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설대보부모은중경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본문
불설대보부모은중경판(佛說大報父母恩重經版)은 부모의 은혜에 감사하고 보답할 것을 가르치는 불교 경전인 '불설대보부모은중경'을 새긴 판목입니다.
주요 내용:
- 경전의 내용: 불설대보부모은중경은 부모의 크고 깊은 은혜를 설명하고, 그 은혜에 보답하는 방법을 가르치는 경전입니다. 줄여서 '부모은중경'이라고도 불립니다.
- 제작 배경:
- 조선 정조가 아버지 사도세자의 명복을 빌기 위해 1790년 용주사를 세우고, 부모의 은혜를 기리는 뜻에서 1796년에 '불설대보부모은중경'을 경판으로 새겼습니다.
- 정조의 문집인 '홍재전서'에는 정조가 '대보부모은중게'를 읽고 감동하여 불설대보부모은중경판을 만들었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종류 및 특징:
- 다양한 재료: 용주사의 불설대보부모은중경판은 목판(42판), 동철판(7판), 석판(24판)의 세 종류, 총 73판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뛰어난 예술성:
- 변상도(變相圖): 경전의 내용을 그림으로 표현한 변상도는 당대 최고의 화가였던 김홍도의 화풍이 담겨 있어 예술적 가치가 높습니다.
- 본문: 당대 명필이었던 황운조의 글씨로 새겨져 있습니다.
문화재적 가치:
- 보물 지정: 용주사 소장 불설대보부모은중경판은 보물 제1754호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 국어사 자료: 한문판과 한글판이 모두 남아있어 18세기 말 국어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입니다.
- 예술적 가치: 당대 최고의 장인들이 참여하여 제작한 예술 작품으로 평가받습니다.
기타:
- 세심사 소장: 충청남도 아산시 세심사에도 불설대보부모은중경판(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67호)이 있습니다.
- 다양한 판본: 불설대보부모은중경은 여러 이본(異本)이 존재하며, 다양한 사찰에서 판각되었습니다.
| 불설대보부모은중경판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 개요 | |
| 이름 | 불설대보부모은중경판 |
| 한자 표기 | 佛說大報父母恩重經版 |
| 문화재 지정 정보 | |
| 국가 | 대한민국 |
| 유형 | 보물 |
| 지정 번호 | 1754 |
| 지정일 | 2012년 2월 22일 |
| 소유자 | 대한불교조계종 용주사(용주사 효행박물관) |
| 문화재 상세 정보 | |
| 시대 | 조선시대 1796~1799년(정조 20~23추정) |
| 재료 및 크기 | 목판 세로 31.5×가로 53.5cm 내외 동판 세로 22.5×가로 44.5cm 내외 석판 세로 27.5×가로 43.0cm 내외 |
| 수량 | 73판(목판 42판, 동철판 7판, 석판 24판) |
| 소재지 | 경기도 화성시 태안읍 송산리 188 |
| 참고 | 화성 용주사 |
| 문화재청 ID | 12,17540000,31 |
| 과거 지정 정보 (불설부모은중경판) | |
| 명칭 | 불설부모은중경판 |
| 한자 표기 | 佛設父母恩重經板 |
| 지정 유형 | 유형문화재 |
| 지정 번호 | 17 |
| 지정일 | 1972년 5월 4일 |
| 해제일 | 2012년 2월 22일 |
| 문화재청 ID | 21,00170000,31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