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구두나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구두나트는 호주에 서식하는 유대류의 일종으로, 개미, 딱정벌레, 거미 등 무척추 동물을 주로 먹는 잡식성 동물이다. 서식지로는 남호주와 서호주의 모래 사막 및 반 건조 지역을 선호하며, 야행성으로 밤에 활동한다. 멸종 위기에 처해 있으며, 붉은여우, 들고양이와 같은 외래종의 포식, 서식지 파괴, 기후 변화 등이 위협 요인으로 작용한다. 보존을 위해 서식지 보호, 모니터링 프로그램, 기후 변화 완화 등의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95년 기재된 포유류 - 베어드뒤쥐
북아메리카에 서식하는 베어드뒤쥐는 털 색깔이 계절에 따라 변하며 두 개의 아종으로 나뉜다. - 1895년 기재된 포유류 - 큰멕시코작은귀땃쥐
큰멕시코작은귀땃쥐는 땃쥐과에 속하며 멕시코 고유종으로 서식지 감소로 멸종 위기에 놓여 있다. - 주머니고양이과 - 북부쿠올
북부쿠올은 주머니고양이과에 속하는 쿠올의 일종으로, 호주에서 가장 독특하며, 퀸즐랜드, 노던 준주,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 지역에 개체군이 존재하고, 수컷은 짝짓기 후 사망하며, 멸종 위기종으로 분류되어 보존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 주머니고양이과 - 물가라
물가라는 호주 건조 지역에 사는 주머니고양이목 동물로, 꼬리 털과 젖꼭지 수에 따라 붓꼬리물가라와 볏꼬리물가 두 종류로 나뉘며, 매일 동면하고 임신 기간에는 동면을 늘려 에너지 보존을 하는 특징을 가진다.
| 사구두나트 - [생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이름 | 사구두나트 |
| 학명 | Sminthopsis psammophila |
| 명명자 | 스펜서, 1895년 |
![]() | |
![]() | |
| 멸종 위기 등급 | 취약 |
| IUCN 3.1 | 'https://www.iucnredlist.org/species/20293/21947794' |
| CITES | 부록 I |
| CITES 출처 | 'https://cites.org/eng/app/appendices.php' |
| 분류 | |
| 계 | 동물계 |
| 문 | 척삭동물문 |
| 아문 | 척추동물아문 |
| 강 | 포유강 |
| 하강 | 유대하강 |
| 목 | 주머니고양이목 |
| 과 | 주머니고양이과 |
| 아과 | 두나트아과 |
| 족 | 두나트족 |
| 속 | 두나트속 |
| 참고 자료 | |
| MSW3 | 35–36쪽 |
| Menkhorst (2001) | 'https://archive.org/details/fieldguidetomamm0000menk/page/n87' |
2. 생태 및 습성
모래언덕 뒤쥐는 "유대류 쥐"로 알려져 있으며, 속명은 눙가르어 단어 "danard"에서 유래했을 것으로 추정된다.[5] 이 종은 19종의 뒤쥐(''Sminthopsis'') 중 두 번째로 크며, 암컷은 최대 30g, 수컷은 최대 55g까지 자란다.[9] 몸길이는 보통 10cm에서 16cm이다. 줄리아 크릭 뒤쥐만이 더 크며 40g에서 70g이다.
사구두나트는 현재 남호주와 서호주의 모래 사막 및 반 건조 지역에 서식하며, 스피니펙스 (Triodia) 초원이 우세한 지역이다.[9][17] 1894년 혼 탐험 동안 노던 준주에서 모식 표본이 채집되었고,[18] 이후 울루루 동굴에서 올빼미 펠릿에서만 발견되어 한때 멸종된 것으로 오인되기도 했다.[19]
사구두나트의 개체 수 감소는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일 가능성이 높다.[30][31] 붉은여우 및 들고양이와 같은 외래종의 포식, 가축 방목에 의한 서식지 황폐화, 토지 개간 (예: 원래 식생이 43%만 남아 있는 에어 반도) 및 변화된 화재 발생 패턴 등이 원인으로 작용했을 가능성이 있다.[32][33][34]
사구두나트는 호주 연방 EPBC법 (1999)에 따라 ‘멸종 위기’로 지정되어 있다. 서호주 개체군은 생물다양성 보존법 (2016)에 의해 '멸종 위기'로, 남호주 개체군은 국립 공원 및 야생 동물법 (1972)에 의해 '취약'으로 지정되어 있다. IUCN 보존 상태는 ‘자료 부족’에서 ‘멸종 위기’로 변동했으며 현재 ‘취약’으로 분류되어 있으나, 검토가 필요할 수 있다.[17] 호주의 기후 변화와 시너지 효과가 있는 멸종 압력이 즉각적인 문제이다.
[1]
iucn
"''Sminthopsis psammophila''"
2016
상대적으로 큰 크기와 이색 털 패턴(등쪽은 회색, 배쪽은 흰색)으로 식별된다. 꼬리는 뚜렷한 대비(배쪽은 어둡고 등쪽은 밝음)를 보이며 끝이 융기되어 있다. 이마에는 눈에 띄는 어두운 줄무늬가 있다.
이 종의 체온 중립 온도는 약 34.4°C이다. 모래언덕 뒤쥐의 생리학은 다른 뒤쥐와 유사하지만, 음경 형태와 분자 생물학[6]은 이 종이 속의 기저에 있음을 시사한다.[7]
모래언덕 뒤쥐는 네 다리로 부드럽게 달리며 움직이며, 때로는 갑작스럽게 짧게 멈추는데, 이때 앞부분을 약간 들어 올린 채 웅크리고 앉는 경우가 많다. ''S. psammophila''의 최대 기록 속도는 3kph이다.[8]
사구두나트는 개미, 딱정벌레, 거미, 메뚜기, 흰개미, 말벌, 지네 등 무척추 동물을 먹는 것을 선호한다.[9] 서부 그레이트 빅토리아 사막에서는 개미를 주식으로 하며, 주로 ''Camponotus''속(사탕 개미)과 ''Iridomyrmex''속(육식 개미)을 섭취한다.[8] 그러나 잡식성이며 매우 기회주의적인 것으로 여겨진다.[9] 다른 먹이로는 복족류, 도마뱀, 스킨크, 쥐가 있다.[9][8] 음식 섭취량은 계절에 관계없이 높게 유지되며, 비율만 약간씩 변동한다.[10]
심각한 식량 부족 상황에서 사구두나트는 짧고 얕은 동면 기간에 들어간다. 이 종의 정신적, 육체적 비활동 상태는 물과 에너지를 보존하는 데 도움이 된다.[10] 신진대사, 체온, 호흡 생리학 분석 결과, 체온 범위는 온도 중립, 온도 중립 이하의 온도 불안정, 경미한 고열 온도를 포함하며, 이는 소형 두나트와 주머니고양이에서 흔히 관찰되는 특징이다.[7]
사구두나트는 보통 9월에 번식을 시작하며, 9월에서 10월 사이에 새끼가 태어난다.[9] 육아낭 내 새끼, 의존적인 새끼, 젖을 뗀 어린 개체는 10월에 나타난다.[9] 그러나 어린 개체는 10월과 4월 사이에 포획되었다.[9] 이 정보는 좋은 시기에 적절한 조건이 갖춰지면, 사구두나트가 추가로 새끼를 낳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짝짓기와 출생 사이에는 16일에서 19일의 간격이 있다.[11][12]
수컷과 암컷 모두 1세가 되면 성적으로 성숙한다.[11] 사구두나트가 더 이상 번식할 수 없는 나이는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10] 사육 상태에서는 수컷은 5세에, 암컷은 3세에 번식이 가능하다.[11] 야생에서 ''S. psammophila''는 일반적으로 한 번의 번식기를 생존하지만, 유리한 조건에서는 두 번의 번식기까지 생존할 수 있다.[13]
사구두나트는 보통 단독 생활을 하며 야행성이다. 해가 진 직후에 나타나 새벽까지 거의 끊임없이 먹이를 찾는다.[8] 낮에는 사막의 혹독한 기후로부터 몸을 보호하기 위해 굴 속에 숨는다.[14] 개체군의 밀도는 자연적으로 낮지만, 대규모 강우 사건 이후에는 현저하게 증가할 수 있다.[15] 개체들은 자원이 생길 때 이를 찾아내기 위해 "정주" 또는 매우 이동성이 높은 "일시적" 행동을 보인다.[16]
3. 분포 및 서식지
1969년 남호주의 에어 반도에서 다시 발견된 이후,[20] 에어 반도는 잘 연구된 서식지가 되었다.[9][13][21] 1990년대부터는 남호주의 옐라비나 지역 보호 구역이 두 번째 서식지로 확인되었다.[23] 2017년부터 에어 반도와 옐라비나 개체군 사이에서 여러 개체가 발견되었다.[24]
세 번째 서식지는 서호주의 그레이트 빅토리아 사막이다. 1985년 멀가 록홀 근처에서 처음 발견된 이후,[25] 퀸 빅토리아 스프링 자연 보호 구역과 트로피카나 금광 근처에서도 발견되었다.[26][27][28] 2018년에는 기존 서식지에서 북쪽으로 150km 떨어진 곳에서 새로운 개체군이 발견되었다.[17] 또한, 알렉스 베인스 박사가 얄구와 레이크 바를리 근처(현재 개체군에서 서쪽으로 400km에서 600km 떨어진 곳)에서 고대 사구두나트 뼈를 발견하여, 과거에는 서호주에서 더 넓게 분포했음을 알 수 있다.[17]
각 서식지의 개체군은 유전적으로 분화되어 있어, 보존을 위해 별도로 관리해야 한다.[16] 옐라비나 및 서호주 개체군은 mtDNA 유전자형을 공유하여 남부 그레이트 빅토리아 사막을 가로지르는 역사적 연결성을 보여준다.[16]
사구두나트는 과거보다 서식지가 크게 축소되었으며,[16][17] 기후 변화로 인해 미래에는 남쪽으로 서식지가 더욱 축소될 수 있다.[17] 특히, 그레이트 빅토리아 사막 개체군은 2070년까지 멸종될 위험이 있다.[17]
사구두나트는 야행성이며, 낮에는 굴을 파서 더위를 피한다.[14] 서호주에서는 주로 다 자란 스피니펙스 언덕(화재 발생 후 32년 이상) 아래에 굴을 파며,[14] 굴의 깊이는 보통 35cm이지만, 2미터 이상인 경우도 있다.[14] 남호주에서는 굴의 길이가 약 12cm에서 110cm이고, 깊이는 최대 46cm이다.[9] 암컷은 새끼를 키우기 위해 더 깊은 굴을 파기도 한다.[9] 스피니펙스 언덕 외에도 다른 식물, 통나무, 나무 껍질 조각, 다른 종의 굴, 불에 탄 말리 나무 줄기 등도 은신처로 사용된다.[9][14]
''Sminthopsis psammophila''는 다 자란 초목이 있는 서식지가 필요하다.[9][21] 서호주에서는 화재 발생 후 오래되지 않은(32년 이상), 빽빽한 하층(주로 스피니펙스) 사질 평원과 모래 언덕 경사면 서식지를 선호하며,[8][14] 초목이 적은 모래 언덕 꼭대기는 드물게 사용된다. 남호주에서는 통나무와 높이 40cm 이상의 스피니펙스 언덕이 풍부한 복잡한 서식지가 중요하다.[13][21] 에어 반도 지역에서는 '3단계' 스피니펙스 언덕(화재 연령: 8-20년)을 선호한다.[9]
무선 추적 및 GPS 추적으로 확인된 평균 행동권 면적은 70ha(범위 6-274ha)이다.[8] 행동권 면적은 성별과 생식 상태에 따라 달라지며, 행동권이 겹칠 수 있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 사구두나트는 드물게 포획되고, 한 지역에서 동시에 여러 개체를 추적하는 것도 드물다.[9][8] 또한, 재포획이 자주 이루어지지 않아 개체수 평가가 어렵다.[29]
4. 위협 요인
산불은 사구두나트에게 주요 위협이 되는데, 사구두나트는 성숙한 스피니펙스 초원 서식지를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9][21] 한 번의 대형 산불로 전체 개체군이 제거될 수 있다.[35] 그러나 사구두나트는 최근 화재가 발생한 서식지를 포함하여 다양한 화재 발생 시기의 은신처로 무선 추적되었다.[9][14] 산불에서 살아남은 경우, 사구두나트는 넓은 행동권과 높은 이동성으로 인해 작은 서식지 조각으로 다시 돌아갈 수 있다.[8][16] 적합한 서식지 잔해들이 점점 고립되면서 재정착 가능성이 줄어든다. 따라서 사구두나트가 유전적 다양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서식지 연결성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16]
기후 변화는 사구두나트와 호주의 다른 많은 종들에게 심각한 위협이 되고 있다.[17][36][37] 급격한 기온 상승, 불규칙한 강우 패턴, 더 빈번하고 극심한 기상 현상(예: 산불 및 가뭄)은 호주에서 특히 위험하다. 물은 이미 부족하고, 식생은 매우 가연성이 높으며, 일반적으로 평평한 지형은 종들이 기온 상승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고도 변화를 방해한다.[38][39]
종 분포 모델링에 따르면, 현재의 온실 가스(GHG) 배출 경로인 RCP 8.5 하에서, ''S. psammophila''의 적합한 서식지가 2050년까지 서호주에서 95% 감소할 수 있다고 예측한다.[17] 2070년까지는 에어 반도 개체군만 생존 가능하며, ''S. psammophila''의 대륙 분포는 최대 80%까지 줄어들 수 있다.[17] 그러나 배출량이 2040년에 정점을 찍고 감소하면 이러한 감소는 절반으로 줄어들 수 있다 (RCP 4.5).
5. 보존
사구두나트는 아이언스톤 힐 보존 공원, 남호주의 옐라비나 황야 보호 구역, 서호주의 퀸 빅토리아 스프링 자연 보호 구역과 같은 보호 구역 내에서 개간으로부터 어느 정도 보호를 받는다. 2001년에는 국가 복원 계획이 발표되었으며[9], 현재 DCCEEW에 의해 검토되고 있다.
사구두나트 개체군 보존을 위한 제안된 조치에는 추가적인 서식지 손실 방지, 서식지 조사가 예측되는 지역에서 조사를 실시, 주요 개체군에 대한 모니터링 프로그램 구현 등이 포함된다.[9][8][13] 인공 서식지가 두나트 보존에 도움이 될 수 있으며,[40] 기후 대피소 또는 인공 사막 생태계로의 이전이 필요할 수 있다.[17] 종 분포 모델링은 사구두나트와 같은 위협받는 종의 새로운 개체군을 찾는 데 유용하다.[17] 번식 생물학 지식을 높이기 위해 사육 개체에 대한 추가 연구가 제안되었다.[9]
춘춘자라에서 필라 응구루 레인저는 사구두나트 서식지에서 보존 프로그램을 수립했다.[41] 식민지화 이전에는 사구두나트 서식지가 호주의 원주민들에 의해 관리되었으며,[42][43] 문화/전통적인 불태우기 관행은 동물과 식물을 지원하는 경관을 촉진했다.[44] 전 세계적으로, 양방향 과학과 올바른 방법의 화재 프로그램은 많은 위협받는 종에 대한 결과를 도출했다.[45][46][47] 따라서, 원주민 보호 지역은 호주 종 보존의 핵심이다. 시민 과학 프로젝트는 그레이트 빅토리아 사막의 친구들과 같은 지역 사회 단체와 함께 홍보되어야 한다.[9]
가장 중요한 것은, GHG 배출량을 줄여 기후 변화의 영향을 완화하는 것이 사구두나트(''S. psammophila'')와 다른 많은 호주 종의 보존에 필수적이다.[17]
참조
[2]
웹사이트
Appendices
https://cites.org/en[...]
2022-01-14
[3]
MSW3
MSW3 Groves
[4]
서적
A Field Guide to the Mammals of Australia
Oxford University Press
[5]
서적
Fauna of Australia. 1B: Mammalia. - 1989
Australian Gov. Publ. Service
1989
[6]
서적
Carnivorous Marsupials
Royal Society of New South Wales
1982
[7]
학술지
Thermal, Metabolic, Hygric and Ventilatory Physiology of the Sandhill Dunnart (''Sminthopsis psammophila''; Marsupialia, Dasyuridae)
2009-07-03
[8]
학술지
The ranging, habitat selection, and foraging ecology of an endangered small desert mammal, the sandhill dunnart ''Sminthopsis psammophila''
https://academic.oup[...]
2022
[9]
웹사이트
Recovery Plan for the Sandhill Dunnart, Sminthopsis Psammophila
http://www.environme[...]
Biodiversity Conservation Program Department for Environment and Heritage
2001
[10]
웹사이트
Biodiversity
http://www.environme[...]
2013-07-16
[11]
학술지
Captive breeding of the sandhill dunnart, Sminthopsis psammophila (Marsupialia:Dasyuridae): reproduction, husbandry and growth and development
http://dx.doi.org/10[...]
2011
[12]
웹사이트
Sandhill Dunnart
http://www.australia[...]
2008
[13]
학위논문
Conservation biology of an endangered semi-arid marsupial, the sandhill dunnart (Sminthopsis psammophila)
https://digital.libr[...]
2015
[14]
학술지
Diurnal sheltering preferences and associated conservation management for the endangered sandhill dunnart,Sminthopsis psammophila
http://dx.doi.org/10[...]
2021-04-01
[15]
학술지
Boom means bust: interactions between the El Niño/Southern Oscillation (ENSO), rainfall and the processes threatening mammal species in arid Australia
http://dx.doi.org/10[...]
2006
[16]
학술지
Small marsupial, big dispersal? Broad- and fine-scale genetic structure of an endangered marsupial from the Australian arid zone
https://www.publish.[...]
2019-02-22
[17]
학술지
Predicting the past, present and future distributions of an endangered marsupial in a semi-arid environment
[18]
서적
Report on the work of the Horn Scientific Expedition to Central Australia
https://www.biodiver[...]
Dulau
1896
[19]
학술지
An annotated checklist of the native land mammals of the Northern Territory
https://biostor.org/[...]
1973
[20]
학술지
Rediscovery of the Large Desert Sminthopsis (Sminthopsis psammophilus Spencer) on Eyre Peninsula, South Australia
https://biostor.org/[...]
1971
[21]
학술지
How high is your hummock? The importance of T riodia height as a habitat predictor for an endangered marsupial in a fire-prone environment
https://onlinelibrar[...]
2016
[22]
서적
The original mammal fauna of the Nullarbor and southern peripheral regions. In: A Biological Survey of the Nullarbor Region: South and Western Australia in 1984.
South Australia Department of Environment and Planning
[23]
서적
A Biological survey of the Yellabinna region, South Australia in October 1987.
Department of Environment and Heritage
[24]
웹사이트
Sandhill dunnarts
https://www.landscap[...]
2024
[25]
학술지
FIRST RECORD OF SMINTHOPSIS PSAMMOPHILA (MARSUPIALIA DASYURIDAE) FROM WESTERN AUSTRALIA
https://biostor.org/[...]
1986
[26]
학술지
New records of the sandhill dunnart, Sminthopsis psammophila (Marsupialia: Dasyuridae) in South and Western Australia.
https://www.publish.[...]
1990
[27]
서적
The mammals of Australia
New Holland
2008
[28]
서적
Sunrise Dam - Tropicana infrastructure corridor fauna survey
Kingfisher Environmental Consulting. Report prepared for AngloGold Ashanti Australia
[29]
학위논문
Spatial ecology and conservation management of the endangered sandhill dunnart, Sminthopsis psammophila. PhD dissertation
University of Bristol
[30]
학술지
Multiple threats, or multiplying the threats? Interactions between invasive predators and other ecological disturbances
https://doi.org/10.1[...]
2015-10
[31]
학술지
Introduced cats Felis catus eating a continental fauna: inventory and traits of Australian mammal species killed
https://onlinelibrar[...]
2019-10
[32]
학술지
Patterns in the modern decline of western Australia's vertebrate fauna: Causes and conservation implications
http://dx.doi.org/10[...]
1989
[33]
서적
Flammable Australia
http://dx.doi.org/10[...]
2012
[34]
학술지
Evidence of altered fire regimes in the Western Desert region of Australia
https://www.research[...]
[35]
서적
Fauna trapping survey - Great Victoria Desert – April 2007. Report to CALM.
Report to CALM
[36]
학술지
Climate change and Australia: Trends, projections and impacts
http://dx.doi.org/10[...]
2008-06-28
[37]
서적
Australia's Biodiversity and Climate Change
http://dx.doi.org/10[...]
2009
[38]
서적
Climate Change: The Science, Impacts and Solutions
https://www.taylorfr[...]
Routledge
2013-12-02
[39]
학술지
Conservation strategies in response to rapid climate change: Australia as a case study
http://dx.doi.org/10[...]
2010-07
[40]
학술지
On the landscape of fear: shelters affect foraging by dunnarts (Marsupialia, Sminthopsis spp.) in a sandridge desert environment
http://dx.doi.org/10[...]
2020-02-15
[41]
웹사이트
Pila Nguru Aboriginal Corporation
https://www.pilangur[...]
2024-03-19
[42]
서적
Australia Twice Traversed
Searle and Rivington
[43]
학술지
Aboriginal knowledge of the mammals of the central deserts of Australia
http://dx.doi.org/10[...]
1988
[44]
학술지
The "fire stick farming" hypothesis: Australian Aboriginal foraging strategies, biodiversity, and anthropogenic fire mosaics
2008-09-30
[45]
서적
Secret Lives of Carnivorous Marsupials
https://ebooks.publi[...]
CSIRO Publishing
2018
[46]
학술지
Working with Indigenous and local knowledge (ILK) in large-scale ecological assessments: Reviewing the experience of the IPBES Global Assessment
https://besjournals.[...]
2020-09
[47]
학술지
Right-way fire in Australia's spinifex deserts: An approach for measuring management success when fire activity varies substantially through space and time
2023-04-01
[48]
MSW3
Groves
[49]
IUCN
Sminthopsis psammophila
[50]
서적
A Field Guide to the Mammals of Australia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