뾰족민달팽이상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뾰족민달팽이상과는 2005년 부쉐와 로크루아의 복족류 분류에서 뾰족민달팽이류에 속하는 상과로, 뾰족민달팽이과, Agriolimacidae, Boettgerillidae, 비트리나과를 포함한다. 이 상과는 민달팽이 분기군의 다른 상과들과 계통 발생학적 관계를 갖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뾰족민달팽이상과 - [생물]에 관한 문서 | |
---|---|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연체동물문 |
강 | 복족류 |
아강 | 이새아강 |
하강 | 직신경하강 |
미분류 | 범유폐류 |
상목 | 진유페상목 |
목 | 병안목 |
아목 | 달팽이아목 |
하목 | 뾰족민달팽이하목 |
상과 | 뾰족민달팽이상과 |
학명 | Limacoidea |
명명자 | Lamarck, 1801 |
하위 분류 | |
과 | 본문 참조 |
2. 하위 분류
2005년 부쉐(Bouchet)와 로크루아(Rocroi)의 복족류 분류는 뾰족민달팽이상과를 뾰족민달팽이류에 포함시켜 분류한다.
2. 1. 과 목록
2005년 부쉐(Bouchet)와 로크루아(Rocroi)의 복족류 분류는 뾰족민달팽이상과를 뾰족민달팽이류에 포함시켜 분류하며, 다음 4개 과를 인정하고 있다.- 민달팽이과 (Limacidae)
- 밭민달팽이과 (Agriolimacidae)
- 보트게릴라과 (Boettgerillidae)
- 유리달팽이과 (Vitrinidae)
3. 계통 분류
뾰족민달팽이상과(Limacoidea)는 민달팽이 분기군(limacoid clade)에 속하는 상과 중 하나이다.[2] 민달팽이 분기군은 여러 상과를 포함하는데, 계통 발생학적 연구에 따르면[4][2] 이 분기군은 크게 두 개의 주요 그룹으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 그룹은 스타포르디아상과(Staffordioidea)와, 디아키아상과(Dyakioidea) 및 가스트로돈타상과(Gastrodontoidea)가 형성하는 분기군으로 구성된다. 가스트로돈타상과 내에는 Pristilomatidae, Chronidae, Euconulidae, Trochomorphidae, 가스트로돈타과(Gastrodontidae), Oxychilidae 등의 과가 포함된다.[4][2]
두 번째 그룹은 파르마켈라상과(Parmacelloidea)와, 호박달팽이상과(Zonitoidea), 밤달팽이상과(Helicarionoidea), 그리고 뾰족민달팽이상과(Limacoidea)가 함께 이루는 분기군으로 구성된다. 파르마켈라상과에는 Trigonochlamydidae, 파르마켈라과(Parmacellidae), Milacidae 과가 속한다. 호박달팽이상과(Zonitoidea)는 호박달팽이과(Zonitidae)를 포함하며, 밤달팽이상과(Helicarionoidea)는 밤달팽이과(Helicarionidae)와, Ariophantidae 및 Urocyclidae 과를 포함하는 분기군으로 구성된다. 이 두 상과 그룹(호박달팽이상과, 밤달팽이상과)은 서로 가까운 관계를 형성하며, 이들 전체가 뾰족민달팽이상과와 자매 그룹 관계에 있다.[4][2]
뾰족민달팽이상과 내부에서는 Vitrinidae 과가 가장 먼저 분기한 것으로 나타난다. 나머지 과들인 Boettgerillidae, 뾰족민달팽이과(Limacidae), Agriolimacidae는 하나의 분기군을 형성한다. 이 분기군 내에서는 Boettgerillidae가 먼저 분기하고, 뾰족민달팽이과와 Agriolimacidae가 가장 가까운 자매 그룹을 이룬다.[4][2]
참조
[1]
간행물
Système des animaux sans vertèbres, ou tableau général des classes, des ordres et des genres de ces animaux; présentant leurs caractères essentiels et leur distribution, d'après la considération de leurs…
Paris, Detreville
1801
[2]
논문
Biogeography of the Limacoidea sensu lato (Gastropoda: Stylommatophora): Vicariance Events and Long-Distance Dispersal
https://www.jstor.or[...]
2000-03
[3]
간행물
Système des animaux sans vertèbres, ou tableau général des classes, des ordres et des genres de ces animaux; présentant leurs caractères essentiels et leur distribution, d'après la considération de leurs…
Paris, Detreville
1801
[4]
논문
Biogeography of the Limacoidea sensu lato (Gastropoda: Stylommatophora): Vicariance Events and Long-Distance Dispersal
http://www.jstor.org[...]
200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