롭게 자리잡고 있는 모습이다.

3. 5. 1. 부소담악
옥천군 군북면 추소리 263-3 (N 36°21'15.97", E 127°33'31.09")의 '''추소정 부소담악'''은 물 위로 솟은 황강리층의 암석이 700 m에 걸쳐 병풍처럼 늘어서 있는 기암절벽으로 탐방 데크길이 조성되어 있다.[1] 부소담악은 절벽으로 통행에 위험해 추소정 정자 이후 130 m까지만 탐방이 가능하고 그 이후는 통행이 금지되어 있다.3. 5. 2. 돌팡깨
돌팡깨는 대한민국 충청북도 옥천군 군북면 항곡리에 위치한 옥천 누층군 황강리층 바위이다.돌팡깨는 옥천군 군북면 항곡리 마을에 드러난 거대한 검은색 바위를 지칭하는 고유명사이다. 돌팡깨에는 안내판과 나무데크로 만들어진 탐방로가 설치되어 있다. 돌팡깨는 비야대정로 도로변에 위치해 접근성이 좋다. 바로 앞에 식당과 주차장이 있으며 도로명주소는 옥천군 군북면 비야대정로 536, 지번은 군북면 항곡리 152이다.
산골짜기에서 금을 캤다고 해서 유래된 항곡마을 입구에 널리 퍼져있는 옥천대 변성퇴적암인 흑색 금강석회암 지대로 마을 주민들은 이곳을 돌무더기가 있는 언저리라는 뜻으로 돌팡깨라고 부른다.[39]
현지 안내문에 의하면 군북면 항곡마을은 마을 입구 돌팡깨를 중심으로 널리 퍼져있는 옥천 습곡대의 변성퇴적암인 흑색 금강석회암(황강리층) 지대이다. 항곡마을은 꾀꼬리봉과 백골산이 품어주어 아늑하고 평화스러우며 들어내지 않는 여유로움이 있는 곳으로 마을 전체가 옥천 누층군 황강리층의 흑색바위의 거대한 힘에 의해 평화롭게 자리잡고 있는 모습이다.
4. 층서 및 암석 특징
4. 1. 층서
4. 2. 암석
4. 3. 광물 조성
참조
[1]
웹인용
MGEO 지질정보시스템 1:5만 지질도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
저널
Discovery of Archaeocyatha from Hyangsanri Dolomite Formation of the Ogcheon System and its Significance (沃川系內 香山里돌로마이트層에서의 Archaeocyatha의 發見과 그 意義)
https://www.dbpia.co[...]
1972-12
[3]
저널
Discovery of Microfossils from Limestone Pebbles of the Hwanggangri Formation and their Stratigraphic Significance (黃江里層의 石灰質礫에서 산출된 微化石과 그의 層序的 意義)
https://www.dbpia.co[...]
1989-03
[4]
저널
Geodynamics of the Ogcheon Belt (South Korea)
https://www.scienced[...]
1990-11
[5]
저널
Early Middle Paleozoic Intraplate Orogeny in the Ogcheon Belt (South Korea): A new insight on the Paleozoic buildup of east Asia
https://insu.hal.sci[...]
1991
[6]
저널
Ordovician bimodal magmatism in the Ogcheon belt (South Korea): intracontinental rift-related volcanic activity
https://www.research[...]
1992-02
[7]
저널
Geological Structures of the Choseon and Ogcheon supergroups in the Deogsan-Cheongpung area, Jecheon-gun, Chungchengbuk-do, Korea (충북 제천군 덕산-청풍면 일대의 조선누층군과 옥천누층군의 지질구조)
https://www.dbpia.co[...]
1999-12
[8]
저널
옥천변성대 북서부 계명산층 내 변성화성암류의 지구화학 및 지구연대학적 연구와 그 지구조적 의의 (Geochemical and Geolchronological Studies on Metaigneous Rocks in the Gyemyeongsan Formation, Northwestern Okcheon Metamorphic Belt and their Tectonic Implication)
https://www.dbpia.co[...]
2003-12
[9]
저널
옥천변성대 규장질 변성응회암의 SHRIMP U-Pb 저어콘 연대: 신원생대(약 7.5억년전) 화산활동 (SHRIMP U-Pb Zircon Age of a Felsic Meta-tuff in the Ogcheon Metamorphic Belt, Korea: Neoproterozoic (ca. 750 Ma) Volcanism)
https://scienceon.ki[...]
2004
[10]
저널
Neoproterozoic Bimodal Volcanism in the Okcheon Belt, South Korea, and Its Comparison with the Nanhua Rift, South China: Implications for Rifting in Rodinia
https://www.jstor.or[...]
2006-11
[11]
저널
Discovery of a c.370 Ma granitic gneiss clast from the Hwanggangri pebble-bearing phyllite in the Okcheon metamorphic belt, Korea
https://www.scienced[...]
2006-01
[12]
저널
SHRIMP U-Pb ages of detrital zircons in metasedimentary rocks of the central Ogcheon fold-thrust belt, Korea: Evidence for tectonic assembly of Paleozoic sedimentary protoliths
https://www.scienced[...]
2013-12
[13]
저널
The Okcheon Supergroup in the Lake Chungju area, Korea: Neoproterozoic volcanic and glaciogenic sedimentary successions in a rift basin
https://www.proquest[...]
2012
[14]
웹인용
忠州 地質圖幅說明書 (충주 지질도폭설명서)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65
[15]
저널
忠州聞慶間의 沃川系의 層序와 構造 (Stratigraphy and Tectonics of Okcheon System in the Area between Chungju and Munkyeong)
https://scholar.kyob[...]
1968
[16]
저널
옥천층군(沃川層群)의 지질시대(地質時代)에 관(關)하여 On the Geological Age of the Ogcheon Group
https://scienceon.ki[...]
1970
[17]
간행물
The geology of the Hwanggangri mining district, Republic of Korea
Anglo-korean Mineral Exploration Group
1973
[18]
논문
Study for the geologic age determination of Ogcheon Group, Korea
1974
[19]
저널
Sedimentary Basins in the Korean Peninsula and Adjacent Seas
https://db.history.g[...]
Korean Sedimentology Research Group, Special Publication, Hallimwon Publishers
1992
[20]
논문
Geology of Ogcheon Supergroup
1995
[21]
저널
Glaciogenic diamictite of Ogcheon System and its geologic age, and paleogeography of Korean Peninsula in Late Paleozoic (옥천계의 빙하기원 다이아믹타이트와 그 지질시대 및 고생대 말의 한반도의 고지리)
https://www.dbpia.co[...]
1998-12
[22]
저널
Geologic ages, stratigraphy and geological structures of the metasedimentary strata in Bibong~Yeonmu area, NW Okcheon belt, Korea (서북옥천대 비봉~연무지역 변성퇴적암층의 지질시대, 층서 및 지질구조)
https://www.dbpia.co[...]
2005-09
[23]
저널
Stratigraphy and geological ages of the metasedimentary strata in Jinsan∼Boksu area, Chungcheongnam-do, NW Okcheon belt 서북옥천대 진산~복수지역 변성퇴적암층의 층서 및 지질시대)
https://www.dbpia.co[...]
2006-06
[24]
저널
Geological ages and stratigraphy of the metasedimentary strata in Hoenam∼Miwon area, NW Okcheon belt (서북옥천대 회남~미원지역 변성퇴적암층의 지질시대 및 층서)
https://www.dbpia.co[...]
2007-06
[25]
웹인용
黃江里 地質圖幅說明書 (황강리 지질도폭설명서)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65
[26]
저널
Discovery of Microfossils from Limestone Pebbles of the Hwanggangri Formation and their Stratigraphic Significance (黃江里層의 石灰質礫에서 산출된 微化石과 그의 層序的 意義)
https://www.dbpia.co[...]
1989-03
[27]
저널
Microfossils from the limeston Pebbles of the Hwanggangri Formation and the Hyangsanri Dolomite in the Okcheon zone, South Korea (南韓 沃川帶內에 分布하는 黃江里層의 石灰炭礫과 香山理 돌로마이트層에서 産出된 微化石)
https://www.dbpia.co[...]
1989-12
[28]
저널
Glaciogenic diamictite of Ogcheon System and its geologic age, and paleogeography of Korean Peninsula in Late Paleozoic (옥천계의 빙하기원 다이아믹타이트와 그 지질시대 및 고생대 말의 한반도의 고지리)
https://www.dbpia.co[...]
1998-12
[29]
저널
REE and Sr isotopic compositions of earbonate pebbles in the phyllitic rocks of the Hwanggangni Formation, Okcheon zone (옥천대 황강리층 함력천매암질암내의 석회암역의 REE와 Sr 동위원소 조성)
https://www.dbpia.co[...]
2000-09
[30]
저널
Discovery of a c.370 Ma granitic gneiss clast from the Hwanggangri pebble-bearing phyllite in the Okcheon metamorphic belt, Korea
https://www.scienced[...]
2006-01
[31]
서적
충청권 지질유산 발굴 및 지질유산 가치평가 사업
국립공원관리공단
2016
[32]
저널
황강리 광화대 인성 금-은 광상의 광화 유체 진화 (Hydrothermal Evolution for the Inseong Au-Ag Deposit in the Hwanggangri Metallogenic Region, Korea)
https://scienceon.ki[...]
2018
[33]
웹인용
槐山 地質圖幅說明書 (괴산 지질도폭설명서)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72
[34]
웹인용
龍遊里 地質圖幅說明書 (용유리 지질도폭설명서)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73
[35]
웹인용
米院 地質圖幅說明書 (미원 지질도폭설명서)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79
[36]
저널
SHRIMP U-Pb ages of detrital zircons in metasedimentary rocks of the central Ogcheon fold-thrust belt, Korea: Evidence for tectonic assembly of Paleozoic sedimentary protoliths
https://www.scienced[...]
2013-12
[37]
웹인용
報恩 地質圖幅說明書 (보은 지질도폭설명서)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77
[38]
웹인용
沃川 地質圖幅說明書 (옥천 지질도폭설명서)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78
[39]
뉴스
구멍 뚫린 바위 옹기종기… 옥천 돌팡깨 눈길
https://www.cctoday.[...]
2021-04-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