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사코 & 반젯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코 & 반젯티는 1920년 매사추세츠주에서 발생한 무장 강도 사건으로 기소된 이탈리아 이민자 니콜라 사코와 바르톨로메오 반제티의 이야기를 다룬 영화이다. 이들은 아나키스트 신념으로 인해 불리한 증거에 직면했고, 유죄 판결을 받아 사형을 선고받았다. 1927년 전기의자에서 처형될 때까지 무죄를 주장했으며, 이 영화는 그들의 재판 과정과 정치적 배경을 다루며, 1971년 칸 영화제에서 리카르도 쿠치올라가 남우주연상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나키즘을 소재로 한 영화 - 박열 (영화)
    이준익 감독의 2017년 영화 "박열"은 1923년 간토 대지진 직후 박열과 그의 연인 가네코 후미코의 삶을 그린 영화로, 이제훈과 최희서가 주연을 맡아 일제강점기 아나키스트 단체 '불령사'를 조직하여 히로히토 황태자 암살을 시도했던 박열의 실화를 바탕으로 한다.
  • 아나키즘을 소재로 한 영화 - 품행제로 (1933년 영화)
    억압적인 기숙 학교 학생들의 반항과 자유에 대한 갈망을 초현실주의적으로 그린 장 비고 감독의 프랑스 영화 품행제로는 개봉 당시 상영 금지 처분을 받았지만, 이후 영화사에 중요한 작품으로 재평가받았다.
  • 활동가를 소재로 한 영화 - 더 헤이트 유 기브
    앤지 토마스의 동명 소설을 원작으로 한 2018년 미국 드라마 영화 더 헤이트 유 기브는 흑인 거주 지역과 백인 사립학교라는 이중적인 생활을 하는 16세 소녀 스타 카터가 친구 칼릴의 죽음을 목격한 후 인종차별과 사회적 불평등에 맞서 싸우는 이야기를 그린 작품으로, 조지 틸만 주니어가 감독을 맡았고 아만들라 스텐버그를 비롯한 배우들의 연기가 호평을 받았다.
  • 활동가를 소재로 한 영화 - 에린 브로코비치 (영화)
    2000년 개봉한 미국의 법정 드라마 영화 《에린 브로코비치》는 이혼 후 세 아이를 키우는 에린 브로코비치가 퍼시픽 가스 & 일렉트릭 컴퍼니의 6가 크롬 지하수 오염 사실을 밝혀내고 주민들과 함께 거대 기업에 맞서 싸우는 이야기를 그린 영화로, 줄리아 로버츠가 열연하여 아카데미 여우주연상을 수상하는 등 비평적, 상업적 성공을 거두었다.
  • 재판을 소재로 한 영화 - 세븐 데이즈 (2007년 영화)
    딸이 납치된 변호사가 살인범을 무죄로 만들어야 하는 상황에 놓이며 벌어지는 이야기를 그린 한국 스릴러 영화 《세븐 데이즈》는 김윤진 주연으로, 정철진 사건의 진실을 파헤치는 과정과 반전을 긴장감 넘치게 담아내어 다수의 영화제에서 수상하고 리메이크되기도 하였다.
  • 재판을 소재로 한 영화 - 의뢰인 (2011년 영화)
    영화 《의뢰인》은 2011년에 개봉한 대한민국 법정 스릴러 영화로, 아내 살해 혐의로 체포된 한철민을 변호사 강성희가 변호하고 검사 안민호와 대립하며, 배심원 재판을 통해 사건의 진실을 파헤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사코 & 반젯티 - [영화]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영화의 한 장면
영화의 한 장면
원제Sacco e Vanzetti
감독줄리아노 몬탈도
원작미노 롤리, 루치아노 빈첸초니의 희곡 《사코와 반제티》
각본파브리치오 오노프리, 줄리아노 몬탈도, 오타비오 젬마
출연잔 마리아 볼론테, 리카르도 쿠치올라, 시릴 쿠삭, 로산나 프라텔로, 제프리 킨, 마일로 오셰이, 윌리엄 프린스, 클로드 만
음악엔니오 모리코네 (음악), 조앤 바에즈 (가사)
촬영실바노 이폴리티
편집니노 바랄리
제작아리고 콜롬보, 조르조 파피
제작사졸리 필름, 유니디스, 테아트르 르 렉스 S.A.
배급사이탈-놀레지오 시네마토그라피카 (이탈리아), 콤파니 프랑세즈 드 디스트리뷰시옹 시네마토그라피크 (프랑스), 일본 헤럴드 영화 (일본)
개봉일1971년 3월 16일 (이탈리아, 프랑스), 1972년 5월 5일 (일본)
상영 시간121분 (2시간 1분), 133분 (한국)
제작 국가이탈리아, 프랑스
언어이탈리아어

2. 줄거리

1920년 4월, 이탈리아 이민자 니콜라 사코와 바르톨로메오 반제티는 매사추세츠주 브레인트리에서 발생한 강도 살인 사건의 용의자로 체포되었다. 두 사람은 아나키스트라는 정치적 신념 때문에 불리한 증거와 편견에 시달렸지만, 변호사 프레드 무어는 그들의 무죄를 믿고 변호에 나섰다. 그러나 반이민, 반좌익 정서가 팽배했던 당시 사회 분위기 속에서, 두 사람은 정치 및 사법 기관의 희생양이 되어 유죄 판결을 받고 사형을 선고받는다. 반제티는 사면을 받기 위해 유죄를 인정하려 했으나, 끝까지 무죄를 주장하며 신념을 지킨 사코의 용기에 감탄하여 이를 철회한다. 결국 두 사람은 1927년 전기의자에서 처형될 때까지 무죄를 주장했다.

3. 등장인물

wikitext

출연진
배역배우일본어 더빙 (TV 아사히판)
바르톨로메오 반제티잔 마리아 볼론테히우라 벤
니콜라 사코리카르도 쿠치올라영어소노다 히로히사
프레데릭 G. 카츠만시릴 큐잭오오키 타미오
프레드 무어마일로 오시토미타 코세이
웹스터 세이어 판사제프리 킨영어무라마츠 야스오
윌리엄 톰슨윌리엄 프린스테라시마 간오
로사 사코로산나 프라텔로코타니 미치코
에디 (루벤 위트 기반 기자)클로드 만
앨번 T. 풀러에드워드 주스버리
버지니아 반제티아르메니아 발두치
체레스티노 마데이로스발렌티노 오르페오
A. 미첼 팔머존 하비
법정 통역사루이스 E. 치안넬리
변호 위원회 위원피에르 조반니 안키시
중위데스몬드 페리
메리 스플레인마리사 파브리
주세페 안드로워세르지오 판토니
브리니마리아 그라치아 마레칼키
조 모렐리클라우디오 소라
펠서자코모 피페르노
맥컬럼카를로 사바티니
기타히노 쇼코, 시마 슌스케, 이부 마사유키, 우에다 토시야, 오오쿠보 마사노부, 이시모리 타츠유키, 이케다 마사루, 마스오카 히로시, 후지 나츠코, 미네 시게키, 이시마루 히로야, 아키모토 치카코, 미도리카와 미노루


  • 연출: 야마다 에츠시
  • 번역: 야마다 미노루
  • 효과: 아카츠카 후지오
  • 조정: 야마다 타이헤이
  • 제작: 작 프로모션
  • 해설: 요도가와 나가하루
  • 초회 방송: 1978년 1월 29일 『일요 양화 극장』

3. 1. 주연

출연진
배역배우일본어 더빙 (TV 아사히판)
바르톨로메오 반제티잔 마리아 볼론테히우라 벤
니콜라 사코리카르도 쿠치올라영어소노다 히로히사
프레데릭 G. 카츠만시릴 큐잭오오키 타미오
프레드 무어마일로 오시토미타 코세이
웹스터 세이어 판사제프리 킨영어무라마츠 야스오
윌리엄 톰슨윌리엄 프린스테라시마 간오
로사 사코로산나 프라텔로코타니 미치코
에디 (루벤 위트 기반 기자)클로드 만
앨번 T. 풀러에드워드 주스버리
버지니아 반제티아르메니아 발두치
체레스티노 마데이로스발렌티노 오르페오
A. 미첼 팔머존 하비
법정 통역사루이스 E. 치안넬리
변호 위원회 위원피에르 조반니 안키시
중위데스몬드 페리
메리 스플레인마리사 파브리
주세페 안드로워세르지오 판토니
브리니마리아 그라치아 마레칼키
조 모렐리클라우디오 소라
펠서자코모 피페르노
맥컬럼카를로 사바티니
기타히노 쇼코, 시마 슌스케, 이부 마사유키, 우에다 토시야, 오오쿠보 마사노부, 이시모리 타츠유키, 이케다 마사루, 마스오카 히로시, 후지 나츠코, 미네 시게키, 이시마루 히로야, 아키모토 치카코, 미도리카와 미노루


  • 연출: 야마다 에츠시
  • 번역: 야마다 미노루
  • 효과: 아카츠카 후지오
  • 조정: 야마다 타이헤이
  • 제작: 작 프로모션
  • 해설: 요도가와 나가하루
  • 초회 방송: 1978년 1월 29일 『일요 양화 극장』

3. 2. 조연


  • 시릴 쿠삭
  • 제프리 킨
  • 밀로 오세아
  • 윌리엄 프린스
  • 클로드 만
  • 에드워드 제웨스버리
  • 피어 지오바니 안치시
  • 데스몬드 페리
  • 존 하비
  • 펠리시티 메이슨
  • 폴 셔리프
  • 존 그레이
  • 클라우디오 고라
  • 지아코모 피페르노
  • 라파엘레 트리기아
  • 로마노 모쉬니
  • 세르지오 판토니

4. 제작

줄리아노 몬탈도가 감독과 각본을 맡았고, 파브리지오 오노프리가 각본, 실바노 이폴리티가 촬영을 담당했다. 엔니오 모리코네가 음악을 작곡했으며, 주제가인 '승리에의 찬가(Here's to you)'는 조안 바에즈가 불렀다. 미술은 오렐리오 크루그놀라, 의상은 엔리코 사바티니가 담당했다.

4. 1. 촬영

줄리아노 몬탈도는 영화를 보스턴 현지에서 촬영하고 싶어했지만, 현장 답사를 한 후 영화가 진행되었던 사건 이후 그 지역이 너무 많이 변했다는 것을 깨달았다.[3] 보스턴에서 촬영된 유일한 장면은 1920년 이후 비교적 변하지 않은 슬레이터-모릴 신발 회사 공장이었다.[3]

영화의 대부분은 아일랜드더블린에서 촬영되었으며, 감옥 장면은 유고슬라비아에서 촬영되었다.[3] 나머지 실내 장면은 로마에서 촬영되었다.

5. 음악

영화의 사운드트랙은 엔니오 모리코네가 작곡하고 지휘했으며, 노래 가사는 미국의 포크 가수 조안 바에즈가 담당했다.[4] "사코와 반제티의 발라드 1부"의 가사를 위해 바에즈는 엠마 라자루스의 1883년 소네트 ''새로운 거상''을 사용했으며, 이 시의 구절들은 자유의 여신상 받침대에 있는 청동판에 새겨져 있다.[4]

"당신을 위해"(Here's to You)는 영화의 마지막 부분에 불린다.[5] 바에즈는 1927년 5월, 처형 3개월 전에 감옥에 있는 반제티를 방문한 북미 신문 연합의 기자 필립 D. 스트롱이 반제티에게서 들었다고 하는 진술을 가사로 사용했다.[6] "당신을 위해"는 1978년 영화 ''가을의 독일''에 삽입되었으며,[7][8] 비디오 게임 ''메탈 기어'' 시리즈에도 등장하여 젊은 세대에게도 알려지게 되었다.[9]

6. 평가

이 영화는 미국에서 사코와 반제티의 역사적, 도덕적 복권에 큰 영향을 주었다.[12][13] 1977년 8월 23일, 사형 집행 50주년 기념식에서 마이클 듀카키스 매사추세츠 주지사는 사법적 오류와 판사의 악의를 공식적으로 인정했으며, 줄리아노 몬탈도 감독은 이러한 복권에 기여한 공로로 초청받았다.[12][13]

6. 1. 비평가 반응

로저 이버트는 이 영화를 그 해 "최고의 영화 중 하나"라고 묘사했다. 이버트는 몬탈도 감독이 법정 장면을 다루는 방식에 주목하며, "어떤 감독에게든 까다로운 영역이지만, 감독은 흥미롭고, 어쩌면 아주 새로운 방식으로 이를 처리한다."라고 평했다. 이버트는 몬탈도가 법정 안팎의 행동을 시각적으로 동일시하는 연출 기법이 효과적이라고 평가했다.[10]

이버트는 영화의 역사적 정확성에 대해 이 영화가 때로는 정확하고, 때로는 편향되었으며, 때로는 이야기를 픽션으로 만들었지만 상관없다고 했다. 그는 사코와 반제티 사건의 '진실'은 매우 다양해서 사실적인 재현은 극영화의 능력을 넘어설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버트는 이 영화의 목적이 법이 정치의 둔기로 사용될 수 있다는 사실을 알리는 데 더 가깝다고 말했다.[10]

빈센트 캔비는 뉴욕 타임스 리뷰에서 이 영화가 "미국 역사에서 끔찍한 장을 우리에게 상기시킨다"고 칭찬했지만, 단순화된 정치 만화 형태를 취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검사 카츠만 역의 시릴 쿠삭과 세이어 판사 역의 제프리 킨의 연기가 특히 그렇다고 말했다. 캔비는 또한 영화의 사운드트랙을 "절대적으로 끔찍하다"고 비난했다.[11]

6. 2. 정치적 반응

이 영화는 미국에서 사코와 반제티의 역사적, 도덕적 재건에 크게 기여했다.[12][13] 1977년 8월 23일, 사형 50주년 기념 행사에서 매사추세츠 주지사 마이클 듀카키스는 공식적으로 사법적 오류와 판사의 악의를 인정했으며, 줄리아노 몬탈도 감독은 재건에 기여한 공로로 초청되었다.[12][13]

7. 수상 및 후보

제24회 칸 국제 영화제에서 리카르도 쿠치올라남우주연상을 수상했다.[14] 같은 해, 로사나 프라텔로는 이탈리아 영화 기자 협회에서 '최우수 신인 여배우' 상을 수상했다.[15] 엔니오 모리코네의 사운드트랙은 나스트로 디 아르젠토(은리본상)를 수상했다.[16]

8. 복원

2017년, 이 영화는 볼로냐 시네마테카, 루체 연구소 및 라이 시네마에 의해 복원되었다.[2]

참조

[1] 웹사이트 SACCO E VANZETTI (1971) https://collections-[...] 2024-08-24
[2] 웹사이트 Sacco e Vanzetti contro l'intolleranza - Cinema https://www.ansa.it/[...] 2017-11-03
[3] 뉴스 L'America di Sacco e Vanzetti https://archivio.uni[...] 1995-03-03
[4] 서적 The Poetry of American Women from 1632 to 1945 University of Texas Press 1977
[5] 웹사이트 Here's to You https://web.archive.[...] 2015-11-24
[6] 서적 The Letters of Sacco and Vanzetti https://archive.org/[...] Penguin 2007
[7] 서적 Projecting History: German Nonfiction Cinema, 1967-2000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09
[8] 간행물 Germany in Autumn: The Return of the Human 2007
[9] 웹사이트 TwitLonger — When you talk too much for Twitter http://www.twitlonge[...] 2012-05-01
[10] 웹사이트 Sacco and Vanzetti http://www.rogereber[...] 1971-11-01
[11] 뉴스 Film: A Moving 'Sacco and Vanzetti': Lawyers' Statements Have Current Validity https://www.nytimes.[...] 1971-10-07
[12] 문서 Report to the Governor in the Matter of Sacco and Vanzetti 1977-07-13
[13] 뉴스 Massachusetts Admits Sacco-Vanzetti Injustice https://www.nytimes.[...] 1977-07-19
[14] 웹사이트 Festival de Cannes: Sacco e Vanzetti http://www.festival-[...]
[15] 서적 I premi del cinema Gremese Editore 1998
[16] 서적 Zwischen Avantgarde und Kommerz: die Kompositionen Ennio Morricones Wolke 20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