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뤼셀 센트랄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브뤼셀 센트랄역은 벨기에 브뤼셀에 위치한 주요 철도역으로, 1952년 10월 4일에 개통되었다.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까지 브뤼셀 북역과 브뤼셀 남역을 연결하는 남북 연결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건설되었으며, 유명 건축가 빅토르 오르타가 설계를 맡았다. 2004년부터 2010년까지 개조 공사를 거쳐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으며, 2017년에는 테러 시도가 있었다. 이 역은 3면 6선의 지하역으로, 브뤼셀 지하철 1호선과 5호선과 연결되어 있으며, 다양한 인터시티 및 지역 열차 노선이 운행된다. 1일 평균 14만 명이 이용하는 붐비는 역으로, 주변에는 그랑플라스, 벨기에 왕립 도서관 등 주요 관광 명소가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브뤼셀 메트로의 철도역 - 말베이크역
벨기에 브뤼셀에 위치한 말베이크역은 1호선과 5호선이 지나가는 지하철역으로, 유럽 연합 주요 기관들과 인접해 있으며, 2016년 테러 이후 재개장하여 예술 작품이 전시되어 있다. - 브뤼셀 메트로의 철도역 - 브뤼셀 남역
브뤼셀 남역은 벨기에 브뤼셀에 있는 주요 철도역으로, 프랑스어로는 브뤼셀-미디, 네덜란드어로는 브뤼셀-주이드라고 불리며, 다양한 고속철도 노선과 국제선, 국내선 노선이 운행되는 교통 허브이다. - 브뤼셀의 철도역 - 브뤼셀 남역
브뤼셀 남역은 벨기에 브뤼셀에 있는 주요 철도역으로, 프랑스어로는 브뤼셀-미디, 네덜란드어로는 브뤼셀-주이드라고 불리며, 다양한 고속철도 노선과 국제선, 국내선 노선이 운행되는 교통 허브이다. - 브뤼셀의 철도역 - 브뤼셀 북역
브뤼셀 북역은 벨기에 브뤼셀 수도권의 주요 철도역으로, 다양한 철도 노선과 브뤼셀 선상철도가 연결되어 많은 승객이 이용하며, 1952년 재건축되어 현재 모더니즘 양식으로 주변 주요 시설들과 함께 위치한다. - 브뤼셀시 - 말베이크역
벨기에 브뤼셀에 위치한 말베이크역은 1호선과 5호선이 지나가는 지하철역으로, 유럽 연합 주요 기관들과 인접해 있으며, 2016년 테러 이후 재개장하여 예술 작품이 전시되어 있다. - 브뤼셀시 - 2016년 브뤼셀 폭탄 테러
2016년 3월 22일 벨기에 브뤼셀 공항과 말베이크 지하철역에서 발생한 연쇄 폭탄 테러로 최소 35명이 사망하고 300명 이상이 부상당했으며, 이슬람 국가(IS)는 자신들의 소행이라고 주장하며 벨기에의 이슬람 국가 격퇴전 참여에 대한 보복이라고 밝혔다.
브뤼셀 센트랄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위치 정보 | |
기본 정보 | |
![]() | |
종류 | 철도역 |
스타일 | 벨기에 철도 |
주소 | / 2 1000 브뤼셀 시, 브뤼셀 수도권 |
국가 | 벨기에 |
노선 | 북-남 연결선 |
연결 | 브뤼셀 지하철: (중앙역 지하철역) |
승강장 | 3 (섬식 승강장) |
선로 수 | 6 |
개업일 | 1952년 10월 4일 |
폐쇄일 | 해당 없음 |
재건축 | 해당 없음 |
전철화 여부 | 해당 |
접근성 | 해당 |
건축가 | 빅토르 오르타, 막심 브룅포 |
건축 양식 | 근대 건축 |
코드 | FBCL |
소유주 | SNCB/NMBS |
운영자 | SNCB/NMBS |
공식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이전 명칭 | 해당 없음 |
승객 수 | 해당 없음 |
연간 승객 수 | 해당 없음 |
연간 승객 증가율 | 해당 없음 |
승객 시스템 | 해당 없음 |
월간 승객 수 | 해당 없음 |
철도 정보 | |
노선 | 1호선 5호선 |
이전 역 | 드 브루케르 역 |
다음 역 | 공원 |
개업일 (지하철) | 1969년 12월 17일 |
기타 | |
비고 | 공식 명칭은 브뤼셀-중앙 (; ) |
2. 역사
19세기 말과 20세기 초, 브뤼셀 북역과 브뤼셀 남역은 브뤼셀의 주요 철도역이었다. 그러나 두 역은 오늘날의 브뤼셀 소순환로를 따라가는 부적절한 단선로로만 연결되어 있었다. 두 역을 더 효율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많은 제안이 제시되었고, 1909년에 남북 연결을 의무화하는 법이 통과되었다. 하지만, 최종 프로젝트는 거의 반 세기가 지나서야 완료되었다.
1910년, 유명 건축가 빅토르 오르타가 중앙역 건물 단지의 설계를 맡아 1912년에 초기 버전을 완성했다. 1920년대에는 역 건설을 위한 부지 확보와 1,000채가 넘는 건물 철거가 이루어졌다. Putterie/Putterij 지구가 철거되기 시작했으나, 제1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공사가 중단되었다. 전쟁 후 재정 문제로 공사가 제한되었고, 1927년 벨기에 연방 정부는 프로젝트를 전면 중단했다. 1935년 프로젝트 전담 부서가 신설되어 공사가 재개되었고, 중앙역은 이 연결의 허브로 계획되었다. 그러나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공사가 다시 지연되었다. 공사의 중단과 지연으로 수십 년 동안 넓은 지역에 잔해와 구덩이가 가득했다.
빅토르 오르타는 전쟁이 끝난 후 역 공사에 복귀했으나, 1947년에 사망했다. 이후 막심 브륑포가 이끄는 건축팀이 역 건설을 맡았다. 막심 브륑포는 빅토르 오르타의 설계를 바탕으로 역 건설을 완료하고, 자벤템 교외의 브뤼셀 공항으로 가는 새로운 열차 노선과 보행자를 위한 여러 지하 통로를 추가하여 계획을 확장했다. 1952년10월 4일, 브뤼셀 중앙역이 공식적으로 개통되었다. 역의 주요 홀에는 개통을 기념하는 두 개의 기념 현판이 있는데, 두 번째 현판의 왼쪽에는 페르낭 브륑포의 이미지가 새겨진 메달이 있다.[2]
브뤼셀 센트랄역은 2004년부터 2010년까지 개조되어 현재의 사용 수준에 더 잘 대응할 수 있게 되었다. 이 때 두 개의 새로운 입구가 만들어졌고, 정문은 대대적으로 개조되었다. 역 앞에는 보행자 광장인 유럽 교차로(유럽 교차로/Carrefour de l'Europe프랑스어/유럽 교차점/Europakruispuntnl)이 조성되었다.[3] 주요 역과 지하철역을 연결하는 낡고 지저분하며 소변 냄새가 끊이지 않는 터널은 2013년에 더 밝고 낙서 방지 환경을 갖춘 새로운 터널로 완공되었다.[4]
2017년 6월, 이슬람 지하디즘의 한 일원이 브뤼셀 공격 당시 센트랄역에서 가방 폭탄을 터뜨리려 시도했으나, 사상자는 없었다. 공격자는 역을 순찰하던 군인 중 한 명에게 사살되었다.[5][6][7]
2018년과 2019년 사이에는 화재 발생 시 환기 및 연기 배출을 개선하기 위해 남북 연결 터널이 개조되었다. 아치형 천장을 지지하는 기둥으로 분리된 6차선 지하 터널은 정기적인 간격으로 방화문이 설치된 벽으로 분리된 세 개의 개구부가 있는 터널로 변환되었다.[8]
2. 1. 초기 구상 및 건설
19세기 말과 20세기 초, 브뤼셀 북역과 브뤼셀 남역은 브뤼셀의 주요 철도역이었다. 그러나 두 역은 오늘날의 브뤼셀 소순환로를 따라가는 부적절한 단선로로만 연결되어 있었다. 두 역을 더 효율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많은 제안이 제시되었고, 1909년에 남북 연결을 의무화하는 법이 통과되었다.1910년, 유명 건축가 빅토르 오르타가 중앙역 건물 단지의 설계를 맡아 1912년에 초기 버전을 완성했다. 1920년대에는 역 건설을 위한 부지 확보와 1,000채가 넘는 건물 철거가 이루어졌다. Putterie/Putterij 지구가 철거되기 시작했으나, 제1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공사가 중단되었다. 전쟁 후 재정 문제로 공사가 제한되었고, 1927년 벨기에 연방 정부는 프로젝트를 전면 중단했다. 1935년 프로젝트 전담 부서가 신설되어 공사가 재개되었고, 중앙역은 이 연결의 허브로 계획되었다. 그러나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공사가 다시 지연되었다.
2. 2. 완공 및 개통
19세기 말과 20세기 초, 브뤼셀 북역과 브뤼셀 남역은 브뤼셀의 주요 철도역이었다. 그러나 두 역은 오늘날의 브뤼셀 소순환로를 따라가는 부적절한 단선로로만 연결되어 있었다. 1909년에 남북 연결을 의무화하는 법이 통과되었지만, 최종 프로젝트는 거의 반 세기가 지나서야 완료되었다.유명한 건축가 빅토르 오르타는 1910년에 중앙역 건물 단지의 설계를 맡아 1912년에 초기 버전을 완성했다. 역 계획에는 원래 주요 도시 재개발 프로젝트가 포함되어 1920년대에 토지를 매입하고 1,000채가 넘는 건물을 철거했다. Putterie/Putterij 지구는 지하역과 건물 단지 건설을 위해 철거되기 시작했다. 그러나 제1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공사가 중단되었다. 전쟁 후 재정적 제약으로 공사가 제한되었고, 1927년에는 벨기에 연방 정부가 프로젝트를 전면 중단했다. 1935년에는 프로젝트 전담 부서가 신설되어 공사가 재개되었고, 중앙역은 이 연결의 허브로 계획되었다. 그러나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공사가 다시 늦어졌다. 공사의 중단과 지연으로 수십 년 동안 넓은 지역에 잔해와 구덩이가 가득했다.
빅토르 오르타는 전쟁이 끝난 후 역 공사에 복귀했으나, 1947년에 사망했다. 이후 막심 브륑포가 이끄는 건축팀이 역 건설을 맡았다. 막심 브륑포는 빅토르 오르타의 설계를 바탕으로 역 건설을 완료하고, 자벤템 교외의 브뤼셀 공항으로 가는 새로운 열차 노선과 보행자를 위한 여러 지하 통로를 추가하여 계획을 확장했다. 1952년 10월 4일, 브뤼셀 중앙역이 공식적으로 개통되었다. 역의 주요 홀에는 개통을 기념하는 두 개의 기념 현판이 있는데, 두 번째 현판의 왼쪽에는 페르낭 브륑포의 이미지가 새겨진 메달이 있다.[2]
2. 3. 21세기 현대화
브뤼셀 센트랄역은 2004년부터 2010년까지 개조되어 현재의 사용 수준에 더 잘 대응할 수 있게 되었다. 이 때 두 개의 새로운 입구가 만들어졌고, 정문은 대대적으로 개조되었다. 역 앞에는 보행자 광장인 유럽 교차로/Carrefour de l'Europe프랑스어/유럽 교차점/Europakruispuntnl이 조성되었다.[3] 주요 역과 지하철역을 연결하는 낡고 지저분하며 소변 냄새가 끊이지 않는 터널은 2013년에 더 밝고 낙서 방지 환경을 갖춘 새로운 터널로 완공되었다.[4]2017년 6월, 이슬람 지하디즘의 한 일원이 브뤼셀 공격 당시 센트랄역에서 가방 폭탄을 터뜨리려 시도했으나, 사상자는 없었다. 공격자는 역을 순찰하던 군인 중 한 명에게 사살되었다.[5][6][7]
2018년과 2019년 사이에는 화재 발생 시 환기 및 연기 배출을 개선하기 위해 남북 연결 터널이 개조되었다. 아치형 천장을 지지하는 기둥으로 분리된 6차선 지하 터널은 정기적인 간격으로 방화문이 설치된 벽으로 분리된 세 개의 개구부가 있는 터널로 변환되었다.[8]
3. 역 구조
브뤼셀 센트랄역은 3면 6선의 섬식 승강장을 갖춘 지하역이다.[9] 역사는 황후 대로(Boulevard de l'Impératrice/카이저린란/Keizerinlaannl), 인판테 이자벨 거리(Rue de l'Infante Isabelle/인판테 이사벨라스트라트/Infante Isabellastraatnl), 칸터슈테인(Cantersteen/칸터스텐/Kantersteennl), 푸테리 거리(Rue de la Putterie/퓌테레이스트라트/Putterijstraatnl)로 둘러싸여 있으며, 각 거리에 출입구가 있다.[9] 주요 입구와 매표소는 황후 대로에 있으며, SNCB/NMBS에서 운영하는 주요 홀에는 자동 발권기가 설치되어 있다.[9] 교통 약자를 위한 시설과 서비스도 제공된다.[9]
현재 사용 수준(평일 기준 약 70,000명의 승객)과 미래 사용 수준에 맞춰져 있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10] 최근 몇 년간 내부와 승강장이 리모델링되었지만, 수용 능력 부족 문제는 해결되지 않았다.[10] 역 확장에 대한 제안은 있었으나, 널리 받아들여진 제안은 없었다.[10] 인프라벨(Infrabel)은 철도 수용 능력과 역 확장이 필요하다고 판단했으며, 인프라벨 CEO는 적절한 확장에 최소 10억 유로가 소요될 것으로 추산했다.[10][11] 그러나 관련 당국 간의 합의는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일부에서는 북-남 연결 확장 논의가 1911년에서 1952년 사이 초기 건설로 인한 광범위한 지연과 인근 블록 파괴의 역사 때문에 금기시된 것에 기인한다고 보고 있다.
3. 1. 벨기에 국철
브뤼셀 센트랄역은 3면 6선의 섬식 승강장을 갖춘 지하역이다.[9] 역사는 황후 대로(Boulevard de l'Impératrice/카이저린란/Keizerinlaannl), 인판테 이자벨 거리(Rue de l'Infante Isabelle/인판테 이사벨라스트라트/Infante Isabellastraatnl), 칸터슈테인(Cantersteen/칸터스텐/Kantersteennl), 푸테리 거리(Rue de la Putterie/퓌테레이스트라트/Putterijstraatnl)로 둘러싸여 있으며, 각 거리에 출입구가 있다.[9] 주요 입구와 매표소는 황후 대로에 있으며, SNCB/NMBS에서 운영하는 주요 홀에는 자동 발권기가 설치되어 있다.[9] 교통 약자를 위한 시설과 서비스도 제공된다.[9]2003년 4월부터 여행 센터가 개설되어 7개의 유리 매표 창구와 자동 발권기가 설치되었고, 2008년까지 에스컬레이터 등 시설 개량이 이루어졌다.[9] 역 승강장은 300만 유로를 들여 개조되었으며, 상업 시설이 병설되어 총 2200만 유로가 소요되었다.
현재 사용 수준(평일 기준 약 70,000명의 승객)과 미래 사용 수준에 맞춰져 있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10] 최근 몇 년간 내부와 승강장이 리모델링되었지만, 수용 능력 부족 문제는 해결되지 않았다.[10] 역 확장에 대한 제안은 있었으나, 널리 받아들여진 제안은 없었다.[10] 인프라벨(Infrabel)은 철도 수용 능력과 역 확장이 필요하다고 판단했으며, 인프라벨 CEO는 적절한 확장에 최소 10억 유로가 소요될 것으로 추산했다.[10][11] 그러나 관련 당국 간의 합의는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일부에서는 북-남 연결 확장 논의가 1911년에서 1952년 사이 초기 건설로 인한 광범위한 지연과 인근 블록 파괴의 역사 때문에 금기시된 것에 기인한다고 보고 있다.
3. 2. 브뤼셀 지하철
브뤼셀 지하철 1호선과 5호선이 브뤼셀 중앙역(가르 상트랄/Gare Centrale프랑스어, 센트랄 스타시온/Centraal Stationnl)에 연결되어 있다.[12][13] 지하철역은 기차역에서 도보로 5분 거리에 있으며, 보행자 터널을 통해 접근할 수 있다. 1969년 12월 17일, 데 브루케레와 슈만 사이를 운행하는 프리메트로(지하 트램) 역으로 처음 개통되었다. 이 노선은 1976년 9월 20일에 정식 지하철로 승격되었다.[12][13]4. 운행 노선
브뤼셀 센트랄역에는 다양한 인터시티(IC) 노선과 지역 열차(S) 노선이 정차한다.
- 인터시티 (IC 01) ''오스텐더 - 브뤼헤 - 겐트 - 브뤼셀 - 루벤 - 리에주 - 웰켄라에트 - 오이펜''
- 인터시티 (IC 03) ''크노케/블랑켄베르허 - 브뤼헤 - 겐트 - 브뤼셀 - 루벤 - 하셀트 - 헹크''
- 인터시티 (IC 05) ''앤트워프 - 메헬렌 - 브뤼셀 - 니벨 - 샤를루아 (평일)''
- 인터시티 (IC 06) ''투르네 - 아스 - 할레 - 브뤼셀 - 브뤼셀 공항''
- 인터시티 (IC 06A) ''몽스 - 브렌-르-콩테 - 브뤼셀 - 브뤼셀 공항''
- 인터시티 (IC-11) ''뱅쉬 - 브렌-르-콩테 - 할레 - 브뤼셀 - 메헬렌 - 턴하우트 (평일)''
- 인터시티 (IC 12) ''코르트레이크 - 겐트 - 브뤼셀 - 루벤 - 리에주 - 웰켄라에트 (평일)''
- 인터시티 (IC 14) ''퀴브랭 - 몽스 - 브렌-르-콩테 - 브뤼셀 - 루벤 - 리에주 (평일)''
- 인터시티 (IC 16) ''브뤼셀 - 나뮈르 - 아를론 - 룩셈부르크''
- 인터시티 (IC 17) ''브뤼셀 - 나뮈르 - 디낭 (주말)''
- 인터시티 (IC 18) ''브뤼셀 - 나뮈르 - 리에주 (평일)''
- 인터시티 (IC 20) ''겐트 - 알스트 - 브뤼셀 - 하셀트 - 통에렌 (평일)''
- 인터시티 (IC 20) ''겐트 - 알스트 - 브뤼셀 - 덴데르몬데 - 로케렌 (주말)''
- 인터시티 (IC 22) ''에센 - 앤트워프 - 메헬렌 - 브뤼셀 (평일)''
- 인터시티 (IC 22) ''앤트워프 - 메헬렌 - 브뤼셀 - 할레 - 브렌-르-콩테 - 뱅쉬 (주말)''
- 인터시티 (IC 23) ''오스텐더 - 브뤼헤 - 코르트레이크 - 조테겜 - 브뤼셀 - 브뤼셀 공항''
- 인터시티 (IC 23A) ''브뤼헤 - 겐트 - 브뤼셀 - 브뤼셀 공항 (평일)''
- 인터시티 (IC 23A) ''겐트 - 브뤼셀 - 브뤼셀 공항 (주말)''
- 인터시티 (IC 26) ''코르트레이크 - 투르네 - 할레 - 브뤼셀 - 덴데르몬데 - 로케렌 - 신트 니클라스 (평일)''
- 인터시티 (IC 29) ''데 판 - 겐트 - 알스트 - 브뤼셀 - 브뤼셀 공항 - 루벤 - 란덴''
- 인터시티 (IC 31) ''앤트워프 - 메헬렌 - 브뤼셀 (평일)''
- 인터시티 (IC 31) ''앤트워프 - 메헬렌 - 브뤼셀 - 니벨 - 샤를루아 (주말)''
- 인터시티 (IC 35) ''암스테르담 - 헤이그 - 로테르담 - 로젠달 - 앤트워프 - 브뤼셀 공항 - 브뤼셀''
- 지역 노선 (S1) ''앤트워프 - 메헬렌 - 브뤼셀 - 워털루 - 니벨 (평일)''
- 지역 노선 (S1) ''앤트워프 - 메헬렌 - 브뤼셀 (주말)''
- 지역 노선 (S1) ''브뤼셀 - 워털루 - 니벨 (주말)''
- 지역 노선 (S2) ''루벤 - 브뤼셀 - 할레 - 브렌-르-콩테''
- 지역 노선 (S3) ''덴데르몬데 - 브뤼셀 - 덴데를레우 - 조테겜 - 오우데나르데 (평일)''
- 지역 노선 (S6) ''알스트 - 덴데를레우 - 헤라르츠베르헌 - 할레 - 브뤼셀 - 샤르베이크''
- 지역 노선 (S8) ''브뤼셀 - 에테르베크 - 오티니 - 루뱅라뇌브''
- 지역 노선 (S10) ''덴데르몬데 - 브뤼셀 - 덴데를레우 - 알스트''
벨기에 국철의 북남 접속선을 따라 브뤼셀-콩그레역과 브뤼셀-샤펠역 사이에 위치한다. 또한, 브뤼셀 지하철 1호선과 5호선이 드 브루케르역과 공원역 사이를 운행하며 이 역에 정차한다.
5. 이용 현황
브뤼셀 중앙역은 1일 평균 14만 명이 이용하는 매우 붐비는 역이다. 벨기에 철도 네트워크 관리자인 인프라벨은 향후 승객 증가에 대비하여 철도 수용 능력과 역 확장이 필요하다고 판단하고 있다.
6. 주변 지역
브뤼셀 중앙역은 브뤼셀 중심부에 위치하여 주요 관광 명소와 편의 시설에 쉽게 접근할 수 있다. 역 주변에는 그랑플라스, 벨기에 왕립 도서관/Bibliothèque royale de Belgique프랑스어, 생 미셸 성당/Cathédrale Saints-Michel-et-Gudule프랑스어, 브뤼셀 영화 박물관/Musée du cinéma de Bruxelles프랑스어이 있다. 또한 브뤼셀 시청사, 힐튼 브뤼셀 그랑 플라스, 카르푸 드 루로프 등이 위치해 있다.
참조
[1]
뉴스
Gares : Bruxelles-Centrale en tête
http://www.lalibre.b[...]
2010-06-10
[2]
서적
"Brunfaut's : progressive architecture. Fernand, Gaston, Maxime Brunfaut: a family of modernist architects"
Brussels, Atomium éditions/CFC-éditions
2013
[3]
뉴스
Bruxelles: la nouvelle gare centrale a été inaugurée
http://www.rtbf.be/i[...]
2010-09-20
[4]
뉴스
Le couloir de la gare centrale enfin rénové
http://www.rtbf.be/i[...]
2010-05-06
[5]
웹사이트
Failed Brussels attack could have caused widespread casualties – authorities
http://www.theguardi[...]
2017-06-21
[6]
웹사이트
Brussels train station blast being treated as terror attack
https://apnews.com/a[...]
2021-05-08
[7]
웹사이트
Explosive TATP used in Brussels Central Station attack, initial exam shows
https://www.cnn.com/[...]
[8]
웹사이트
Dans les coulisses du chantier de modernisation de la jonction Nord-Midi
https://bx1.be/categ[...]
2018-06-26
[9]
웹사이트
BRUXELLES-CENTRAL
http://www.belgianra[...]
[10]
뉴스
Brussel-Centraal heeft extra spoortunnel nodig
http://www.nieuwsbla[...]
2008-09-26
[11]
뉴스
Infrabel consults on Brussels bottleneck
http://www.railwayga[...]
2008-09-26
[12]
웹사이트
Le tunnel de la Gare Centrale remis à neuf
https://www.lalibre.[...]
2023-08-17
[13]
웹사이트
La rénovation de la station de métro de la gare centrale finalement prévue en 2022
https://bx1.be/categ[...]
2021-08-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