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브룬 상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브룬 상수는 쌍둥이 소수들의 역수 합으로 정의되는 수학 상수이다. 이 상수는 상한과 하한으로 분리될 수 있으며, 쌍둥이 소수의 정의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세쌍둥이 소수의 역수 합으로 정의되는 세쌍둥이 브룬 상수도 존재하며, 특정 소수들의 규칙적인 배열을 따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해석적 수론 - 타원곡선
    타원곡선은 체 위에서 정의되고 특이점이 없으며 종수가 1인 사영 대수 곡선으로, 유리점을 가지며, 특정 형태의 방정식으로 표현되고, 실수체 위에서는 연결 성분 개수가 판별식에 따라 달라지며, 복소수체 위에서는 원환면과 위상적으로 동형이고, 점들 간에 군 연산이 정의되어 암호학 및 정수론에 활용된다.
  • 해석적 수론 - 리만 제타 함수
    리만 제타 함수는 복소수 s의 함수로, 실수부가 1보다 큰 영역에서 무한급수로 정의되고 s ≠ 1인 모든 복소수에서 유리형 함수로 해석적 연속이 가능하며 함수 방정식과 오일러 곱 공식을 만족하고, 영점 분포는 소수 분포와 관련이 있으며, 비자명 영점이 임계선 상에 있다는 리만 가설은 중요한 미해결 문제이다.
  • 소수 - 소수 (수론)
    소수는 1과 자기 자신만을 약수로 가지는 1보다 큰 자연수이며, 무한히 많고 정수론의 기본 정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 소수 - 디리클레 L-함수
    디리클레 L-함수는 디리클레 지표로 정의되는 복소함수로, 등차수열에 대한 디리클레 정리를 증명하기 위해 도입되었으며, 리만 제타 함수의 일반화이자 오일러 곱, 함수 방정식 등의 성질을 가지며, 모듈러 형식, 타원 곡선과 관련되어 수론적 L-함수 연구의 핵심이고 암호론, 컴퓨터 과학 등에 응용된다.
  • 수학 상수 - 허수 단위
    허수 단위 i는 i² = −1을 만족하는 수로, 실수 체계에서는 정의되지 않는 음수의 제곱근을 나타내며 복소수 체계의 기본 구성 요소로서 복소평면에서 90° 회전하는 효과를 가지며 1, i, -1, -i를 주기적으로 순환하는 특징을 가진다.
  • 수학 상수 - 실베스터 수열
    실베스터 수열은 각 항이 이전 항들의 곱에 1을 더한 값으로 정의되는 정수 수열로서, 재귀적으로 정의되며 이중 지수 함수적으로 증가하고, 이집트 분수 및 탐욕 알고리즘과 관련이 있으며, 역수 합은 1로 수렴한다.
브룬 상수
수학 상수 정보
이름브룬 상수
분야정수론
기호B₂
정의쌍둥이 소수의 역수의 합
값 (10¹⁴까지 계산)1.902160578
값 (10¹⁶까지 계산)1.902160583104…
수식B₂ = 1.902160583…
관련 상수B₄ (사촌 소수 상수)
쌍둥이 소수 추측 정보
쌍둥이 소수 추측쌍둥이 소수는 무한히 많다.
브룬 상수쌍둥이 소수의 역수의 합은 수렴한다. (브룬의 정리)
사촌 소수 상수 정보
기호B₄
사촌 소수 예시(5, 7, 11, 13), (11, 13, 17, 19), (101, 103, 107, 109)
B₄ = 0.87058 83800 ± 0.00000 00005

2. 브룬 상수

'''브룬 상수'''(B_2)는 쌍둥이 소수의 역수의 합으로 정의되는 값이다. 이 값은 수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약 1.9021605831이다.[2][3] 하지만 이 수가 무리수인지 유리수인지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브룬 상수 B_2는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B_2=U + L= 1.9021605831\cdots

:U=0.843096 \cdots[2]

:L=1.059064 \cdots[3]

여기서 U는 G(n)= 6 k +1 , (k\ge1) 형태를 가지는 수들의 역수의 합이고, L은 g(n)= 6 k -1 , (k\ge1) 형태를 가지는 수들의 역수의 합이다.

또한, 분리된 브룬 상수 B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B= \sum_{n\ge1}\frac{1}{P(n)} = 0.10798397495\cdots[4]

:P(n)= p(p+2) (p는 소수, p+2도 소수)[5]

2. 1. 브룬 상수의 분리

브룬 상수 B_2는 상한(U)과 하한(L)으로 분리할 수 있다.

:B_2=U + L

:U= \sum_{n \ge 1} \frac{1}{G(n)}

:L= \sum_{n \ge 1} \frac{1}{g(n)}

:G(n)= 6k + 1, (k \ge 1)

:g(n)= 6k - 1, (k \ge 1)

:U=0.843096 \cdots[2]

:L=1.059064 \cdots[3]

:B_2 = U + L = 1.9021605831\cdots

  • U는 n이 1 이상일 때 G(n)의 역수의 합으로, G(n)은 k가 1 이상일 때 6k+1로 정의된다. U의 값은 약 0.843096이다.[2]
  • L은 n이 1 이상일 때 g(n)의 역수의 합으로, g(n)은 k가 1 이상일 때 6k-1로 정의된다. L의 값은 약 1.059064이다.[3]


이 둘을 합한 브룬 상수 B_2의 값은 약 1.9021605831이다.

분리된 브룬 상수 B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B = \frac{(L - U)}{2}

:B = \frac{1}{3 \cdot 5} + \frac{1}{5 \cdot 7} + \frac{1}{11 \cdot 13} + \cdots

:B= \sum_{n \ge 1}\frac{1}{P(n)}

:B = 0.10798397495\cdots[4]

:P(n)= p(p+2), \; \left\{p \ge 3, \; p+2=p \;|\; (p,p+2)_1 ,(p,p+2)_2,(p,p+2)_n,\cdots \right\}[5]

B는 L과 U의 차이를 2로 나눈 값으로, 3·5, 5·7, 11·13 등과 같이 연속된 소수 쌍의 곱의 역수의 합으로 표현된다. 이 값은 약 0.10798397495이다.[4]

3. 세쌍둥이 브룬 상수

트리플릿(세쌍둥이) 브룬 상수는 쌍둥이 브룬 상수처럼 규칙적인 일련의 3개의 소수로 이루어지는 소수들의 합의 값이다.[6]

:B_{3b}=\sum_{}^{} {\left( \left(++\right) +\left(++\right)+\left(++\right)+ \cdots \right) }

:=\sum_{}^{} {\left( \left(++\right) +\left(++\right)+\left(++\right)+ \cdots \right) }

:=0.837113212411 \cdots

참조

[1] 웹사이트 https://web.archive.[...]
[2] OEIS http://oeis.org/A006[...]
[3] OEIS http://oeis.org/A001[...]
[4] OEIS http://oeis.org/A209[...]
[5] OEIS http://oeis.org/A037[...]
[6] OEIS http://oeis.org/A27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