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화성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화성시는 경기도에 위치한 도시로, 초기에는 마한의 원양국 지배를 받았으며, 이후 수원군에서 분리되어 화성군으로 개칭되었다가 2001년 시로 승격되었다. 조선 정조가 사도세자의 능침인 화산의 '화'자를 따서 이름을 지었다. 주요 사건으로는 이춘재 연쇄 살인 사건과 2024년 리튬 배터리 공장 화재가 있었다. 지리적으로는 광주산맥과 차령산맥 사이에 위치하며 서해와 접하고, 해안선은 152km에 달한다. 행정 구역은 4읍, 9면, 15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인구는 2020년 4월 기준 83만 명 이상이다. 경제적으로는 삼성전자, 현대자동차 등 첨단 산업의 중심지이며, 다양한 제조업과 농업, 어업 활동이 이루어진다. 문화 유적으로는 융건릉, 용주사, 화성당성 등이 있으며, 화성 8경과 코리요 마스코트가 있다. 스포츠 분야에서는 화성 FC, IBK 기업은행 알토스, 화성시코리요 팀이 활동하며, 여러 자매 도시와 교류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화성시 - 달빛나래어린이도서관
    달빛나래어린이도서관은 2023년 10월에 정식 개관한 어린이도서관이다.
  • 화성시 - 중앙이음터도서관
    2009년 개관한 중앙이음터도서관은 시설 확충과 야외공간 조성 등을 거쳐 어린이자료실, 종합자료실, 문화강좌실 등을 갖춘 지하 1층, 지상 3층 규모의 도서관으로, 지역 사회의 독서 문화 확산에 기여하고 있다.
  • 화성시의 행정 구역 - 우정읍
    화성시 우정읍은 고려 시대 쌍부현에서 조선 시대 오정면, 압정면으로 나뉘었다가 2003년 읍으로 승격되었으며, 기아 오토랜드 화성과 조암터미널 등의 주요 시설을 포함한 13개 법정리를 관할한다.
  • 화성시의 행정 구역 - 진안동
    진안동은 2006년 태안읍 폐지 후 설치된 화성시의 행정동으로, 여러 법정동을 관할하며, 병점역이 위치해 교통이 편리하다.
  • 2001년 설치 - 광주시 (경기도)
    광주시는 기원전 6년 백제의 수도였으며, 조선 시대에는 관요가 설치되어 백자 제작이 성행했고, 2001년 시로 승격되었으며, 현재 제조업, 상업 및 서비스업이 주요 산업이고 남한산성, 팔당호, 광주경기도자박물관 등이 관광 명소이다.
  • 2001년 설치 - 진건읍
    진건읍은 1914년 진관면과 건천면의 통합으로 설치되어 2001년 읍으로 승격된 남양주시에 있는 읍으로, 교육기관, 주거 시설과 더불어 광해군묘, 사릉 등 다양한 문화유산과 사찰이 위치해 있다.
화성시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화성시청
시청
공식 명칭화성시
한글 표기화성시
한자 표기華城市
로마자 표기Hwaseong-si
도시 유형특정시
위치대한민국 경기도
면적693.93 km²
인구944,342명 (2023년 12월 기준)
남자 인구490,518명
여자 인구453,824명
세대수404,623세대
방언서울 방언
행정 구역4읍, 9면, 16동
시화개나리
시목은행나무
시조비둘기
정치
시장정명근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화성시 갑: 송옥주 (더불어민주당)
화성시 을: 이준석 (개혁신당)
화성시 병: 권칠승 (더불어민주당)
화성시 정: 전용기 (더불어민주당)
시장 소속 정당더불어민주당
행정
하위 행정 구역4읍 9면 16동
행정 구역 코드31240
시청 소재지경기도 화성시 남양읍 시청로 159
기타
공식 웹사이트화성시
목백일홍
나무소나무
도요새

2. 역사

초기 삼국 시대 당시, 현재 화성시 일부는 마한의 소국인 원양국(爰襄國|원양국한국어)의 지배를 받았다.

1949년 8월 15일, 수원부로 분리·승격하면서 수원군이 '''화성군'''으로 개칭되었다.[46] 1960년 1월 1일 오산면이 오산읍으로 승격하였고,[48] 1989년 1월 1일에는 오산읍오산시로 승격하여 화성군에서 분리되었다.[54] 2001년 3월 21일 화성군이 '''화성시'''로 승격되었다.[59]

화성시는 인구 증가에 따라 지속적으로 행정 구역 개편을 겪었다. 2010년 9월 27일 주민등록 인구가 50만 명을 돌파하였고, 2016년 1월에는 60만 명, 2018년 2월에는 70만 명, 2019년 9월에는 80만 명, 2022년 9월에는 90만 명을 돌파하였다. 2023년 4월에는 성남시의 인구를 추월하였다.

2020년 9월 12일 수인선이 재개통되었고, 2024년 3월 30일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이 개통되었다.

2025년 1월 1일 특례시로 승격될 예정이다.

2. 1. 화성시 명칭 유래

조선 정조는 '화봉삼축(華封三祝)' 고사를 인용해 "사도세자의 능침인 '화산(花山)'의 '花(화)'자와 '華(화)'자는 뜻과 음이 통하여 '화성'으로 한다"고 하여 '화성(華城)'이라는 이름을 지었다.[2]

2. 2. 화성군에서 화성시로

1914년 4월 1일 군면통합에 따라 수원군의 일부, 남양군의 대부분, 광주군안산군의 일부를 수원군으로 편성하였다.[13]

2. 3. 주요 사건


  • 이춘재 연쇄 살인 사건
  • 화성 리튬이온배터리 공장 화재: 2024년 6월 24일, Aricell이 소유한 리튬 배터리 공장에서 발생한 화재로 23명의 근로자가 사망하고[5] 8명이 부상을 입었다.[6] 화재는 일련의 배터리 셀 폭발로 인해 발생했다.[6]

3. 지리

화성시는 크게 동부(병점, 동탄, 봉담읍, 정남면)와 서부로 나눌 수 있는데, 서부는 다시 남양읍송산그린시티를 중심으로 한 북쪽의 1읍·5면·1동과 향남읍을 중심으로 한 남쪽의 2읍·3면으로 나눌 수 있다.[68]

화성시는 쾨펜 기후 분류에서 습윤 대륙성 기후(Dwa)에 속하지만, -3°C 등온선을 기준으로 할 경우 습윤 아열대 기후(Cwa)의 경계 지역으로 간주될 수 있다.[7] 한국의 서쪽에 위치하며, 저지대 평야에 위치하고 얕은 수심의 황해(서해)에 가까이 있어 겨울철 해안가의 기온은 낮다.[7] 또한 시베리아 기단이 한반도 서부 평야 지대에 직접 유입되어 여러 지역의 기온을 더욱 낮춘다.

3. 1. 지형

화성시는 광주산맥차령산맥 사이에 있어 동북쪽은 비교적 산세가 깊은 산지를 형성하고, 중앙은 구릉지대이며, 서쪽은 평야지대를 이루면서 서해와 접하고 있다. 서해안으로 남양 반도와 조암 반도가 돌출되어 있고, 화성시 중심부를 남류하는 황구지천과 발안천을 따라 비옥한 평야가 넓게 형성되어 있다. 해안은 북쪽으로 군자만, 남쪽으로 남양만을 끼고 있으며, 전형적인 리아스식 해안이다.[68]

화성시는 해발 50m 미만 지역이 총면적의 76.1%이고, 50m~100m 지역은 17.9%, 100m~200m 지역은 5.5%, 200m 이상 지역은 화성시 총면적의 0.5%로 구성되어 전체적으로 비교적 완만한 구릉지를 형성하고 있다. 경사도는 5% 미만이 총면적의 52.3%, 5%~15% 지역은 화성시 총면적의 15.9%, 15%~25% 지역은 화성시 총면적의 13.9%로 대부분이 완만하다.

해발 200m 이상 지역과 경사 25% 이상 지역은 봉담읍비봉면, 팔탄면의 경계와 동탄면의 동쪽에 분포하고, 해발 50m 이하 지역과 경사 5% 이하 지역은 송산면, 서신면, 우정읍, 장안면 등 서해안과 시화호 주변에 분포하고 있다.

구분면적(km2)구성비(%)
해발50m 미만523.5476.1
50 ~ 70m71.6410.4
70 ~ 100m51.397.5
100~200m37.525.5
200m 이상3.440.5
687.54100.0
경사도5% 미만359.0952.2
5 ~ 15%109.6115.9
15 ~ 25%95.5213.9
25% 이상123.3217.9
687.54100.0


3. 2. 기후

한반도의 중서부에 위치한 화성시는 온난 습윤 기후와 냉대 동계 소우 기후의 전이지대에 속하며, 한국의 소기후 구분상 중부서안형에 속한다.[7] 얕은 수심의 황해(서해)와 저평한 평야지대의 영향으로 겨울철 해안가의 기온이 낮다.[7] 또한 시베리아 기단이 한반도 서부 평야 지대에 직접 유입되어 여러 지역의 기온을 더욱 낮춘다.

1995~2020년 평균 기온 및 강수량은 다음과 같다.[8]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평균
평균 기온 (℃)-2.00.35.311.517.021.624.825.821.414.77.40.112.3
강수량 (mm)13.522.232.563.372.2102.0327.3232.9128.246.043.918.21102.2


3. 3. 해안선·도서

화성시의 해안선은 경기도 전체 해안선의 절반인 152km에 달한다. 섬은 총 23개로 유인도는 3개(제부도, 입파도, 국화도)이며, 나머지는 무인도이다. 유인도 3개 섬에는 278세대, 630명의 주민이 거주한다(2001년 조사).[1]

3. 4. 조석·조류

인천광역시와 유사하게 조류에 의한 수괴 변화가 큰 경향을 보인다. 경기만아산만으로 들어오는 조류의 영향을 많이 받으며, 대조기(약 15일마다 조차가 큰 조석), 소조기(조차가 작은 조석), 밀물 및 썰물 때 속도 변화가 크다. 밀물 때보다 소조기에 유속이 빠르고 연안에 유입된 물질의 확산이 빨리 일어난다.

영흥도선재도 사이의 소조기 썰물 시 최대 유속은 127cm/s, 밀물 때 최대 유속은 9cm/s이며, 대조기 썰물의 최대 유속은 180cm/s, 밀물의 최대 유속은 166cm/s로 대체로 썰물 때 유속이 빠르다.

3. 5. 지질·토양

한국지질자원연구소의 조사 자료에 따르면, 화성시의 지질은 선캄브리아계의 변성암인 편암과 편마암류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 화강암과 제4기 퇴적층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선캄브리아계의 지질로 토층의 발달이 탁월하며 두껍게 나타난다.

남서부 해안지대와 도서들은 편암, 북서부는 화강암질 편마암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북부와 동부지역에는 반상변정질 편마암과 호상편마암이 나타난다.

남양읍 남부에는 중생대 쥬라기에 생성된 것으로 보이는 대보 화강암이 나타나며, 황구지천, 발안천 및 만을 이루는 지역에는 제4기에 퇴적된 충적층이 형성되어 있다.

4. 행정 구역

화성시는 4, 9, 15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69] 화성시는 행정구를 설치할 수 있는 요건을 갖추고 있으나 설치하지 않고, 동부 지역에 동부출장소(병점 지역 6개 동과 정남면을 관할)와 동탄출장소(동탄 지역 9개 동 관할)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한자면적[70](km2)인구세대
봉담읍峰潭邑42.7578,82930,776
우정읍雨汀邑59.7217,4278,503
향남읍鄕南邑50.0183,97036,999
남양읍南陽邑67.0939,57418,450
매송면梅松面27.277,3343,557
비봉면飛鳳面38.555,8292,980
마도면麻道面31.756,9473,798
송산면松山面58.3410,9625,394
서신면西新面43.277,0703,816
팔탄면八灘面50.959,8955,946
장안면長安面67.6610,2775,448
양감면楊甘面31.064,0312,324
정남면正南面40.6711,2985,927
새솔동새솔洞3.419,4156,443
진안동陳雁洞6.2243,97720,127
병점1동餠店1洞1.4428,22411,322
병점2동餠店2洞1.0524,5378,727
반월동半月洞3.9632,43810,981
기배동旗培洞4.2213,8604,869
화산동花山洞11.6023,4199,787
동탄1동東灘1洞5.350,63919,775
동탄2동東灘2洞2.236,04311,806
동탄3동東灘3洞1.941,79416,656
동탄4동東灘4洞4.2353,53116,592
동탄5동東灘5洞11.4038,67215,555
동탄6동東灘6洞9.430,17412,847
동탄7동東灘7洞14.672,52225,427
동탄8동東灘8洞6.5424,6399,534
동탄9동東灘9洞9.9638,83814,111
화성시華城市693.93831,888335,727


  • 인구·세대는 2020년 4월 기준


행정동·읍·면법정동·법정리
진안동진안동, 능동, 기산동, 반정동
병점1동, 병점2동병점동
반월동반월동
기배동배양동, 기안동
화산동황계동, 송산동, 안녕동
동탄1동반월동, 반송동, 석우동
동탄2동반송동
동탄3동능동
동탄4동청계동
동탄5동영천동, 중동
동탄6동오산동, 방교동, 금곡동
동탄7동산척동, 송동
동탄8동장지동
동탄9동신동, 목동
새솔동새솔동
봉담읍상리, 내리, 수영리, 동화리, 와우리, 수기리, 분천리, 왕림리, 세곡리, 당하리, 마하리, 유리, 덕리, 덕우리, 하가등리, 상기리
우정읍원안리, 호곡리, 운평리, 한각리, 멱우리, 화수리, 주곡리, 이화리, 석천리, 매향리, 화산리, 조암리, 국화리
향남읍평리, 발안리, 제암리, 상신리, 구문천리, 하길리, 호리현리, 상두리, 백토리, 길성리, 요리, 수직리, 갈천리, 증거리, 송곡리, 동오리, 관리, 도이리, 행정리, 방축리, 장짐리
남양읍남양리, 신남리, 장덕리, 안석리, 활초리, 온석리, 무송리, 북양리, 송림리, 수하리, 장전리, 신외리, 문호리, 시리, 원천리
매송면천천리, 원평리, 어천리, 숙곡리, 야목리, 송라리, 원리
비봉면양노리, 남전리, 유포리, 삼화리, 구포리, 쌍학리, 청요리, 자안리
팔탄면하저리, 창곡리, 기천리, 가재리, 구장리, 율암리, 노하리, 덕천리, 지월리, 덕우리, 서근리, 월문리, 화당리, 고주리, 매곡리, 해창리
정남면발산리, 괘낭리, 보통리, 관항리, 오일리, 백리, 문학리, 신리, 계향리, 귀래리, 제기리, 덕절리, 음양리, 망월리, 수면리, 내리, 금복리, 고지리, 용수리
마도면석교리, 두곡리, 송정리, 쌍송리, 청원리, 서해리, 해문리, 백곡리, 금당리, 고모리
송산면사강리, 봉가리, 삼존리, 용포리, 고정리, 쌍정리, 천등리, 신천리, 독지리, 마산리, 고포리, 지화리, 중송리, 육일리, 칠곡리
서신면전곡리, 상안리, 광평리, 장외리, 송교리, 제부리, 홍법리, 사곶리, 매화리, 용두리, 궁평리, 백미리
장안면어은리, 석포리, 수촌리, 독정리, 장안리, 덕다리, 사랑리, 금의리, 사곡리, 노진리
양감면신왕리, 사창리, 정문리, 송산리, 용주리, 요당리, 대양리


5. 인구

華城市중국어의 인구는 2000년 이후 동탄신도시 개발 등으로 인해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이다. 2011년 기준 유소년 인구부양비는 31.2%로 전국 평균보다 높고, 노년 인구부양비는 11.2%로 전국 평균보다 낮다. 성비는 106.6%로 남자가 다소 많다.[71]

2019년 12월 말 기준 인구는 838,635명이며, 외국인 인구는 57,123명(6.8%)이다.

연도총인구비고
1949년177,579명수원읍(1949년 8월 14일 승격) 52,772명 제외, 수원군
1955년192,879명화성군
1960년216,024명
1966년204,254명
1970년189,604명
1975년208,171명
1980년217,090명
1985년225,941명
1990년187,370명오산시 승격·분리 (1989년 1월 1일), 외국인: 21
1995년158,590명반월면(1994년 12월 26일 폐지) 등 관할구역을 수원시 등에 이관, 외국인: 333 (0.2%)
2000년189,467명외국인: 3,488 (1.8%)
2005년288,718명외국인: 6,594 (2.3%), 화성시
2010년488,758명외국인: 14,598 (3.0%)
2015년608,725명외국인: 41,327 (6.8%)
2019년838,635명외국인: 57,123 (6.8%)

[71]

2016년 6월 30일 기준, 화성시의 행정 구역별 인구, 세대, 면적은 아래 표와 같다.

지역인구 (2016.06.30)세대면적 ()
봉담읍69,94124,88742.7km2
우정읍18,0908,10159.7km2
향남읍70,37428,56050km2
남양읍26,91711,61567km2
매송면8,3173,67527.4km2
비봉면5,8632,81038.5km2
마도면6,7623,34731.7km2
송산면11,2875,20553.9km2
서신면6,9933,63943.2km2
팔탄면10,5565,78450.9km2
장안면10,9835,29767.7km2
양감면4,2352,23731.1km2
정남면12,4875,92640.6km2
새솔동
진안동36,35116,2666.2km2
병점1동28,5209,9831.5km2
병점2동26,7588,8921km2
반월동27,0248,5663.9km2
기배동14,8594,8434.2km2
화산동23,4949,13711.6km2
동탄1동53,49418,7285.3km2
동탄2동37,24611,6692.2km2
동탄3동44,35415,3691.9km2
동탄4동
동탄5동
동탄6동
합계619,766236,241689.7km2


6. 경제

화성시의 경제는 다양한 산업 시설과 연구소가 밀집해 있어 경기도 내에서도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2022년 기준 화성시의 재정자립도는 58.6%로 경기도 시군 중 2위를 기록했는데[72], 이는 시에 많은 제조업 공장들이 있기 때문이다.

2012년 화성시의 지역내 총생산은 94조으로 경기도 전체의 13.0%를 차지했다. 이 중 농림어업(1차 산업)은 6.9조, 광업 및 제조업(2차 산업)은 78조으로 83.04%, 상업 및 서비스업(3차 산업)은 15조으로 16.23%의 비중을 보였다. 3차 산업에서는 사업서비스업(2.74%), 건설업(2.31%), 도소매업(1.96%), 부동산업 및 임대업(1.60%)이 큰 비중을 차지했다.[73]

2014년에는 총 362,267명이 화성시 산업에 종사하여 경기도 전체의 8.1%를 차지했다. 농림어업(1차 산업) 종사자는 162명으로 매우 적었고, 광업 및 제조업(2차 산업)은 191,738명(52.9%), 상업 및 서비스업(3차 산업)은 170,367명(47.0%)이었다. 3차 산업에서는 도소매업(8.7%), 사업서비스업(8.6%), 숙박 및 음식점업(6.0%), 교육서비스업(4.9%)이 큰 비중을 차지했다.[74]

화성시에는 삼성전자 화성캠퍼스[42], 현대자동차 연구소[43], 기아 AutoLand 화성(구 화성공장) 등 첨단 산업 시설과 SK매직(구 동양매직) 화성공장, 경동제약, 명인제약/한미약품 화성공장, 한국오츠카제약/대웅제약/명문제약/대원제약 향남공장, 유진테크 등 다양한 기업들의 공장이 있다. 그러나 2024년에는 화성 리튬전지 공장 화재[44]가 발생하여 23명이 사망하는 안타까운 사건도 있었다.

6. 1. 재정 및 산업

2022년 기준 화성시의 재정자립도는 58.6%로 경기도 시군 중 2위이다.[72] 이는 다양한 제조업 공장들이 화성시에 있기 때문이다.

화성시의 2012년 지역내 총생산은 94조으로 경기도 지역내 총생산의 13.0%를 차지한다. 이 중 농림어업(1차 산업)은 6.9조으로 비중이 낮고 광업 및 제조업(2차 산업)은 78조으로 83.04%의 비중을 차지한다. 상업 및 서비스업(3차 산업)은 15조으로 16.23%의 비중을 차지한다. 3차 산업 부문에서는 사업서비스업(2.74%)과 건설업(2.31%), 도소매업(1.96%)과 부동산업 및 임대업(1.60%)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73]

2014년 화성시 산업의 총종사자 수는 362,267명으로 경기도 총종사자 수의 8.1%를 차지한다. 이 중 농림어업(1차 산업)은 162명으로 비중이 낮다. 광업 및 제조업(2차 산업)은 191,738명으로 52.9%의 비중을 차지하고 상업 및 서비스업(3차 산업)은 170,367명으로 47.0%의 비중을 차지한다. 2차 산업은 경기도 전체의 비중(27.1%)보다 높고 3차 산업은 경기도 전체 비중(72.9%)보다 낮다. 3차 산업 부문에서는 도소매업(8.7%), 사업서비스업(8.6%)과 숙박 및 음식점업(6.0%), 교육서비스업(4.9%)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74]

화성시에는 삼성전자 화성캠퍼스[42], 현대자동차 연구소[43], 기아 AutoLand 화성(구 화성공장) 등 첨단 산업 시설과 SK매직(구 동양매직) 화성공장, 경동제약, 명인제약/한미약품 화성공장, 한국오츠카제약/대웅제약/명문제약/대원제약 향남공장, 유진테크 등 다양한 기업들의 공장이 위치해 있다. 그러나 2024년에는 화성 리튬전지 공장 화재[44]가 발생하여 23명이 사망하는 안타까운 사건도 발생했다.

6. 2. 상업

롯데백화점 동탄점(동탄6동), 현대시티아울렛 동탄점(예정)(동탄1동), 이마트 동탄점(동탄1동), 이마트 화성봉담점(봉담읍 동화리), 홈플러스 화성동탄점(동탄1동), 홈플러스 병점점(병점1동), 홈플러스 화성향남점(향남읍 행정리), 롯데마트 동탄점(예정)(동탄6동), 하나로클럽 동탄점(동탄5동) 등이 있다.

롯데시네마 병점점(병점2동), 롯데시네마 향남점(향남읍 하길리), 롯데시네마 동탄점 (예정)(동탄6동), 메가박스 동탄점(동탄1동), CJ CGV 동탄점(동탄1동), CJ CGV 동탄역점(동탄6동), CJ CGV 동탄호수공원점(동탄7동), CJ CGV 봉담점(봉담읍 동화리) 등 영화관이 있다.

6. 3. 연구소

현대자동차 남양연구소, 현대트랜시스 화성구동연구센터 및 동탄시트연구센터, 삼성전자 생산기술연구소, 반도체연구소, 부품연구소, 한국쓰리엠 기술연구소, 유진테크 (마찰 용접 기계) 등이 위치해 있다.

7. 교육

화성시에는 대학교, 전문대학, 고등학교, 중학교, 초등학교, 특수학교, 도서관 등 다양한 교육 기관이 있다.

'''대학교'''



'''전문대학'''

'''고등학교'''



'''중학교'''



'''초등학교'''



'''특수학교'''


  • 해원학교


'''도서관'''


8. 농어업

국가어항으로는 궁평항이 있고, 지방어항으로는 제부항, 전곡항이 있다. 어촌정주어항으로는 백미항, 송교항, 매향2항, 국화항, 입파항, 고온항, 도리도항이 있다.

9. 교통

화성시는 과거 수원군(화성군) 시절에는 관내 철도역이 많았으나, 수원시, 오산시가 분리되고, 반월면안산시, 군포시, 의왕시로 분할 편입되면서 철도 교통이 다소 불편해졌다. 1995년 수인선 영업 중단 이후 경부선만이 화성시 동부에 조금 연결되는 상황이었다. 그러나 2020년 수인선수원 ~ 한대앞 구간이 개통되면서 화성시 북부 지역에도 다시 철도 운행이 재개되었다.[1]

병점역까지 서울역에서 약 70분, 동탄역까지 수서역에서 15분 걸린다.[1]

화성시에는 경부고속도로, 서해안고속도로, 평택파주고속도로, 평택시흥고속도로, 오산화성고속도로,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등 여러 고속도로가 지나간다. 또한, 국도 제1호선, 국도 제39호선, 국도 제43호선, 국도 제77호선, 국도 제82호선 등과 여러 국가지원지방도 및 지방도가 연결되어 있다.

조암시외버스터미널, 향남환승터미널, 서신터미널 등 시외버스 터미널이 있으나, 시역이 넓어 확고한 시외 버스터미널은 없는 상황이다.[1] 인천국제공항에서 동탄행(수원대학교·병점 경유) 공항버스가 운행 중이며, 평택행 공항버스는 향남을 경유한다.[1] 일반버스로는 동탄 방면으로 서울역, 강남역에서 오는 광역버스가 많이 다닌다.[1] 제부도 입구, 수원대학교 (융릉·건릉), 향남 방면으로도 버스 노선이 운행 중이다.[1]

충청남도 당진시 석문면 장고항과 화성시 우정읍 국화리 국화항 사이를 운행하는 선박도 있다.

9. 1. 철도

과거 수원군(화성군) 시절에는 관내 철도역이 많았으나, 수원시오산시가 차례로 분리되고, 반월면안산시군포시의왕시로 분할 편입되어 1995년 수인선 영업이 중단된 후 현재는 경부선이 화성시의 동부에 조금 남아 연결되는 상황이다. 수인선수원 ~ 한대앞 구간이 2020년 말에 개통되어 화성시 북부 지역에도 다시 철도 운행이 재개되었다.[1]

병점역까지 서울역에서 약 70분, 동탄역까지 수서역에서 15분 걸린다.[1] 상기 외, 병점기지선서동탄역도 시역에 인접해 있다.[1]

9. 2. 도로

9. 3. 버스

조암시외버스터미널, 향남환승터미널, 서신터미널 등 시외버스 터미널이 있다.[1] 시역이 넓고, 확고한 시외 버스터미널이 없다.[1]

9. 4. 선박

충청남도 당진시 석문면 장고항과 화성시 우정읍 국화리 국화항 사이를 운행하는 선박이 있다.

10. 문화

융건릉

  • '''융건릉'''은 사도세자와 혜경궁 홍씨를 합장한 융릉과 정조와 효의왕후 김씨의 합장릉인 건릉을 말한다.
  • '''화성당성'''은 사적 제217호로, 계곡을 둘러싼 포곡식 산성이다.
  • '''용주사'''는 정조가 아버지 사도세자의 넋을 위로하기 위해 세운 사찰로, 국보 제120호인 용주사 범종이 있다.
  • '''우리꽃식물원'''[76]은 약 109000m2의 대지에 2900m2 규모의 사계절관을 갖춘 식물원으로, 1,200여 종의 한국 식물이 심겨 있다. 외부에는 들꽃정원, 등고산, 유리온실인 사계절관 등이 있다.

10. 1. 문화 유적 및 관광지


사도세자와 혜경궁 홍씨를 합장한 융릉과 제22대 임금 정조와 효의왕후 김씨의 합장릉인 건릉이 있다.

  • '''화성당성'''

사적 217호인 당성은 계곡을 둘러쌓은 포곡식 산성이다.
정조가 아버지 사도세자의 넋을 위로하기 위해 만든 사찰로 국보 제120호인 용주사 범종이 있다.

  • '''우리꽃식물원'''[76]

대지가 약 109000m2, 사계절관 2900m2 규모의 식물원이며 1,200여 종의 한국 식물이 식재되어 있다. 외부 들꽃정원과 등고산, 유리온실인 사계절관 등이 있다.

  • '''제암리 3·1운동순국기념관'''

1919년 4월 15일 제암리에서 3.1 운동에 이은 만세운동이 일어났다. 이후 일본 헌병 30여 명이 제암교회에 주민을 감금시킨 후 무차별 총격을 가하고 교회와 가옥, 그리고 시체까지 불태우는 제암리 학살을 저질렀다. 이러한 역사적 사실을 기록하기 위해 불탄 예배당에 순국기념탑을 세우고, 국내외 관련 자료를 모아놓은 전시관과 교육관 등을 운영하고 있다.

  • '''남양성모성지'''
  • '''제부도'''(서신면): 간조 시에만 육지와 연결되는 "바닷길 갈라짐" 현상이 발생한다. 바닷길이 갈라지는 시간은 화성시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 '''융릉·건릉'''(송산동): 세계유산·조선왕릉에 포함된다.

10. 2. 자연환경


  • 태행산
  • 건달산
  • 청명산
  • 무봉산
  • 발안천
  • 오산천
  • 제부도: 간조 시에만 육지와 연결되는 "바닷길 갈라짐" 현상이 발생한다. 바닷길이 갈라지는 시간은 화성시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76]

10. 3. 화성 8경


사도세자와 혜경궁 홍씨를 합장한 융릉과 제22대 임금 정조와 효의왕후 김씨의 합장릉인 건릉이 있다. 세계유산 조선왕릉에 포함된다.
정조가 아버지 사도세자의 넋을 위로하기 위해 만든 사찰로 국보 제120호인 용주사 범종이 있다.
간조 시에만 육지와 연결되는 "바닷길 갈라짐" 현상이 발생한다.

  • '''제암리 학살'''

1919년 4월 15일 제암리에서 3.1 운동에 이은 만세운동이 벌어졌는데, 이후 일본 헌병 30여 명이 제암교회에 주민을 감금시킨 후 무차별 총격을 가하고 교회와 가옥, 그리고 시체까지 불태우는 사건을 저질렀다. 이러한 역사적 사실을 기록하기 위해 불탄 예배당에 순국기념탑을 세우고, 국내외 관련 자료를 모아놓은 전시관과 교육관 등을 운영하고 있다.

  • '''남양성모성지'''
  • 융건 백설
  • 용주 범종
  • 제부 모세
  • 궁평 낙조
  • 남양 황라
  • 입파 홍암

10. 4. 마스코트

코리요

11. 스포츠

K리그2화성 FC, V리그 여자 배구단 화성 IBK 기업은행 알토스, 한국바둑리그의 화성시코리요 팀이 있다. 홈 경기장은 화성종합경기타운, 화성실내체육관이다. 화성종합경기타운2014년 아시안 게임 당시 축구와 농구 경기를 개최하기도 했다.

리그명팀명창단 연도홈 경기장
K리그2화성 FC2013년화성종합경기타운
V리그화성 IBK 기업은행 알토스2011년화성실내체육관
한국바둑리그화성시코리요2014년



화성종합경기타운 내 화성종합운동장은 35,270명을 수용하는 육상 경기장 겸 축구장으로,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경기가 개최되기도 한다.

12. 자매 도시

도시 이름국가
서울특별시 서초구대한민국|한국한국어
서울특별시 송파구대한민국|한국한국어
서울특별시 성북구대한민국|한국한국어
서울특별시 성동구대한민국|한국한국어
서울특별시 강남구대한민국|한국한국어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대한민국|한국한국어
경기도 부천시대한민국|한국한국어
경상남도 합천군대한민국|한국한국어
전라남도 완도군대한민국|한국한국어
경상북도 울릉군대한민국|한국한국어
광주광역시 남구대한민국|한국한국어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대한민국|한국한국어
중국 장쑤성 쑤저우시 우장구중화인민공화국|중국중국어
중국 산둥성 웨이하이시중화인민공화국|중국중국어
중국 허베이성 싱타이시중화인민공화국|중국중국어
캐나다 버너비Canada|캐나다영어
베트남 푸토성Vietnam|베트남vi
베트남 다낭시Vietnam|베트남vi
미국 토런스United States of America|미국영어


13. 교류

화성시는 전국다문화도시협의회, 전국대도시시장협의회, 대한민국건강도시협의회 회원 도시이다.

참조

[1] 웹사이트 +++ Hwaseong City (Fine City) +++ http://www.hscity.ne[...] 2004-12-30
[2] 웹사이트 화성시(華城市) https://encykorea.ak[...] 2023-11-12
[3] 뉴스 Will New Universal Studios Be Viable? https://koreatimes.c[...] 2010-01-20
[4] 뉴스 Universal Studios picks South Korean theme park site http://www.chron.com[...] 2007-11-27
[5] 뉴스 South Korea battery maker apologises for deadly fire but says it complied with safety rules https://www.reuters.[...] 2024-06-29
[6] 뉴스 Exploding batteries spark deadly S Korea factory fire https://www.bbc.com/[...] 2024-06-29
[7]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english.hscit[...] 2010-10-12
[8] 웹사이트 Climatological Normals of Korea (1991 ~ 2020) https://data.kma.go.[...]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3-06-07
[9] 웹사이트 2016년 인구현황 http://www.hscity.go[...] 2016-06-30
[10] 웹사이트 Aksaray Belediyesi https://aksaray.bel.[...]
[11]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3
[12] 웹사이트 화성시 ‘인구 100만명’ 초읽기…“초중고 전입 전국 1위” https://www.hani.co.[...] 2023-04-26
[13] 법령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12-29
[14] 간행물 신구대조 조선 전도부군면리동 명칭 일람 1917
[15] 법령 조선총독부령 제103호 1930-12-29
[16] 법령 조선총독부령 제94호 1936-09-14
[17] 법령 朝鮮総督府令第103号 1930-12-29
[18] 법령 朝鮮総督府令第94号 1936-09-14
[19] 법령 大統領令第161号 부의설치및군의명칭·관할구역변경의건 1949-08-13
[20] 웹사이트 남양동 연혁 http://www.hscity.ne[...]
[21] 법령 法律第539号 읍설치에관한법률 1960-01-01
[22] 법령 法律第1175号 시·군관할구역변경및면의폐치에관한법률 1962-11-21
[23] 법령 大統領令第11027号 시·군·구·읍·면의관할구역변경및면설치등에관한규정 1983-01-10
[24] 법령 大統領令第11772号 경기도양주군회천읍등읍설치와읍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1985-09-26
[25] 법령 法律第3798号 구리시등11개시설치와군관할구역의조정및금성시명칭변경에관한법률 1985-12-28
[26] 법령 大統領令第12007号 1986-12-23
[27] 법령 法律第4050号 오산시군포시의왕시시흥시하남시등12개시및태안군설치와군의명칭변경에관한법률 1988-12-31
[28] 법령 大統領令第14434号 시·군·자치구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1994-12-22
[29] 법령 大統領令第14629号 시·군·자치구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1995-04-20
[30] 법령 華城郡条例第1698号 1998-03-25
[31] 법령 華城郡条例第1848号 2000-11-01
[32] 법령 法律第6280号 경기도화성시등2개도농복합형태의시설치등에관한법률 2000-12-20
[33] 법령 華城市条例第31号及び第35号 2001-03-21
[34] 법령 華城市条例第235号 2003-06-04
[35] 법령 華城市条例第353号 2005-12-02
[36] 법률 華城市条例第430号 2006-12-29
[37] 법률 華城市条例第519号
[38] 법률 華城市条例第603号
[39] 뉴스 화성시 남양동 '읍'으로 전환…전국 첫 사례 http://news.naver.co[...] 뉴시스 2014-07-09
[40] 법률 경기도 수원시와 화성시의 관할구역 변경에 관한 규정 http://www.law.go.kr[...] 2020-06-23
[41] 웹사이트 死亡者23人のうち17人が中国人 華城リチウム電池工場火災現場を訪れた中国大使「韓国企業が手痛い教訓を得ることを望む」 https://www.chosunon[...] 朝鮮日報日本語版 2024-06-26
[42] 웹사이트 삼성(삼성)전자 화성(화성)공장 2년 전에도 불산 누출 사고 은폐 https://japan.hani.c[...] 한겨레신문 2013-02-05
[43] 웹사이트 현대자동차, 화성시에 차량과 “대화”하는 도로시설 구축 https://www.konest.c[...] 중앙일보 2017-08-16
[44] 웹사이트 23人の命奪った「白い石油」の惨事…バッテリー大国の韓国にマニュアルもない https://japanese.joi[...] 중앙일보 2024-06-26
[45]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eb.archive.[...] 2004-12-30
[46] 법률 대통령령 제161호 부의설치및군의명칭·관할구역변경의건 1949-08-13
[47] 웹사이트 남양동 연혁 http://www.hscity.ne[...] 남양동 주민센터 홈페이지 2015-09-24
[48] 법률 법률 제539호 읍설치에관한법률 1960-01-01
[49] 법률 법률 제1175호 시·군관할구역변경및면의폐치에관한법률 1962-11-21
[50] 법률 대통령령 제11027호 시·군·구·읍·면의관할구역변경및면설치등에관한규정 1983-01-10
[51] 법률 대통령령 제11772호 경기도양주군회천읍등읍설치와읍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1985-09-26
[52] 법률 법률 제3798호 구리시등11개시설치와군관할구역의조정및금성시명칭변경에관한법률 1985-12-28
[53] 법률 대통령령 제12007호 1986-12-23
[54] 법률 법률 제4050호 오산시군포시의왕시시흥시하남시등12개시및태안군설치와군의명칭변경에관한법률 1988-12-31
[55] 법률 대통령령 제14434호 시·군·자치구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1994-12-22
[56] 법률 대통령령 제14629호 시·군·자치구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1995-04-20
[57] 법률 화성군 조례 제1698호 1998-03-25
[58] 법률 화성군 조례 제1848호 2000-11-01
[59] 법률 법률 제6280호 경기도화성시등2개도농복합형태의시설치등에관한법률 2000-12-20
[60] 법률 화성시 조례 제31호 및 제35호 2001-03-21
[61] 법률 화성시 조례 제235호 2003-06-04
[62] 법률 화성시 조례 제353호 2005-12-02
[63] 법률 화성시 조례 제430호 2006-12-29
[64] 법률 화성시 조례 제519호
[65] 법률 화성시 조례 제603호
[66] 뉴스 화성시 남양동 '읍'으로 전환…전국 첫 사례 https://news.naver.c[...] 뉴시스 2014-07-09
[67] 법률 경기도 수원시와 화성시의 관할구역 변경에 관한 규정 http://www.law.go.kr[...] 2020-06-23
[68] 뉴스 화성시, 3도심체로 도시공간구조 개편 http://gnews.gg.go.k[...] 경기G뉴스 2012-10-09
[69]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http://27.101.213.4/ 행정안전부 홈페이지 2020-03-04
[70] 웹사이트 일반현황 - 화성시 면적 http://www.hscity.go[...] 화성시 홈페이지 2020-03-04
[71] 웹사이트 KOSIS 국가통계포털
[72] 웹인용 경기지역 24개 시·군 재정자립도 ↓···안산·과천 하락폭 커 https://news.joins.c[...] 2018-04-15
[73] 웹사이트 경기도 시군단위 지역내총생산(GRDP) http://kosis.kr/stat[...]
[74] 웹사이트 경기도 사업체조사 http://kosis.kr/stat[...]
[75] 웹사이트 경기도 기본통계 및 2010 인구주택 총조사 http://kosis.kr/stat[...]
[76] 웹인용 홈페이지 http://botanic.hscit[...] 2018-04-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