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광역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천광역시는 대한민국 서해안에 위치한 광역시로, 서울, 부산에 이어 인구가 세 번째로 많은 도시이다. 신석기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한 흔적이 있으며, 백제, 고구려, 신라를 거쳐 고려 시대에는 경원군, 인주, 경원부로 불리며 중요한 지역으로 자리 잡았다. 조선 시대에는 인천이라는 명칭이 처음 사용되었고, 1883년 제물포 개항 이후 근대 도시로 발전했다. 1949년 인천시로 개칭되었고, 1981년 직할시로 승격, 1995년 광역시로 개칭되었다. 현재 8개의 구와 2개의 군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인천국제공항, 인천항을 중심으로 한 물류 산업과 경제자유구역 개발을 통해 동북아시아의 중심 도시로 성장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천광역시 - 인천경제자유구역
인천경제자유구역(IFEZ)은 외국인 투자를 유치하여 대한민국을 개방하고 세계 최고 수준의 경제 자유 구역으로 발전시키기 위해 송도지구, 영종지구, 청라지구로 구성되어 각 지구별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개발되었다. - 인천광역시 - 세계은행 한국사무소
세계은행 한국사무소는 개발도상국 지원과 한국-세계은행 협력 증진을 목표로 서울에 위치한 세계은행 지사이며, 한국의 개발 경험 공유, 동아시아 및 태평양 지역 개발 지원, 연구 및 프로젝트 지원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 아시안 게임 개최 도시 - 뉴델리
뉴델리는 인도의 수도이자 델리 수도권에 위치한 도시로, 영국령 인도 제국 시대에 건설되어 인도 독립 후에도 수도 기능을 유지하며 주요 정부 기관과 외교 공관이 위치해 있지만, 대기 오염 및 교통 혼잡, 재개발 관련 사회적 논쟁 등의 문제에 직면해 있다. - 아시안 게임 개최 도시 -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는 대한민국 동남부에 위치한 도시로, MICE 산업, 금융, 서비스업을 포함한 다양한 분야에서 발전하며, 세계적인 무역항인 부산항을 중심으로 다양한 문화 유적과 관광 시설을 보유하고 있다. - 아시안 게임 - 뉴델리
뉴델리는 인도의 수도이자 델리 수도권에 위치한 도시로, 영국령 인도 제국 시대에 건설되어 인도 독립 후에도 수도 기능을 유지하며 주요 정부 기관과 외교 공관이 위치해 있지만, 대기 오염 및 교통 혼잡, 재개발 관련 사회적 논쟁 등의 문제에 직면해 있다. - 아시안 게임 -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는 대한민국 동남부에 위치한 도시로, MICE 산업, 금융, 서비스업을 포함한 다양한 분야에서 발전하며, 세계적인 무역항인 부산항을 중심으로 다양한 문화 유적과 관광 시설을 보유하고 있다.
인천광역시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인천광역시 |
한자 표기 | 仁川廣域市 |
로마자 표기 | Incheon Gwangyeoksi |
한국어 표기 | 인천광역시 |
별칭 | 인천 |
위치 | 대한민국 수도권 |
설립 | 기원전 18년 (미추홀) |
광역시 승격 | 1995년 |
좌우명 | All Ways Incheon |
시가 | 인천의 꿈, 대한민국의 미래 |
꽃 | 장미 |
나무 | 백합나무 |
새 | 두루미 |
이미지 | |
![]() | |
![]() | |
![]() | |
![]() | |
![]() | |
![]() | |
![]() | |
![]() | |
행정 구역 | |
자치구 | 중구 미추홀구 남동구 서구 연수구 |
군 | 강화군 옹진군 |
정치 | |
정치 체제 | 시장-의회제 |
시장 | 유정복 (국민의힘) |
의회 | 인천광역시의회 |
인구 | |
총 인구 | 3,016,250 명 (2024년 9월) |
인구 밀도 | 2,828.78 명/km² |
지리 | |
면적 | 1,062.63 km² |
경제 | |
총 GDP | 104조 원 (2022년) |
총 GDP (미국 달러) | 830억 달러 (2022년) |
기타 정보 | |
시간대 | 한국 표준시 (UTC+9) |
지역 번호 | +82-31 |
ISO 3166-2 | KR-28 |
방언 | 경기 방언 |
공식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영어) |
슬로건 | 인천의 꿈, 대한민국의 미래 |
시가 | Song of Incheon |
2. 역사
인천은 신석기 시대부터 사람이 살기 시작했으며, 문학산, 계양산 등에서 발견된 석기류가 이를 뒷받침한다. 청동기 시대에는 학익, 주안, 문학 등에 고인돌이 분포하여 부족 사회가 형성되었음을 보여준다.
서울특별시 서쪽 40km 지점에 위치한 항구 도시로, 내륙에 위치한 서울의 외항으로 발전했다. 무역항으로 번성했으며, 한국 유일의 차이나타운(인천 차이나타운)이 있다. 중국과의 교류가 활발하며, 톈진, 다롄, 칭다오, 옌타이 등과 페리로 연결되어 있다. 1883년 개항 당시 인구는 4,700명 정도였고, 제물포라고 불렸다.
서울과는 수도권 전철로 연결되어 통근·통학 인구가 많아 경제권을 형성하고 있다. 서울의 베드타운 성격이 강해 "제3의 도시"로 인식되지는 않는데, 이는 일본의 요코하마시와 유사하다. 과거 경기도 소속이었으나, 1981년 광역시로 승격되었다. 서울 도시권 확장에 따라 인구가 증가하여 1979년 100만 명, 1992년 200만 명, 1999년 250만 명을 돌파했고, 현재는 약 300만 명이다. 근대 도시의 모습을 갖춘 한편, 강화군 등 농촌 지역도 포함하며, 시 면적의 21%는 논, 44%는 산림이다.
2001년 인천국제공항 개항으로 한국의 하늘길 관문이 되었으며, 일본의 나리타시와 유사한 역할을 한다. 인천국제공항이 위치한 중구와 나리타시는 1998년 우호 도시 협정을 맺었다.
2002년 한일 월드컵에 맞춰 건설된 인천국제공항은 자유무역지역으로 지정되었으며, 부산·진해 자유무역지역과 함께 금융·경제 허브를 목표로 외국인 투자를 유치하고 있다. 연수구 송도국제도시에는 한국판 실리콘밸리라 불리는 정보산업단지도 조성 중이다.
송도국제도시에 건설 예정이었던 인천타워는 151층, 587m 높이로 계획되어 한국 최고층 빌딩이 될 예정이었으나, 2008년 착공 직후 세계 금융 위기로 인한 부동산 경기 악화로 건설이 중단되었다. 4조 7천억 원[41]이 필요한 "루원시티"도 같은 이유로 중단되었다[42].
2014년 인천 아시안 게임이 개최되었지만, 인천광역시는 막대한 부채를 안고 유치하여 한국 정부와 마찰을 빚기도 했다.
프로야구 SSG 랜더스, 프로축구 인천 유나이티드 FC, 프로농구 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 프로배구 대한항공 점보스 등 프로스포츠팀의 연고지이다.
백제 시조 전설에 따르면, 인천은 비류가 건국한 미추홀의 도읍이었다. 5세기 이후 고구려와 통일 신라의 영토였으며, 매소홀이라 불렸다. 통일 신라 경덕왕 때 소성현으로 개칭되었다.
고려 시대에는 왕실과 깊은 관계를 맺어 경원군, 인주, 경원부로 승격했다. 강화도는 1232년 몽골 제국 침략에 저항하기 위해 개경에서 도읍을 옮긴 곳이다. 조선 시대에는 1413년 인천군으로 개칭되어 인천이라는 이름이 처음 등장했다. 해안의 항구는 제물포라 불렸다.
근대 개항기 인천은 병인양요, 신미양요 등에서 외국 함대와 교전했고, 한일수호조규에 따라 1883년 개항하여 서구 문물이 유입되었다. 1882년 조미수호통상조약이 체결되었다. 조약항으로 발전하여 일제강점기 인천부(진센푸)가 설치되었고, 1949년 인천시로 개칭되었다. 1950년 유엔군은 인천상륙작전을 통해 한국 전쟁 전세를 역전시켰다.
- 1910년 10월 1일 - 대한제국 병합 이전 인천부 관할 구역 유지.[53]
- 1914년 4월 1일 - 인천부 분할, 인천항 주변 지역을 '''인천부'''로, 농촌 지역은 부천군으로 편성.[54]
- 1936년 - 부천군 다주면·문학면 일부 편입.[55]
- 1940년 4월 1일 - 부천군 문학면·남동면·부내면·서곶면 편입.[55]
- 1949년 8월 15일 - 인천부가 '''인천시'''로 개칭.[57]
- 1963년 1월 1일 - 부천군 영종면 일부(자연도) 편입.[58]
- 1968년 1월 1일 - 중구, 동구, 남구, 북구 설치.[59]
- 1981년 7월 1일 - '''인천직할시'''로 승격.[60]
- 1988년 1월 1일
- 북구 일부 → 서구.[61]
- 남구 일부 → 남동구.[61]
- 1989년 1월 1일
- 경기도 김포군 계양면 → 북구.[62]
- 경기도 옹진군 영종면·용유면 → 중구.[62]
- 1995년 1월 1일 - '''인천광역시'''로 개칭.[63]
- 경기도 강화군, 옹진군 편입.[64]
- 경기도 김포군 검단면 → 서구.[64]
- 북구 → 부평구, 계양구.[64]
- 남구 일부 → 연수구.[64]
- 2018년 - 남구 → 미추홀구.
- 2026년 7월 1일(예정) - 행정구역 개편.[43]
- 중구 도서 지역 → 영종구.
- 중구 잔여 지역·동구 → 제물포구.
- 서구 일부 → 검단구.
2022년 8월 31일 인천시 발표에 따르면, 9구 2군으로 행정구역 재편을 추진, 중구와 동구를 “제물포구”와 “영종구”로 재편하고, 서구 경인 아라뱃길 이북 지역을 “검단구”로 분구할 계획이다. 2024년 1월 국회에서 “인천시 제물포구·영종구 및 검단구 설치 등에 관한 법률” 통과에 따라 2026년 7월 1일에 시행할 예정이다.[43] 남동구 분구 계획도 있다.[44]
2. 1. 선사 시대 ~ 삼국 시대
신석기 시대부터 인천 지역에 사람이 거주한 흔적이 문학산, 계양산 등에서 발견되는 석기류를 통해 확인된다. 청동기 시대에는 학익, 주안, 문학 등에 고인돌이 분포하여 부족 세력이 거주했음을 알 수 있다.삼국 시대 초기에는 미추홀로 불렸으며, 비류가 도읍을 정한 곳으로 알려져 있다. 미추홀은 물가에 있는 지역을 뜻하는 '뭇골', 또는 거친 들판이 있는 지역을 뜻하는 '맷골'의 음차라는 해석이 있다. 475년 고구려 장수왕 때 매소홀현으로 개칭되었다가, 6세기 중반 신라 진흥왕 때 신라에 편입되었다. 신라 경덕왕 때 '''소성현'''으로 개칭되었다.
2. 2. 고려 시대
고려 숙종 때 인예태후 이씨의 외향이라 하여 '''경원군'''(慶源郡)으로 승격되었다.[43] 인종 때 문경태후 이씨의 친정이라 하여 '''인주'''(仁州)로 재승격되었다.[43] 공양왕 때 7대에 걸쳐 왕비를 배출한 인천 이씨 가문의 고향이라 하여 '''경원부'''(慶源府)로 개칭되었다.[43]고려-몽골 전쟁 시기 강화도로 천도하여 38년간 수도 역할을 수행했으며,[43] 이 시기 팔만대장경이 제작되었다.
2. 3. 조선 시대
태조 때인 1392년 인주로 격하되었다. 1413년(태종 13년) 주(州)자를 가지는 도호부 이하의 군·현 명을 산(山), 천(川) 두 글자 중 하나로 개정토록 함에 따라, "'''인천'''(仁川)"이라는 이름이 생겼다. 이 날(1413년 10월 15일)에서 유래하여 매년 10월 15일을 '인천 시민의 날'로 지정하여 기념하고 있다.1460년(세조 6년) 세종비 소헌왕후 심씨의 외향이라 하여 인천 도호부로 승격되어 조선말까지 이어졌다.
1875년 운요호 사건이 발생하고 이듬해 강화도 조약이 체결되면서 조약 내용에 의해 부산, 원산과 함께 개항이 결정되었으며, 1883년 제물포 개항으로 제물포에 인천감리서가 설치되면서 사실상의 읍치가 관교동에서 제물포로 이전하였다.
2. 4. 일제 강점기
1895년 갑오개혁으로 인천부(仁川府)가 설치되었다. 1896년 경기도 인천부로 개편되었다. 1910년 10월 1일 일제는 8월 29일 대한제국 강제 합병에 따른 인천부의 새 관할 구역을 종래의 인천부 일원으로 유지한다는 총독부령을 발표했다.[53] 일제 강점기에는 일본식 지명인 '''진센'''으로 불리기도 했다. 1914년 4월 1일 인천부를 분할하여, 항구 주변 도심지만 인천부로 남기고, 나머지 지역은 부평군과 통합하여 부천군으로 개편하였다.[54] 1936년 10월 1일과 1940년 4월 1일 두 차례에 걸쳐 부천군 일부 지역이 인천부에 재편입되었다.[55]2. 5.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1949년 8월 15일 인천부를 인천시로 개칭하였다.[57] 1950년 한국 전쟁 발발 9일 뒤인 7월 4일 북한군에게 점령당했다가, 9월 15일 인천상륙작전으로 수복하였다.1963년 1월 1일 부천군 영종면 운남리 작약도가 인천시로 편입되었다.[58] 1968년 1월 1일 중구, 동구, 남구, 북구가 설치되었다.[59] 1981년 7월 1일 경기도 인천시 일원을 관할로 인천직할시가 설치되었다.[60]
1988년 1월 1일 북구에서 서구가, 남구에서 남동구가 각각 분리·설치되었다.[61] 1989년 1월 1일 경기도 김포군 계양면이 북구에, 경기도 옹진군 영종면과 용유면이 중구에 각각 편입되었다.[62]
1995년 1월 1일 인천직할시가 인천광역시로 개칭되었다.[63] 3월 1일 인천광역시에 경기도 옹진군, 강화군과 김포군 검단면(서구로 편입)이 편입되었고, 북구가 부평구와 계양구로, 남구에서 연수구가 각각 분리·설치되었다.[64]
2018년 7월 1일 남구의 명칭을 미추홀구로 변경하였다. 2026년 7월 1일에는 인천광역시 중구, 동구가 폐지되고 제물포구, 영종구, 검단구가 신설될 예정이다.[43]
2. 6. 주요 사건
러일 전쟁의 시작을 알린 제물포 해전이 인천 앞바다에서 벌어졌다.[6][7]한국 전쟁 당시 인천은 1950년 7월 4일 북한군에 점령당했다가, 인천상륙작전을 통해 1950년 9월 19일에 탈환되었다.[10] 이 작전은 유엔군의 결정적인 승리로 이어져 전쟁의 흐름을 바꾸었다.
1987년 6월 항쟁 당시 인천은 민주화 시위가 활발하게 전개된 곳 중 하나였다.

2009년에는 송도국제도시에서 2009 인천세계도시축전이 개최되었다.
2014년에는 아시안 게임을 개최하였다.[13]
2015년에는 유네스코에 의해 세계 책의 수도로 지정되었다.[15]
3. 지리
인천광역시는 서해와 접하고 있으며, 해안 매립지가 넓게 분포한다. 잔구형 산맥이 해안까지 발달해 있고, 300m 내외의 잔구들이 시가지를 이루고 있다. 계양산(395m), 천마산(285m), 문학산(213m) 등이 주요 산지이다. 강화군은 김포시와 밀접한 생활권을 형성하고 있다. 북방한계선을 사이에 두고 북한과 인접해 있다.[43]
육지는 북으로 경기도 김포시, 동으로 서울특별시 강서구, 부천시, 동남쪽으로 시흥시와 접한다. 해상으로는 남쪽으로 충청남도 당진시, 서산시, 태안군과 접하며, 북방한계선을 경계로 황해남도 룡연군, 옹진군, 강령군, 청단군, 연안군, 배천군 및 개성시 개풍구역과 마주한다.
서울특별시에서 서쪽으로 40km 떨어진 항만 도시로, 1883년 개항 당시에는 제물포라고 불렸다. 서울의 외항으로 발전하여 무역항으로 번영했으며, 한국 유일의 차이나타운이 있다.
2011년 현재, 인천광역시에는 151개의 섬이 있으며, 유인도는 39개, 무인도는 112개이다. 북방한계선에 가까운 백령도, 대청도, 소청도, 연평도, 소연평도 등 서해 5도도 포함된다. 섬 지역의 면적은 292km²로 시 전체 면적의 28%를 차지한다. 주요 섬으로는 강화도, 실미도, 영종도 등이 있다.
3. 1. 면적
1981년 인천직할시 승격 당시 면적은 201.21km2였다. 이후 경기도 김포군 계양면(30.9km2)과 옹진군 영종면ㆍ용유면(72.0km2)이 편입되면서 1989년에 310.83km2로 늘어났다. 1995년에는 강화군(401.3km2), 옹진군(163.6km2), 김포군 검단면(42.2km2)이 통합되면서 면적이 955km2로 크게 증가했다. 이후 공유수면 매립 등으로 면적이 계속 넓어져 2022년 1월 31일 기준으로는 1,066.46 km2에 이르고 있다.2022년 기준 인천광역시 전체 면적 1,066.46km2 중 섬 지역은 710.19 km2로, 육지 지역(356.27km2)의 약 2배에 달한다. 섬 지역 중에서는 강화군이 411.42km2, 옹진군이 172.94km2, 중구의 섬지역(영종도, 무의도 등)이 125.82 km2를 차지한다.
3. 2. 기후
인천은 냉대 동계 소우 기후(쾨펜의 기후 구분 ''Dwa'')에 속하며,[65][66] 구분에 따라서는 습윤 대륙성 기후로 분류하기도 한다. 서해 5도와 같이 온대 하우 기후(''Cwa'')에 속하는 곳도 있다. 해안도시이지만 낮은 수심의 경기만 깊숙이 위치해 있어 기온과 강수량은 내륙 지방과 비슷하다. 7~8월에 기온이 가장 높고 강수량이 높다. 인천은 북서풍의 영향을 받아, 같은 위도 상에 있는 동해 연안의 도시보다 겨울철 기온이 낮다. 강수량은 한국 중부의 타 지역에 비해 적은 편이다. 옹진 섬 지역은 인천 육지보다 바다의 영향으로 따뜻한 편이며, 강수량은 대한민국에서 매우 적은 지역에 속한다.인천은 강한 편서풍 기류를 타는 몽골 사막지대의 황사 발생원에 가깝기 때문에 황사의 영향을 가장 먼저 받는다. 높은 산과 구릉들이 많이 분포하고 있는 내륙 도시들에 비해 황사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는다.
인천은 -3°C 등온선을 기준으로 습윤 아열대 기후(쾨펜: ''Cwa'')[17], 0°C 등온선을 기준으로 습윤 대륙성 기후[18](쾨펜: ''Dwa'')를 갖는다. 다른 대도시와 마찬가지로 인천은 강한 도시 열섬 효과를 보인다.[19] 인천의 기후는 한국의 다른 지역과 비교하여 평균 수준이며, 8개 지역보다 기온이 낮고 10개 지역보다 기온이 높으며, 9개 지역보다 강수량이 많고 9개 지역보다 강수량이 적다.[20]
인천은 사계절이 뚜렷하며, 기온과 습도의 변화를 분명하게 느낄 수 있다. 그러나 기온은 극단적으로 높아지지 않아 도시의 기후는 대체로 온화하다. 인천은 계절풍의 영향을 받는데, 겨울에는 북서풍이, 여름에는 따뜻한 남서풍이 불어온다.[21]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간 |
---|---|---|---|---|---|---|---|---|---|---|---|---|---|
최고 기온 극값 (°C) | 12.6 | 17.4 | 22.3 | 29.2 | 31.0 | 33.2 | 35.5 | 35.8 | 31.7 | 28.3 | 23.8 | 16.0 | 35.8 |
평균 최고 기온 (°C) | 1.7 | 4.5 | 9.8 | 16.2 | 21.4 | 25.4 | 27.6 | 29.0 | 25.5 | 19.5 | 11.5 | 3.9 | 16.3 |
평균 기온 (°C) | -3.2 | -0.7 | 4.6 | 10.7 | 16.0 | 20.5 | 23.7 | 24.7 | 20.2 | 13.7 | 6.3 | -0.9 | 11.3 |
평균 최저 기온 (°C) | -8.1 | -5.8 | -0.6 | 5.3 | 11.0 | 16.3 | 20.6 | 21.2 | 15.6 | 8.1 | 1.2 | -5.7 | 6.6 |
최저 기온 극값 (°C) | -22.5 | -19.4 | -11.3 | -4.4 | 1.6 | 6.9 | 12.7 | 12.5 | 3.0 | -4.2 | -12.0 | -19.8 | -22.5 |
강수량 (mm) | 15.6 | 22.5 | 31.4 | 64.9 | 110.9 | 110.0 | 355.6 | 300.4 | 131.5 | 55.8 | 46.3 | 21.3 | 1266.2 |
평균 상대 습도 (%) | 63.6 | 61.0 | 61.4 | 62.4 | 68.6 | 75.1 | 82.8 | 79.9 | 73.8 | 68.9 | 67.8 | 65.4 | 69.2 |
강수일수 (≥ 0.1 mm) | 5.0 | 4.8 | 6.0 | 7.5 | 8.2 | 8.6 | 14.1 | 11.9 | 7.4 | 5.6 | 7.5 | 6.6 | |
평균 일조 시간 | 186.2 | 186.5 | 217.0 | 221.7 | 235.3 | 208.5 | 153.0 | 184.9 | 203.8 | 214.3 | 166.0 | 171.8 | 2349.0 |
출처: 한국기상청 (일조율 1981–2010)[23] |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간 |
---|---|---|---|---|---|---|---|---|---|---|---|---|---|
최고 기온 극값 (°C) | 9.4 | 15.5 | 17.3 | 23.7 | 28.1 | 30.0 | 33.5 | 33.2 | 29.9 | 25.6 | 20.3 | 13.8 | 33.5 |
평균 최고 기온 (°C) | 1.2 | 2.8 | 7.1 | 13.0 | 18.7 | 22.9 | 25.4 | 26.9 | 23.5 | 17.7 | 10.6 | 3.8 | 14.5 |
평균 기온 (°C) | -1.3 | 0.0 | 3.8 | 9.1 | 14.5 | 19.0 | 22.3 | 23.8 | 20.1 | 14.7 | 7.9 | 1.2 | 11.3 |
평균 최저 기온 (°C) | -3.4 | -2.2 | 1.3 | 6.0 | 11.1 | 16.1 | 19.9 | 21.5 | 17.8 | 12.3 | 5.5 | -1.1 | 8.7 |
최저 기온 극값 (°C) | -17.4 | -15.3 | -7.7 | 0.5 | 5.0 | 7.3 | 13.0 | 14.1 | 10.7 | 2.1 | -3.9 | -11.3 | -17.4 |
강수량 (mm) | 13.3 | 17.4 | 18.2 | 47.5 | 74.3 | 72.0 | 201.0 | 158.5 | 90.6 | 31.0 | 41.9 | 21.6 | 787.3 |
평균 상대 습도 (%) | 63.4 | 63.0 | 65.5 | 65.7 | 70.1 | 80.2 | 88.0 | 83.7 | 75.9 | 67.8 | 64.7 | 63.8 | 71.0 |
강수일수 (≥ 0.1 mm) | 7.4 | 4.8 | 5.3 | 6.9 | 8.1 | 10.0 | 13.9 | 11.1 | 6.7 | 5.0 | 8.5 | 9.9 | 97.6 |
평균 일조 시간 | 139.9 | 166.6 | 216.9 | 219.3 | 239.6 | 191.0 | 136.7 | 189.6 | 212.4 | 217.6 | 146.7 | 117.3 | 2193.6 |
출처: 한국기상청 (일조율 1981–2010)[23] |
4. 인구
인천광역시는 서울특별시, 부산광역시에 이어 대한민국에서 세 번째로 인구가 많은 도시이다. 2024년 1월 기준 주민등록인구 300만 명을 돌파했다.[71] 대표적인 남초 도시 중 하나로, 2017년 통계청 조사 결과에 따르면 남녀 성비가 101.3 : 100 이었다. 특히 옹진군의 성비는 132.7 : 100 으로 매우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군인과 어업 종사자의 인구 비중이 높기 때문이다.[72] 반면 부평구는 98.4 : 100으로 인천 내에서 가장 낮은 성비를 기록하고 있다.
인천역 인근 차이나타운을 중심으로 중국인들이, 연수구 함박마을에 독립국가연합 출신 이주민들이 집단 거주한다.
5. 행정 구역
인천광역시의 행정 구역은 8개의 구와 2개의 군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위 행정 구역으로는 1읍, 19면, 135동이 있다. 2022년 12월 말 기준 면적은 1067.04km2이며, 주민등록 인구는 2,967,314명, 1,322,632가구이다.[43]
자치구·군 | 한자 | 면적 (km2) | 인구 (명) | 세대 |
---|---|---|---|---|
중구 | 中區 | 140.37km2 | 152,931 | 75,960 |
동구 | 東區 | 7.2km2 | 58,999 | 27,618 |
미추홀구 | 彌鄒忽區 | 24.84km2 | 406,004 | 194,841 |
연수구 | 延壽區 | 56.19km2 | 385,796 | 156,047 |
남동구 | 南洞區 | 57.45km2 | 506,181 | 226,763 |
부평구 | 富平區 | 32km2 | 489,118 | 217,924 |
계양구 | 桂陽區 | 45.57km2 | 288,856 | 127,201 |
서구 | 西區 | 119.05km2 | 589,013 | 248,741 |
강화군 | 江華郡 | 411.42km2 | 69,803 | 35,114 |
옹진군 | 甕津郡 | 172.95km2 | 20,613 | 12,423 |
인천광역시 | 仁川廣域市 | 1067.04km2 | 2,967,314 | 1,322,632 |
2026년 7월 1일에는 행정 구역 개편이 예정되어 있다.[43] 중구의 도서 지역은 영종구로 분리되고, 중구의 잔여 지역과 동구는 제물포구로 통합되며, 서구의 일부는 검단구로 분리될 예정이다.
6. 경제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2018년 인천광역시의 1인당 지역내 총생산은 3,007만 원으로 전국 17개 광역 자치단체 중 12위였다. 반면 1인당 개인소득과 소비 지출은 각각 1,862만 원과 1,601만 원으로 낮게 나타났다. 이는 인천의 총생산에 비해 시민들에게 돌아가는 소득이 적고 소비가 위축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2019년 인천의 가구당 평균 소득은 5,704만 원, 평균 자산은 3억 5,159만 원으로 전국 평균보다 낮았고, 가구당 평균 부채는 7,277만 원으로 전국 평균 수준이었다.
인천의 생산 구조에서 서비스업은 59%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며, 제조업(29.1%)보다 서비스업의 비중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77] 건설업 비중은 2010년 8.9%에서 2014년 7.3%로 감소했다.[77]
인천국제공항은 인천의 1인당 지역내 총생산 및 시민 소득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인천국제공항공사 직원들의 1인당 평균 연봉은 8,600만 원으로, 국토교통부 산하 공공기관 중 가장 높다.[76]
1883년 개항 당시 제물포라 불리던 인천은 서울특별시 서쪽 40km 떨어진 항만 도시로, 서울의 외항으로 발전했다. 무역항으로 번영했으며, 한국 유일의 차이나타운이 있다. 중국과의 연계가 강하며, 텐진, 다롄, 칭다오, 옌타이 등과 페리로 연결되어 있다.
서울과는 수도권 전철로 연결되어 통근·통학 인구가 많아 하나의 경제권을 형성하고 있다. 서울의 베드타운 성격이 강해 "제3의 도시"로 인식되지는 않는데, 이는 일본 요코하마시와 유사하다. 1981년 광역시로 승격되었으며, 2001년 인천국제공항 개항으로 한국의 하늘길 관문이 되었다.
한일 월드컵을 계기로 건설된 인천국제공항은 자유무역지역으로 지정되었으며, 부산·진해 자유무역지역과 함께 금융·경제 허브를 목표로 외국인 투자를 유치하고 있다. 연수구 송도국제도시에는 한국판 실리콘밸리라 불리는 정보산업단지가 조성 중이다.
송도국제도시에 건설 예정이었던 인천타워는 세계 금융 위기로 인해 건설이 중단되었다. 4조 7천억 원[41]이 필요한 입체 복합 도시 "루원시티"도 같은 이유로 중단되었다.[42]
2014년 인천 아시안 게임이 개최되었으나, 인천광역시는 막대한 부채를 안은 채 한국 정부의 반대를 무릅쓰고 유치하여 논란이 있었다.
6. 1. 경제자유구역
인천경제자유구역(IFEZ)은 송도국제도시, 청라국제도시, 영종 3개 구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총 132.9km2 규모이다. 2003년 대한민국 최초로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되었으며, 동북아시아의 물류, 비즈니스, 레저, 관광 중심지 개발을 목표로 한다.[73]수도권 주요 도시에서 1시간대, 중국과 일본을 연결하여 2시간 이내에 접근 가능하다. 배후시장으로 비행시간 3시간 이내의 지역에 147개의 인구 100만 명 이상의 도시들을 포함, 약 20억 명의 대규모 소비시장이 있다는 이점이 있다.
최근 인천은 바이오 산업과 물류 산업을 새로운 성장 산업으로 육성하고 있다. 바이오 산업의 경우, 현재 연간 33만 킬로리터의 생산 능력을 보유, 미국 샌프란시스코와 함께 세계 2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생산 능력은 확장 중이다.[25] 인천국제공항과 인천항 확장으로 물류 산업도 급성장하고 있다.
6. 1. 1. 송도국제도시
연수구 송도동에 인천경제자유구역의 일원으로 건설되었으며, 국제금융과 무역, 지식기반산업, 친환경적인 주거지역으로 특화되어 있다.[30] 센트럴파크, 동북아무역타워, 송도컨벤시아, G타워 등의 시설과 인천대학교, 연세대학교 국제캠퍼스, 한국뉴욕주립대학교, 겐트대학교 같은 대학들이 소재한 인천글로벌캠퍼스(IGC) 등의 교육기관이 위치해 있다.[30]송도국제도시는 1994년 간척지에서 개발이 시작되었으며, 국제 비즈니스, 무역, 기술 및 환경 친화적인 도시 생활의 중심지로 계획되었다.[30] 초기에는 2020년 완공을 목표로 했지만, 일부 지역은 개발이 계속 진행 중이며, 원래 마스터 플랜에 대한 수정과 새로운 프로젝트들이 진행되고 있다.[30]
개발 면적 | 계획 인구 |
---|---|
자료 없음 | 252,000명 |
송도에는 다양한 다국적 기업들이 입주해 있으며, 녹색기후기금을 포함한 여러 국제 기구들이 있다.[30] 이 도시는 또한 스마트 시티 기술과 친환경 설계로 유명하며, 광대한 녹지 공간, 스마트 인프라 및 고급 폐기물 관리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30]
6. 1. 2. 영종지구
영종지구는 13,833 ha 면적으로, 인천국제공항을 중심으로 친환경적인 공항신도시로 개발되고 있다.[74] 인천국제공항에서 근무하는 직원들과 방문객, 물류업 종사자들에게 특화된 지역으로 계획되었으며, 공항과 연계한 물류, 관광 산업에 최적화되어 있다.[74] 원래 2020년 완공을 목표로 했으나, 일부 사업은 현재도 진행 중이며 지역은 계속해서 발전하고 있다.[31]영종지구는 인천경제자유구역(IFEZ)에 속하며, IFEZ는 송도국제도시, 청라와 함께 물류, 국제 비즈니스, 레저 및 관광의 중심지로 개발되고 있다.
6. 1. 3. 청라국제도시
서구 청라동에 위치한 청라국제도시는 신도시 형태의 거주지구를 포함하여 테마파크와 체육시설, 원예단지와 국제금융에 특화되어 있다.[75] 국제업무와 레저의 중심지로 개발되고 있으며,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 인천국제공항철도, 경인고속도로, 경인아라뱃길 등 영종과 서울을 잇는 주요 교통 축 상에 바다를 끼고 자리한 해안도시로서 탁월한 입지조건을 갖고있다. 제 17회 아시안게임 개막식이 열린 인천아시아드주경기장이 위치해 있다. 2016년 주민등록 인구가 10만 명을 돌파하였다.인천경제자유구역(IFEZ)은 송도국제도시, 청라, 영종도를 포함하며, 총 면적은 20938ha에 달한다. IFEZ는 이 지역들을 물류, 국제 비즈니스, 레저 및 관광의 중심지로 개발하기 위해 설립되었으며, 주요 목표 지역은 동북아시아이다. "경제자유구역"이라는 명칭은 외국 기업의 사업 환경 개선과 외국인 거주자의 생활 조건 향상을 위한 노력을 의미한다. 2003년 8월 공식 지정된 대한민국 최초의 경제자유구역이다.
청라는 영종도 근처 본토에 위치하며, 엔터테인먼트와 레저에 중점을 두고 설계되었다. 주거 지역, 스포츠 시설 및 국제 금융을 위한 업무 지구를 포함하고 있다. 처음에는 2008년 완공을 목표로 했지만, 개발 기간이 연장되었으며 테마파크와 같은 일부 프로젝트는 여전히 계획 단계 또는 초기 건설 단계에 있다.
- 개발 규모: 4394acre
- 계획 인구: 90,000명
6. 2. 산업
인천은 제조업과 서비스업이 발달한 도시이다. 특히 인천국제공항과 인천항을 기반으로 물류 산업이 크게 성장했고,[25] 최근에는 바이오 산업이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떠오르고 있다.[25]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2018년 인천광역시의 1인당 지역내 총생산은 3,007만원으로 전국 17개 광역 자치단체 중 12위였다. 그러나 1인당 개인소득과 소비 지출은 각각 1,862만원과 1,601만원으로 낮은 수준이었다. 이는 인천의 총생산에 비해 시민들에게 돌아가는 소득이 적고 소비가 위축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2019년 인천의 가구당 평균 소득은 5,704만원, 평균 자산은 3억 5,159만원으로 전국 평균보다 낮았고, 가구당 평균 부채는 7,277만원으로 전국 평균 수준이었다.
인천의 생산 구조에서 서비스업은 59%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며, 제조업(29.1%)보다 서비스업의 비중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77]
인천에는 GM 인천 공장(구 GM대우 인천 공장)이 있는 부평 산업 단지, 주안 산업 단지, 남동 산업 단지 등 여러 산업 단지가 조성되어 제조업 중심의 산업 구조를 이루었으나, 2003년 인천경제자유구역 지정 이후 새로운 성장 산업 육성에 힘쓰고 있다.
특히 송도국제도시는 바이오 산업의 중심지로 성장하고 있다. 2018년 기준으로 연간 33만 킬로리터의 생산 능력을 갖춰 미국 샌프란시스코에 이어 세계 2위 규모를 자랑하며, 생산 능력 확장을 통해 2018년 이후에는 51만 킬로리터로 세계 1위가 될 것으로 예상되었다.[25]
7. 정치
제8회 지방 선거에서 선출된 현재 인천광역시장은 국민의힘 소속 유정복이며, 교육감은 도성훈이다. 2022년 6월 1일 기준 인천광역시의회 의석수는 총 40석(지역구 36석, 비례대표 4석)이며, 정당별 의석 분포는 국민의힘 26석, 더불어민주당 14석이다.
2012년 당시, 인천광역시는 방만한 재정 운영과 월미도 바다열차와 같은 안전성 문제로 개통이 불투명한 공공사업 등 부실한 개발로 인해 시 예산 대비 부채 비율이 39.8%에 달해 재정이 파탄나는 심각한 사회 문제를 겪었다.[45] 이는 한국 지자체 중 최악의 부채 수준이었다.
제21대 국회 기준으로 인천광역시의 국회의원은 더불어민주당 11명, 국민의힘 1명, 무소속 1명이다.
7. 1. 자치단체장
제8회 지방 선거에서 선출된 현재 인천광역시장은 국민의힘 소속 유정복이며, 교육감은 도성훈이다.역대 시장은 다음과 같다.
임기 | 이름 | 한자 | 로마자 | 비고 |
---|---|---|---|---|
민선 7기 | 박남춘 | 朴南春 | Park Nam-chun | 2018년 7월 1일 ~ 2022년 6월 30일, 국회의원 2선(19~20대) |
민선 6기 | 유정복 | 劉正福 | Yu Jeong-bok | 2014년 7월 1일 ~ 2018년 6월 30일 |
민선 5기 | 송영길 | 宋永吉 | Song Yeong-gil | 2010년 7월 1일 ~ 2014년 6월 30일 |
민선 3, 4기 | 안상수 | 安相洙 | An Sang-su | 2002년 7월 1일 ~ 2010년 6월 30일 |
민선 1, 2기 | 최기선 | 崔箕善 | Choi Ki-seon | 1995년 7월 1일 ~ 2002년 6월 30일 |
2022년 6월 1일 기준 시의회 의석수는 총 40석(지역구 36석, 비례대표 4석)이며, 정당별 의석 분포는 다음과 같다.
2012년 당시, 인천광역시는 방만한 재정 운영과 월미도 바다열차와 같은 안전성 문제로 개통이 불투명한 공공사업 등 부실한 개발로 인해 시 예산 대비 부채 비율이 39.8%에 달해 재정이 파탄나는 심각한 사회 문제를 겪었다.[45] 이는 한국 지자체 중 최악의 부채 수준이었다.
7. 2. 역대 시장 (민선)
대수 | 이름 | 임기 | 정당 | 시정구호 |
---|---|---|---|---|
제9대 | 최기선 | 1995년 7월 1일 ~ 1998년 6월 30일 | 민주자유당 | |
제10대 | 1998년 7월 1일 ~ 2002년 6월 30일 | 자유민주연합 | ||
제11대 | 안상수 | 2002년 7월 1일 ~ 2006년 6월 30일 | 한나라당 | |
제12대 | 2006년 7월 1일 ~ 2010년 6월 30일 | 희망찬 인천건설 | ||
제13대 | 송영길 | 2010년 7월 1일 ~ 2014년 6월 30일 | 민주당 | 대한민국의 심장, 경제수도 인천! |
제14대 | 유정복 | 2014년 7월 1일 ~ 2018년 6월 30일 | 새누리당 | 인천의 꿈, 대한민국의 미래 |
제15대 | 박남춘 | 2018년 7월 1일 ~ 2022년 6월 30일 | 더불어민주당 | 살고 싶은 도시, 함께 만드는 인천 |
제16대 | 유정복 | 2022년 7월 1일 ~ | 국민의힘 | 시민이 행복한 세계 초일류도시, 인천 |
7. 3. 국회의원
제21대 국회 기준으로 더불어민주당 11명, 국민의힘 1명, 무소속 1명의 국회의원이 있다.
8. 생활 시설
인천광역시에는 주민들의 생활 편의를 위한 교육, 도서관, 의료 시설들이 갖추어져 있다.
8. 1. 교육
인천에는 여러 대학교와 대학이 있다.
'''4년제 국립대학교'''
'''4년제 사립대학교'''
'''사립전문대학교'''
'''캠퍼스'''
인천글로벌캠퍼스
- 한국뉴욕주립대학교 (미국)
- 조지 메이슨 대학교 (미국)
- 켄트대학교 (영국)
- 유타대학교 (미국)
'''사립기능전문대학교'''
- 한국폴리텍대학 (고용노동부 산하의 국책 특수대학)
- * 한국폴리텍대학 남인천캠퍼스
'''국립원격대학교'''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인천지역대학
8. 2. 도서관
인천광역시에는 다음과 같은 도서관들이 있다.- 시립도서관
- * 율목도서관
- * 영종하늘도서관
- * 수봉도서관
- * 미추홀도서관
- * 청라국제도서관
- * 청라호수도서관
- * 석바위도서관
- 인천광역시교육청 산하 도서관
- * 화도진도서관
- * 주안도서관
- * 연수도서관
- * 중앙도서관
- * 부평도서관
- * 북구도서관
- * 계양도서관
- * 서구도서관
8. 3. 의료 시설
인하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가천대학교 길병원, 가톨릭대학교 인천성모병원, 가톨릭관동대학교 국제성모병원 등 대학 병원이 있다. 이 외에도 권역응급의료센터는 중증응급환자 중심 진료, 대형 재난 등 발생 시 응급의료 지원, 특정 지역 내 다른 의료기관에서 이송되는 중증응급환자 수용, 그 외에 보건복지부 장관이 지정하는 권역 내 응급의료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권역별로 지정된 상급종합병원 또는 300병상 이상 병원이며, 전국 29개 권역 40곳이 지정되어 있다.9. 교통
인천광역시는 선사 시대부터 사람이 살았던 곳으로, 백제 건국 설화에 따르면 비류가 세운 미추홀의 도읍지였다. 고려 시대에는 왕실과 깊은 관계를 맺으며 경원군, 인주 등으로 불렸고, 조선 시대에는 인천군으로 개칭되어 '인천'이라는 이름이 처음 등장했다. 근대 개항기에는 1883년 한일수호조규에 따라 개항하여 서구 문물이 들어오는 관문 역할을 했다.
인천국제공항은 2001년 개항한 대한민국 최대 국제공항으로, 아시아의 허브 공항으로 불릴 만큼 중요한 지리적, 경제적 이점을 가지고 있다. 인천항은 1883년 개항한 대한민국에서 두 번째로 큰 항구로, 중국 여러 도시와 연결되는 국제 여객선이 운항 중이다. 2012년에는 황해와 한강을 잇는 경인 아라뱃길이 개통되었다.
육상 교통으로는 경인고속도로, 제2경인고속도로 등 여러 고속도로가 지나며, 2009년에는 영종도와 송도국제도시를 잇는 인천대교가 개통되었다. 2017년에는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인천~김포 구간이 개통되었다.
대중교통으로는 버스와 철도가 있다. 버스는 수도권 통합요금제를 시행하고 있으며, 2013년에는 청라국제도시와 서울을 잇는 BRT가 개통되었다. 철도는 1899년 경인선 개통을 시작으로, 수도권 전철 1호선, 인천 도시철도 1호선, 인천 도시철도 2호선, 인천국제공항철도, 서울 지하철 7호선, 수인선 등이 운행 중이다. 2014년부터 2018년까지는 검암역과 인천국제공항역에 KTX가 운행되기도 했다.
9. 1. 항공
대한민국 최대 국제공항인 인천국제공항이 중구 영종도에 위치해 있다. 2001년 3월 29일에 개항하였으며 인천국제공항공사가 운영하고 있다. 인천공항을 오가는 항공편의 59.7%가 대한민국의 항공사인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노선이며 나머지 40.3%는 외국 항공사들에 의해 운항되고 있다. 인천공항을 통하여 서울을 비롯한 대한민국의 도시들과 도쿄, 상하이, 뉴욕, 싱가포르, 홍콩, 런던, 파리, 프랑크푸르트, 오사카 등 전세계 수많은 도시들이 항공교통으로 연결되고 있다. 주차대행을 운영하고 있으며 비행거리 3시간 내에 인구 100만 명 이상 도시 61개가 위치해 있다는 점에서 아시아의 허브 공항으로 불리며 중요한 지리·경제적 이점을 갖고 있다.[6][7]인천국제공항은 대한민국의 주요 국제공항이자 지역 항공 허브이다. 2015년에는 여객 수송량 기준 세계 22위 공항이었으며, 여객 수는 4,941만 2,750명이었다.[26] 2015년 인천국제공항을 이용한 항공편은 총 30만 5,446편(국제선 30만 634편, 국내선 4,812편)이었으며, 하루 평균 837편(국제선 824편, 국내선 13편)이 운항되었다.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등 한국의 두 주요 항공사가 전체 항공편의 50.9%를 담당했으며, 저비용 항공사 및 외국 항공사가 나머지 49.1%를 담당했다.[27] 공항은 여객 수의 급증을 경험하고 있으며, 2017년 12월 제2여객터미널 개장으로 교통량이 더욱 증가했다.
이 공항은 한국 드라마 시리즈 "에어 시티(Air City)"에도 등장했다.
인천국제공항은 2018년 말 기준 국제공항 중 세계 5위를 기록했다.[28]
9. 2. 해상 교통
인천항은 1883년에 개항되었으며, 부산항에 이어 대한민국에서 두 번째로 큰 항구이다. 대한민국의 주요 수출항 중 하나로, 구형 자동차와 각종 수출품을 외국으로 수송하며, 현재 내항, 북항, 남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중국의 여러 도시와 연결되는 국제 여객선이 운항 중인데, 제1국제여객터미널에서는 잉커우, 친황다오, 옌타이, 다롄, 단둥행 항로가, 제2여객터미널에서는 웨이하이, 칭다오, 톈진, 롄윈강행 항로가 개설되어 있다.[6][7] 2012년에는 황해와 한강을 잇는 경인 아라뱃길이 개통되었다. 또한, 백령도를 비롯한 인천의 외딴 섬으로 가는 페리도 운항하고 있다.9. 3. 도로 교통
경인고속도로, 제2경인고속도로, 영동고속도로,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 등 4개 노선의 고속국도가 인천을 기종점으로 하며,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와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도 인천 동부를 지난다. 제3경인고속화도로는 인천을 기점으로 하는 도시고속화도로이다.2009년 영종도와 송도국제도시를 잇는 길이 21.38km의 인천대교[79]가 개통되었다. 인천대교[79]는 대한민국에서 가장 긴 다리이자 세계에서 7번째로 긴 다리이다.
2017년 3월 23일에는 인천을 통과하는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인천~김포 구간이 개통되었다.
9. 4. 대중 교통
인천에는 2017년 6월 기준으로 80개의 간선버스(시내버스) 노선과 70개의 지선버스(마을버스) 노선, 37개의 좌석버스 노선이 운영되고 있다.
2009년 10월 10일부터 인천광역시는 서울특별시, 경기도가 이미 시행하고 있는 수도권 통합요금제에 참여해 시행하였다. 2013년에는 청라국제도시와 서울 강서구 화곡동을 잇는 BRT가 개통되었다.
버스 터미널은 미추홀구 관교동에 있는 인천종합버스터미널이 유일하다. 일부 시외버스는 용현동에 있던 구 터미널을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다.
인천종합터미널은 같은 이름의 지하철역에 위치하며 한국 전역으로 가는 고속버스를 제공한다. 많은 시내버스 노선은 시내뿐 아니라 인근 도시인 부천, 김포, 서울, 시흥까지 운행한다.

한국에서 최초로 철도가 개통된 지역 중 하나로, 1899년의 경인선을 시작으로 개통된 여러 철도 노선이 인천과 서울 및 주변 지역을 잇는다.
도시간 간선 철도는 1974년에 경인선을 포함한 구간에서 전철(수도권 전철 1호선) 운행이 시작되면서 운행을 중지하였으며, 이후 2014년부터 2018년까지 인천국제공항철도를 통하여 검암역과 인천국제공항역에 KTX가 운행되었다.
노선명 | 운행 구간 | 운행 거리 | 지역 | 개통 연도 | 운행 중단 연도 |
---|---|---|---|---|---|
경인선(수도권 전철 1호선) | 부개역~인천역 | 13.6km | 부평구 · 남동구 · 미추홀구 동구 · 중구 | 1974년 | |
인천 도시철도 1호선 | 계양역~송도달빛축제공원역 | 30.3km | 계양구 · 부평구 · 남동구 미추홀구 · 연수구 | 1999년 | |
인천국제공항철도 | 인천공항2터미널역~계양역 | 36.8km | 중구 · 서구 · 계양구 | 2007년 | |
서울 지하철 7호선 | 삼산체육관역~석남역 | 5.7km | 부평구 · 서구 | 2012년 | |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 | 인천공항1터미널역~용유역 | 6.0km | 중구 | 2016년 | 2022년 |
인천 도시철도 2호선 | 검단오류역~운연역 | 29.1km | 서구 · 미추홀구 · 남동구 | 2016년 | |
수인선 | 소래포구역~인천역 | 15.0km | 남동구 · 연수구 · 미추홀구 · 중구 | 2020년 |
인천 도시철도는 도시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두 개의 지하철 노선을 가지고 있다. 1호선은 부평역(서울 지하철 1호선)에서 서울 도시철도 시스템과 연결되며, 계양역에서는 수도권 전철 공항철도와 연결된다. 송도의 국제업무지구역을 계양역과 연결한다. 이 노선은 29.4km 길이의 선로에 28개의 역이 있다. 이 노선은 원인재역에서 수인선과, 인천시청역에서 인천 도시철도 2호선과, 부평구청역에서 서울 지하철 7호선과 환승역을 가지고 있다. 2016년 7월에 개통된 인천 도시철도 2호선은 검단오류역에서 운연역까지 운행한다. 이 자동화 노선은 29.2km 길이이며, 공항철도와 환승하는 검암역, 서울 지하철 1호선과 환승하는 주안역, 인천 도시철도 1호선과 환승하는 인천시청역을 포함하여 27개의 역이 있다.
인천 도시철도는 인천교통공사(IRTC)에서 운영한다.
한국철도공사는 수인선이라는 새로운 통근열차 노선을 건설했다. 이 노선은 2012년 시흥의 오이도역에서 인천의 송도역까지 개통되었다. 그 후 2016년에 연장되어 현재는 인천역에 도달하며, 승객들은 서울 지하철 1호선으로 환승할 수 있다. 2020년에는 오이도역에서 수원역까지 연장되었다.
서울교통공사(서울 도시철도 운영사 3곳 중 하나)는 2011년까지 서울 지하철 7호선을 부평구청역까지 연장하여 인천 도시철도 시스템으로의 환승을 제공했다. 인천 내에 3개의 역이 있다. 2020년까지 이 노선은 서쪽으로 석남역까지 더 연장될 것이며, 인천 도시철도 2호선으로 환승이 가능해질 것이다.
10. 문화
인천은 선사 시대부터 사람이 살았던 곳으로, 영종도와 강화도에서 신석기 시대와 청동기 시대 유물이 발견되었다. 강화도의 사량성과 참성단은 고조선과 관련된 유적이다. 백제 건국 설화에 따르면, 인천은 비류가 세운 미추홀의 도읍이었다. 인천은 원래 백제 땅이었으나, 5세기 이후 고구려와 통일 신라의 영토가 되었고, 매소홀이라 불렸다.
통일 신라 경덕왕 때 지명이 바뀌어 인천은 소성현, 부평은 장제군, 강화도는 해구군, 옹진군은 곡도라 불렸다. 고려 시대에 인천은 왕실과 깊은 관계를 맺으며 경원군, 인주, 경원부로 승격되었다. 강화도는 940년에 현이 설치되었고, 1232년에는 몽골의 침입에 맞서기 위해 개경에서 도읍을 옮긴 곳이기도 하다. 조선 시대에 경원부는 1392년에 인주로, 1413년에 인천군으로 이름이 바뀌면서 '인천'이라는 이름이 처음 등장했다. 해안의 항구는 제물포라 불렸다.
근대 개항기에 인천은 병인양요, 신미양요 등에서 외국 함대와 전투를 벌였고, 한일수호조규에 따라 1883년 개항하면서 서구 문물이 인천항을 통해 들어왔다. 1882년에는 제물포 앞바다의 미국 군함 위에서 조미수호통상조약이 체결되었다. 조약항으로 발전하여 일제강점기에 인천부(당시 발음, 진센푸)가 설치되었고, 1949년에 인천부는 인천시로 이름이 바뀌었다. 1950년 9월, 유엔군은 인천상륙작전을 통해 한국 전쟁의 전세를 뒤집었다.
인천은 한국 근대 스포츠의 시작점으로, 대한민국에 축구와 야구가 가장 먼저 소개된 도시이기도 하다.
2002 FIFA 월드컵, 2009 인천세계도시축전, 제17회 아시안 게임 등 여러 국제 행사가 인천에서 개최되었다.
펜타포트 락 페스티벌, 강화도새우젓축제[81], 국제 도로교통 박람회[82], 인천 국제 악기전시회[83] 등 다양한 축제와 행사가 열린다.
인천 차이나타운, 월미도, 을왕리 해수욕장, 소래포구항, 인천대교, 강화도 고려궁터, 성공회 강화성당, 정족산성, 초지진, 광성보, 송월동 동화마을, 송도 센트럴파크, 커낼워크 등은 인천의 대표적인 관광지이다. 1897년 건립된 답동성당은 인천을 대표하는 근대 건축물 중 하나이다.[1]
인천에는 가톨릭, 개신교, 불교, 유교, 원불교, 천도교, 대종교, 증산도, 대순진리회 등 다양한 종교가 있지만, 종교를 가진 주민의 상당수는 기독교 신앙을 가지고 있다.
10. 1. 스포츠
인천은 한국 근대 스포츠의 시발점으로, 대한민국에 축구와 야구가 가장 먼저 소개된 도시이다. 현재 인천을 연고로 하는 프로 스포츠 팀은 축구, 야구, 농구, 배구 4개 종목 5개 팀이 운영 중이다.
인천 연고 프로 스포츠 팀은 인천 유나이티드 FC가 미추홀구 숭의동의 인천축구전용경기장, SSG 랜더스가 미추홀구 문학동의 SSG 랜더스 필드, 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가 부평구 삼산동의 삼산월드체육관, 인천 대한항공 점보스가 계양구 서운동의 계양체육관, 인천 신한은행 에스버드가 도원체육관을 홈 경기장으로 사용하고 있다.
종목 | 리그 | 팀 | 창단 연도 | 홈 경기장 |
---|---|---|---|---|
축구 | K리그2 | 인천 유나이티드 | 2003년 | 인천축구전용경기장 |
WK리그 | 인천 현대제철 레드엔젤스 | 1993년 | 인천남동아시아드럭비경기장 | |
농구 | WKBL | 인천 신한은행 에스버드 | 2004년 | 도원체육관 |
배구 | V-리그(남) | 인천 대한항공 점보스 | 1986년 | 계양체육관 |
V-리그(여) | 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 | 1971년 | 삼산월드체육관 | |
야구 | KBO 리그 | SSG 랜더스 | 2000년 (2021년) | 인천SSG랜더스필드 |
K리그2 인천 유나이티드 FC는 부천 SK(현 제주 유나이티드 FC)와의 라이벌 관계로 유명했다. K4리그 팀 FC 남동은 인천 남동구에 연고지를 두고 있다. WK리그 팀은 현대제철 레드 엔젤스이다.
KBO 리그 팀 SSG 랜더스가 있으며, 인천에 연고지를 둔 최초의 프로 야구팀은 삼미 슈퍼스타즈였다.
WKBL 팀 인천 신한은행 에스버드가 인천에 연고지를 두고 있다.
V리그 팀으로는 남자부 인천 대한항공 점보스와 여자부 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가 있다.
문학경기장은 축구 경기장과 야구 경기장을 모두 갖추고 있다. 축구 경기장은 2002년 FIFA 월드컵 인천 경기장이었으며, 인천 유나이티드의 홈 경기장이기도 하다. 야구 경기장은 SSG 랜더스의 홈 경기장이다.
연희 크리켓 경기장은 2014년 아시안 게임의 크리켓 경기를 위해 인천에 건설된 전용 크리켓 경기장이다. 한국 최초의 크리켓 경기장이다.[36][37]
인천축구전용구장은 인천 최초의 축구 전용 경기장이다. 2012년에 20,891명 수용 규모로 건설되었다.
10. 2. 문화 시설
남동소래아트홀10. 3. 주요 행사
2002년 6월 14일 문학경기장에서 대한민국과 포르투갈의 경기가 열렸다.[80]
2009년 8월 7일부터 10월 25일까지 80일간 송도국제도시에서 개최되었다.[80] 2010년 G20재무차관회의를 개최하였다.[11]
2014년 9월 19일부터 10월 4일까지 개최되었다.[13]
인천광역시가 후원하는 록 페스티벌로, 한국의 록 음악가들과 세계의 유명 뮤지션들이 참여한다. 5개의 철학(MUSIC/PASSION/Environment Friendly/D.I.Y/Friendship)을 표방한다.[84]
- 강화도새우젓축제[81]
- 국제 도로교통 박람회
2005년부터 2년 간격으로 개최되는 국내 최대 규모의 도로교통분야 전문 박람회이다.[82]
- 인천 국제 악기전시회[83]
10. 4. 관광
인천 차이나타운, 월미도, 을왕리 해수욕장, 소래포구항, 인천대교, 강화도 고려궁터, 성공회 강화성당, 정족산성, 초지진, 광성보, 송월동 동화마을, 송도 센트럴파크, 커낼워크 등은 인천의 주요 관광지이다.1897년 건립된 답동성당은 인천을 대표하는 근대 건축물 중 하나이다.[1]
부평역 앞 거리와 구월동은 유흥주점, 영화관, 쇼핑몰, 백화점 등 다양한 시설이 밀집되어 대규모 상권을 형성하고 있으며 유동인구가 가장 많은 곳이다. 바다와 관련된 명소로는 무의도, 신도, 시도, 실미도 등이 있으며 관광객들이 자주 찾는 유명 섬이다. 중구 북성동 월미도 문화의 거리 역시 많은 인파가 찾는 볼거리 중 하나이다. 중구 영종도의 을왕리 해수욕장은 수도권에서 가장 가까운 해수욕장으로 매년 수많은 관광객이 방문한다.
남동구 주요 관광명소로는 소래포구항, 소래해넘이전망대 등이 있다.
2009년 10월 완공된 인천대교는 연수구 옥련동과 영종도를 연결하는 대한민국에서 가장 긴 교량이자 세계에서 7번째로 긴 교량이다.
강화군에는 고려-몽골 전쟁 시기 고려의 임시 수도였던 영향으로 조성된 고려궁터와 고려 왕릉, 대한민국에서 제일 오래된 한옥성당인 성공회 강화성당과 용흥궁, 병인양요와 신미양요의 격전지였던 문수산성, 정족산성, 초지진, 광성보 등 근현대사의 문화 유산이 많다.
최근에는 송월동 동화마을도 각종 매스컴에 등장하며 유명세를 얻어 방문 인파가 많아져 동인천의 관광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으며, 송도국제도시 개발에 따라서 송도 센트럴파크나 커낼워크도 관광 명소로 인기를 얻고 있다.
10. 5. 종교
인천에는 가톨릭, 개신교, 불교, 유교, 원불교, 천도교, 대종교, 증산도, 대순진리회 등 다양한 종교가 존재하지만, 종교를 가진 주민의 상당수는 기독교 신앙을 가지고 있다. 2015년 인구총조사 결과 인천시 인구 2,783,565명 중 개신교 신자는 642,215명(23.1%), 천주교 신자는 265,369명(9.5%), 불교 신자는 244,467명(8.8%)이었다.[85]
불교계에서는 개신교 세력이 강한 전라남도, 전라북도와 함께 인천광역시를 불자가 적은 지역으로 꼽는다. 실제로 조계종 실천불교전국승가회 부설 불교미래사회연구소는 부평구, 계양구, 미추홀구, 연수구를 주요 포교 취약지로 인정하고 있다.[86]
인천은 대한민국의 성장기인 1960년대 ~ 1970년대에 기독교 신자가 급증하였고, 그 결과 많은 수의 교회들이 생겨나 성장하였다. 대한민국의 로마 가톨릭 교회는 이 지역에 가톨릭 인천교구를 설치했으며, 인천에는 82개의 성당과 33개의 공소가 있다.[87] 한국 정교회는 간석동에 성 바울로 성당을 두고 있으며, 대한성공회는 성공회 서울교구의 서부교무구와 강화교무구에 18개의 성당을 두고 있다.[88]
개신교는 1908년 선교사들의 선교구역 분할 때 기독교대한감리회의 선교지역으로 지정되어 기독교대한감리회의 세가 강하다. 기독교대한감리회는 중부연회 본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다양한 장로교 교회들도 들어와 있다. 주요 개신교 교회로는 내리교회, 숭의교회, 인천순복음교회, 주안감리교회, 주안장로교회 등이 있다.
인천 초기 개항장이었던 중구 항동 1가에는 한국기독교100주년기념탑이 있으며, 동인천역 부근 답동성당은 사적, 성공회 내동성당은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강화군 강화읍에는 성공회 강화성당이 사적으로, 성공회 온수리성당은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11. 군사
1953년 휴전 이후, 38도선에 가까운 지방으로서 많은 군사 부대가 주둔하고 있다. 제17보병사단, 제507여단 등 다수의 군부대가 주둔하고 있다.[89] 또한 제2해병사단 일부와 제6해병여단, 연평부대가 강화도와 백령도에 주둔하고 있다.
12. 인천광역시 소재 기관
인천광역시는 대한민국의 주요 기관들과 더불어 다양한 국제기구가 위치한 곳이다.
- 주요 스포츠팀
종목 | 팀명 |
---|---|
프로야구 | SSG 랜더스 |
프로축구 | 인천 유나이티드 FC |
프로농구 | 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 |
프로배구 | 대한항공 점보스 |
12. 1. 대한민국 정부 주요 기관
12. 2. 국제기구
2012년 유엔 산하 유엔기후변화협약 국제기구인 녹색기후기금(GCF) 본부가 송도국제도시에 설치되어, 인천은 한국에서 처음으로 유엔 소속 국제기구 본부를 보유한 도시가 되었다. 현재 인천이 보유한 국제기구는 19개에 이른다.[41]13. 자매 도시
다음은 인천광역시와 자매 결연을 체결한 도시들이다.[91]
체결날짜 | 도시 | 나라 |
---|---|---|
1961년 12월 18일 | 버뱅크 | 미국 |
1983년 8월 15일 | 필라델피아 | 미국 |
1986년 10월 7일 | 앵커리지 | 미국 |
1988년 12월 20일 | 기타큐슈시 | 일본 |
1993년 12월 7일 | 톈진시 | 중국 |
1997년 7월 24일 | 하이퐁 | 베트남 |
2000년 5월 14일 | 텔아비브 | 이스라엘 |
2000년 5월 17일 | 알렉산드리아 | 이집트 |
2003년 10월 15일 | 호놀룰루 | 미국 |
2007년 6월 1일 | 충칭시 | 중국 |
2007년 10월 15일 | 메리다 | 멕시코 |
2007년 10월 15일 | 콜카타 | 인도 |
2008년 10월 7일 | 마닐라 | 필리핀 |
2009년 3월 27일 | 프놈펜 | 캄보디아 |
2009년 9월 14일 | 예카테린부르크 | 러시아 |
2009년 9월 14일 | 반텐주 | 인도네시아 |
2010년 4월 6일 | 고베 | 일본 |
2010년 9월 6일 | 베네토주 | 이탈리아 |
2012년 6월 30일 | 블라디보스토크 | 러시아 |
14. 출신 인물
- 이제노 (NCT 및 그 하위 그룹 NCT 드림 멤버)
- 미연 (여자)아이들)
- 한봉수 (합기도 명인)
- 행주 (리듬파워)
- 김려욱 (슈퍼주니어)
- 김효연 (소녀시대)
- 최민호 (샤이니)
- 강기영
- 미카엘라 디츠 (성우)
- 김구라
- 김남일 (축구 선수)
- 조용형 (축구 선수)
- 신지 (코요태)
- 윤채경 (에이프릴)
- 강혜정 (배우)
- 권나라 (배우)
- 고경표 (배우)
- 이성현 (킥복서)
- 최지만 (야구 선수 (뉴욕 양키스, 밀워키 브루어스, 탬파베이 레이스))
- 구혜선 (배우)
- 효린 (시스타)
- 노지훈 (가수)
- 류현진 (야구 선수 (한화 이글스,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토론토 블루제이스))
- 박초아 (솔로 가수, AOA 전 멤버)
- 방민아 (걸스데이)
- 남지현
- 경수진
- 김영광
- 진주 리 (DNCE)
- 옹성우 (워너원 전 멤버, 배우 겸 솔로 가수)
- 유승호 (배우)
- 이강인 (축구 선수)
- 김성주 (가수, 배우, UNIQ)
- 성동일 (배우)
- 소희 (가수, 앨리스 멤버)
- 박남춘
- 도연 (가수, 배우, 위키미키, WJMK 멤버)
- 영 김
- 홍수현 (배우)
- 페기 구 (DJ)
- 김원필 (싱어송라이터, 키보디스트, 데이식스 멤버)
- 도한세 (래퍼, 빅톤 멤버)
참조
[1]
웹사이트
연령별 인구현황 / Population by Age
http://www.mois.go.k[...]
2018-10-20
[2]
웹사이트
Population, Households and Housing Units
https://kosis.kr/sta[...]
Statistics Korea
2022-07-28
[3]
웹사이트
World Free Zones Organization; Index cards by country; SOUTH KOREA
https://www.worldfzo[...]
[4]
논문
Development of Free Economic Zones and Labor Standards: A Case Study of Free Economic Zones in Korea
https://hdl.handle.n[...]
2005-12-01
[5]
논문
The Southampton system: A new universal standard approach for port-city classification
[6]
웹사이트
Incheon Metropolitan City
http://english.inche[...]
[7]
웹사이트
By Train from Seoul to Incheon – and Jemulpo, too
https://web.archive.[...]
Korea Web
2006-01-25
[8]
웹사이트
GAMEON'ASIA 2015, March 25–27, 2015, Ghent University, Incheon, South-Korea, Conference Venue EUROSIS
https://www.eurosis.[...]
[9]
웹사이트
[Lee Kyong-hee] Romanization of Korean – alphabet buffet
https://www.koreaher[...]
2022-03-02
[10]
서적
The Darkest Summer: Pusan and Inchon 1950: The Battles That Saved South Korea—and the Marines—From Extinction
[11]
웹사이트
G20 Information Centre
http://www.g8.utoron[...]
[12]
뉴스
Spotlight on Women Artists at Incheon Biennale
https://www.koreatim[...]
2009-07-30
[13]
웹사이트
- Olympic Council of Asia
http://www.ocasia.or[...]
[14]
웹사이트
The 6th OECD World Forum: the Future of Well-being, 27–29 November 2018, Incheon, Korea
https://www.oecd.org[...]
[15]
웹사이트
Incheon (Republic of Korea) named World Book Capital 2015
https://en.unesco.or[...]
2013-07-23
[16]
웹사이트
Arirang News
https://web.archive.[...]
Arirang.co.kr
2007-03-20
[17]
논문
World Map of the Köppen-Geiger climate classification updated
http://www.schweizer[...]
[18]
논문
Updated world map of the Köppen–Geiger climate classification
https://hess.coperni[...]
[19]
웹사이트
MAXIMUM URBAN HEAT ISLAND INTENSITY IN LARGE CITIES OF KOREA
http://meteo.geo.uni[...]
[20]
웹사이트
Inchon, Korea: Climate, Global Warming, and Daylight Charts and Data
http://www.climate-c[...]
[21]
웹사이트
AsiaRooms – LateRooms – Last Minute Hotel Deals & Cheap Hotels
http://www.asiarooms[...]
[22]
웹사이트
Climatological Normals of Korea (1991 ~ 2020)
https://data.kma.go.[...]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3]
웹사이트
순위값 – 구역별조회
https://data.kma.go.[...]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4]
웹사이트
Climatological Normals of Korea
http://www.kma.go.kr[...]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1
[25]
뉴스
송도국제도시 세계 최대 바이오의약품 생산기지로 뜬다 / Songdo International City becomes the world's largest biopharmaceutical production base
http://www.yonhapnew[...]
2015-10-12
[26]
웹사이트
Year to date Passenger Traffic: December 2015
https://web.archive.[...]
Airports Council International (ACI)
[27]
웹사이트
Incheon Airport
http://www.airport.k[...]
[28]
웹사이트
인천공항 국제여객 순위 '세계 5위' 기염
http://www.kihoilbo.[...]
2019-01-09
[29]
뉴스
인천역에 KTX 들어오나? / Will KTX come to Incheon station?
http://www.incheonil[...]
2016-04-19
[30]
웹사이트
송도 들어서는 롯데몰 건축허가 변경 승인됐다 (A change in the building permit for Lotte Mall in Songdo was approved.)
https://www.youtube.[...]
2023-12-14
[31]
웹사이트
우미·제일·서한건설, 세종·인천에 공공지원 민간임대 건설 - (Umi, Cheil, Seohan Construction, construction of public support private lease in Sejong and Incheon)
https://n.news.naver[...]
2020-03-23
[32]
웹사이트
2015 Census – Religion Results
https://kosis.kr/sta[...]
KOSIS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33]
웹사이트
World Urbanization Prospects
https://population.u[...]
[34]
웹사이트
Population Census
https://kosis.kr/sta[...]
Statistics Korea
[35]
뉴스
2014 Asian Games to promote regional harmony
http://www.koreahera[...]
2010-07-06
[36]
웹사이트
INCHEON PUTTING IN THE HARD YARDS
http://www.asiancric[...]
2013-12-04
[37]
웹사이트
Yeonhui Cricket Ground (Incheon Asian Games 2014)
https://modernseoul.[...]
2013-12-04
[38]
웹사이트
Sister Cities & Affiliated Cities
https://www.incheon.[...]
Incheon Metropolitan Government
[39]
법률
仁川広域市南区名称変更に関する法律
https://www.law.go.k[...]
[40]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41]
뉴스
http://news.mt.co.kr[...]
[42]
방송
한국 아시아대회 성황의 이면…
http://www.tv-tokyo.[...]
TV도쿄
2014-10-02
[43]
웹사이트
2026년 7월 검단구·영종구 출범…인천시, 3단계로 준비
https://www.yna.co.k[...]
2024-03-11
[44]
웹사이트
인천시 “27년 만에 행정구역 개편한다”
https://www.donga.co[...]
2022-09-01
[45]
뉴스
財政破綻の仁川市で給与遅配 (朝鮮日報。2012年4月4日)
http://www.chosunonl[...]
조선일보
2012-04-04
[46]
웹사이트
우리나라 기후평년값(1991~2020) 인천(112)
https://data.kma.go.[...]
한국기상청
[47]
웹사이트
순위값 - 구역별조회 인천(112)
https://data.kma.go.[...]
한국기상청
[48]
웹사이트
우리나라 기후평년값(1991~2020) 강화(201)
https://data.kma.go.[...]
한국기상청
[49]
웹사이트
순위값 - 구역별조회 강화(201)
https://data.kma.go.[...]
한국기상청
[50]
웹사이트
우리나라 기후평년값(1991~2020) 백령도(102)
https://data.kma.go.[...]
한국기상청
[51]
웹사이트
순위값 - 구역별조회 백령도(102)
https://data.kma.go.[...]
한국기상청
[52]
서적
Tuning : Married Couples Exhibition = [조율 : 부부전]
http://worldcat.org/[...]
Inch'ŏn Yŏsŏng Piennalle Chojik Wiwŏnhoe
2007
[53]
법령
조선총독부령 제7호
https://ko.wikisourc[...]
1910-10-01
[54]
법령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12-29
[55]
법령
조선총독부령 제40호
1940-03-28
[56]
법령
행정구역 변경
[57]
법률
지방자치법
1949-07-04
[58]
법률
시 · 군 관할 구역 변경 및 면의 폐치에 관한 법률
1962-11-21
[59]
법률
인천시 구 설치에 관한 법률
1967-03-30
[60]
법률
대구직할시 및 인천직할시 설치에 관한 법률
1981-04-13
[61]
법령
서울특별시 송파구 등 13개 구 설치와 구의 관할 구역 변경에 관한 규정
1987-12-31
[62]
법률
부산직할시 강서구 설치 및 시·도의 관할 구역 변경에 관한 법률
1988-12-31
[63]
법률
지방자치법
1994-12-20
[64]
법률
서울특별시 광진구 등 9개 자치구 설치 및 특별시 · 광역시 · 도간 관할 구역 변경 등에 관한 법률
1994-12-22
[65]
서적
기후학
시그마프레스
2006
[66]
웹사이트
World Map of the Köppen-Geiger climate classification updated
http://koeppen-geige[...]
[67]
웹인용
World Urbanization Prospects
https://population.u[...]
[68]
웹인용
인천시 인구 19일 300만명 돌파…서울·부산 이어 3번째
http://news1.kr/arti[...]
2016-10-19
[69]
웹인용
인천 인구 300만명 돌파…국내 세번째
http://www.newsis.co[...]
2016-10-20
[70]
웹인용
2017년 1월말 기준 인천광역시 인구 현황
http://www.incheon.g[...]
2016-03-04
[71]
뉴스
인천, 인구 증가율 광역시 중 최고
http://www.incheonil[...]
인천일보
2014-07-16
[72]
간행물
국가통계포털 인구총조사
[73]
웹사이트
인천경제자유구역
http://www.ifez.go.k[...]
2016-02-05
[74]
웹사이트
인천경제자유구역
http://www.ifez.go.k[...]
2016-02-05
[75]
웹사이트
인천경제자유구역
http://www.ifez.go.k[...]
2016-02-05
[76]
뉴스
인천국제공항청사 1인당 평균 연봉 국내 최고
http://view.asiae.co[...]
아시아경제
[77]
뉴스
지역소득통계 기준 개편…건설업 생산규모·비중 축소
http://www.cnews.co.[...]
건설경제 CN뉴스
[78]
웹사이트
시교육청 - 학교현황
http://www.ice.go.kr[...]
2016-02-19
[79]
서적
제2경인고속도로의 일부
[80]
웹인용
공식 웹사이트
http://www.incheonfa[...]
2018-04-03
[81]
웹인용
공식 웹사이트
http://www.jutgal.co[...]
2020-04-07
[82]
웹인용
공식 웹사이트
https://web.archive.[...]
2020-07-06
[83]
웹인용
공식 웹사이트
https://web.archive.[...]
2018-04-03
[84]
웹인용
공식 웹사이트
https://web.archive.[...]
2019-06-05
[85]
웹인용
2015 인구주택총조사 표본 집계 결과(인구.가구.주택 기본특성항목)
https://web.archive.[...]
2017-10-25
[86]
뉴스
경기택지개발 종교용지 온통 개신교‥불교는 ‘제로’
http://www.bulgyofoc[...]
불교포커스
2012-03-03
[87]
웹인용
가톨릭 인천교구 홈페이지: 성당/공소
https://web.archive.[...]
2012-03-03
[88]
웹사이트
대한성공회 홈페이지: 서울교구 교회 목록
http://www.skh.or.kr[...]
[89]
뉴스
인천시, 제3보급단 등 군부대 이전사업 첫 발
https://www.thecheon[...]
더 청라
2021-01-09
[90]
뉴스
'여의도 절반' 군부대 땅 2025년께 인천 시민 품으로
https://www.mk.co.kr[...]
매일경제
2021-03-03
[91]
웹인용
자매·우호도시 현황
https://web.archive.[...]
2013-12-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