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브래드포드 힐 판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본문

브래드포드 힐 판정(Bradford Hill criteria)은 역학 연구에서 특정 요인과 질병 발생 간의 인과 관계를 평가하기 위해 사용되는 9가지 기준입니다. 1965년 영국의 역학자 오스틴 브래드포드 힐(Austin Bradford Hill) 경이 제안했으며, 공중 보건 연구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습니다.
9가지 기준:1. 관련성의 강도(Strength of Association): 요인에 노출된 집단과 노출되지 않은 집단 간의 질병 발생률 차이가 클수록 인과 관계가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상대위험도(Relative risk)나 오즈비(Odds ratio) 등으로 측정합니다.

2. 관련성의 일관성(Consistency): 다양한 연구에서, 서로 다른 장소, 다른 대상, 다른 연구 방법을 사용했음에도 불구하고 동일한 결과가 반복적으로 나타날수록 인과 관계가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3. 관련성의 특이성(Specificity of the Association): 특정 요인이 특정 질병과 연관되어 있고, 다른 질병과는 연관성이 없을 때 인과 관계가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단, 이 기준은 중요도가 상대적으로 낮습니다.)

4. 시간적 선후관계(Temporal Sequence of Association): 원인 요인이 질병 발생보다 시간적으로 먼저 발생해야 합니다. 인과 관계를 입증하기 위한 필수적인 조건입니다.

5. 용량-반응 관계(Dose-Response Association): 요인에 대한 노출량이 증가할수록 질병 발생 위험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일 때 인과 관계가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6. 생물학적 설명력(Biological Plausibility): 요인과 질병 발생 간의 관계가 기존의 생물학적 지식으로 설명 가능할 때 인과 관계가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7. 기존 학설과의 일관성(Coherence): 요인과 질병 발생 간의 관계가 이미 알려진 사실이나 이론과 모순되지 않고 일관성이 있을 때 인과 관계가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8. 실험적 증거(Experimental Evidence): 실험 연구(예: 무작위 대조군 연구)를 통해 요인과 질병 발생 간의 인과 관계가 증명될 때 인과 관계가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9. 기존의 인과관계와의 유사성(Analogy): 이미 알려진 다른 인과 관계와 유사한 패턴을 보일 때 인과 관계가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단, 이 기준은 중요도가 상대적으로 낮습니다.)
주의사항:


  • 브래드포드 힐 기준은 인과 관계를 판단하는 데 유용한 지침이지만, 모든 기준을 반드시 충족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 각 기준의 충족 여부를 기계적으로 판단하기보다는, 연구자가 종합적인 근거를 바탕으로 신중하게 판단해야 합니다.
  • 특히 시간적 선후관계는 인과관계 판단에 필수적입니다.

예시: 흡연과 폐암흡연과 폐암의 관계는 브래드포드 힐 기준을 잘 충족하는 대표적인 인과 관계 사례입니다.

  • 관련성의 강도: 흡연자는 비흡연자에 비해 폐암 발생 위험이 매우 높습니다.
  • 관련성의 일관성: 여러 연구에서 흡연과 폐암의 관련성이 반복적으로 확인되었습니다.
  • 시간적 선후관계: 흡연이 폐암 발생보다 먼저 일어납니다.
  • 용량-반응 관계: 흡연량과 흡연 기간이 증가할수록 폐암 발생 위험도 증가합니다.
  • 생물학적 설명력: 담배 연기 속 발암 물질이 폐 세포를 손상시켜 암을 유발한다는 것이 밝혀졌습니다.


이 외에도 9가지 기준 대부분을 만족하므로 흡연과 폐암은 역학적 인과관계가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브래드포드 힐 판정
브래드포드 힐 판정
유형인과관계 증거
분야역학, 보건, 의학
기준
강도 (효과 크기)작은 연관성은 인과 관계가 아닐 수도 있지만, 큰 연관성은 더욱 설득력이 있음.
일관성 (재현성)여러 장소, 다양한 샘플, 다양한 시간대에 걸쳐 여러 연구에서 관찰된 일관된 결과.
특이성노출과 질병 사이의 연관성은 특정 집단, 장소, 질병에 국한되어야 하며 다른 질병에는 해당되지 않음.
시간성노출은 항상 결과보다 선행해야 함.
생물학적 기울기 (용량-반응 관계)노출량이 많을수록 효과도 커짐.
그럴듯함 (생물학적 개연성)노출과 질병 사이의 그럴듯한 생물학적 메커니즘.
일관성 (경험)실험적 증거.
유추유사한 요인과 효과 사이의 확립된 인과 관계에 대한 유사성.
참고 문헌
참고 문헌제목=Sequence-Based Identification of Microbial Pathogens: a Reconsideration of Koch's Postulate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