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 빌 모건필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빅 빌 모건필드는 미국의 블루스 음악가이다. 그는 일리노이주 시카고에서 태어나 플로리다주에서 자랐으며, 터스키기 대학교에서 학사 학위를, 오번 대학교에서 커뮤니케이션 학위를 받았다. 1983년 아버지 머디 워터스 사망 이후 음악을 시작하여 1999년 데뷔 앨범 'Rising Son'을 발매했고, W.C. 핸디 어워드를 수상했다. 2000년대에는 여러 페스티벌에서 공연했으며, 밥 딜런 전기 영화 'A Complete Unknown'(2024)에 출연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터스키기 대학교 동문 - 앨리스 코치먼
앨리스 코치먼은 미국의 높이뛰기 선수로, 1948년 런던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며 흑인 여성 최초의 올림픽 금메달리스트가 되었고, 전미 아마추어 육상 연맹 선수권 대회 10회 연속 우승, 농구 선수 활동, 은퇴 후 교육과 직업 훈련 헌신 등의 업적으로 다수의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 터스키기 대학교 동문 - 랠프 엘리슨
랠프 엘리슨은 소설 《보이지 않는 인간》으로 전미 도서상을 수상하고 현대 문학에 큰 영향을 미친 미국의 소설가, 비평가, 학자이다. - 오번 대학교 동문 - 지미 웨일스
지미 웨일스는 1966년생으로 위키피디아의 공동 설립자이며, 위키미디어 재단을 설립하여 위키백과를 지원하고 위키아를 설립하는 등 인터넷 기업가로 활동했다. - 오번 대학교 동문 - 김용운 (교수)
김용운은 일본에서 태어나 수학자, 교육자, 저술가로 활동하며, 수학 교사, 대학교수, 학회 회장, 이사장 등을 역임하고 수학사, 한일 비교문화, 구조주의 원형사관 등을 연구하며 150여 권의 저서를 집필한 인물이다. - 일리노이주 출신 음악가 - 폴 길버트
폴 길버트는 레이서 X와 미스터 빅의 멤버로 활동하며 속주 기타리스트로 이름을 알린 미국의 기타리스트이자, 솔로 활동과 기타 교육 활동을 병행하며 아이바네즈 시그니처 모델 기타를 사용하고 드릴 연주 기법으로도 유명하다. - 일리노이주 출신 음악가 - 프니엘
프니엘은 보이 그룹 BTOB의 멤버이자 래퍼, 싱어송라이터, 사진 작가, 방송인이며, JYP 엔터테인먼트 연습생 출신으로 BTOB의 리드 래퍼로 데뷔하여 그룹 활동, 솔로 활동, 방송 활동, 사진 전시회 등 다방면에서 활동하고 있다.
| 빅 빌 모건필드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본명 | 윌리엄 모건필드 |
| 출생일 | 1956년 6월 19일 |
| 출생지 | 일리노이주 시카고 |
| 직업 | 음악가, 송라이터, 교사 |
| 악기 | 보컬, 기타 |
| 장르 | 블루스, 리듬 앤 블루스, 소울 |
| 활동 기간 | 1990년 – 현재 |
| 레이블 | Taxim, Blind Pig, Black Shuck |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 가족 | 아버지 머디 워터스 |
2. 생애
빅 빌 모건필드는 일리노이주 시카고에서 태어났으나, 주로 플로리다주 남부에서 성장했다.[1][2] 대학에서 영문학과 커뮤니케이션을 전공하고 교사로 일하다가 비교적 늦은 나이에 음악가의 길을 걷기 시작했다.[1]
그는 1983년 아버지 머디 워터스가 사망한 이후 본격적으로 음악에 뛰어들어 기타를 배우기 시작했다.[2] 1990년대 후반부터 자신의 밴드("The Stone Cold Blues Band")를 결성하여 공연 활동을 시작했으며, 1998년부터는 미국 동부 해안 지역과 주요 페스티벌 무대에 서기 시작했다. 1999년에는 첫 독립 앨범인 ''Rising Son''을 블라인드 피그 레코드(Blind Pig Records)를 통해 발매하며 주목받았다.[2] 이 앨범으로 2000년 블루스 뮤직 어워드 (당시 W.C. 핸디 어워드)에서 최우수 신인 블루스 아티스트상을 수상했다.[2]
이후 ''Ramblin' Mind'', ''Born Lover'' 등의 앨범을 발표하고[2][3], 샌프란시스코 블루스 페스티벌을 비롯한 전 세계의 여러 페스티벌과 공연장에서 활발히 활동하며 블루스 음악가로서의 입지를 다졌다.[2] 콘서트에서는 자신의 곡과 함께 아버지의 곡을 연주하기도 한다.[2] 2024년에는 밥 딜런의 전기 영화 ''A Complete Unknown''에 블루스 음악가 역할로 출연하기도 했다.[5]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모건필드는 일리노이 시카고에서 태어났다. 그는 아버지 머디 워터스와 거의 교류 없이 자랐으며,[1] 대신 할머니 손에 플로리다주 남부에서 성장했다.[1][2] 현재는 조지아주 애틀랜타에 거주하고 있다.[1][2] 어린 시절 그는 아버지의 음반과 더불어 잭슨 파이브와 같은 대중음악을 들으며 자랐다.[1]그는 터스키기 대학교에서 영문학 학사 학위를 받았고, 오번 대학교에서는 커뮤니케이션 학위를 취득했다. 대학 졸업 후 바로 음악가의 길을 걷지 않고 교사로 먼저 사회생활을 시작했으며, 음악은 비교적 늦게 시작했다.[1] 본격적으로 음악에 뛰어든 것은 1983년 아버지가 사망한 이후였고, 이후 6년간 기타를 독학했다.[2] 애틀랜타의 센터 스테이지에서 로니 맥과 함께한 공연이 호평을 받으면서 음악가로 전향하는 것이 좋은 결정이었음을 확신하게 되었다. 하지만 자신의 연주 실력에 만족하지 못해 교사 생활을 계속하면서 전통적인 블루스 형식과 작곡을 꾸준히 공부했다.[2]
1996년, 테네시주 채터누가에 있는 블루 엔젤 카페에서 자신의 밴드 "The Stone Cold Blues Band"(1996-1998)와 함께 공연하며 첫 기회를 잡았다. 이 밴드는 그의 경력 초기에 도움을 준 애틀랜타 기반의 전문 음악가들로 구성되었다.
2. 2. 음악 경력
터스키기 대학교에서 영문학 학사 학위를, 오번 대학교에서 커뮤니케이션 학위를 받은 후 교사로 먼저 일하면서 비교적 늦게 음악을 시작했다.[1] 그는 1983년 아버지 머디 워터스의 사망 이후에야 본격적으로 음악에 뛰어들어 6년간 기타를 배웠다.[2] 애틀랜타의 센터 스테이지에서 로니 맥과 함께한 공연이 호평을 받으면서 음악가로의 전향에 확신을 가졌지만, 자신의 연주 실력에 만족하지 못해 교사 일을 계속하며 전통적인 블루스 형식과 작곡을 공부했다.[2]1996년, 테네시주 채터누가에 있는 블루 엔젤 카페에서 자신의 밴드("The Stone Cold Blues Band", 1996-1998)와 함께 공연하면서 첫 기회를 잡았다. 이 밴드는 그의 경력 시작을 도운 애틀랜타 기반의 전문 음악가들로 구성되었다. 1998년부터는 미국 동부 해안 지역에서 공연을 시작했고, 이는 "스탠 로저스 포크 페스트"와 "몬트리올 재즈 페스티벌"과 같은 더 큰 규모의 공연으로 이어졌다.
그의 첫 번째 독립 앨범인 ''Rising Son''은 1999년 블라인드 피그 레코드(Blind Pig Records)를 통해 발매되었다.[2] 이 앨범은 시카고에서 녹음되었으며, 아버지 머디 워터스의 밴드 멤버였던 폴 오셔, 윌리 "빅 아이즈" 스미스, 파인탑 퍼킨스 등이 참여했다.[2] 이 앨범으로 그는 2000년에 최우수 신인 블루스 아티스트 부문 블루스 뮤직 어워드 (당시 W.C. 핸디 어워드)를 수상했다.[2] 앨범의 타이틀 곡은 2004년 영화 ''바비 롱의 사랑 노래''에 삽입되기도 했다. (참고로, 1997년 택시움 레코드(Taxium Records)는 빅 빌 모건필드의 동의 없이 그의 데모 녹음인 "Nineteen Years Old"를 독일에서 발매했는데, 이는 미국 법의 적용을 받지 않았다.)
1999년에는 샌프란시스코 블루스 페스티벌 무대에 섰다.
모건필드의 다음 앨범 ''Ramblin' Mind''에는 타지 마할이 두 곡에 참여했으며, 그의 곡 "Strong Man Holler"가 수록되었다. 빌리 브랜치는 이 앨범에서 하모니카를 연주했다.[2] 2009년에는 밥 마고린과 브라이언 비세시가 프로듀싱한 앨범 ''Born Lover''를 발매했다.[3]
2000년대 동안 모건필드는 여러 페스티벌에서 헤드라이너로 활동했으며 전 세계의 공연장에서 공연했다. 콘서트에서는 자신의 곡과 함께 때때로 아버지의 곡을 연주한다. 그는 아버지를 기리는 케네디 센터 아너스 헌정 공연에도 참여했다.[2] 그가 부른 아버지의 곡 "Got My Mojo Working"은 원곡만큼이나 강력하다는 평가를 받기도 했다. 특히 밴드 멤버 맥스 드레이크와 함께한 스페인 투어는 아버지 머디 워터스와의 연결고리 덕분에 현지에서 큰 인기를 끌었다.[4]
모건필드는 밥 딜런의 전기 영화 ''A Complete Unknown''(2024)에 출연하여, TV 스튜디오에서 딜런을 만나 함께 즉흥 연주를 하는 블루스 음악가 역할을 맡았다.[5]
2. 3. 아버지와의 관계
모건필드는 아버지와 생전에 교류가 거의 없었다.[1] 하지만 어린 시절 아버지의 음반을 들으며 자랐고, 잭슨 파이브 같은 대중음악도 즐겨 들었다.[1] 그가 본격적으로 음악가의 길을 걷기 시작한 것은 1983년 아버지가 사망한 이후였다.[2]콘서트에서는 자신의 곡과 함께 아버지의 곡을 연주하기도 하며, 아버지를 기리는 케네디 센터 아너스 헌정 공연에도 참여한 바 있다.[2] 특히 그가 부른 아버지(머디 워터스)의 대표곡 'Got My Mojo Working'은 원곡 못지않게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았다. 밴드 멤버 맥스 드레이크와 함께한 스페인 투어는 아버지와의 음악적 연결고리 덕분에 특히 좋은 반응을 얻었다.[4]
3. 음반 목록
- 1997 - ''Nineteen Years Old''
- 1999 - ''Rising Son''
- 2001 - ''Ramblin' Mind''
- 2003 - ''Blues in the Blood''
- 2009 - ''Born Lover''
- 2013 - ''Blues With a Mood''
- 2016 - ''Bloodstains on the Wall''

참조
[1]
웹사이트
Big Bill Morganfield Biography
http://www.oldies.co[...]
1956-06-19
[2]
웹사이트
Big Bill Morganfield | Biography
http://www.allmusic.[...]
null
[3]
웹사이트
Born Lover: CDs & Vinyl
https://www.amazon.c[...]
null
[4]
웹사이트
Max Drake makes his own mark on blues guitar playing
https://www.caswellm[...]
2021-05-26
[5]
웹사이트
A Complete Unknown review
https://filmstories.[...]
2024-12-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