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산불은 자연적 또는 인위적인 원인으로 발생하는 통제되지 않은 화재를 의미한다. 자연적인 원인으로는 낙뢰, 화산 폭발, 자연 발화 등이 있으며, 인간의 활동으로는 방화, 화전 농업 등이 있다. 산불은 지중화, 지표화, 수관화 등으로 분류되며, 가연성 물질의 존재, 기상 조건 등에 따라 확산된다. 산불은 인명 피해, 재산 피해, 환경 피해를 야기하며, 특히 대기 오염과 호흡기 질환을 유발한다. 산불 예방을 위해 제어 연소, 방화선 구축 등의 방법이 사용되며, 진압에는 소방대, 공중 소화, 산불 방지제 등이 활용된다. 산불은 생태계에 긍정적, 부정적 영향을 모두 미치며, 기후 변화로 인해 발생 빈도와 강도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산불 - 구레시 산불
1971년 히로시마현 구레시에서 발생한 구레시 산불은 모닥불에서 시작되어 강풍으로 확산, 340헥타르의 산림을 태우고 소방관의 순직을 야기하며 일본 최악의 산불로 기록, 재난 대응 시스템 강화에 영향을 주었다. - 산불 - 불 회오리
- 유형별 화재 - 차량 화재
차량 화재는 다양한 원인으로 자동차에서 발생하는 화재를 의미하며, 고의적인 방화나 전기적 문제, 연료 누출 등의 우발적인 원인이 있고, 2022년 대한민국에서는 4,603건이 발생했으며, 예방을 위해서는 정기 점검과 인화성 물질 보관에 주의하고 화재 발생 시 안전하게 대피 후 신고해야 한다. - 산불 진압 - 방화선
방화선은 산불 확산을 막기 위해 건조한 식생을 제거하여 불길 확산 속도를 늦추고 규모를 줄이는 지역 또는 시설로, 자연 지형을 이용하거나 인공적으로 조성되며, 최근에는 과학적인 관리 체계가 도입되고 있지만 예측 불가능한 요소에 취약하여 다른 소방 활동과의 병행이 필요하다. - 산불 진압 - 맞불
맞불은 산불 예방 및 관리를 위해 의도적으로 불을 놓는 행위로, 산림 관리, 초지 복원, 산불 관리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지만, 오염 물질 배출 등의 악영향을 초래하여 법적으로 규제받기도 한다.
산불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정의 | 숲이나 열린 공간에서 통제되지 않은 불 |
원인 | 자연적 (번개, 화산 활동 등) 인위적 (방화, 부주의 등) |
유형 | |
지표 화재 | 지표면의 식생을 태우는 불 |
수관 화재 | 나무 꼭대기를 태우는 불 |
지하 화재 | 지하의 유기물층을 태우는 불 |
영향 | |
환경적 영향 | 대기 오염 생물 다양성 감소 토양 침식 산림 파괴 |
사회적 영향 | 인명 피해 재산 피해 경제적 손실 생활 기반 파괴 |
발생 요인 | |
기후 변화 | 고온 건조한 날씨 증가 가뭄 심화 |
연료 | 마른 식생 죽은 나무 낙엽 |
방재 | |
예방 | 화재 위험 지역 관리 감시 시스템 운영 교육 및 홍보 |
진압 | 소방 장비 및 인력 투입 항공 지원 화재 확산 차단 |
생태적 중요성 | |
긍정적 영향 | 식생 재생 촉진 생물 다양성 유지 영양소 순환 |
부정적 영향 | 생태계 파괴 종의 멸종 위기 |
관련 용어 | |
관목 화재 | 관목이 밀집된 지역에서 발생하는 불 |
산림 화재 | 숲에서 발생하는 불 |
메가 화재 | 매우 크고 파괴적인 불 |
추가 정보 | |
기후 변화와 산불 | 지구 온난화로 산불 위험 증가 |
산불 연기 | 인체 건강에 해로운 영향 |
2. 원인
산불은 자연적인 원인이나 사람의 활동으로 인해 발생한다.
2. 1. 자연적 원인
사람의 개입 없이 산불이 발생할 수 있는 자연적인 원인으로는 번개, 화산 폭발, 낙석으로 인한 불꽃, 자연 발화 등이 있다.[21][22]- 벼락이 산림에 떨어지면 산불이 발생할 수 있다.
- 화산 주변에서는 화산 불씨로 인해 산불이 발생할 수 있다.
- 건조하고 더운 기후가 계속되면 나무에 불이 붙어 산불로 이어지는 경우가 있다.
낙뢰나 화산 분화 등에 의한 자연발화로 산불이 발생한다. 특히 낙뢰에 의한 산불은 1975년 이후 매년 2~5%씩 증가하고 있다.[304] 병해충으로 죽은 나무나 폭염 등으로 건조해진 나무의 마른 가지와 낙엽은 마찰에 의해 발화하는 경우가 보고되고 있다.[305][306][307]
맹금류인 검독수리, 검은등솔개, 황갈색황조롱이는 낙뢰 등으로 자연 발화한 불을 다른 곳으로 옮겨 확산시키고, 도망치는 작은 동물을 사냥하는 습성이 있어 파이어호크(Firehawk)라고 불린다.[308]
2. 2. 인위적 원인
인간이 일으킨 화재의 원인에는 방화, 우발적인 발화, 또는 동남아시아의 화전 농업과 같이 토지 정리 및 농업에서 통제되지 않은 불의 사용 등이 있다.[23] 열대 지방에서는 농부들이 건기에 종종 화전(slash-and-burn) 방식으로 밭을 개간한다.중위도 지방에서는 야외 작업 기계(체인톱, 그라인더, 잔디깎이 등)에서 발생하는 불꽃, 송전선, 그리고 방화가 산불의 가장 흔한 인위적인 원인이다.[24][25][26][27][28]
방화는 인위적인 화재의 20% 이상을 차지할 수 있다.[29] 그러나 2019-2020년 호주 산불 시즌에는 "독립적인 연구에서 온라인 봇과 트롤이 산불에서 방화의 역할을 과장하는 것을 발견했다."[30] 2023년 캐나다 산불에서도 방화에 대한 허위 주장이 소셜 미디어에서 퍼져나갔지만, 방화는 일반적으로 캐나다 산불의 주요 원인이 아니다.[31][32] 캘리포니아에서는 일반적으로 매년 6~10%의 산불이 방화에 의한 것이다.[33]
전 세계적으로 수천 곳의 석탄층 화재가 발생하고 있으며, 그 예로 뉴사우스웨일스주 버닝 마운틴, 펜실베이니아주 센트럴리아, 그리고 중국의 여러 석탄 화재가 있다. 이러한 석탄층 화재는 예측 없이 발화하여 인근 가연성 물질에 불을 붙일 수도 있다.[34]
모닥불, 화입, 화전 및 쓰레기 등의 야외 소각, 담배꽁초의 부주의, 불장난 등에 의한 실화 또는 방화는 인위적 산불의 주요 원인이다.[309][310][311]
그 외에도 전력회사가 설치한 전선의 합선으로 인한 발화, 항공기 추락, 증기기관차의 굴뚝에서 튀는 불똥에 의한 화재도 있다.[312][313]
3. 종류
산불은 크게 지중화, 지표화, 수관화, 수간화로 분류된다. 지중화는 땅속의 부식층을 태우는 산불을 의미한다. 지표화는 지표에 있는 잡초, 관목, 낙엽 등을 태운다. 수관화는 서 있는 나무의 가지와 잎을 태우는 것이고, 수간화는 나무의 줄기를 태운다.
4. 확산
산불의 확산은 주변의 가연성 물질, 수직적 배열과 수분 함량, 그리고 기상 조건에 따라 달라진다.[35] 연료의 배열과 밀도는 지형에 의해 부분적으로 결정되는데, 지형은 식물 성장에 필요한 일사량과 수분과 같은 요인을 결정하기 때문이다.
산불은 연료에 따라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특징지어진다.
- '''지표면 화재'''는 지하 뿌리, 숲 바닥의 부식토 및 기타 매몰된 유기물에 의해 연소된다. 지표면 화재는 일반적으로 훈소에 의해 연소되며, 인도네시아 칼리만탄과 수마트라 동부의 이탄 화재와 같이 수일에서 수개월 동안 천천히 연소될 수 있다.[36][37][38]
- '''표면 화재'''는 낙엽과 나무 쓰레기, 부스러기, 풀 및 저지대 관목과 같은 숲 바닥의 저지대 식생 물질에 의해 연소된다.[39] 이러한 종류의 화재는 수관 화재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400°C 미만)에서 연소되며 확산 속도가 느릴 수 있지만, 가파른 경사와 바람은 확산 속도를 가속화할 수 있다.[40]
- '''사다리 화재'''는 작은 나무, 쓰러진 통나무 및 덩굴과 같이 저지대 식생과 수관 사이의 물질을 소비한다. 나무를 타고 오르는 칡, 구세계 등반 고사리 및 기타 침입성 식물은 사다리 화재를 조장할 수도 있다.[41]
- '''수관 화재'''는 키 큰 나무, 덩굴 및 이끼와 같은 수관 수준의 부유 물질을 태운다. 수관 화재의 발화는 부유 물질의 밀도, 수관 높이, 수관 연속성, 충분한 지표면 및 사다리 화재, 식물 수분 함량 및 화재 발생 중의 기상 조건에 따라 달라진다.[42]

산불 강도는 낮 시간대에 증가한다. 낮 동안에는 습도가 낮고 기온이 높으며 풍속이 증가하기 때문에 꺼져가는 통나무의 연소율이 최대 5배까지 증가한다.[67] 햇빛이 지면을 따뜻하게 하면 언덕 위로 이동하는 기류가 생성되고, 밤에는 지면이 식어 언덕 아래로 이동하는 기류가 생성된다. 산불은 이러한 바람에 의해 부채질을 당하며 종종 언덕 위와 계곡을 따라 기류를 따른다.[68] 유럽에서는 오후 12시부터 2시 사이에 산불이 자주 발생한다.[69] 미국의 산불 진압 작전은 낮의 온기로 인한 강도 증가를 예측하여 오전 10시에 시작하는 24시간 "소방의 날"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70]
4. 1. 물리적 특성
산불의 확산은 주변 환경에 존재하는 가연성 물질, 수직적인 배열, 수분 함량, 그리고 기상 조건에 따라 달라진다.[35] 연료의 배열과 밀도는 지형에 의해 부분적으로 결정되는데, 지형은 식물 성장에 필요한 햇빛의 양과 수분 등의 요인을 결정한다.산불은 일반적으로 연료에 따라 다음과 같이 특징지을 수 있다.
- 지표면 화재: 지하 뿌리, 숲 바닥의 부식토, 기타 매몰된 유기물에 의해 연소된다. 훈소에 의해 연소되며, 수일에서 수개월 동안 천천히 연소될 수 있다.
- 표면 화재: 낙엽, 나무 쓰레기, 풀, 낮은 관목 등 숲 바닥의 낮은 식생 물질에 의해 연소된다.[39] 섭씨 400도 미만의 낮은 온도에서 연소되며 확산 속도가 느리지만, 가파른 경사와 바람은 확산 속도를 높인다.[40]
- 사다리 화재: 작은 나무, 쓰러진 통나무, 덩굴 등 낮은 식생과 수관 사이의 물질을 태운다.
- 수관 화재: 키 큰 나무, 덩굴, 이끼와 같은 수관층의 부유 물질을 태운다. 수관 화재의 발화는 부유 물질의 밀도, 수관 높이, 수관 연속성, 충분한 지표면 및 사다리 화재, 식물 수분 함량, 화재 발생 중 기상 조건에 따라 달라진다.[42]
산불은 화재 삼각형의 모든 필수 요소가 취약한 지역에 모일 때 발생한다. 발화원이 주변 공기에서 충분한 산소 공급을 받고, 식물과 같은 가연성 물질과 접촉하며, 충분한 열이 있을 때 발생한다. 높은 수분 함량은 재료를 발화점까지 가열하는 데 더 높은 온도가 필요하기 때문에 발화를 방지하고 확산을 늦춘다.[8][44] 밀집된 숲은 더 많은 그늘을 제공하여 주변 온도를 낮추고 습도를 높여 산불에 덜 취약하게 만든다.[45]
산불의 *전면*은 연속적인 화염 연소를 유지하는 부분으로, 타지 않은 물질이 활성화된 화염을 만나는 부분이다.[50] 전면이 접근함에 따라 화재는 대류와 열복사를 통해 주변 공기와 목질 물질을 가열한다. 먼저, 100°C에서 물이 증발하며 목재가 건조된다. 다음으로, 230°C에서 목재의 열분해가 가연성 가스를 방출한다. 마지막으로, 목재는 380°C에서 훈소되거나, 충분히 가열되면 590°C에서 발화한다.[51][52]
산불은 숲에서는 10.8km/h, 초원에서는 22km/h의 속도로 이동할 수 있다.[56] 바람과 수직 대류 기둥은 화염탄 및 기타 연소 물질을 공기를 통해 운반하여 산불이 *점프*하거나 *스포팅*을 통해 확산될 수 있다.[58][59] 오스트레일리아 산불에서는 스팟 화재가 화재 전면에서 최대 20km 떨어진 곳에서 발생하기도 한다.[61]
큰 산불은 굴뚝 효과에 의해 인근 지역 기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큰 산불은 주변 지역에서 새롭고 차가운 공기를 열기둥으로 끌어들일 강력한 상승기류를 생성한다.[62] 이는 80km/h 이상의 속도를 가진 화재 회오리를 촉진하기도 한다.[63][64][65]
낮에는 습도가 낮고 기온이 높으며 풍속이 증가하기 때문에 산불 강도가 증가한다.[67] 햇빛이 지면을 따뜻하게 하면 언덕 위로 이동하는 기류가 생성되고, 밤에는 지면이 식어 언덕 아래로 이동하는 기류가 생성된다. 산불은 이러한 바람에 의해 확산되며 언덕 위와 계곡을 따라 기류를 따른다.[68]
4. 2. 기후 변화의 영향
기후 변화는 산불 발생 가능성을 높이는 기상 조건을 더 자주 발생하게 만든다. 일부 지역에서는 산불 증가가 기후 변화에 직접적인 원인이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11] 지구 과거의 증거 역시 기온이 높았던 시기에 산불이 더 많았음을 보여준다.[73] 기후 변화는 증발산을 증가시켜 식물과 토양을 건조하게 만들 수 있다. 매우 건조한 식물이 있는 지역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빠르게 확산될 수 있다. 기온 상승은 또한 화재 시즌을 연장할 수 있는데, 특히 눈이 사라지는 지역에서는 심각한 산불이 가장 발생하기 쉬운 시기이다.[74]기상 조건은 산불 위험을 증가시키고 있지만, 산불로 인해 불에 탄 총 면적은 감소했다. 이는 주로 사바나가 경작지로 전환되어 연소될 나무가 줄었기 때문이다.[74]
기후 변동성에는 열파, 가뭄, 엘니뇨 및 고기압성 정체와 같은 지역 기상 패턴이 포함되며, 이는 산불의 위험을 증가시키고 산불의 행동을 극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75][76][77] 많은 강수량이 있었던 해에는 빠른 식생 성장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후 따뜻한 시기가 이어지면 더 광범위한 화재와 더 긴 화재 시즌을 유발할 수 있다.[78] 고온은 연료를 건조하게 만들어 가연성을 높이고, 나무의 고사를 증가시키며 세계 산림 건강에 상당한 위험을 초래한다.[79][80][81] 1980년대 중반 이후 미국 서부에서는 눈이 더 일찍 녹고 이와 관련된 온난화로 인해 산불이 가장 발생하기 쉬운 시기인 화재 시즌의 길이와 심각성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82] 2019년 연구에 따르면 캘리포니아의 산불 위험 증가는 부분적으로 인간이 유발한 기후 변화 때문일 수 있다.[83]
2019년 극심한 폭염과 건조함은 대규모 산불을 유발했다. 시베리아, 알래스카, 카나리아 제도, 오스트레일리아 및 아마존 열대우림에서 발생했다. 후자의 산불은 주로 불법 벌목에 의해 발생했다. 산불 연기는 주요 도시를 포함한 광대한 지역으로 확산되어 대기 질을 급격히 악화시켰다.[89]
2020년 8월 현재, 그 해의 산불은 주로 기후 변화, 삼림 벌채 및 농업 소각으로 인해 2019년보다 13% 더 심각했다. 아마존 열대우림의 존재가 산불로 위협받고 있다.[90][91][92][93] 기록적인 2021년 산불이 터키, 그리스 및 러시아에서 발생했는데, 이는 기후 변화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94]
미국의 2017년 조사에서는 기후변화에 의해 산불 발생 건수와 규모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 제시되었다. 이스트앵글리아대학교 등의 연구팀이 2020년에 발표한 분석에서도 지구온난화가 산불의 악화 요인임을 시사하고 있다.[314] 지난 40년 동안 산불 발생 건수는 10배 이상으로 급증했는데, 그 배경은 지구온난화의 진행으로 인해 산이 고온 건조 상태가 되기 때문이라고 분석되고 있다.[314]
유엔기후변화협약의 피게레스 사무총장은 기후변화와 산불의 관련성에 대해 "물론, 확실히 있다. 아직 (두 가지 사이의) 직접적인 연관성은 밝혀내지 못했지만, 분명한 것은 현대 과학이 열파가 증가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계속될 것이라고 보여주고 있다는 점이다."라고 답했다.[315]
5. 예방
산불 예방은 개인적인 노력과 국가 및 지자체 차원의 노력으로 나눌 수 있으며,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을 참고할 수 있다.
일부 학자들은 제어 연소나 일부 산불이 자연적으로 타도록 허용하는 정책이 많은 숲에 대해 가장 저렴하고 생태적으로도 적절한 방법이라고 주장한다. 하지만 이러한 주장은 상품화 가능한 목재처럼 화재로 소실되는 자원의 경제적 가치를 고려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129] 또한, 연료를 벌목으로 제거하는 방법도 있지만, 극한 기상 조건에서는 화재의 심각성을 줄이는 데 효과적이지 않을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130]
산불 위험 지역에 지속적으로 주택을 개발하거나 화재로 파괴된 구조물을 재건하는 것은 비판을 받아왔다.[134] 이는 화재의 생태적 이점보다 구조물과 인명 보호의 경제적, 안전적 이점을 우선시하기 때문이다.[135]
5. 1. 개인
산불 예방은 산불의 위험을 낮추고, 그 심각성과 확산을 줄이기 위한 선제적인 방법이다.[116] 예방 기술은 대기 질 관리, 생태계 균형 유지, 자원 보호[117] 및 미래 산불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목표로 한다.[118] 예를 들어, 유럽의 산불 95%가 인적 요인과 관련이 있는 것과 같이, 인간이 산불에서 차지하는 역할을 고려해야 한다.[119]개인이 할 수 있는 산불 예방 노력은 다음과 같다:
- 산림 출입 금지: 새로운 산불 발생을 막고 인명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시행되는 산림 출입 금지 조치를 준수한다.[323]
- 홍보 활동 참여 및 숙지: 산림청, 각 지역 소방청 등에서 실시하는 산불 예방 홍보 활동에 관심을 가지고 내용을 숙지한다.[309][324]
- 화기 취급 주의: 일본에서는 화재 경보, 강풍 주의보, 건조 주의보 등을 통해 화기 취급에 대한 경계를 당부하고 있다.[326][327] 미국에서는 Red flag warning|Red flag warning영어을 통해 산불 발생 위험이 높아졌음을 알리고 있다.
화입(火入れ)은 건기 초에 인공적으로 산림에 불을 놓아 풀 등 지표면의 가연물을 제거함으로써 산불 위험을 줄이는 방법이다. 그러나 캘리포니아주 등에서는 연중 고온 건조한 상태가 지속되어 화입이 불가능하고 예방이 어려운 경우도 있다.[325]
산불 위험 지역의 건축법은 일반적으로 구조물이 내화 재료로 건설되고 방화 대책 공간이 구조물에서 지정된 거리 내 가연성 물질을 제거하여 유지되어야 함을 요구한다.[131][132] 필리핀의 지역 사회는 또한 숲과 마을 사이에 5m에서 10m 너비의 방화선을 유지하고 여름철이나 건조한 계절에는 이 선을 순찰한다.[133]
5. 2. 국가 및 지자체
산불 예방은 산불의 위험을 낮추고, 그 강도와 확산을 줄이기 위한 사전 조치를 의미한다.[116] 예방 기술은 대기 질 관리, 생태계 균형 유지, 자원 보호[117], 그리고 미래의 산불에 영향을 주는 것을 목표로 한다.[118] 예를 들어 유럽에서는 산불의 95%가 인간의 활동과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예방 정책은 인간이 산불에서 차지하는 역할을 고려해야 한다.[119]전 세계의 산불 예방 프로그램은 '자연 산불 이용(WFU)'과 '처방 또는 제어 연소'와 같은 기술을 활용한다.[120][121] '자연 산불 이용'은 자연적인 원인으로 발생한 화재를 감시하면서 타도록 놔두는 것이고, '제어 연소'는 정부 기관이 위험이 적은 기상 조건에서 불을 붙이는 것이다.[122] 다른 목표로는 건강한 삼림, 목초지, 습지를 유지하고 생태계 다양성을 지원하는 것이 있다.[123]
산불 예방, 탐지, 제어 및 진압 전략은 시간이 지나면서 다양하게 변화해 왔다.[124] 통제되지 않는 산불 위험을 줄이는 일반적이고 저렴한 방법 중 하나는 제어 연소이다. 이는 더 작고 약한 불을 의도적으로 놓아 잠재적인 산불에 사용될 수 있는 가연성 물질의 양을 줄이는 것이다.[125][126] 식물과 기타 잔해물이 연료 역할을 할 수 있는 축적을 제한하면서 높은 종 다양성을 유지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식생을 태울 수 있다.[127][128]
산불 위험 지역의 건축법은 일반적으로 건물을 내화 재료로 짓고, 방화 대책 공간을 통해 건물에서 일정 거리 내 가연성 물질을 제거하도록 규정한다.[131][132] 필리핀의 지역 사회는 숲과 마을 사이에 5m에서 10m 너비의 방화선을 유지하고, 여름이나 건조한 계절에는 이 선을 순찰한다.[133]
- 산림 출입 금지: 새로운 산불 발생을 막고 인명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시행된다.[323]
- 입산자 등에 대한 홍보: 산림청, 각 지역 소방청 등에서 홍보 활동을 실시한다.[309][324]
- 화입(火入れ): 건기가 시작되기 전에 인공적으로 산림에 불을 놓아 풀 등 지표면의 가연물을 제거하여 산불 위험을 줄일 수 있다. 그러나 캘리포니아주 등에서는 연중 고온 건조한 상태가 지속되어 화입이 불가능하고 예방이 어려운 경우도 있다.[325]
- 일본: 화재 경보, 강풍 주의보, 건조 주의보 등을 통해 화기 취급에 대한 주의를 당부하고 있다.[326][327]
- 미국: Red flag warning영어을 통해 산불 발생 위험이 높아졌음을 알리고 있다.
6. 진압
산불 진화는 국가 국내총생산의 상당 부분을 소요시켜 국가 경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173] 연도별 산불 발생의 심각도에 따라 비용은 크게 달라지지만, 미국에서는 지방, 주, 연방 및 부족 기관이 매년 산불 진화에 수십억 달러를 공동으로 지출하고 있다. 2004년부터 2008년까지 미국에서는 산불 진화에 약 60억 달러가 소요된 것으로 보고되었다.[173] 캘리포니아에서는 미국 산림청이 매년 약 2억 달러를 사용하여 산불의 98%를 진화하고, 초기 진화에 실패하여 대형 산불로 번진 나머지 2%의 산불 진화에는 최대 10억 달러를 사용한다.[174] 캐나다와 미국에서는 매년 평균 54500km2의 면적이 산불로 인해 소실된다.[169][170]
6. 1. 진압 방법
산불 진화는 산불이 발생하는 지역의 기술 수준에 따라 달라진다. 개발도상국에서는 모래를 뿌리거나 막대기나 야자 잎으로 불을 찍어 끄는 등의 간단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165] 선진국에서는 기술력이 향상됨에 따라 진화 방법이 다양해진다. 요오드화은을 이용하여 강설을 유도할 수 있으며,[166] 난연제와 물을 무인 항공기, 비행기 및 헬리콥터를 이용하여 투하할 수 있다.[167][168] 완벽한 산불 진화는 더 이상 기대할 수 없지만, 대부분의 산불은 통제 불능으로 커지기 전에 진화된다. 매년 발생하는 1만 건이 넘는 새로운 산불의 99% 이상이 억제되지만, 극심한 기상 조건에서 발생하는 산불은 기상 변화 없이는 진화하기 어렵다.무엇보다 산불 진화는 매우 위험하다. 산불의 화선은 예측할 수 없이 방향이 바뀌고 방화선을 넘어 급속히 확산될 수 있다. 강한 열기와 연기는 방향 감각 상실과 화재 상황 판단력 저하를 유발하여 산불을 특히 위험하게 만듭니다. 예를 들어, 1949년 미국 몬태나주에서 발생한 만 굴치 산불 당시, 연기 점프대원 13명이 통신 두절, 방향 감각 상실로 인해 산불에 휩쓸려 사망했다.[171] 2009년 2월 호주에서 발생한 2009년 2월 빅토리아주 산불에서는 산불로 인해 최소 173명이 사망하고 2,029채 이상의 주택과 3,500개 이상의 건물이 소실되었다.[172]

산불 방지제산불 방지제는 연소를 억제하여 산불의 확산을 늦추는 데 사용된다. 이는 인산암모늄과 황산암모늄, 그리고 증점제의 수용액이다.[178] 방지제 살포 여부는 산불의 규모, 위치, 강도에 따라 결정된다. 경우에 따라 산불 방지제는 예방적인 산불 방어 조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179]
일반적인 산불 방지제에는 비료와 동일한 성분이 포함되어 있다. 산불 방지제는 용탈, 부영양화 또는 잘못된 적용을 통해 수질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산불 방지제가 식수에 미치는 영향은 아직 결론이 나지 않았다.[180] 수역 크기, 강우량, 유량 등의 희석 요인은 산불 방지제의 농도와 효능을 감소시킨다.[179] 산불 잔해(재와 퇴적물)는 강과 저수지를 막아 홍수와 침식의 위험을 증가시키고, 궁극적으로 정수 시스템을 지연시키거나 손상시킨다.[180][181] 토지, 수질, 야생 동물 서식지 및 유역의 수질에 대한 산불 방지제의 영향에 대한 우려가 계속되고 있으며,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그러나 긍정적인 측면으로, 산불 방지제(특히 질소와 인 성분)는 영양소가 부족한 토양에 비료 효과를 나타내어 일시적으로 식생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179]

기타 진압 방법항공기나 헬리콥터를 이용한 물뿌리기와 소화탄 투하, 소방차를 이용한 방수 외에도, 나무를 띠 모양으로 베어내어 방화대를 조성하고 자연적으로 진화되기를 기다리는 방법이 있다.
미국이나 오스트레일리아 등에서는 낙뢰 등으로 자연적으로 발생한 산불을 자연의 순환 과정의 하나로 보고, 인명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한 함부로 소화하지 않는 방책을 취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러시아에는 지방 당국에 산불 진화를 의무화하지 않는 것을 규정한 정령을 두고 있다.[316] 이는 소화를 위한 예산 부족이 이유이며, 화재가 주택 등에 피해를 주지 않고 소화에 드는 비용이 산림 손실로 예상되는 손해보다 클 경우, 지방 자치단체는 화재를 감시하기만 하고 소화하지 않아도 된다고 명시하고 있다.
맞불 놓기신속한 진화와 진화 활동 강화를 목적으로 의도적으로 불을 지펴 진화하는 방법이다. 대규모 화재에서 일반적인 진화 방법으로는 진화 불가능하다고 판단될 경우 최후의 수단으로 사용된다.[320] 화재 진행 방향에 있는 가연물을 미리 소각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버닝아웃(burn-out), 화재 진행 방향을 바꾸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백파이어(back fire, 迎え火), 백파이어의 확대를 촉진하는 카운터 파이어(counter fire)라는 진화 방법이 있다.[320]
보통 지상의 소방대원에 의해 발화되지만, 미국에서는 연료 탱크를 매단 헬리콥터를 이용하여 공중에서 발화하기도 한다.[321][322]
6. 2. 진압 기술
최근 시의적절하고 고품질의 산불 정보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신속하고 효과적인 감지는 산불 진압의 핵심 요소가 되었다.[136] 초기 감지 노력은 초기 대응, 주야간 정확한 결과, 산불 위험 우선 순위 지정 기능에 중점을 두었다.[137] 미국에서는 20세기 초에 산불 감시탑이 사용되었으며, 전화, 전서구, 헬리오그래프를 사용하여 산불을 보고했다.[138] 1950년대에는 즉석 카메라를 사용한 항공 및 지상 사진이 사용되었으며, 1960년대에는 산불 감지를 위해 적외선 스캐닝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통신 기술의 한계로 정보 분석 및 전달이 종종 지연되었다. 초기 위성 기반 산불 분석은 원격지에서 지도에 손으로 그려져 익일 우편으로 산불 관리자에게 전달되었다. 1988년 옐로스톤 산불 당시 웨스트 옐로스톤에 데이터 스테이션이 설치되어 약 4시간 안에 위성 기반 산불 정보를 전달할 수 있었다.[137]
공공 핫라인, 망루의 산불 감시원, 지상 및 항공 순찰은 산불 조기 감지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지만, 정확한 인간 관찰은 작업자 피로, 시간대, 계절, 지리적 위치에 따라 제한될 수 있다. 최근에는 전자 시스템이 인적 오류 해결책으로 인기를 얻고 있으며, 이러한 시스템은 반자동 또는 완전 자동화될 수 있고, GIS 데이터 분석에서 제안된 바와 같이 위험 지역과 인적 존재 정도를 기반으로 하는 시스템을 사용한다. 위성 데이터, 항공 영상, 위성항법장치(GPS)를 통한 인력 위치를 하나로 통합하는 여러 시스템의 통합 접근 방식을 사용하여 무선 사고 지휘 센터에서 실시간으로 사용할 수 있다.[139]
밀집된 식생, 높은 인구 밀도, 또는 중요 도시 지역과의 근접성으로 인해 위험도가 높은 소규모 지역은 지역 센서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감시할 수 있다. 감지 시스템에는 온도, 습도, 연기를 감지하는 자동 기상 시스템 역할을 하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가 포함될 수 있다.[140][141][142][143] 이러한 시스템은 배터리, 태양열 또는 식물체의 미세 전류를 이용하여 배터리를 충전하는 '식물 충전식'일 수 있다.[144] 위험도가 중간 정도인 더 넓은 지역은 고정 카메라와 센서를 통합하여 연기 또는 화재에 의해 발생하는 이산화탄소의 적외선 신호와 같은 추가 요소를 감지하는 스캐닝 타워로 감시할 수 있다. 야간 투시, 밝기 감지, 색상 변화 감지와 같은 추가 기능도 센서 어레이에 통합될 수 있다.[145][146][147]
천연자원부는 태평양 북서부에 360도 '신속 감지' 카메라를 설치하기 위해 PanoAI와 계약을 체결했으며, 이 카메라는 기지국에 설치되어 15마일 반경을 24시간 감시할 수 있다.[148] 또한 브라질과 토론토에 본사를 둔 Sensaio Tech은 토양 온도에서 염도까지 산림에서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14가지 변수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는 센서 장치를 출시했다. 이 정보는 대시보드 시각화를 통해 고객에게 실시간으로 전달되며, 위험 수준에 대한 모바일 알림이 제공된다.[149]
항공기, 헬리콥터 또는 무인 항공기(UAV)를 이용한 위성 및 항공 모니터링은 더 넓은 시야를 제공하며 매우 크고 위험도가 낮은 지역을 모니터링하는 데 충분할 수 있다. 이러한 더 정교한 시스템은 GPS와 항공기에 장착된 적외선 또는 고해상도 가시광선 카메라를 사용하여 산불을 식별하고 목표로 삼는다.[150][151] 엔비스탯(Envisat)의 고정밀 선형 주사 방사계와 유럽 원격 탐사 위성의 선형 주사 방사계와 같은 위성 탑재 센서는 화재에서 방출되는 적외선을 측정하여 39°C 이상의 열점을 식별할 수 있다.[152][153] 미국 국립해양대기청의 위험 지도 시스템은 정지궤도 환경기상위성(GOES), 중간 해상도 영상 분광 방사계(MODIS) 및 고급 초고해상도 방사계(AVHRR)와 같은 위성 소스의 원격 감지 데이터를 결합하여 화재 및 연기 기둥 위치를 탐지한다.[154][155] 그러나 위성 탐지는 MODIS 및 AVHRR 데이터의 경우 2km에서 3km, GOES 데이터의 경우 최대 12km에 이르는 오차가 발생하기 쉽다.[156] 정지궤도 위성은 작동이 중지될 수 있으며, 극궤도 위성은 관측 시간이 짧기 때문에 제한을 받는 경우가 많다. 구름 덮개와 영상 해상도는 위성 영상의 효과를 제한할 수도 있다.[157] 글로벌 포레스트 워치(Global Forest Watch)[158]는 화재 경보에 대한 자세한 일일 업데이트를 제공한다.[159]
2015년에 미국 농무부 산림청에서 수오미 국립 극궤도 파트너십 위성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이전 우주 기반 제품보다 더 자세하게 작은 화재를 감지하는 새로운 화재 감지 도구를 운영하기 시작했다. 고해상도 데이터는 컴퓨터 모델과 함께 사용되어 기상 및 지형 조건에 따라 화재 방향이 어떻게 변할지 예측한다.[160]
2014년에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크루거 국립공원에서 새로운 VIIRS 활성 화재 데이터를 포함한 화재 감지 제품의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한 국제 캠페인이 조직되었다. 이 캠페인에 앞서 남아프리카 공화국 프리토리아에 있는 과학산업연구위원회의 메라카 연구소는 VIIRS 375 m 화재 제품을 조기에 도입하여 크루거의 여러 대형 산불 발생 시 활용했다.[161]
2021년부터 NASA는 실시간에 가까운 방식으로 산불 정보 자원 관리 시스템을 통해 활성 화재 위치를 제공해 왔다. 2022년에서 2023년 사이 북미 전역의 산불로 인해 산불의 조기 감지, 예방 및 예측을 위한 인공지능을 사용하는 다양한 기술의 제공 및 설계가 증가했다.[162][163][164]
산불 진화는 산불이 발생하는 지역의 기술 수준에 따라 달라진다. 개발도상국에서는 모래를 뿌리거나 막대기나 야자 잎으로 불을 찍어 끄는 등의 간단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165] 선진국에서는 기술력이 향상됨에 따라 진화 방법이 다양해진다. 요오드화은을 이용하여 강설을 유도할 수 있으며,[166] 난연제와 물을 무인 항공기, 비행기 및 헬리콥터를 이용하여 투하할 수 있다.[167][168] 완벽한 산불 진화는 더 이상 기대할 수 없지만, 대부분의 산불은 통제 불능으로 커지기 전에 진화된다. 매년 발생하는 1만 건이 넘는 새로운 산불의 99% 이상이 억제되지만, 극심한 기상 조건에서 발생하는 산불은 기상 변화 없이는 진화하기 어렵다. 캐나다와 미국에서는 매년 평균 54500km2의 면적이 산불로 인해 소실된다.[169][170]
산불 진화는 매우 위험하다. 산불의 화선은 예측할 수 없이 방향이 바뀌고 방화선을 넘어 급속히 확산될 수 있다. 강한 열기와 연기는 방향 감각 상실과 화재 상황 판단력 저하를 유발하여 산불을 특히 위험하게 만듭니다. 예를 들어, 1949년 미국 몬태나주에서 발생한 만 굴치 산불 당시, 연기 점프대원 13명이 통신 두절, 방향 감각 상실로 인해 산불에 휩쓸려 사망했다.[171] 2009년 2월 호주에서 발생한 2009년 2월 빅토리아주 산불에서는 산불로 인해 최소 173명이 사망하고 2,029채 이상의 주택과 3,500개 이상의 건물이 소실되었다.[172]
공중소화는 항공기를 이용하여 상공에서 소화 활동을 수행하는 것이다. 광대한 삼림이나 험준한 산이 많은 국가에서는 산불 현장까지 소방차가 도착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 공중소화 전문 소방대가 존재한다. 국가에 따라서는 소방대가 아닌 군대, 경찰, 국경경비대, 산림을 관할하는 기관, 민간 기업 등이 수행하는 경우도 있다.
미국, 러시아, 캐나다에서 조직되어 원격지 산불 현장에 낙하산으로 강하하여 초기 대응을 하는 소방관을 Smokejumper|스모크 점퍼영어라고 부른다. 대원은 현지에 도착 후, Fire retardant|label=난연제영어 살포, 나무를 베어내 방화대를 만드는 등의 작업에 임한다.[319]
헬리콥터를 이용하여 화재 현장에 인원을 수송하고 신속한 진화 활동을 수행하는 부대는 Helitack|헬리택영어이라고 불린다. 헬리콥터는 승무원을 태우고 출발하며, 대원들은 화재 현장 근처에서 하강하여 지상에서 체인톱 등의 장비를 사용하여 방화대를 구축한다.
산불 방지제는 연소를 억제하여 산불의 확산을 늦추는 데 사용된다. 이는 인산암모늄과 황산암모늄, 그리고 증점제의 수용액이다.[178] 방지제 살포 여부는 산불의 규모, 위치, 강도에 따라 결정된다. 경우에 따라 산불 방지제는 예방적인 산불 방어 조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179]
일반적인 산불 방지제에는 비료와 동일한 성분이 포함되어 있다. 산불 방지제는 용탈, 부영양화 또는 잘못된 적용을 통해 수질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산불 방지제가 식수에 미치는 영향은 아직 결론이 나지 않았다.[180] 수역 크기, 강우량, 유량 등의 희석 요인은 산불 방지제의 농도와 효능을 감소시킨다.[179] 산불 잔해(재와 퇴적물)는 강과 저수지를 막아 홍수와 침식의 위험을 증가시키고, 궁극적으로 정수 시스템을 지연시키거나 손상시킨다.[180][181] 토지, 수질, 야생 동물 서식지 및 유역의 수질에 대한 산불 방지제의 영향에 대한 우려가 계속되고 있으며,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그러나 긍정적인 측면으로, 산불 방지제(특히 질소와 인 성분)는 영양소가 부족한 토양에 비료 효과를 나타내어 일시적으로 식생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179]
7. 피해
산불은 인명, 재산, 환경에 심각한 피해를 야기한다.
산불은 자연적인 원인이나 인위적인 활동으로 발생하며, 인간이 유발한 지리적 및 기후 변화로 인해 산불 위험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지구 온난화와 기후 변화는 기온 상승과 가뭄을 유발하여 산불 발생 가능성을 높인다.[216][217]
산불은 강한 열기와 연기로 인해 인명 피해를 유발하며, 방향 감각 상실과 판단력 저하를 일으켜 사람들을 위험에 빠뜨린다. 산불 진화대원들은 열사병, 피로, 연기 흡입, 화상 등 다양한 위험에 노출된다. 산불 연기는 일산화탄소, 이산화황, 포름알데히드 등 유해 가스와 미세먼지를 포함하여 호흡기 질환, 심장 질환, 심지어 사망까지 유발할 수 있다.
산불은 주택, 자동차 등 재산 피해를 야기하며, 2023년 하와이 마우이섬 산불과 같이 대규모 재산 피해를 초래하기도 한다.
기후 변화는 열파, 가뭄, 엘니뇨와 같은 기상 패턴을 포함한 기후 변동성을 증가시켜 산불의 위험을 높인다.[75][76][77] 산불은 대기 중으로 다량의 이산화탄소, 블랙 카본 등을 방출하여 기후 변화를 더욱 악화시킨다. 또한, 산불은 벤젠과 같은 유독 화학 물질을 생성하여 식수 시스템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나무 소실로 인해 홍수, 산사태 등의 2차 피해를 유발한다.[339]
7. 1. 인명 피해
산불은 강한 열기와 연기로 인해 예측 불가능하게 방향이 바뀌고 빠르게 확산될 수 있어 인명 피해를 야기한다. 이러한 특성은 사람들의 방향 감각 상실과 화재 상황 판단력 저하를 유발하여 특히 위험하다. 1949년 미국 몬태나주에서 발생한 만 굴치 산불에서는 연기 점프대원 13명이 통신 두절 및 방향 감각 상실로 사망했고,[171] 2009년 2월 호주 2009년 2월 빅토리아주 산불에서는 최소 173명이 사망하고 2,029채 이상의 주택과 3,500개 이상의 건물이 소실되었다.[172]
산불 진화대원들은 열사병, 피로, 연기와 먼지 흡입, 화상, 베임, 찰과상, 동물 공격, 횡문근융해증 등 다양한 위험에 직면한다.[175][176] 2000년부터 2016년까지 350명 이상의 산불 진화대원이 현장에서 사망했다.[177] 특히 더운 날씨에는 열사병의 위험이 크며, 이는 열감, 피로, 쇠약, 현기증, 두통, 메스꺼움 등을 동반하고, 심하면 열 발진, 경련, 탈진, 열사병으로 이어질 수 있다. 휴식, 차가운 물, 그리고 가끔씩 휴식을 취하는 것은 열사병의 영향을 완화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175]
산불 연기에는 일산화탄소, 이산화황, 포름알데히드 등 유해 가스와 미립자인 재, 이산화규소 등이 포함되어 있어 호흡기 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175] 소방관들은 뇌졸중과 심장마비를 포함한 심장 질환의 위험에도 노출되어 있다.[175]
일산화탄소(CO)는 무색, 무취의 가스로, 꺼져가는 불 근처에서 농도가 가장 높아 산불 진화대원들에게 심각한 위협이 된다. 고농도에서는 두통, 쇠약, 어지러움, 혼란, 메스꺼움, 방향 감각 상실, 시각 장애, 혼수상태, 심지어 사망에 이를 수 있으며,[219] 저농도에서도 심혈관 질환이 있는 사람들은 흉통과 심장 부정맥을 경험할 수 있다.[219] 1990년부터 2006년까지 산불 진화대원 사망자 수와 원인을 추적한 연구에 따르면 사망자의 21.9%가 심장마비로 인한 것으로 나타났다.[238]
산불은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 우울증, 불안, 공포증 등 정신 질환을 유발하기도 한다.[239][240][241][242][243]
미국 서부에서는 지난 수십 년 동안 산불의 빈도와 강도가 모두 증가했으며, 이는 건조한 기후와 지구 온난화의 영향으로 추정된다. 2004년부터 2009년까지 미국 서부에서는 약 4천 6백만 명이 산불 연기에 노출된 것으로 추산되며, 연구 결과 산불 연기는 대기 중 미세먼지 수치를 높일 수 있다는 사실이 입증되었다.[224]
산불 연기는 호흡기 질환을 악화시킬 수 있다. 2002년 콜로라도주 하이먼 산불로 인한 미세먼지(PM) 연기 증가는 만성 폐쇄성 폐 질환(COPD) 환자의 호흡기 증상 증가와 관련이 있었고,[245] 2003년 남캘리포니아 산불 조사 결과, 연기 중 미세먼지(PM) 농도가 최고조에 달했을 때 천식 증상으로 인한 병원 입원이 증가했다.[246] 또 다른 연구에서는 산불 특유의 미세먼지(PM2.5) 농도가 높은 날의 호흡기 질환 관련 병원 입원 위험이 비연기 발생일에 비해 7.2% 증가했다.[224]
어린이와 임산부도 산불 연기에 취약하다. 어린이 건강 연구에 참여한 어린이들은 눈과 호흡기 증상, 약물 사용 및 의사 방문이 증가했고,[247] 산불 발생 기간 임신 중이었던 어머니들은 출생 아기의 평균 체중이 약간 감소했다.[248] 전 세계적으로 매년 산불 연기의 영향으로 약 33만 9천 명이 사망하는 것으로 추산된다.[249]


산불 이후에도 불에 약해진 나무가 떨어지거나, 재더미 구덩이(ash pit)에 빠지는 등의 위험이 존재한다.[250] 또한, 화학 물질로 오염된 식수(Chemically contaminated drinking water) 문제도 심각하다.[251][252][253] 2018년 캘리포니아주 파라다이스에서는 캠프 파이어로 인해 1.5억달러가 넘는 피해가 발생했으며, 상수도 시스템 복구 및 오염 제거에 거의 1년이 걸렸다.
소방관은 산불 연기 노출로 인한 급성 및 만성 건강 영향에 가장 큰 위험에 처해 있으며, 장기간 연기 흡입으로 인해 심혈관 및 호흡기 질환을 겪을 수 있다.[262] 2001년부터 2012년 사이에 산불 진압 소방관 중 200명 이상이 사망했다.[265]

산불 주변 지역 주민들은 낮은 농도의 화학 물질에 노출되지만, 물이나 토양 오염을 통한 간접적인 노출 위험이 있다. 어린이, 노인, 흡연자, 임산부 등 취약 계층은 특히 더 위험하다.[219]
2023년 하와이 마우이섬 산불에서는 114명의 사망이 확인되어 미국 내 산불로는 지난 100년 동안 최악의 피해가 되었다.[328][329] 화재 진압에 나선 소방관과 군인들도 희생된다.[330] 1971년 쿠레시 산림 화재에서는 18명의 소방관이 화재로 순직했다.
7. 2. 재산 피해
불길이 주택으로 번져 주택, 자동차, 가축 등의 재산이 소실된다. 2023년 하와이 마우이섬 산불에서는 2,200채가 넘는 건물이 파괴되었고, 경제적 손실액은 30억달러에서 75억달러 사이(약 4조 원에서 10조 원)로 추정되고 있다.[333][334]7. 3. 환경 피해
기후 변화는 열파, 가뭄, 엘니뇨와 같은 기상 패턴을 포함한 기후 변동성을 증가시켜 산불의 위험을 높이고 산불의 행동을 극적으로 변화시킨다.[75][76][77] 많은 강수량이 있었던 해에는 빠른 식생 성장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후 따뜻한 시기가 이어지면 더 광범위한 화재와 더 긴 화재 시즌을 유발할 수 있다.[78]기온 상승은 화재 시즌을 연장할 수 있으며, 특히 눈이 사라지는 지역에서는 심각한 산불이 가장 발생하기 쉬운 시기이다.[74] 1980년대 중반 이후 미국 서부에서는 눈이 더 일찍 녹고 이와 관련된 온난화로 인해 산불이 가장 발생하기 쉬운 시기인 화재 시즌의 길이와 심각성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82]
산불은 대량의 이산화탄소, 블랙 카본과 브라운 카본 입자, 그리고 휘발성 유기 화합물과 질소산화물(NOx)과 같은 오존 전구체를 대기 중으로 방출한다.[96][97] 이러한 배출은 지역적 또는 전 지구적 규모로 복사, 구름 및 기후에 영향을 미친다.[16]
산불 연기는 장거리로 이동하여 지역, 광역 및 전 세계 규모의 대기 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99] 산불 연기의 건강 영향은 즉각적인 노출을 넘어서 지속되며, 연간 약 16,000명의 사망에 기여하고 있으며, 이 수치는 2050년까지 30,000명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100]
지난 세기 동안 산불은 전 세계 탄소 배출량의 20~25%를 차지했으며, 나머지는 인간 활동에 의한 것이다.[101] 1997년 인도네시아의 산불은 0.81~2.57기가톤(0.89~2.83억 단위: 쇼트톤)의 CO2를 대기 중으로 배출한 것으로 추정되며, 이는 화석 연료 연소에 의한 연간 전 세계 이산화탄소 배출량의 13~40%에 해당한다.[104][105]
산불은 또한 벤젠과 같은 유독 화학 물질을 생성하여 식수 시스템에 영향을 줄 수 있다.[211][212]
나무가 소실됨으로써 산의 흡수·보수 능력이 저하되어 강우를 흡수할 수 없게 된다. 그로 인해 토사가 유출되기 쉬워지고, 폭우 때마다 홍수, 산사태, 토석류로 이어진다.[339]
8. 생태계와의 관계
산불은 식생의 성장이 충분히 가능하지만 장기간 건조하고 더운 시기를 특징으로 하는 기후에서 흔하게 발생한다.[20] 이러한 지역에는 오스트레일리아와 동남아시아의 식물이 자라는 지역, 남아프리카의 벨트, 남아프리카 공화국 서케이프의 핀보스, 미국의 삼림 지역과 캐나다, 그리고 지중해 분지가 포함된다.
고강도 산불은 복잡한 초기 천이림 서식지("고목림 서식지"라고도 함)를 만들어내는데, 이는 종종 불에 타지 않은 오래된 숲보다 종 풍부도와 다양성이 더 높다.[191] 대부분의 북미 삼림의 식물과 동물 종들은 산불과 함께 진화했으며, 이러한 종들 중 많은 수가 산불, 특히 고강도 산불에 의존하여 번식하고 성장한다. 산불은 식물체로부터 토양으로 영양분을 되돌리는 데 도움이 된다. 산불의 열은 특정 유형의 종자 발아에 필요하며, 고강도 산불에 의해 생성된 고목(죽은 나무)과 초기 천이림은 야생 동물에게 유익한 서식지 조건을 만든다.[191] 고강도 산불에 의해 생성된 초기 천이림은 온대 침엽수림에서 발견되는 가장 높은 수준의 토착 생물 다양성을 지원한다.[192][193] 산불 후 벌채는 생태적 이점이 없고 많은 부정적 영향을 미치며, 산불 후 파종에도 마찬가지로 해당되는 경우가 많다.[129] 산불의 배제는 목본 식물 침입과 같은 식생 체제 변화에 기여할 수 있다.[194][195]
일부 생태계는 성장을 조절하기 위해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산불에 의존하지만, 캘리포니아 남부의 채파랄과 미국 남서부의 저지대 사막과 같이 너무 많은 산불로 고통받는 생태계도 있다. 이러한 일반적으로 산불에 의존하는 지역에서 산불 빈도가 증가함에 따라 자연 순환이 깨지고 토착 식물 군집이 손상되며 비토착 잡초의 성장이 촉진되었다.[196][197][198][199] ''작은잎실고사리''와 ''털빕새''와 같은 침입종은 산불로 피해를 입은 지역에서 빠르게 성장할 수 있다. 이들은 매우 가연성이 높기 때문에 향후 산불 위험을 증가시켜 산불 빈도를 증가시키고 토착 식물 군집을 더욱 변화시키는 정의 피드백 루프를 만들 수 있다.[41][117]
아마존 열대우림에서는 가뭄, 벌목, 축산업 관행 및 화전 농업이 내화성 숲을 손상시키고 가연성 관목의 성장을 촉진하여 더 많은 연소를 조장하는 순환을 만든다.[200] 열대우림의 산불은 다양한 종들의 집합을 위협하고 많은 양의 CO2를 생성한다.[201] 또한 열대우림의 산불은 가뭄과 인간의 개입과 함께 2030년까지 아마존 열대우림의 절반 이상을 손상시키거나 파괴할 수 있다.[202] 산불은 재를 발생시키고 유기 영양소의 이용 가능성을 감소시키며 물 유출을 증가시켜 다른 영양소를 침식하고 산사태 조건을 만든다.[35][203] 2003년 노스요크무어의 산불은 2.5km2의 진달래과 히스와 그 아래의 이탄층을 태웠다. 그 후 풍식이 재와 노출된 토양을 벗겨내어 기원전 10,000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고고학적 유적이 드러났다.[204] 산불은 또한 기후 변화에 영향을 미쳐 대기 중으로 방출되는 탄소량을 증가시키고 식생 성장을 억제하여 식물에 의한 전반적인 탄소 흡수에 영향을 미친다.[205]
산에 서식하는 야생 동식물에 대한 영향은 매우 크며, 2019년 호주 산불에서는 약 4억 8천만 마리의 포유류, 조류, 파충류가 죽은 것으로 추정된다.[335] 호주 정부의 레이 환경부 장관은 "지역에 서식하는 코알라의 30% 이상이 죽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발언했고, 현지 언론은 최대 8000마리의 코알라가 사망했을 가능성을 보도하고 있다.[336] 또한 강도 화산재로 오염되어 많은 물고기가 폐사한다.[337][338]
산불이 자주 발생하는 지역에 서식하는 식물들은 산불에 적응한 형태와 생태를 가지고 있다. 방화에 대한 전형적인 예로는 나무껍질이 두꺼워지고 가지나 표면이 타더라도 아래쪽에서 가지가 다시 자라는 수간맹아(Epicormic shoot영어)를 형성하는 것이 있다. 또한, 지하부의 온도는 지상부보다 높아지지 않기 때문에 지상부가 손상되어도 생존할 수 있도록 지하부에 영양분을 저장하는 리그노튜버(Lignotuber영어)를 가지는 것, 지상부가 손상되어도 남은 뿌리나 줄기에서 싹을 틔워 재생하는 맹아재생 능력을 높인 것 등이 알려져 있다.
또한, 모식물 개체가 손상되더라도 다음 세대로 이어지는 메커니즘을 가진 것도 있으며, 산불의 열로 과일이 갈라져 종자를 산포하거나, 산불로 인한 온도 상승을 지중에서 휴면 중인 종자가 감지하여 발아에 이르는 메커니즘을 가진 것도 있다. 산불 직후의 토양은 경쟁하는 식물이나 병원균이 적어 묘목에게 적합한 환경이기 때문에 자신의 생존이 아닌 다음 세대에 맡기는 전략을 가진 식물도 많다. 지중해 연안이나 오스트레일리아에 형성되는 숲은 상록활엽수림이라고 불리며, 여름철 건조와 산불의 다발이 특징이다.
과 | 속/종 | 특징 |
---|---|---|
도금양과(학명: Myrtaceae) | 유칼립투스속(Eucalyptus)이나 병솔나무속(Callistemon) 등 | 두꺼운 나무껍질을 가지고 있으며, 맹아력도 높아 산불 후 빠르게 재생한다. 종자가 두꺼운 수지에 싸여 보호될 뿐만 아니라 수지가 녹지 않으면 발아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
프로테아과(Proteaceae) | 뱅크시아속(Banksia) 등 | 산불로 열리는 유형의 열매를 맺는다. |
소나무과(Pinaceae) | 아메리카 대륙이나 지중해 연안에 분포하는 소나무속(Pinus)의 일부 종 | 산불로 열리는 유형의 열매(구과)를 맺는 것과 두꺼운 나무껍질이나 높은 맹아 능력을 가진 것 모두 알려져 있다. |
측백나무과(Cupressaceae) | 미국 서부의 세쿼이아속(Sequoia), 세쿼이아덴드론속(Sequoiadendron), 측백나무속(Cupressus)의 일부 종,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진화한 Callitris속(한국어 명칭 없음)과 Actinostorbus속(한국어 명칭 없음)의 모든 종 등 | 산불로 열리는 유형의 열매(구과)를 가진 것이 알려져 있다. |
옻나무과(Anacardiaceae) | 한국에도 분포하는 붉나무속(Rhus) | 지중에서 장기간 휴면이 가능하고 열을 감지하는 종자를 맺어 산불 후 빠르게 자라난다. |
콩과(Fabaceae) | 동북 지방에서는 야생싸리(Lespedeza bicolor) | 높은 맹아성을 가지고 산불 피해지에 번성한다. |
참나무과(Fagaceae) | 지중해 연안에 분포하는 코르크참나무(Quercus suber) | 두꺼운 나무껍질을 가지고 산불에 강한 것으로 유명하다. |
균류에서는 소나무류에 기생하는 잔나비버섯(''Rhizina undulata'')의 포자가 산불 후 등의 지온이 고온일 때 발아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또한, 모렐속(''Morchella'') 중 북미산 일부 종에서는 산불 후 풍작이 된다고 하며, 재에 의해 토양이 알칼리성으로 기울어지는 것이 원인으로 생각되고 있다.
그 외에도, 산불로 타버린 고목에 알을 낳는 딱정벌레류와 이 벌레의 유충을 먹이로 하는 검은등딱따구리(Black-backed woodpecker영어)가 번식하기 쉽다.[358]
산에 서식하는 동물은 탄 냄새를 싫어하는데, 이는 산불에서 멀어지기 위한 것이라고 한다.[359][360]
9. 지역별 상황
산불은 낙뢰 등 자연적인 발화 외에도 화전 등 인위적인 원인으로 발생한다. 헬리콥터나 항공기를 이용하여 바닷물이나 호수물을 퍼 올려 공중 소화를 실시하기도 하지만, 규모가 매우 커지는 경우가 많아 마을이나 도로 등 주요 시설 방어를 목적으로 하는 경우가 많다. 기본적으로 자연 진화를 기대하게 된다.
북아메리카와 오스트레일리아의 산림에서는 통제된 소규모의 화입(prescribed fire)을 정기적으로 실시하여 산불에 의한 자연 순환이 정체되지 않도록 하고 대규모 산불 피해를 방지하고 있다. 각지에서 발생하는 산불 진화 작업을 민간 소방 회사에 아웃소싱하는 지자체도 많지만, 수익성이 낮아 철수하는 경우도 많다.
시베리아 지방의 툰드라 지대는 유기물을 다량 함유한 토양이기 때문에, 수목이 사라진 후에도 토양 속에서 잔불이 되어 꺼지지 않고 계속 타오른다. 이러한 경향은 갈탄 등 저급 석탄층이 노출되어 있는 지역에서 자주 관찰된다. 북극권의 화재는 낙뢰 등을 원인으로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많은데, 지구 온난화의 영향으로 발생 건수가 증가하고 있다. 북극권의 화재는 이탄 화재나 그을음에 의한 태양광 흡수를 촉진하고, 소실 면적이 광범위하여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많아 지구 온난화를 가속화하는 악순환이 문제시되고 있다.[356]
9. 1. 대한민국
대한민국에서는 특히 건조한 시기인 4월 초, 11월 초 등에 산불이 자주 일어난다. 푄 현상의 일종인 양간지풍으로 산불이 강해지기도 한다. 봄철에 특히 산불 위험성이 높은 것도 이 때문이다.대한민국 법률에서는 산불을 발생시킨 경우 다음과 같은 법률에 따라 처벌받을 수 있다.[342]
처벌 내용 | 관련 법률 | 비고 |
---|---|---|
벌금형(50만 원 이하) | 산림보호법 위반 | 과실에 의한 산불 |
7년 이하의 징역 | 산림보호법 위반 | 방화에 의한 산불 (자신의 산림) |
2년 이상의 유기징역 | 산림보호법 위반 | 방화에 의한 산불 (타인의 산림까지 확대된 경우) |
과실치사상죄 등 추가 적용 가능 | 주택 등으로 불이 번진 경우 |
9. 2. 미국
미국 캘리포니아주는 거의 해마다 많은 산불이 발생해서 많은 사람들이 피해를 입는다.[354] 로키 산맥 주변 산악 지대에서 때때로 산불이 발생하며, 수 주 동안 지속되기도 한다. 2023년 8월에 발생한 하와이 마우이섬 산불은 허리케인에 의한 강풍과 가뭄이 겹쳐 대규모 재해가 되었다.[355]캘리포니아주에서는 교도소 수감자 중 위험도가 낮은 수감자에게 소방 교육을 실시한 "수감자 소방대"가 산불 발생 시 방화대를 구축하는 등의 보조 작업을 시간당 1USD의 교도소 작업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통해 경비를 절감하고 있다.[354]
9. 3. 오스트레일리아
오스트레일리아에서는 덥고 건조한 기후와 유칼립투스 나무가 많이 분포한 숲 때문에 들불이 많이 발생한다.9. 4. 일본
일본은 지형 특성상 강수량이 많은 지역이지만, 1970년대에도 몇 차례 큰 산불이 발생한 경우가 있었다. 지역에 따라 동계 건조 지역이 있는 일부 내륙현에서만 산불이 자주 발생되는 경우는 드물지만, 1971년 4월 27일 오전 11시 10분 즈음에 발생하였던 일본 최대의 산불인 구레시 산불이 대표적인 사건으로 꼽힌다.[348][349]총무성 및 소방청 조사에 따르면, 최근 5년간(2016년~2021년) 산불 평균 발생 건수는 약 1300건이다.[348] 산불은 단기적으로 증감을 반복하면서 장기적으로는 감소 추세를 보인다.
산불 원인의 상위는 툇불, 불놓기, 방화이며, 대부분 인위적인 원인으로 발생한다.[349] 일본은 국토의 7할이 산림으로 덮여 있지만, 여름철 습도가 비교적 높기 때문에 자연발화로 인한 산불은 드물다.
이상 건조나 푄 현상이 산불 확산을 부추기는 경우가 있다. 세토내해 각 섬에서는 다소간 피해 경험을 가지고 있다. 과거 홋카이도에서도 산불이 빈번하게 발생했던 시대가 있었으며, 통계가 있는 1886년부터 1945년 60년간 1,438,682町歩(약 150만ha)가 소실되었다.[350] 1892년 당시 홋카이도의 산림 면적이 약 390만ha였던 점[351]을 고려하면, 단순 계산으로 산림 면적의 약 40%가 피해를 입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971년 히로시마현 구레시의 하이가미네에서 발생한 산불은 사망자 17명을 내는 큰 참사가 되었다. 이는 전후 산불 중 가장 많은 희생자를 낸 사건이며, 17명 전원이 소방서 직원이었기에 가장 많은 순직자를 낸 화재로 기록되어 있다.
2021년 2월 21일, 도치기현 아시카가시에서 대규모 산불이 발생했다. 등산객의 담배꽁초 실수로 추정된다.[352]
소화는 지상에서 소방차를 이용하여 실시하지만, 현장 주변 도로 상황에 따라서는 소화가 어려워진다. 헬리콥터를 이용한 소화제 살포도 실시되지만, 적재량이 제한적이며, 기상 조건, 시간대, 헬리포트와의 거리에 따라 확실성이 부족하다. 따라서 물주머니를 멘 소방대원들을 투입하는 인해전술에 의존하는 소화도 이루어진다.[353]
양질의 목재 생산 지역에서 산불이 발생할 경우, 임업 및 가공·유통 등 관련 산업에 미치는 피해액은 막대하다.
대책으로 방화대(방화보안림) 설치가 이루어지는 외에, 도로의 사면녹화에는 마른 풀이 잘 나지 않는 상록성 목초가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10. 역사
산불의 첫 번째 증거는 실루리아기(약 4억 3천만 년 전) 남웨일스와 폴란드에서 발견된 숯으로 보존된 거대 균류 ''프로토탁시테스''의 화석이다.[269] 연기가 나는 표면 화재는 초기 데본기(약 4억 5백만 년 전) 이전 어느 시점에 발생하기 시작했다. 중기 및 후기 데본기의 낮은 대기 산소는 숯의 풍부함 감소를 동반했다.[270][271] 석탄기 동안 화재가 계속되었다는 추가적인 숯 증거가 있다. 데본기 후기의 13%에서 페름기 후기의 30~31%로 대기 산소가 증가하면서 산불이 확산되었다. 페름기 후기부터 트라이아스기까지 산불과 관련된 숯 퇴적물이 감소한 것은 산소 수준의 감소로 설명된다.[272][273]
고생대와 중생대 기간의 산불은 현대에 발생하는 화재와 유사한 패턴을 따랐다. 건기에 발생하는 표면 화재는 데본기와 석탄기의 전식물 숲에서 분명하게 나타난다. 석탄기 시대 나비목 숲에는 봉우리가 까맣게 타서 수관화재의 증거가 있다. 쥐라기 겉씨식물 숲에서는 고주파, 가벼운 표면 화재의 증거가 있다.[273] 제3기 후반[274]에 산불 활동이 증가한 것은 C₄형 풀의 증가 때문일 것이다. 이 풀들이 더 습한 서식지로 이동함에 따라 높은 가연성으로 인해 화재 빈도가 증가하여 삼림 지대보다 초원이 조성되었다.[275] 화재가 발생하기 쉬운 서식지는 유칼립투스, 소나무, 세쿼이아 속의 나무처럼 화재를 견디고 화재 종자비산을 사용하는 두꺼운 껍질을 가진 나무들이 눈에 띄는 데 기여했을 수 있다.[276][277]
10. 1. 인간과 산불
구석기 시대와 중석기 시대에 인간이 농업과 사냥을 목적으로 불을 사용하면서 기존의 풍경과 화재 체계가 바뀌었다. 삼림 지대는 여행, 사냥, 채집 및 파종을 용이하게 하는 더 작은 식물로 점차 대체되었다.[278] 기록된 인류 역사에서 산불에 대한 언급은 성경과 호머와 같은 고전 작가들에 의해 언급되었다. 그러나 고대 히브리, 그리스 및 로마 작가들은 화재를 알고 있었지만 산불이 발생하는 경작되지 않은 땅에는 별로 관심이 없었다.[279][280] 산불은 인류 역사 전반에 걸쳐 전투에서 초기 열병기로 사용되었다.[281]
중세 시대부터 직업적인 방화뿐만 아니라 화재 사용을 규제하는 관습과 법률에 대한 기록이 작성되었다. 독일에서는 1290년 오덴발트와 1344년 슈바르츠발트에서 정기적인 방화가 기록되었다.[281] 14세기 사르데냐에서는 산불 방지에 산불 차단대가 사용되었다. 1550년대 스페인에서는 펠리페 2세에 의해 특정 지방에서 유목에 사용되는 화재의 해로운 영향으로 인해 양 사육이 제한되었다.[279][280]
17세기 초부터 아메리카 원주민들은 불을 사용하여 경작, 신호 전달, 전쟁을 포함한 여러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스코틀랜드 식물학자 데이비드 더글러스는 담배 재배, 사냥을 위해 사슴을 더 작은 지역으로 유인하고 꿀과 메뚜기의 채집을 개선하기 위해 불을 사용하는 원주민의 행위를 언급했다. 중앙 아메리카 태평양 연안의 퇴적물에서 발견된 목탄은 아메리카 대륙의 스페인 식민지화 이전 50년 동안 식민지화 이후보다 더 많은 방화가 발생했음을 시사한다.[282]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발트해 지역에서는 사회경제적 변화로 인해 더욱 엄격한 대기질 기준과 화재 금지로 기존의 방화 관행이 사라졌다.[281] 19세기 중반 비글호 탐험가들은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들이 나중에 불 지팡이 농업으로 명명된 방법으로 토지 정리, 사냥 및 식물성 식품 재생에 불을 사용하는 것을 관찰했다.[283] 이러한 신중한 불 사용은 카카두 국립공원에 의해 보호되는 토지에서 생물 다양성을 촉진하기 위해 수세기 동안 사용되어 왔다.[284]
산불은 일반적으로 기온과 가뭄이 증가하는 시기에 발생한다. 그러나 인간의 영향으로 화재 빈도가 증가했다. 핀란드의 연륜 연대학 화재 흉터 데이터와 목탄 층 데이터는 많은 화재가 심각한 가뭄 조건에서 발생했지만 기원전 850년과 서기 1660년 사이에 화재 수가 증가한 것은 인간의 영향 때문이라는 것을 시사한다.[286] 아메리카 대륙의 목탄 증거는 기원전과 서기 1750년 사이에 이전 연도와 비교하여 산불이 일반적으로 감소했음을 시사한다. 그러나 북아메리카와 아시아의 목탄 데이터에 따르면 1750년에서 1870년 사이에 화재 빈도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인구 증가와 토지 정리 관행과 같은 영향 때문이다. 이 기간 이후 20세기에는 농업 확장, 가축 방목 증가 및 화재 예방 노력과 관련하여 전반적인 방화가 감소했다.[287]
''Science'' 저널에 발표된 논문에 따르면 1998년부터 2015년 사이에 자연 및 인재로 인한 화재 발생 건수가 24.3% 감소했다. 연구자들은 이를 유목 생활에서 정착 생활로의 전환과 토지 정리를 위한 화재 사용 감소로 이어지는 농업의 집약화로 설명한다.[289][290]
특정 수종(예: 침엽수)의 증가는 다른 수종(예: 활엽수)의 증가보다 산불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특히 이러한 나무가 단일 재배로 심어진 경우 더욱 그렇다.[291][292] 인간에 의해 이동된 일부 침입종(예: 펄프 및 제지 산업용)은 경우에 따라 산불 강도를 증가시키기도 했다. 캘리포니아의 유칼립투스[293][294]와 오스트레일리아의 감바 그래스와 같은 종이 예입니다.
산불은 많은 문화권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산불처럼 퍼지다"는 영어 관용구로, "매우 빠르게 많은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치거나 알려지다"라는 뜻이다.[295] 산불 활동은 고대 그리스의 발전에 주요 요인으로 여겨진다. 현대 그리스에서는 다른 많은 지역과 마찬가지로 자연재해로 인한 가장 흔한 재해이며, 그리스 국민들의 사회적, 경제적 삶에 큰 영향을 미친다.[296]
1937년, 미국의 대통령 프랭클린 D. 루스벨트는 전국적인 산불 예방 캠페인을 시작하여 산불에서 인간의 부주의가 차지하는 역할을 강조했다. 이후 캠페인 포스터에는 엉클 샘, 디즈니 영화 ''밤비''의 등장인물, 그리고 미국 산림청의 공식 마스코트인 스모키 베어가 등장했다.[297]
11. 관련 법률
대한민국 법률에서는 산불을 발생시킨 경우 다음과 같은 법률에 따라 처벌받을 수 있다.
- 과실에 의한 산불: 산림보호법 위반으로 벌금형(50만 원 이하)
- 방화에 의한 산불: 산림보호법 위반으로, 자신의 산림일 경우 7년 이하의 징역, 타인의 산림까지 확대된 경우 2년 이상의 유기징역
또한 주택 등으로 불이 번진 경우, 과실치사상죄 등이 추가로 적용될 수 있다.[342]
시리아에서는 2021년, 3명이 사망한 대규모 산불 사건에서 방화를 자백한 24명이 사형을 선고받았다.[343]
미국 오리건주에서는 한 소년(당시 15세)이 산림에 불꽃놀이를 던져 약 194km2가 넘는 산림이 소실되는 대규모 산불이 발생했다. 이 소년에게는 36661000USD(약 400억엔)의 배상 판결과 5년간의 보호관찰, 그리고 산림 당국과 함께 1920시간의 봉사활동이 부과되었다.[344]
캘리포니아주에서는 2017년과 2018년에 발생하여 100명이 사망한 산불의 원인이 대형 전력회사인 PG&E의 노후한 전력 설비로 지목되었다. PG&E는 피해자들로부터 300억달러가 넘는 청구를 받아 회사 재생법을 신청했으며, 이후 총 1350억달러(약 1.46조엔)의 배상금을 지급하는 것으로 합의했다.[345][346]
일본 고치현 내의 국유림에 소형 항공기가 추락하여 7ha~8ha의 삼나무 숲이 불에 탄 사례에서는, 국가가 탑승자 유족에게 4500만엔의 손해배상을 요구하는 소송을 제기했다.[347]
참조
[1]
서적
Cambridge Advanced Learner's Dictionary
http://dictionary.ca[...]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8
[2]
웹사이트
CIFFC Canadian Wildland Fire Management Glossary
https://www.ciffc.ca[...]
2019-08-16
[3]
웹사이트
Forest fire videos – See how fire started on Earth
https://www.bbc.co.u[...]
2016-02-13
[4]
웹사이트
Drought, Tree Mortality, and Wildfire in Forests Adapted to Frequent Fire
https://nature.berke[...]
2022-03-15
[5]
논문
Forest Fires and Climate Change in the 21ST Century
2006-07
[6]
문서
Graham, et al.
[7]
간행물
National Wildfire Coordinating Group Communicator's Guide For Wildland Fire Management
[8]
웹사이트
National Wildfire Coordinating Group Fireline Handbook, Appendix B: Fire Behavior
http://www.nwcg.gov/[...]
National Wildfire Coordinating Group
2008-12-11
[9]
논문
On the key role of droughts in the dynamics of summer fires in Mediterranean Europe
2017-03-06
[10]
논문
Warming and Earlier Spring Increase Western U.S. Forest Wildfire Activity
2006-08-18
[11]
서적
Climate Change 2022 – Impacts, Adaptation and Vulnerability
https://www.ipcc.ch/[...]
2023
[12]
웹사이트
Main Types of Disasters and Associated Trends
https://lao.ca.gov/P[...]
Legislative Analyst's Office
2020-09-22
[13]
웹사이트
The Far-Reaching Consequences of Siberia's Climate-Change-Driven Wildfires
https://www.smithson[...]
2020-09-22
[14]
웹사이트
Bushfire
https://www.ga.gov.a[...]
2020-09-22
[15]
웹사이트
B.C. wildfires: State of emergency declared in Kelowna, evacuations underway
https://globalnews.c[...]
2023-08-18
[16]
논문
Contrasting Stratospheric Smoke Mass and Lifetime From 2017 Canadian and 2019/2020 Australian Megafires: Global Simulations and Satellite Observations
2022-05-27
[17]
논문
Effects of Climate Change on Natural-Caused Fire Activity in Western U.S. National Forests
2021-08
[18]
서적
The Ecological Importance of Mixed-Severity Fires
Elsevier
[19]
논문
The Ecological Importance of Severe Wildfires: Some Like It Hot
https://scholarworks[...]
2019-08-27
[20]
웹사이트
How Plants Use Fire (And Are Used By It)
https://www.pbs.org/[...]
NOVA online
2009-06-30
[21]
웹사이트
Wildfire Prevention Strategies
http://www.nwcg.gov/[...]
National Wildfire Coordinating Group
2008-12-03
[22]
논문
The Pre-Quaternary history of fire
2000
[23]
문서
Karki
[24]
뉴스
Human-caused ignitions spark California's worst wildfires but get little state focus
https://www.sandiego[...]
2020-11-25
[25]
논문
Spatial patterns and drivers of fire occurrence and its future trend under climate change in a boreal forest of Northeast China
2012-06
[26]
서적
Forest fire danger extremes in Europe under climate change: variability and uncertainty
Publication Office of the European Union
2017
[27]
웹사이트
The World on Fire
https://www.pbs.org/[...]
NOVA online – Public Broadcasting System (PBS)
2009-07-13
[28]
논문
Human-started wildfires expand the fire niche across the United States
2017
[29]
웹사이트
Wildfire Investigation
https://www.nifc.gov[...]
[30]
뉴스
How Rupert Murdoch Is Influencing Australia's Bushfire Debate
https://www.nytimes.[...]
2023-06-21
[31]
뉴스
Did climate change cause Canada's wildfires?
https://www.bbc.com/[...]
BBC News
2023-06-18
[32]
뉴스
Who's fuelling the wild theories about Canada's wildfires
https://www.cbc.ca/p[...]
CBC News
2023-06-17
[33]
웹사이트
How Arson factors into California's Wildfires
https://www.hcn.org/[...]
2023-08-30
[34]
뉴스
Fire in the hole
http://www.smithsoni[...]
2009-07-30
[35]
문서
Graham, et al.
[36]
문서
Graham, et al.
[37]
뉴스
Asian peat fires add to warming
http://news.bbc.co.u[...]
British Broadcasting Corporation (BBC) News
2005-03-09
[38]
웹사이트
When bogs burn, the environment takes a hit
https://www.sciencen[...]
2019-07-29
[39]
문서
Graham, et al.
[40]
서적
Fire on earth: an introduction
Wiley
[41]
웹사이트
Global Fire Initiative: Fire and Invasives
http://www.tncfire.o[...]
The Nature Conservancy
[42]
문서
Graham, et al.
[43]
웹사이트
Global Commodities Boom Fuels New Assault on Amazon
http://e360.yale.edu[...]
Yale School of Forestry & Environmental Studies
2008-06-19
[44]
웹사이트
The Science of Wildland fire
http://www.nifc.gov/[...]
National Interagency Fire Center
[45]
문서
Graham, et al.
[46]
문서
National Wildfire Coordinating Group Communicator's Guide For Wildland Fire Management
[47]
뉴스
Ashes cover areas hit by Southern Calif. fires
https://www.nbcnews.[...]
NBC News
2008-11-15
[48]
웹사이트
Influence of Forest Structure on Wildfire Behavior and the Severity of Its Effects
http://www.fs.fed.us[...]
US Forest Service
2003-11
[49]
웹사이트
Prepare for a Wildfire
http://www.fema.gov/[...]
Feder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FEMA)
[50]
문서
Glossary of Wildland Fire Terminology
[51]
문서
de Sousa Costa and Sandberg
[52]
웹사이트
Archimedes Death Ray: Idea Feasibility Testing
http://web.mit.edu/2[...]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MIT)
2005-10
[53]
웹사이트
Satellites are tracing Europe's forest fire scars
http://www.esa.int/e[...]
European Space Agency
2004-07-27
[54]
문서
Graham, et al.
[55]
웹사이트
Protecting Your Home From Wildfire Damage
http://www.flash.org[...]
Florida Alliance for Safe Homes (FLASH)
[56]
문서
Billing
[57]
문서
Graham, et al.
[58]
잡지
Under Fire
http://ngm.nationalg[...]
2008-07
[59]
문서
Graham, et al.
[60]
문서
Graham, et al.
[61]
서적
2009 Victorian Bushfires Royal Commission
Victorian Bushfires Royal Commission, Australia
2010-07
[62]
문서
National Wildfire Coordinating Group Communicator's Guide For Wildland Fire Management
[63]
문서
Graham, et al.
[64]
문서
Olson, et al.
[65]
웹사이트
The New Generation Fire Shelter
http://www.nwcg.gov/[...]
National Wildfire Coordinating Group
2003-03
[66]
문서
Glossary of Wildland Fire Terminology
[67]
문서
de Souza Costa and Sandberg
[68]
문서
National Wildfire Coordinating Group Communicator's Guide For Wildland Fire Management
[69]
문서
San-Miguel-Ayanz, et al.
[70]
문서
Glossary of Wildland Fire Terminology
[71]
뉴스
Mapping wildfires around the world
https://www.aljazeer[...]
Al Jazeera
2021-08-19
[72]
웹사이트
Fire Statistics
https://ciffc.net/st[...]
Canadian Interagency Forest Fire Centre (CIFFC)
2023-10
[73]
웹사이트
Climate Change Increases the Risk of Wildfires
https://sciencebrief[...]
[74]
웹사이트
Explainer: How climate change is affecting wildfires around the world
https://www.carbonbr[...]
2020-07-14
[75]
웹사이트
Chronological List of U.S. Billion Dollar Events
http://lwf.ncdc.noa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NOAA) Satellite and Information Service
[76]
문서
McKenzie, et al., 893
[77]
논문
Exacerbated fires in Mediterranean Europe due to anthropogenic warming projected with non-stationary climate-fire models
2018-10-02
[78]
문서
Graham, et al., 2
[79]
논문
Climate Change Risks to Global Forest Health: Emergence of Unexpected Events of Elevated Tree Mortality Worldwide
2022-05-20
[80]
논문
Droughts, Wildfires, and Forest Carbon Cycling: A Pantropical Synthesis
2019-05-30
[81]
웹사이트
What Causes Wildfires? Understand The Science Here
https://www.techiwik[...]
2022-01-28
[82]
웹사이트
Fire Terminology
https://www.fs.fed.u[...]
[83]
논문
Observed Impacts of Anthropogenic Climate Change on Wildfire in California
2019
[84]
웹사이트
Bushfires – An Integral Part of Australia's Environment
https://www.abs.gov.[...]
Australian Bureau of Statistics
1995-01-01
[85]
웹사이트
New South Wales, December 1974 Bushfire – New South Wales
https://knowledge.ai[...]
Government of Australia
[86]
뉴스
What Caused the Wildfires in Australia? Amid Worst Blazes for a Decade, 24 People are Charged with Arson
https://www.newsweek[...]
2020-01-07
[87]
웹사이트
As Smoke From Bushfires Chokes Sydney, Australian Prime Minister Dodges on Climate Change
https://time.com/573[...]
2019-11-21
[88]
웹사이트
The facts about bushfires and climate change
https://www.climatec[...]
2019-11-13
[89]
뉴스
Wildfires are burning around the world. The most alarming is in the Amazon rainforest.
https://www.vox.com/[...]
2019-08-21
[90]
뉴스
Opinion: Watching Earth Burn – For 10 days in September, satellites in orbit sent tragic evidence of climate change's destructive power.
https://www.nytimes.[...]
2020-12-28
[91]
뉴스
Resisting Another Record-Breaking Year of Deforestation and Destruction in the Brazilian Amazon – While Brazilian authorities deny the impact of the criminal arson, Amazon Watch and our allies exposed and challenged the growing fires and deforestation in the Amazon
https://amazonwatch.[...]
Amazon Watch
2020-12-10
[92]
뉴스
Offensive against the Amazon: An incontrollable pandemic (commentary)
https://news.mongaba[...]
2020-06-01
[93]
뉴스
Jair Bolsonaro launches assault on Amazon rainforest protections – Executive order transfers regulation and creation of indigenous reserves to agriculture ministry controlled by agribusiness lobby
https://www.theguard[...]
2019-01-02
[94]
뉴스
Wildfires: How are they linked to climate change?
https://www.bbc.com/[...]
2021-08-11
[95]
보고서
Summary for Policymakers
https://www.ipcc.ch/[...]
IPCC
2021
[96]
논문
Wildfires drive interannual variability of organic carbon aerosol in the western U.S. in summer
2007
[97]
논문
Atmospheric chemistry in the Arctic and subarctic: Influence of natural fires, industrial emissions, and stratospheric inputs
https://escholarship[...]
1992-10-30
[98]
웹사이트
The Impact of Wildfires on Climate and Air Quality
https://www.esrl.noa[...]
[99]
웹사이트
Wildland Fire Research: Health Effects Research
https://www.epa.gov/[...]
2017-03-30
[100]
웹사이트
Wildfire smoke contributes to thousands of deaths each year in the U.S.
https://www.npr.org/[...]
2024-04-18
[101]
뉴스
Measuring the Carbon-Dioxide Cost of Last Year's Worldwide Wildfires
https://www.bloomber[...]
Bloomberg
2020-02-10
[102]
뉴스
Global fires are up 13% from 2019's record-breaking numbers
https://www.independ[...]
2020-08-27
[103]
뉴스
'Off the chart': CO2 from California fires dwarf state's fossil fuel emissions
https://news.mongaba[...]
Mongabay
2020-09-18
[104]
논문
The amount of carbon released from peat and forest fires in Indonesia during 1997
2002-07-11
[105]
간행물
Fires in Indonesia: Causes, Costs, and Policy Implications (CIFOR Occasional Paper No. 38)
http://www.cifor.cgi[...]
Center for International Forestry Research
2003-02
[106]
웹사이트
The Effects of Wildfires on a Zero Carbon Future
https://www.climatef[...]
2019-08-31
[107]
학술지
Oxidation of Phenolic Aldehydes by Ozone and Hydroxyl Radicals at the Air–Water Interface
2020-10-22
[108]
웹사이트
Wildfire Smoke Toxicity Increases Over Time, Poses Public Health Risk, According to UK Chemist
https://uknow.uky.ed[...]
2020-10-15
[109]
웹사이트
As smoke from forest fires ages in the atmosphere its toxicity increases
https://phys.org/new[...]
[110]
학회
Warming of the Arctic lower stratosphere by light absorbing particles
2003
[111]
뉴스
What you need to know about the Amazon rainforest fires
https://www.washingt[...]
[112]
학술지
Wildfire smoke cools summer river and stream water temperatures
https://www.fs.usda.[...]
2018
[113]
웹사이트
How Extreme Weather can Cool the Planet
https://www.national[...]
2021-08-06
[114]
학술지
Significant Effective Radiative Forcing of Stratospheric Wildfire Smoke
[115]
웹사이트
Impure as the Driven Snow
https://www.scientif[...]
2007-06-08
[116]
문서
Karki, 6.
[117]
문서
van Wagtendonk (2007), 14.
[118]
문서
van Wagtendonk (1996), 1156.
[119]
문서
San-Miguel-Ayanz, et al., 361.
[120]
웹사이트
Backburn
http://encarta.msn.c[...]
MSN Encarta
[121]
학술지
UK: The Role of Fire in the Ecology of Heathland in Southern Britain
http://www.fire.uni-[...]
1998-01
[122]
웹사이트
Prescribed Fires
http://www.smokeybea[...]
SmokeyBear.com
[123]
웹사이트
Fire Management: Wildland Fire Use
https://www.fws.gov/[...]
U.S. Fish & Wildlife Service
[124]
뉴스
International Experts Study Ways to Fight Wildfires
http://www1.voanews.[...]
Voice of America (VOA) News
2009-06-24
[125]
문서
Interagency Strategy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Federal Wildland Fire Policy
[126]
문서
National Wildfire Coordinating Group Communicator's Guide For Wildland Fire Management
[127]
문서
Fire. The Australian Experience, 5–6.
[128]
문서
Graham, et al., 15.
[129]
학술지
Managing fire-prone forests in the western United States
https://stars.librar[...]
2006-11-01
[130]
학술지
Severity of an uncharacteristically large wildfire, the Rim Fire, in forests with relatively restored frequent fire regimes
https://zenodo.org/r[...]
2014-09-15
[131]
웹사이트
California's Fire Hazard Severity Zone Update and Building Standards Revision
http://www.fire.ca.g[...]
CAL FIRE
2007-05
[132]
웹사이트
California Senate Bill No. 1595, Chapter 366
http://www.leginfo.c[...]
State of California
2008-09-27
[133]
문서
Karki, 14.
[134]
웹사이트
Our Trial by Fire
http://www.onearth.o[...]
onearth.org
2007-12-01
[135]
웹사이트
Extreme Events: Wild & Forest Fire
http://www.economics[...]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NOAA)
[136]
문서
San-Miguel-Ayanz, et al., 362.
[137]
학술지
An Integration of Remote Sensing, GIS, and Information Distribution for Wildfire Detection and Management
http://www.westerndi[...]
1998-10
[138]
뉴스
Radio communication keeps rangers in touch
http://archives.cbc.[...]
Canadian Broadcasting Corporation (CBC) Digital Archives
1957-08-21
[139]
웹사이트
Wildfire Detection and Control
http://www.forestry.[...]
Alabama Forestry Commission
[140]
웹사이트
Mobile Agent Middleware for Sensor Networks: An Application Case Study
http://cse.seas.wust[...]
Washington University in St. Louis
2004-11-29
[141]
논문
Thi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formation Technology and Applications (ICITA'05)
2005-07
[142]
웹사이트
Wireless Weather Sensor Networks for Fire Management
http://firecenter.um[...]
University of Montana – Missoula
2009-01-19
[143]
웹사이트
Detecting Forest Fires using Wireless Sensor Networks with Waspmote
http://www.libelium.[...]
Libelium Comunicaciones Distribuidas S.L.
2010-04-09
[144]
웹사이트
Preventing forest fires with tree power
http://web.mit.edu/n[...]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MIT) News
2008-09-23
[145]
문서
Evaluation of three wildfire smoke detection systems
[146]
웹사이트
SDSU Tests New Wildfire-Detection Technology
http://advancement.s[...]
San Diego State University
2005-06-23
[147]
문서
San-Miguel-Ayanz, et al.
[148]
웹사이트
is artificial intelligence the future of wildfire prevention?
https://www.designbo[...]
2023-08-01
[149]
뉴스
Devastating wildfires spur new detection systems
https://www.bbc.com/[...]
2023-08-03
[150]
웹사이트
New Wildfire-detection Research Will Pinpoint Small Fires From 10,000 feet
https://www.scienced[...]
2003-10-04
[151]
웹사이트
Airborne campaign tests new instrumentation for wildfire detection
http://www.esa.int/e[...]
European Space Agency
2006-10-11
[152]
웹사이트
World fire maps now available online in near-real time
http://www.esa.int/e[...]
European Space Agency
2006-05-24
[153]
웹사이트
Earth from Space: California's 'Esperanza' fire
http://www.esa.int/e[...]
European Space Agency
2006-03-11
[154]
웹사이트
Hazard Mapping System Fire and Smoke Product
http://www.ssd.noa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NOAA) Satellite and Information Service
[155]
논문
A probabilistic zonal approach for swarm-inspired wildfire detection using sensor networks
2008-06-09
[156]
웹사이트
Automated Wildfire Detection Through Artificial Neural Networks
https://ntrs.nasa.go[...]
NASA
[157]
논문
Forest fire detection system based on a ZigBee wireless sensor network
2008-09
[158]
웹사이트
Forest Fires & Climate Change {{!}} Effects of Deforestation on Wildfires {{!}} GFW
https://www.globalfo[...]
[159]
웹사이트
VIIRS I-Band 375 m Active Fire Data
https://www.earthdat[...]
2016-01-28
[160]
웹사이트
NASA-FIRMS
https://firms.modaps[...]
[161]
웹사이트
NASA VIIRS Land Products
https://viirsland.gs[...]
[162]
웹사이트
Faster satellite detection of extreme wildfires eminent
https://www.miragene[...]
[163]
웹사이트
Wildfire startup puts AI-powered eyes in the forest to watch for new blazes and provide rapid alerts
https://www.geekwire[...]
2023-08-09
[164]
웹사이트
Transport Canada SFOC Granted to Support Wildfire Suppression
https://www.unmanned[...]
2023-08
[165]
문서
Karki
[166]
뉴스
China Makes Snow to Extinguish Forest Fire
https://www.foxnews.[...]
FOXNews.com
2006-05-18
[167]
웹사이트
Disaster Management Applications – Fire
http://geo.arc.nasa.[...]
NASA-Ames Research Center
2003
[168]
문서
Plucinski, et al.
[169]
뉴스
Fighting fire in the forest
https://www.cbc.ca/n[...]
CBS News
2009-06-17
[170]
웹사이트
Climate of 2008 Wildfire Season Summary
http://www.ncdc.noaa[...]
National Climatic Data Center
2008-12-11
[171]
웹사이트
General Technical Report INT-GTR-299 – Mann Gulch Fire: A Race That Couldn't Be Won
http://www.fs.fed.us[...]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Forest Service, Intermountain Research Station
1993-05
[172]
웹사이트
Victorian Bushfires
http://www.parliamen[...]
New South Wales Government
2009-03-13
[173]
논문
Forest service spending on large wildfires in the West
http://ewp.uoregon.e[...]
[174]
웹사이트
Region 5 – Land & Resource Management
http://www.fs.usda.g[...]
[175]
웹사이트
Wildland Fire Fighting Safety and Health
http://blogs.cdc.gov[...]
National Institute of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2012-07-13
[176]
웹사이트
Wildland Fire Fighting: Hot Tips to Stay Safe and Healthy
https://www.cdc.gov/[...]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2014-03-21
[177]
웹사이트
CDC – Fighting Wildfires – NIOSH Workplace Safety and Health Topic
https://www.cdc.gov/[...]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2018-05-31
[178]
논문
Different scales for studying the effectiveness of long-term forest fire retardants
[179]
웹사이트
Officials: Fire slurry poses little threat
http://www.coloradoa[...]
[180]
웹사이트
Impact of wildfire in Clear Creek Watershed of the city of Golden's drinking water supply
http://minesnewsroom[...]
Colorado School of Mines
[181]
뉴스
Colorado Wildfires Threaten Water Supplies
http://news.national[...]
[182]
학회발표
The physical mechanism of injecting biomass burning materials into the stratosphere during fire-induced thunderstorms
American Geophysical Union fall meeting
2003
[183]
학회발표
Smoke in the Stratosphere: What Wildfires have Taught Us About Nuclear Winter; abstract #U14A-04
[184]
문서
Graham, et al., 17
[185]
웹사이트
Meteorological Conditions Associated with the Rapid Transport of Canadian Wildfire Products into the Northeast during 5–8 July 2002
http://ams.confex.co[...]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186]
웹사이트
User Assessment of Smoke-Dispersion Models for Wildland Biomass Burning
http://www.fs.fed.us[...]
US Forest Service
1996-12
[187]
논문
Impact of wildfires on the air quality of Mexico City, 1992–1999
2002
[188]
논문
Carbon and water fluxes from ponderosa pine forests disturbed by wildfire and thinning
2010-04-01
[189]
웹사이트
Quantification of the health impacts associated with fine particulate matter due to wildfires. MS Thesis
http://dukespace.lib[...]
Nicholas School of the Environment and Earth Sciences of Duke University
2008
[190]
웹사이트
Wildfires Cause Ozone Pollution to Violate Health Standards
http://www.innovatio[...]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2008-10-13
[191]
서적
The Ecological Importance of Mixed-Severity Fires
2015
[192]
논문
The Ecological Importance of Severe Wildfires: Some Like It Hot
https://scholarworks[...]
2008-12-01
[193]
논문
Vegetation response to a short interval between high-severity wildfires in a mixed-evergreen forest
https://researchrepo[...]
2009-01-01
[194]
논문
Bush encroachment in southern Africa: changes and causes
2014-05-04
[195]
논문
Quantifying the environmental limits to fire spread in grassy ecosystems
2022-06-28
[196]
문서
Interagency Strategy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Federal Wildland Fire Policy, 3, 37.
[197]
문서
Graham, et al., 3.
[198]
논문
Future of California floristics and systematics: wildfire threats to the California flora
http://www.werc.usgs[...]
1995
[199]
학회발표
Fire frequency in southern California shrublands: biological effects and management options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Wildland Fire
1995
[200]
문서
Nepstad, 4, 8–11
[201]
웹사이트
Amazon fires on the rise
http://earthobservat[...]
Earth Observatory (NASA)
2008-03-05
[202]
문서
Nepstad, 4
[203]
웹사이트
Bushfire and Catchments: Effects of Fire on Soils and Erosion
http://www.ewatercrc[...]
eWater Cooperative Research Center's
[204]
논문
Fylingdales Moor a lost landscape rises from the ashes
[205]
논문
Ecosystem Disturbance, Carbon and Climate
2008
[206]
논문
Wildfire caused widespread drinking water distribution network contamination
[207]
웹사이트
Wildfires and Water Quality {{!}} U.S. Geological Survey
https://www.usgs.gov[...]
[208]
논문
Wildfire impacts on surface water quality parameters: Cause of data variability and reporting needs
2023-01-15
[209]
웹사이트
Considerations for Decontaminating HDPE Service Lines by Flushing
https://engineering.[...]
2019-03-18
[210]
논문
Numerical Model for Decontamination of Organic Contaminants in Polyethylene Drinking Water Pipes in Premise Plumbing by Flushing
[211]
논문
Drinking water contamination from the thermal degradation of plastics: Implications for wildfire and structure fire response
2021
[212]
웹사이트
Plastic pipes are polluting drinking water systems after wildfires
https://arstechnica.[...]
2020-12-28
[213]
웹사이트
About Oregon wildfire risk
http://oeapp.oregone[...]
Oregon State University
2012-07-09
[214]
논문
Global trends in wildfire and its impacts: perceptions versus realities in a changing world
2016
[215]
웹사이트
The National Wildfire Mitigation Programs Database: State, County, and Local Efforts to Reduce Wildfire Risk
http://www.fs.fed.us[...]
US Forest Service
[216]
웹사이트
Extreme wildfires may be fueled by climate change
http://msutoday.msu.[...]
Michigan State University
2013-08-01
[217]
비디오미디어
White House explains the link between Climate Change and Wild Fires
https://www.youtube.[...]
2014-08-05
[218]
웹사이트
How Have Forest Fires Affected Air Quality in California?
https://www.purakama[...]
2019-02-05
[219]
웹사이트
Wildfire smoke: A guide for public health officials
http://oehha.ca.gov/[...]
2008
[220]
웹사이트
Smoke management guide for prescribed and wildland fire
http://www.fs.fed.us[...]
National Interagency Fire Center
2001
[221]
논문
Health impacts of wildfires
2012-11
[222]
웹사이트
Wildfire smoke can increase hazardous toxic metals in air, study finds
https://amp.theguard[...]
2021-07-21
[223]
웹사이트
Air quality index: A guide to air quality and health
http://www.epa.gov/a[...]
2009
[224]
논문
Wildfire-specific Fine Particulate Matter and Risk of Hospital Admissions in Urban and Rural Counties
2017-01
[225]
웹사이트
Side Effects of Wildfire Smoke Inhalation
https://www.cleanair[...]
2019-03-11
[226]
웹사이트
1 Wildfire Smoke A Guide for Public Health Officials
http://www.epa.gov/t[...]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227]
논문
Wildfire Smoke Exposure: A Guide for the Nurse Practitioner
2012
[228]
논문
Effects of particulate matter on allergic respiratory diseases
2018-06
[229]
논문
Health effects of wildfire smoke in children and public health tools: a narrative review
2021-02
[230]
논문
The San Diego 2007 wildfires and Medi-Cal emergency department presentations, inpatient hospitalizations, and outpatient visits: An observational study of smoke exposure periods and a bidirectional case-crossover analysis
2018-07-10
[231]
논문
Effects of particulate matter on allergic respiratory diseases
2018-06-08
[232]
논문
Critical Review of Health Impacts of Wildfire Smoke Exposure
2016-04-15
[233]
웹사이트
American Lung Association and Asthma Fact sheet
http://www.lung.org/[...]
2018-10-19
[234]
논문
Early-Life Air Pollution and Asthma Risk in Minority Children. The GALA II and SAGE II Studies
2013-08
[235]
논문
Prenatal Particulate Air Pollution and Asthma Onset in Urban Children. Identifying Sensitive Windows and Sex Differences
2015-11-01
[236]
논문
The impact of prenatal exposure to air pollution on childhood wheezing and asthma: A systematic review
2017-11
[237]
논문
The Environmental 'Riskscape' and Social Inequality: Implicationsfor Explaining Maternal and Child Health Disparities
2006-08
[238]
웹사이트
Wildland firefighter fatalities in the United States 1990–2006
http://www.nwcg.gov/[...]
NWCG Safety and Health Working Team
2007-06
[239]
논문
Psychological distress following wildfires disaster in a rural part of Greece: A case-control population-based study
2011
[240]
논문
Locus of control and psychopathology in relation to levels of trauma and loss: Self-reports of Peloponnesian wildfire survivors
2009
[241]
논문
Psychiatric Disorders Among Adults Seeking Emergency Disaster Assistance After a Wildland-Urban Interface Fire
2007
[242]
논문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General Psychopathology in Children and Adolescents following a Wildfire Disaster
2005-03
[243]
논문
Psychological impact of fire disaster on children and their parents
2002
[244]
웹사이트
Particulate Matter (PM) Standards
http://www.epa.gov/t[...]
EPA
2016-04-24
[245]
논문
Wildfire smoke and respiratory symptoms in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2005
[246]
논문
The relationship of respiratory and cardiovascular hospital admissions to the southern California wildfires of 2003
2009
[247]
논문
Health Effects of the 2003 Southern California Wildfires on Children
2006
[248]
논문
Birth Weight Following Pregnancy During the 2003 Southern California Wildfires
2012
[249]
논문
Estimated Global Mortality Attributable to Smoke from Landscape Fires
2012-05
[250]
웹사이트
IPCC Sixth Assessment Report 2022
https://report.ipcc.[...]
2022-04-07
[251]
논문
Wildfire caused widespread drinking water distribution network contamination
2020
[252]
논문
The Marshall Fire: Scientific and policy needs for water system disaster response
2023
[253]
논문
Wildfire damage and contamination to private drinking water wells
2023
[254]
논문
Water safety attitudes, risk perception, experiences, and education for households impacted by the 2018 Camp Fire, California
2021-05-03
[255]
웹사이트
After a Wildfire: Water Safety Considerations for Private Wells
https://engineering.[...]
Purdue University
2021-05-16
[256]
웹사이트
After a Wildfire: Water Safety Considerations Inside Buildings
https://engineering.[...]
Purdue University
2023-12-17
[257]
뉴스
Fire Destroyed This California Town's Water System. But That Didn't Slow the Effort to Rebuild
https://www.civilbea[...]
2023-12-12
[258]
논문
Drinking water contamination from the thermal degradation of plastics: Implications for wildfire and structure fire response
2021
[259]
논문
Pilot Study on Fire Effluent Condensate from Full Scale Residential Fires
2023
[260]
서적
Geo-Congress 2020
2020
[261]
논문
The devastating mudslides that follow forest fires
2022-01-12
[262]
웹사이트
Clearing the air: evaluating institutions' social media health message on wildfire and smoke risks in the US Pacific Noethwest
https://media.proque[...]
2024-12-08
[263]
웹사이트
Wildland Firefighter Smoke Exposure
https://www.fs.usda.[...]
2013-10
[264]
논문
A Screening-Level Assessment of the Health Risks of Chronic Smoke Exposure for Wildland Firefighters
2004-05
[265]
웹사이트
CDC – NIOSH Publications and Products – Wildland Fire Fighting: Hot Tips to Stay Safe and Healthy (2013–158)
https://www.cdc.gov/[...]
[266]
뉴스
Living under a time bomb
https://www.washingt[...]
[267]
뉴스
A real life gamble: California races to predict which town could be the next victim
Reno Gazette Journal
[268]
웹사이트
Design Discussion Primer – Wildfires
https://www.bchousin[...]
BC Housing
[269]
뉴스
Earliest evidence of wildfire found in Wales
https://www.bbc.com/[...]
2022-06-27
[270]
논문
Charcoal in the Silurian as evidence for the earliest wildfire
[271]
논문
Anatomical Evidence in the Detection of the Earliest Wildfires
2004-04
[272]
논문
The diversification of Paleozoic fire systems and fluctuations in atmospheric oxygen concentration
2006-07
[273]
문서
Pausas and Keeley, 594
[274]
웹사이트
2009 version of the ICS time chart
http://www.stratigra[...]
2009-12-29
[275]
문서
Pausas and Keeley, 595
[276]
문서
Pausas and Keeley, 596
[277]
웹사이트
Redwood Trees
http://www.shannonte[...]
2015-09-01
[278]
문서
Pausas and Keeley, 597
[279]
논문
Fire in the European Mediterranean: History
http://ag.arizona.ed[...]
2003-11
[280]
문서
Rackham, 229–230
[281]
학회발표논문
History of Fire in Land-Use Systems of the Baltic Region: Implications on the Use of Prescribed Fire in Forestry, Nature Conservation and Landscape Management
http://www.fire.uni-[...]
Global Fire Monitoring Center (GFMC)
2018-12-09
[282]
학술지논문
Wildland fire – An American legacy
http://www.fs.fed.us[...]
2000-06-01
[283]
문서
Fire. The Australian Experience
[284]
문서
Karki
[285]
학술지논문
Fire and alluvial chronology in Yellowstone National Park: Climatic and intrinsic controls on Holocene geomorphic processes
1995-01-01
[286]
문서
Pitkänen, et al.
[287]
학술지논문
Climate and human influences on global biomass burning over the past two millennia
http://pmr.uoregon.e[...]
2008-01-01
[288]
학술지논문
Prehistoric fire area and emissions from California's forests, woodlands, shrublands, and grasslands
2007-01-01
[289]
웹사이트
Researchers Detect a Global Drop in Fires
https://earthobserva[...]
2017-06-30
[290]
학술지논문
A human-driven decline in global burned area
2017-06-30
[291]
웹사이트
Fires spark biodiversity criticism of Sweden's forest industry
https://phys.org/new[...]
[292]
웹사이트
The Great Lie: Monoculture Trees as Forests
https://www.unrisd.o[...]
[293]
웹사이트
Plant flammability list
https://www.state.sc[...]
[294]
웹사이트
Fire-prone plant list
https://www.firesafe[...]
[295]
웹사이트
Spread Like Wildfire
https://dictionary.c[...]
[296]
학술지논문
Fire and Society: A Comparative Analysis of Wildfire in Greece and the United States.
[297]
웹사이트
Smokey's Journey
http://www.smokeybea[...]
Smokeybear.com
[298]
웹사이트
Smokey Bear, Iconic Symbol of Wildfire Prevention, Still Going Strong at 70
https://www.usda.gov[...]
2014-08-07
[299]
학술지논문
Income and Insurability as Factors in Wildfire Risk
2022-07-18
[300]
웹사이트
山火事とは
https://kotobank.jp/[...]
[301]
뉴스
火災旋風や稲妻も 米加州の山火事で避難命令
https://www.afpbb.co[...]
2020-07-21
[302]
웹사이트
【図解】なぜ気候変動が山火事を悪化させるのか
https://www.afpbb.co[...]
2020-09-12
[303]
뉴스
植物と火災の研究者 英のアンドルー・C・スコットさん:温暖化で山火事増 山火事で温暖化/人工的な植生 延焼拡大の要因に:煙中の炭素 極地の氷解けやすく
https://www.asahi.co[...]
2022-12-22
[304]
웹사이트
北米の針葉樹林で雷による山火事が増加、より北へ
https://natgeo.nikke[...]
[305]
뉴스
Then and now: The burning issue of wildfires
https://www.bbc.com/[...]
2021-08-02
[306]
웹사이트
キクイムシ、熱波と生物種の関係
https://natgeo.nikke[...]
2012-09-13
[307]
웹사이트
サンデーモーニング|手作りフリップ:仏で“山手線の面積3つ分焼失”ヨーロッパに熱波襲来で山火事相次ぐ…原因に“偏西風の蛇行”
https://www.tbs.co.j[...]
[308]
웹사이트
火を使って狩りをする鳥の存在が確認される
https://gigazine.net[...]
2018-01-22
[309]
간행물
林野火災を防ごう!全国山火事予防運動
https://www.fdma.go.[...]
2019-02-01
[310]
뉴스
ギリシャ 過去最悪の山火事 原因は放火
https://web.archive.[...]
[311]
뉴스
乾燥、強風… 悪条件重なる なぜ起きた 足利の山林火災
https://www.shimotsu[...]
2021-02-26
[312]
웹사이트
米カリフォルニア州の山火事拡大、野焼きなどの予防策必要(米国) ビジネス短信 ―ジェトロの海外ニュース
https://www.jetro.go[...]
[313]
학술지논문
浅間山麓六里ヶ原周辺の土地機能回復過程に関する考察
https://doi.org/10.1[...]
日本地理学会
2009-01-01
[314]
뉴스
カリフォルニアの山火事、「気候変動で加速」 科学者が警告
https://www.bbc.com/[...]
2020-09-25
[315]
웹사이트
山火事は「地球温暖化と関連」UNFCCC事務局長
https://www.afpbb.co[...]
2013-10-25
[316]
웹사이트
「お金かかるから消火せずともよし」が招いたシベリア大火災
https://www.47news.j[...]
47NEWS
2019-08-03
[317]
웹사이트
山林火災消火に係る行動
https://www.mod.go.j[...]
2023-08-22
[318]
웹사이트
空中消火器材の組立訓練等について:北海道森林管理局
https://www.rinya.ma[...]
2023-08-22
[319]
웹사이트
Death-Wish Jobs: Smokejumpers Meld Sky Diving, Firefighting
https://www.wired.co[...]
[320]
웹사이트
火を活用した消火 : tpps
https://jifpro.or.jp[...]
2023-08-22
[321]
웹사이트
Cal Fire's 'Heli-Torch' Used To Keep Rocky Fire From Spreading In Rugged Terrain - CBS San Francisco
https://www.cbsnews.[...]
2023-08-22
[322]
웹사이트
山火事に向かってさらに火を噴射するヘリコプターが出現
https://www.gizmodo.[...]
2023-08-22
[323]
웹사이트
米森林局、カリフォルニアの国有林閉鎖 山火事対策で
https://www.nikkei.c[...]
2023-08-22
[324]
웹사이트
全国山火事予防運動を実施 林野庁
https://www.jacom.or[...]
林野庁
[325]
웹사이트
カリフォルニアの山火事、「気候変動で加速」 科学者が警告
https://www.bbc.com/[...]
2023-08-22
[326]
웹사이트
冬より春のほうが火事が多いという事実
https://weathernews.[...]
2023-08-22
[327]
웹사이트
乾燥・強風時の火気取扱いについて
https://www.city.aiz[...]
会津若松市
2023-08-22
[328]
웹사이트
ハワイ・マウイ島の山火事 死者114人に 身元が特定されたのは依然10人だけ
https://newsdig.tbs.[...]
2023-08-22
[329]
웹사이트
(社説)ハワイ山火事 古都の悲劇なぜ起きた:朝日新聞デジタル
https://www.asahi.co[...]
2023-08-22
[330]
웹사이트
アルジェリアで森林火災、42人死亡 世界各地で山火事:朝日新聞デジタル
https://www.asahi.co[...]
[331]
웹사이트
CNN.co.jp : 豪シドニーの大気汚染、「危険」レベルの11倍 郊外の山火事で
https://www.cnn.co.j[...]
[332]
웹사이트
カリフォルニア山火事が生んだ、深刻な大気汚染:朝日新聞GLOBE+
https://globe.asahi.[...]
[333]
웹사이트
ハワイ 山火事【日本時間13日】死者93人に 2200棟以上の建物が損壊 NHK
https://www3.nhk.or.[...]
2023-08-22
[334]
웹사이트
マウイ島山火事、膨大な経済損失額 最多1兆円超 米調査
https://www.cnn.co.j[...]
2023-08-22
[335]
웹사이트
Nearly Half A Billion Animals Feared Dead In Australian Wildfires
https://www.huffpost[...]
2023-08-22
[336]
웹사이트
Govt is working to address threats to native species: Ley
https://www.abc.net.[...]
2023-08-22
[337]
웹사이트
オーストラリアの森林火災は、コアラやカンガルーがすむ独自の生態系まで壊滅させる
https://wired.jp/202[...]
[338]
웹사이트
2019~2020年のオーストラリアの森林火災は過去20年で同国において最も多くの火災起源の二酸化炭素を放出した|2021年度|国立環境研究所
https://www.nies.go.[...]
国立環境研究所
[339]
웹사이트
山火事が土砂災害などを引き起こす危険性(中澤幸介)
https://news.yahoo.c[...]
[340]
웹사이트
Wildfires may slow recovery of ozone layer - study
https://www.bbc.com/[...]
2022-03-01
[341]
웹사이트
山火事でオゾン層破壊 回復途上に新たな懸念、米大
https://www.nikkei.c[...]
2023-08-22
[342]
웹사이트
【ネットニュース解説】単なるイタズラではすまされない!山林の放火についてアトム法律事務所の弁護士が解説
https://newscast.jp/[...]
2022-11-01
[343]
웹사이트
大規模な山火事で放火を「自供」、24人をテロ罪で処刑 シリア発表
https://www.cnn.co.j[...]
2023-08-22
[344]
웹사이트
山火事で194平方キロ焼失、少年に40億円の支払い命令
https://www.cnn.co.j[...]
2023-08-22
[345]
웹사이트
米加州の電力大手、山火事めぐり賠償金1900億円の支払いで合意へ
https://www.afpbb.co[...]
2023-08-22
[346]
웹사이트
PG&E、山火事被害者と1.4兆円の賠償で和解
https://www.nikkei.c[...]
2023-08-22
[347]
웹사이트
損害賠償はどうなる? 山火事「40歳会社員」逮捕
https://www.nikkan-g[...]
日刊ゲンダイ
2018-05-24
[348]
웹사이트
林野庁/日本では山火事はどの位発生しているの?:林野庁
https://www.rinya.ma[...]
2023-08-21
[349]
웹사이트
林野庁/山火事の直接的な原因にはどのようなものがあるの?:林野庁
https://www.rinya.ma[...]
林野庁
2023-07-11
[350]
서적
北海道山林史
北海道庁
1953-00-00 #추정 날짜, 정확한 날짜 정보가 없으므로 임의로 설정
[351]
간행물
第7次農商務統計表
1892年農商務大臣官房記録課
[352]
뉴스
栃木、足利山火事発生から5日
https://web.archive.[...]
NHK
[353]
웹사이트
ジェットシューターシリーズ 芦森工業株式会社
https://www.ashimori[...]
2023-08-22
[354]
뉴스
山火事と闘う受刑者たち、時給1ドルの消火プログラム 米加州
https://www.afpbb.co[...]
AFP
2017-10-16
[355]
웹사이트
ハワイ住民「あっという間に火の海に」…ハリケーンで最大35mの強風と干ばつで拡大
https://www.yomiuri.[...]
読売新聞オンライン
2023-08-13
[356]
웹사이트
「前例のない異常事態」:北極圏の火災
http://globalnewsvie[...]
2019-11-27
[357]
논문
山火事跡地に発達する「ハギ山」について : 北上山地植生の研究(2)
https://doi.org/10.1[...]
岩手大学学芸学部
[358]
웹사이트
山火事の跡地は放置する方がいい?
https://natgeo.nikke[...]
2022-10-20
[359]
웹사이트
焦げたにおいで害獣撃退 農家からヒント、廃液使い環境にもやさしく
https://mainichi.jp/[...]
2023-07-03
[360]
웹사이트
校庭荒らすイノシシから生徒守れ! 焦げた臭いで撃退、愛知の中学校:朝日新聞デジタル
https://www.asahi.co[...]
2023-06-27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강릉 저수율 13.2%…아파트 상수도 중단
‘강릉 가뭄’에 산불 헬기 뜬다…경포호 물 퍼서 오봉저수지로
강릉 주민에 이르면 4일 생수 배급…삼척도 점점 타들어간다
‘공예로 세계를 잇다’…2025 청주공예비엔날레 60일 장정
‘공예도시’ 청주에 전 세계 공예작품 모인다…청주공예비엔날레 4일 개막
“물은 생명입니다”…하이트진로, ‘극한 가뭄’ 피해지역에 생수 10만병 긴급 지원
한쪽은 폭우가 쏟아지는데, 한쪽은 극한 가뭄···여름산불 보편화되나
이 대통령 “소방관이 안전한 나라” 지시에 내년 소방 안전·연구개발 예산 대폭 확대
[르포] 의성 산불 5개월 뒤… 어린나무들, 5m까지 자라나
친환경 버스 융자에 737억·북극항로 개척에 877억…2026년 정부 예산안
숲속 결혼식장 조성, 가습기살균제 기금 출연 편성…내년도 환경부 예산 ‘15조9160억’ [2026 예산안]
“기후재난 대응 늘리고 탈탄소 추진”… 환경부, 내년 예산 15조9천억
생명의 신비 [포토에세이]
산불 끄는 진화대원 향한 관심은 꺼지지 않았으면 [6411의 목소리]
한국P&G, 수해피해지에 페브리즈 등 물품 지원
[단독]무늬만 ‘지정문화재’···돈 없어 방치된 안동 문화유산
‘최악 가뭄’ 강릉 재난사태 선포…자연재난으로는 첫 사례
대구 마트에서 불…5시간 30분 만에 진화
[포토] 가지지구에서의 전쟁을 멈춰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