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셰 & 로크루아 (2005년)의 복족류 분류는 연체동물인 복족류의 계통 분류를 다룬다. 이 분류는 분자 계통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1997년 폰더와 린드버그의 체계를 대체하며, 611개의 과를 포함한다. 린네식 분류와 분자 연구를 혼합하여, 상과 이하의 분류군에 린네식 계급을 사용하고, 단계통군이 불확실한 경우 "그룹" 또는 "비공식 그룹"을 사용한다. 한국은 다양한 해양 환경으로 인해 다양한 복족류가 서식하며, 삿갓조개, 군소, 고둥, 소라, 전복 등이 대표적이다. 그러나 기후 변화와 해양 오염으로 서식지가 파괴되고 개체 수가 감소하는 위협에 직면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복족류 - 달팽이 달팽이는 복족류에 속하며 배 전체를 발처럼 써서 느리게 이동하고 껍데기 유무와 서식 환경에 따라 종류가 나뉘며, 자웅동체로 교미하여 번식하고 다양한 먹이를 섭취하며 여러 천적에게 포식당하고 인간과 복잡한 관계를 맺으면서 문화적으로 다양한 상징성을 갖는다.
복족류 - 민달팽이 민달팽이는 껍데기가 퇴화된 형태를 가지며 달팽이와 같은 진유폐류 눈가류에 속하는 여러 계통의 종들을 아우르는 다계통군으로, 껍질 소실은 운동의 자유와 좁은 공간 이용 등 생존에 유리한 이점을 제공하며 일부 종은 농업 해충으로 간주되지만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다양한 문화적 상징으로도 나타난다.
복족류 분류 (부쉐 & 로크루아, 2005년)
개요
명칭
복족류 분류 (부쉐 & 로크루아, 2005년)
원어 명칭
Classification and Nomenclator of Gastropod Families (Bouchet & Rocroi, 2005)
관련 연구
Frýda J., Hausdorf B., Ponder W., Valdés Á. & Warén A. (2005). Classification and nomenclator of gastropod families. Malacologia: International Journal of Malacology, 47(1-2). ConchBooks: Hackenheim, Germany. 397 pp. ISBN 3925919724. Bouchet P. & Rocroi J.-P. (Ed.); Frýda J., Hausdorf B., Ponder W., Valdés Á. & Warén A. 2005. Classification and Nomenclator of Gastropod Families. Malacologia (Ann Arbor) 47(1-2)
특징
분류 체계
2005년에 필리프 부셰와 장피에르 로크루아가 발표한 복족류의 새로운 분류 체계이다. 이 분류 체계는 기존의 분류 체계를 대체하고, 복족류의 계통 분류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제공한다.
내용
복족류의 과(科) 수준에서의 분류와 명명법을 다룬다. 이들은 복족류의 과(科) 수준에서 총 363개의 현존하는 과와 158개의 멸종된 과를 인정하였다.
주요 변경 사항
이족류 (Heterobranchia)
이 분류 체계에서는 이족류를 Opisthobranchia (후새류)와 Pulmonata (유폐류)를 포함하는 상위 분류군으로 설정하였다. 이는 이전의 분류 체계와는 다른 점이다.
새로운 과의 인정
여러 새로운 과가 이 분류 체계에서 인정되었다. 이는 복족류의 다양성에 대한 이해를 넓히는 데 기여했다.
영향
이후 연구에 미친 영향
이 분류 체계는 이후의 복족류 연구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현재까지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 분류는 일종의 분기도 형태(진화 계통수)로 나타나지만, 잠정적이라는 점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이 분류의 대다수는 아직 "군" 또는 "비공식 군"으로만 알려져 있으며, 다계통군으로 판명될 수도 있다. 즉, 이 분류는 하나 이상의 계통을 포함할 수 있으며, 추후에 나뉠 수도 있다.[5][6]
* † 프로세리티움과 (Procerithiidae) - 속 ''아르기로페자''가 프로세리티움과에 속한다면, 이 과는 모두 화석은 아니다.
* † 프로스티리페라과 (Prostyliferidae)
* † 프로푸파스피라과 (Propupaspiridae)
* 스칼리오라과 (Scaliolidae)
* 실리쿠아리아과 (Siliquariidae)
* † 테레브렐라과 (Terebrellidae) - 유효하지 않은 이름
* 티아라과 (Thiaridae)
* 탑고둥과 (Turritellidae)
상과 캄파닐로상과 (Campaniloidea)
* 캄파닐과 (Campanilidae)
* 암풀리나과 (Ampullinidae)
* 플레시오트로쿠스과 (Plesiotrochidae)
* † 트리파낙스과 (Trypanaxidae)
'''Littorinimorpha'''과 '''Neogastropoda''', 그리고 비공식 그룹 '''Ptenoglossa'''를 포함한다.
상과 미할당
* † Coelostylinidae과
* † Maturifusidae과
* † Pommerozygiidae과
* † Settsassiidae과
상과 Calyptraeoidea
* 과 Calyptraeidae
상과 Capuloidea
* 과 Capulidae
상과 Cingulopsoidea
* 과 Cingulopsidae
* 과 Eatoniellidae
* 과 Rastodentidae
상과 Cypraeoidea
* 과 Cypraeidae
* 과 Ovulidae
상과 Ficoidea
* 과 Ficidae
상과 Littorinoidea
* 과 Littorinidae
* † 과 Bohaispiridae
* 과 Pickworthiidae
* 과 Pomatiidae
* † 과 Purpurinidae
* 과 Skeneopsidae
* † 과 Tripartellidae
* 과 Zerotulidae
상과 Naticoidea
* 과 Naticidae
상과 Pterotracheoidea
* 과 Pterotracheidae
* 과 Atlantidae
* † 과 Bellerophinidae
* 과 Carinariidae
상과 Rissooidea
* 과 Rissoidae
* 과 Amnicolidae
* 과 Anabathridae
* 과 Assimineidae
* 과 Barleeiidae
* 과 Bithyniidae
* 과 Caecidae
* 과 Calopiidae
* 과 Cochliopidae
* 과 Elachisinidae
* 과 Emblandidae
* 과 Epigridae
* 과 Falsicingulidae
* 과 Helicostoidae
* 과 Hydrobiidae
* 과 Hydrococcidae
* 과 Iravadiidae
* 과 Lithoglyphidae
* † 과 Mesocochliopidae
* 과 Moitessieriidae
* † 과 Palaeorissoinidae
* 과 Pomatiopsidae
* 과 Stenothyridae
* 과 Tornidae
* 과 Truncatellidae
상과 Stromboidea
* 과 Strombidae
* 과 Aporrhaidae
* † 과 Colombellinidae
* † 과 Pugnellidae
* 과 Rostellariidae
* 과 Seraphsidae
* 과 Struthiolariidae
* † 과 Thersiteidae
* † 과 Tylostomatidae
상과 Tonnoidea
* 과 Tonnidae
* 과 Bursidae
* 과 Laubierinidae
* 과 Personidae
* 과 Pisanianuridae
* 과 Ranellidae
* 과 Cassidae
상과 Vanikoroidea
* 과 Vanikoridae
* 과 Haloceratidae
* 과 Hipponicidae
* † 과 Omalaxidae
상과 Velutinoidea
* 과 Velutinidae
* 과 Triviidae
상과 Vermetoidea
* 과 Vermetidae
상과 Xenophoroidea
* 과 Xenophoridae
* † 과 Lamelliphoridae
상과 Epitonioidea
* 과 Epitoniidae
* 과 Janthinidae
* 과 Nystiellidae
상과 Eulimoidea
* 과 Eulimidae
* 과 Aclididae
상과 Triphoroidea
* 과 Triphoridae
* 과 Cerithiopsidae
* 과 Newtoniellidae
상과 미지정
* † 존와이아티과 (Johnwyattiidae)
* † 페리시티과 (Perissityidae)
* † 사르가나과 (Sarganidae)
* † 스피기티과 (Speightiidae)
* † 타이오미과 (Taiomidae)
* † 윅시과 (Weeksiidae)
부시노상과 (Buccinoidea)
* 부시니움과 (Buccinidae)
* 콜루브라리아과 (Colubrariidae)
* 콜럼벨라과 (Columbellidae)
* 파시올라리아과 (Fasciolariidae)
* 나사리우스과 (Nassariidae)
* 멜로겐나과 (Melongenidae)
무레크스상과 (Muricoidea)
* 무레크스과 (Muricidae)
* 바빌로니아과 (Babyloniidae)
* 코스텔라리아과 (Costellariidae)
* 키스티스과 (Cystiscidae)
* 하르파과 (Harpidae)
* 마르기넬라과 (Marginellidae)
* 미트라과 (Mitridae)
* † 폴리도토뭄과 (Pholidotomidae)
* 플레어프티그마과 (Pleioptygmatidae)
* 스트렙시두라과 (Strepsiduridae)
* 투르비넬라과 (Turbinellidae)
* 볼루타과 (Volutidae)
* 볼루토미트라과 (Volutomitridae)
올리브상과 (Olivoidea)
* 올리바과 (Olividae)
* 올리벨라과 (Olivellidae)
슈도올리보상과 (Pseudolivoidea)
* 슈도올리바과 (Pseudolividae)
* 프티아트라크투스과 (Ptychatractidae)
원뿔상과 (Conoidea)
* 원뿔과 (Conidae)
* 클라바툴라과 (Clavatulidae)
* 드릴리아과 (Drilliidae)
* 슈도멜라토뭄과 (Pseudomelatomidae)
* 스트릭티스피라과 (Strictispiridae)
* 굴뚝고둥과 (Terebridae)
* 탑고둥과 (Turridae)
카젤라리움상과 (Cancellarioidea)
* 카젤라리움과 (Cancellariidae)
비공식적인 그룹인 '''이새아강'''(Heterobranchia), '''뒤쪽아가미류'''(Opisthobranchia) 및 '''폐포류'''(Pulmonata)를 포함한다.
* 다음 분류군을 포함한다: '''두순류''', '''익족류''', '''나측류''', '''군소류''', '''해면설류''', '''갓조개류''', '''벌거숭이새류''' 그리고 그룹 '''무후새류'''와 '''원통고둥류'''.
상과 불로이데아
* 과 불리데
상과 디아파노이데아
* 과 디아파니데
* 과 노토디아파니데
상과 하미노이데아
* 과 하미노에과
* 과 불락투스과
* 과 스마라그디넬라과
상과 필리노이데아
* 과 필리누스과
* 과 아글라이과
* 과 킬리크누스과
* 과 가스트로프테루스과
* 과 필리노글로사과
* 과 플루스쿨리다에
* 과 레투스과
상과 룬키노이데아
* 과 룬키니데
* 과 일비과
상과 Cavolinioidea
* 과 Cavoliniidae
* 과 Limacinidae
* † 과 Sphaerocinidae
상과 Cymbulioidea
* 과 Cymbuliidae
* 과 Desmopteridae
* 과 Peraclidae
상과 클리오이데아
* 과 클리오니디과
* 과 클리오프시스과
* 과 노토브란키아과
* 과 프뉴모데르마과
상과 히드롬일로이데아
* 과 히드롬일루스과
* 과 라기니옵스과
상과 Acochlidioidea
* 과 Acochlidiidae
상과 Hedylopsoidea
* 과 Hedylopsidae
* 과 Ganitidae
* 과 Livorniellidae
* 과 Minicheviellidae
* 과 Parhedylidae
* 과 Tantulidae
상과 Palliohedyloidea
* 과 Palliohedylidae
상과 Strubellioidea
* 과 Strubelliidae
* 과 Pseudunelidae
상과 Oxynooidea
* 과 Oxynoidae
* 과 Juliidae
* 과 Volvatellidae
상과 갯민숭달팽이상과
* 과 갯민숭달팽이과
* 과 보젤리과
* 과 플라티헤딜라과
상과 미끈이끼벌레상과
* 과 미끈이끼벌레과
* 과 캘리필라과
* 과 헤르메과
상과 원통갯민숭달팽이상과 (Cylindrobulloidea)
* 과 원통갯민숭달팽이과 (Cylindrobullidae)
상과 우름브라쿨루스조개상과
* 우름브라쿨룸과 (Umbraculidae)
* 틸로디나과 (Tylodinidae)
상과 바다배추상과
* 과 바다배추과
다음 분류군을 포함한다: '''진보새류'''와 '''덱시아르키아'''
* 상과 미분류
** 로도피과
비공식 그룹 '''기저안강목'''과 클레이드 '''진폐포류류'''를 포함한다.
* 다음의 분류군을 포함한다 '''Hygrophila'''
** 상과 Amphiboloidea
과 Amphibolidae
** 상과 Siphonarioidea
과 Siphonariidae † 과 Acroreiidae
* 다음의 클레이드를 포함한다: '''Systellommatophora'''와 '''Stylommatophora'''
** 상과 Trimusculoidea
과 Trimusculidae
** 상과 Otinoidea
과 Otinidae 과 Smeagolidae
** 상과 Ellobioidea
과 Ellobiidae
4. 복족류 연구의 역사와 현황
연체동물의 계통 분류는 20세기 말부터 21세기 초에 걸쳐 급속히 발전했다. 특히 복족류의 경우, 기존의 고전적인 분류 체계가 거의 사용 불가능한 상황에 이르렀다. 이는 껍질이나 치설 등 일부 형태에만 중점을 두었던 종래의 분류와 달리, 20세기 말부터의 계통 분류에서는 연체동물의 보다 상세한 형태 연구가 진행되었고, DNA나 RNA의 염기 서열 등 분자 형질을 이용한 계통 분석 기법이 사용되었으며, 분류법 자체가 분지 분류로 크게 전환된 것 등에 기인한다.[2]
이러한 변화는 새로운 분류군과 그 계층 구조가 논쟁의 대상이 되었음을 의미하며, 이는 곧 해결될 것 같지 않다. 제안된 분류법은 전통적인 강(class) (강 복족류)보다 낮지만 상과 (아강, 상목, 목, 아목 계급을 대체)보다 높은 분류군에 대해 비계급 클레이드를 사용하고, 상과 및 상과 이하의 모든 분류군 (즉, 과, 아과, 족, 속, 아속, 종)에 대해 전통적인 린네식 계급을 계속 사용함으로써 최근의 분자 연구 결과를 통합하려 했다. 클레이드는 상과 수준 이상의 분류군에 대한 전통적인 린네식 이름과 유사하거나 경우에 따라 동일한 이름을 받았다.[2]
그 결과, 매년 혹은 더 짧은 기간 내에도 새로운 계통 관계의 부분 수정안이 제시되었으며, 현재도 진행 중이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방대한 과거 논문 등을 토대로 일단 정리된 것이 이 분류 체계이다.[2]
이 분류 체계는 잠정적인 것이며, 공표된 시점에서도 많은 이견이 존재했고, 그 후에도 새로운 분류안이 제시되고 있다는 점에 주의해야 한다.[2]
참조
[1]
논문
Revised Classification, Nomenclator and Typification of Gastropod and Monoplacophoran Families
2017
[2]
논문
Classification and nomenclator of gastropod families
https://archive.org/[...]
ConchBooks
[3]
웹사이트
WoRMS: Neomphalina
http://www.marinespe[...] [4]
저널
"''Classification and nomenclator of gastropod families''"
http://www.vliz.be/V[...]
ConchBooks
2005
[5]
저널
Deep, multi-stage transcriptome of the schistosomiasis vector ''Biomphalaria glabrata'' provides platform for understanding molluscan disease-related pathways
2016
[6]
간행물
"On the origin of Acochlidia and other enigmatic euthyneuran gastropods, with implications for the systematics of Heterobranchia"
20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