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불설장수멸죄호제동자다라니경 (인천 유형문화재 제75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본문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 제75호인 불설장수멸죄호제동자다라니경(佛說長壽滅罪護諸童子陀羅尼經)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개요:


  • 7세기 후반 북인도 계빈국(캐시미르)의 승려 불타바리(각호)가 한역한 밀교 계통의 경전입니다.
  • 동자를 보호하고 죄를 없애며 장수하는 법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 부처님을 따르는 제자가 이 경전을 쓰고 외우면 아픈 아이도 병이 낫고, 현세에서 장수하며 악도(惡道)의 고통을 잊는다고 합니다.
  • '장수경(長壽經)'이라고도 불립니다.

형태 및 특징:

  • 1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크기는 28.9\*18.6cm입니다.
  • 판심제는 '장(長)'이며, 표제는 '장수경(長壽經)'입니다.
  • 본문이 끝나면 "주상삼전수만세 대왕대비전하수만세(主上三殿壽萬歲 大王大妃殿下壽萬歲)"라는 축원 문구가 있습니다.
  • 1562년(명종 17년) 8월 황해도 서흥의 고덕산 구중사에서 간행된 목판본입니다.
  • 책의 앞부분에는 한글 음이 붉은색 글씨로 쓰여 있어 학습용으로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 임진왜란 이전 간행본으로 인쇄 상태로 보아 초인본으로 추정됩니다.

소장처:

  • 인천광역시 연수구 청량로70번길 40-17 (동춘동) 흥륜사에 소장되어 있습니다.

지정 및 가치:

  • 2015년 12월 2일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 제75호로 지정되었습니다.
  • 희귀한 판본으로, 조선 전기 불교 경전 연구 및 서지학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됩니다.


불설장수멸죄호제동자다라니경 (인천 유형문화재 제75호)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문화재 정보
이름불설장수멸죄호제동자다라니경
그림Replace this image male-ko.svg
그림 크기150
국가대한민국
위치인천광역시
유형유형문화재
번호75
지정일2015년 12월 7일
주소인천광역시 연수구 청량로70번길 40-17 ( 동춘동, 흥륜사)
소유자정법륜 (흥륜사 주지)
수량1책 (28.9*18.6c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