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로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마는 이탈리아의 수도이자 라치오 주의 주도로, 오랜 역사와 풍부한 문화유산을 간직한 도시이다. 로마 건국 신화에 따르면 도시의 이름은 초대 왕 로물루스에서 유래되었으며, '영원한 도시', '세계의 수도'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로마는 14,000년 전부터 사람이 거주한 흔적이 있으며, 기원전 8세기 중반 도시로 발전하여 로마 왕정, 로마 공화정을 거쳐 로마 제국으로 성장했다. 로마 제국은 서기 476년 멸망했지만, 이후 중세 시대를 거쳐 르네상스 시대에 교황령의 수도로서 번성하며 문화의 중심지가 되었다. 근현대에는 이탈리아 통일의 수도가 되었고, 20세기에는 파시즘의 부침과 세계 대전을 겪었으며, 현재는 이탈리아의 정치, 경제, 문화의 중심지이자 세계적인 관광 도시로 자리 잡았다. 로마는 이탈리아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도시이며, 바티칸 시국을 포함하고 있다. 로마는 풍부한 고대 유적, 광장, 분수, 성당, 궁전, 미술관, 박물관 등을 보유하고 있으며, 축구, 럭비, 테니스 등 다양한 스포츠 활동이 이루어진다. 또한, 로마는 파리와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으며, 유엔 식량농업기구 등 주요 국제기구의 본부가 위치해 국제적인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로마 - 로마 황제
    로마 황제는 로마 제국의 통치자를 지칭하며, 옥타비아누스가 기원전 27년 최고 권력자로 인정받으며 시작되었고, 공화정 시대 직책의 권한을 집중시켜 절대 권력을 행사했으며, 명확한 계승 체계 부재로 권력 투쟁이 잦았으나, 서로마 제국 멸망 후에도 동로마 제국은 존속했다.
  • 로마 - 오스티아
    오스티아는 고대 로마의 항구 도시였던 오스티아 안티카 유적지 근처에 1884년 건설되어 로마 시민들의 해변 휴양지로 발전했으며, 현재는 로마와 연결되는 교통망을 갖춘 관광 명소이다.
  • 하계 패럴림픽 개최 도시 - 로스앤젤레스
    로스앤젤레스는 캘리포니아주에 위치한 도시로, 원주민 거주지에서 스페인에 의해 설립, 멕시코 지배를 거쳐 미국령이 되었고, 철도와 석유 발견으로 경제 성장, 할리우드 발전을 통해 영화 산업 중심지로 부상했으며, 올림픽 개최 도시이자 다양한 지형과 문화, 인종이 공존하는 대도시이다.
  • 하계 패럴림픽 개최 도시 - 애틀랜타
    애틀랜타는 1836년 철도 종착역으로 시작하여 남북 전쟁 이후 조지아 주도가 되었고, 1996년 올림픽 개최를 통해 국제 도시로 성장했으며, 현재는 미국 남동부의 경제, 문화, 정치 중심지이다.
  • 고대 도시 - 바빌론
    바빌론은 고대 메소포타미아의 도시 국가이자 여러 왕조의 수도로, 함무라비 법전과 네부카드네자르 2세 시대의 번영으로 유명하며, 다양한 문명의 흔적을 간직한 채 현재 이라크에 위치, 2019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고, 문화적, 종교적 상징성이 커 현대 예술 및 대중문화에서도 중요한 모티프로 사용된다.
  • 고대 도시 - 베싸이다
    베싸이다는 갈릴리 호수 북쪽 해안에 위치하며 베드로, 안드레, 빌립의 고향이자 예수 그리스도가 기적을 행한 곳으로, 여러 고고학적 후보지가 있으며 헤롯 빌립에 의해 율리아스로 재건되기도 했다.
로마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공식 명칭로마 수도
로마자 표기Roma Capitale
고유 명칭Roma
별칭Urbs Aeterna(영원한 도시)
Caput Mundi(세계의 수도)
성 베드로의 왕좌
설립일기원전 753년 4월 21일
설립자로물루스 (전설상의 인물)
국가이탈리아
참고바티칸 시국도 포함
지역라치오 주
광역 도시로마 수도권
행정 구역 종류코무네
면적1285.30 km²
해발 고도21m
시간대중앙유럽 표준시 (CET)
UTC 시간대+1
섬머타임 시간대중앙유럽 일광 절약 시간 (CEST)
섬머타임 UTC 시간대+2
우편 번호00100; 00118 ~ 00199
지역 번호06
웹사이트로마시 공식 웹사이트
UNESCO 세계 유산로마 역사 지구
로마 시내의 교외 영토권을 가진 성좌의 자산
성 바오로 푸오리 레 무라 대성당
UNESCO 세계 유산 등재 기준i, ii, iii, iv, vi
UNESCO 세계 유산 등재 연도1980년
UNESCO 세계 유산 면적1431 헥타르
도시 별칭영원한 도시
세계의 수도
인구
코무네 인구 (2019년 12월 31일)2,860,009명
광역 도시 인구 (2020년 1월 1일)4,342,212명
인구 밀도2236명/km²
주민로마인
유럽 내 순위8위
이탈리아 내 순위1위
정치
정치 체제시장-시의회 정부
시장로베르토 구알티에리
시의회로마 시의회
경제
광역 GDP (2020년)1535억 7백만 유로
추가 정보
ISO 3166-1해당 없음
국가 도메인해당 없음
전화 코드+39 06
기후 분류 및 지진 분류
기후 분류해당 없음
지진 분류해당 없음
수호 성인과 축일
수호 성인성 베드로, 성 바오로
축일6월 29일
이미지
로마의 깃발
로마의 깃발
로마의 문장
로마의 문장
카스텔 산탄젤로에서 본 로마 스카이라인
카스텔 산탄젤로에서 본 로마 스카이라인
트레비 분수
트레비 분수
콜로세움
콜로세움
바르카치아 분수와 스페인 계단
바르카치아 분수와 스페인 계단
성 베드로 대성당
성 베드로 대성당
산탄젤로 성
산탄젤로 성
판테온
판테온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2세 기념관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2세 기념관
인접 코무네
인접 코무네알바노라치알레
안길라라사바치아
아르데아
카스텔간돌포
콜로나
피우미치노
폰테부오노
그로타페라타
몬테콤파트리
몬테포르치오카토네
네르톨라
산그레고리오다사솔라
비바로로마노
자고롤로

2. 이름

고대 로마의 기원 설화에 따르면, '로마'라는 이름은 도시의 첫 번째 왕이자 설립자인 로물루스의 이름을 따 지어졌다고 한다. 하지만 학자들은 오히려 로물루스라는 이름이 도시 로마의 이름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을 제기하며, 그 외에도 다른 학설들이 존재한다.[19][20][21]


  • Rumon, Rumen은 테베레강의 옛 이름인데, '흐르다'라는 의미를 가진 라틴어 동사의 어원이기도 하다. 로마라는 단어가 이 동사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있다.
  • '힘'을 뜻하는 그리스 단어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있다.[22]

3. 역사

로마는 고대에 "우르브스"(중심 도시)라고 불렸으며,[23] ''urbs roma''에서 유래했다. 로마 공화정의 상징이었던 SPQR로도 지칭되었으며, 우르브스 아에테르나(영원한 도시), 카푸트 문디(세계의 수도), 성 베드로의 수좌, 로마 카피탈레(Roma Capitale)라고도 불렸다.

로마의 역사는 크게 왕정, 공화정, 제정 시대로 구분된다.
왕정 시대에는 전설적인 건국자 로물루스를 비롯한 일곱 명의 왕이 로마를 다스렸다.
공화정 시대에는 귀족(파트리키)과 평민(플레베이) 간의 갈등, 그리고 외부 세력과의 전쟁이 끊이지 않았다. 포에니 전쟁에서 카르타고를, 마케도니아 전쟁에서 마케도니아를 꺾고 지중해의 패권을 장악했다. 내부적으로는 그라쿠스 형제의 개혁 시도, 술라의 내전, 스파르타쿠스의 반란, 삼두정치 등 혼란이 이어졌다.
제정 시대카이사르의 암살 이후 옥타비아누스가 아우구스투스 칭호를 받으며 시작되었다. 로마 제국트라야누스 황제 때 최대 판도를 이루었고, '세계의 수도'로 불렸다. 콜로세움이 건설되고 기독교가 확산되었으며, 3세기 위기를 거쳐 디오클레티아누스와 콘스탄티누스 대제가 제국을 재정비했다. 395년 제국은 동서로 분열되었고, 서로마 제국은 476년 멸망했다.

비시고트족이 410년 로마를 약탈하는 모습, 조셉-노엘 실베스트르(1890년 작)


서로마 제국 멸망 후, 로마는 동로마 제국의 지배를 받다가 교황의 세속 권력이 강화되면서 교황령의 중심지가 되었다. 샤를마뉴가 황제로 즉위하면서 로마는 교황과 황제의 권력 다툼의 무대가 되었다. 르네상스 시대에는 성 베드로 대성당 등 웅장한 건축물들이 세워지고 예술이 발전했지만, 1527년 로마 약탈로 큰 타격을 입었다.

베르사글리에리 부대가 로마 점령(1870) 중 아우렐리아누스 성벽의 포르타 피아를 돌파하는 모습. 카를로 아데몰로의 그림.


근대에 들어 프랑스 혁명의 영향으로 로마 공화국이 수립되기도 했지만, 빈 회의 이후 교황령이 복원되었다. 이탈리아 통일 운동 과정에서 1871년 로마는 통일 이탈리아 왕국의 수도가 되었다. 베니토 무솔리니 시대에는 도시 재개발이 이루어졌지만,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폭격을 받기도 했다. 전후 로마는 급속히 성장하여 이탈리아 최대 도시가 되었고, 1960년 하계 올림픽을 개최했다.

로마의 위성 사진


현재 로마는 이탈리아의 수도이자 정치, 경제, 문화, 종교의 중심지이며, 바티칸 시국을 둘러싸고 있다. 고대 로마 문명의 중심지로서 ''''영원한 도시''''라고 불리며, 세계 도시 순위에서 32위를 기록했다.[208]

3. 1. 로마가 세워지기 전

로마에서는 무려 14,000년 전부터 사람이 살았다는 고고학적 증거가 나왔다. 후대에 출토된 석기, 무기들도 이를 뒷받침하고 있다. 다만 이보다 나중에 만들어진 유적들의 잔해들이 워낙 조밀하게 모여있기 때문에, 구석기신석기 시대의 유적 연대 구분을 어렵게 하는 부분이 있다.[9] 당시에는 팔라티노 언덕 위에 소규모 마을들이 드문드문 흩어져 있는 형태로 작은 부락이 이루어져 있었으며, 도시 형태를 완전히 갖추지는 못했다.[24]

고대 로마 모형. 사진은 북동쪽을 향하고 있으며, 왼쪽에는 카피톨리노 언덕, 오른쪽에는 팔라티노 언덕이 있다. 기원전 7세기 이전에는 이런 모습이 아니었을 것이다.


암늑대의 젖을 빨고 있는 로물루스와 레무스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고고학적 연구에 따르면 청동기 시대철기 시대 사이에 팔라티노 언덕 위에 있었던 가장 큰 마을을 중심으로 주변 소규모 부족들이 연합하여 점진적으로 로마로 발전해나갔다는 설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24] 이와 같은 연합은 도시 규모를 키워 농업, 수공업 발전을 가능하게 했고 남부 이탈리아의 그리스 식민지들과의 무역을 촉진하는 역할을 하였다.[24] 하지만 이와 같은 발견에도 불구하고, 로마 신화에서 나온 것처럼 로물루스가 기원전 8세기에 도시 로마를 처음으로 세웠다는 학설도 존재하고 있다.[25]

3. 2. 로마의 설립



고대 로마의 전설에 따르면, 로마는 기원전 753년 4월 21일, 고대 그리스의 영웅인 아이네아스의 선조이자 전쟁의 마르스의 쌍둥이 아들로 태어난 로물루스와 레무스 형제가 테베레 강가 동쪽에 위치한 로마의 일곱 언덕 가운데 하나인 팔라티노 언덕 위에 건설했다.(로물루스와 레무스는 테베레 강가에 버려져 늑대 젖을 먹고 자랐다는 전설이 있다)[214] 그러나 이후 형제 사이 불화로 싸움이 일어났고, 형인 로물루스가 동생 레무스를 죽이고 도시의 주도권을 차지했다고 한다. 그 후 로물루스는 자기 이름을 따서 도시 국가의 이름을 로마라고 했고, 로마의 건국 시조로 추대받고 있다.

로마의 리오네(노란색)
로마의 쿠알티에레(노란색 바깥쪽)


다만 고고학적으로는 이 땅에 사람들이 살기 시작한 때는 전설에서 말하는 것보다 더 빠르며, 기원전 8세기경, 북방에서 이탈리아반도로 이주해 온 민족이 테베레강 하구에 정착한 게 로마의 시초로 추정하고 있다. 기원전 8세기부터 시작되는 철기 시대 유적은 팔라티노 언덕에서 발견되었지만 전설과 사실은 꼭 일치하지 않는다.[214]

약 14,000년 전부터 로마 지역에 인간이 거주했던 고고학적 증거가 발견되었지만, 훨씬 더 최근의 잔해가 두꺼운 층을 이루고 있어 구석기 시대와 신석기 시대 유적을 가리고 있다.[9] 석기, 토기, 돌무기 등의 증거는 약 1만 년 동안 인간이 거주했음을 보여준다. 여러 발굴 조사 결과에 따르면 로마는 미래의 로마 포룸 지역 위에 세워진 팔라티노 언덕목축 중심 정착촌에서 성장했다는 견해를 뒷받침한다. 청동기 시대 말과 철기 시대 초 사이에 바다와 카피톨리노 언덕 사이의 각 언덕에는 마을이 있었다(카피톨리노 언덕에는 기원전 14세기 말부터 마을이 있었음이 확인됨).[24] 그러나 그 어떤 마을도 아직 도시적인 특징을 갖추고 있지는 않았다.[24] 현재는 가장 큰 마을이 위치한 팔라티노 언덕 주변에 여러 마을이 통합되는 방식("시노이키즘")을 통해 도시가 점진적으로 발전했다는 데 폭넓은 의견 일치가 있다.[24] 이러한 통합은 생계 수준을 넘어선 농업 생산성 향상으로 촉진되었으며, 이는 2차 산업과 3차 산업의 발전도 가능하게 했다. 이러한 산업들은 다시 이탈리아 남부의 그리스 식민지(주로 이스키아쿠마이)와의 무역 발전을 촉진했다.[24] 고고학적 증거에 따르면 기원전 8세기 중반에 일어난 이러한 발전은 도시의 "탄생"으로 간주될 수 있다.[24] 팔라티노 언덕에서 최근 발굴이 이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로물루스의 전설에서 시사하듯 로마가 기원전 8세기 중반에 의도적으로 건설되었다는 견해는 여전히 소수 의견으로 남아 있다.[25]

그 외에도 에스퀼리노 언덕이나 퀴리날레 언덕에도 마을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215] 당시 로마는 저지대는 습지대여서 거주하기에 적합하지 않았고, 언덕 위에 움집 형태의 목조 가옥을 짓고 살았던 수천 명의 사람들이 밀을 재배하며 생활했다.[215]

3. 3. 로마 왕정

카피톨리누스 늑대, 젖을 빨고 있는 쌍둥이 로물루스와 레무스를 묘사한 신화 속 암컷 늑대 조각상


고대 로마인들의 전통적인 이야기에 따르면, 로마의 초기 역사는 전설신화로 설명된다. 이 신화들 중 가장 유명한 것은 로물루스와 레무스 이야기로, 이 쌍둥이는 암컷 늑대에게 젖을 먹고 자랐다고 한다.[19] 이들은 도시를 건설하기로 했지만, 다툼 끝에 로물루스가 동생을 죽이고 도시의 이름을 자신의 이름을 따서 지었다. 로마의 편년사가들에 따르면, 이 사건은 기원전 753년 4월 21일에 일어났다.

이 전설은 트로이 난민 아이네이아스가 이탈리아로 도망쳐 그의 아들 이율루스를 통해 로마의 혈통을 세웠다는 더 앞선 전통과 조화를 이루어야 했다. 이는 율리우스-클라우디우스 왕조의 기원이 된다.[26] 이 전설은 기원전 1세기 로마 시인 베르길리우스에 의해 완성되었다. 스트라보는 로마가 아르카디아 식민지로 에반데르에 의해 건설되었다는 더 오래된 이야기를 언급했다. 스트라보는 또한 루키우스 코엘리우스 안티파테르가 로마가 그리스인들에 의해 건설되었다고 믿었다고 기록했다.[27][28]

전설에 따르면, 로마는 기원전 753년 4월 21일 그리스 신화의 영웅 아이네이아스의 후손인 쌍둥이 로물루스와 레무스에 의해 건설되었다.[214] 로물루스는 레무스와 로마를 건설할 장소를 두고 다투다 레무스를 죽였다. 그 후 로물루스는 7대에 걸친 로마 왕정의 초대 왕이 되었고, 로마라는 도시 이름의 유래가 되었다고 여겨진다.[214]

고고학적으로 이 지역에 사람들이 거주한 것은 훨씬 더 이전이며, 로마의 기원은 기원전 8세기 또는 9세기경 북쪽에서 이탈리아 반도로 이동해 온 민족이 티베르 강 강변에 정착한 것으로 추정된다. 사람이 꾸준히 거주하기 시작한 것은 이 무렵으로 보이며, 기원전 8세기부터 시작되는 철기 시대 유적이 팔라티노 언덕에서 발견되었다.[214] 에스퀼리노 언덕이나 퀴리날레 언덕에도 마을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215] 당시 로마는 저지대는 습지대여서 거주하기에 적합하지 않았고, 언덕 위에 움집 형태의 목조 가옥을 짓고 살았던 수천 명의 사람들이 밀을 재배하며 생활했다.[215]

기원전 7세기경에는 폴리스로서의 정비가 진행되었다. 팔라티노 언덕과 카피톨리노 언덕 사이에 배수로가 설치되어 습지를 건조시킨 곳에는 공공 시설인 로마 포럼이 건설되었다. 이곳은 로마의 정치·경제 중심지로 발전했다. 또한 카피톨리노 언덕에는 주피터 신전이 건설되었다.[216] 이러한 토목·건축 양식에는 에트루리아그리스의 영향이 보이며, 그 지역들로부터 기술이 도입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216]

로마 왕정 시대인 기원전 6세기의 왕 서르비우스 툴리우스 시대에는 방어용 성벽인 서르비우스 성벽이 로마를 둘러싸듯이 건설되었다고 전해진다. 그러나 고고학적 조사에서는 이 성벽은 기원전 4세기 전반경이며, 역사적으로 갈리아인이 이탈리아 반도에 진출한 시기와 겹치기 때문에 이에 대한 대비로 만들어졌다는 설이 유력하다.[217]

3. 4. 로마 공화정





전설에 따르면 로물루스에 의해 건국된 후, 로마는 244년 동안 군주 체제로 통치되었다. 초기에는 라틴과 사비니 출신의 군주들이, 나중에는 에트루리아 왕들이 통치하였다. 전통적으로 전해지는 일곱 명의 왕은 로물루스, 누마 폼필리우스, 툴루스 호스틸리우스, 안쿠스 마르키우스, 타르퀴니우스 프리스쿠스, 세르비우스 툴리우스, 루키우스 타르퀴니우스 수페르부스이다.

기원전 509년, 로마인들은 마지막 왕을 축출하고 매년 선출되는 두 명의 집정관이 이끄는 과두정치 공화정을 수립했다. 이후 로마는 파트리키(귀족)와 플레베이(소지주) 사이의 내부 투쟁, 그리고 중부 이탈리아 지역 주민들(에트루리아인, 라틴인, 볼스키족, 아이퀴족, 마르시족)과의 끊임없는 전쟁을 겪었다. 라티움을 장악한 후, 로마는 갈리아인, 오스키족-삼니움족, 피르루스 왕(에피루스 왕)과 동맹을 맺은 타란토의 그리스 식민지를 상대로 전쟁을 벌여 중부 지역에서 마그나 그라이키아에 이르기까지 이탈리아 반도를 정복했다.

기원전 3세기와 4세기, 로마는 세 번의 포에니 전쟁(기원전 264~146년)에서 카르타고를, 세 번의 마케도니아 전쟁(기원전 212~168년)에서 마케도니아를 꺾고 지중해와 발칸 반도에 대한 패권을 확립했다. 이 시기에 시칠리아, 사르디니아 및 코르시카, 히스파니아, 마케도니아, 아카이아, 아프리카 등 최초의 로마 속주들이 설립되었다.

기원전 2세기 초부터 권력은 보수적인 원로원을 대표하는 옵티마테스와 플레베이(도시 하층민)의 도움을 받아 권력을 얻으려는 포풀라레스 사이에서 다투어졌다. 같은 시기 소규모 농민들의 파산과 대규모 노예 영지 확립으로 대규모 도시 이주가 발생했다. 끊임없는 전쟁은 전문 군대의 확립으로 이어졌고, 이 군대는 공화정보다 장군들에게 더 충성했다. 기원전 2세기 말과 1세기 초, 티베리우스가이우스 그라쿠스의 사회 개혁 시도는 실패하고, 유구르타와의 전쟁 후 술라가 술라의 내전에서 승리했다. 스파르타쿠스가 이끈 대규모 노예 반란이 일어났고, 카이사르, 폼페이우스, 크라수스제1차 삼두정치를 수립했다.

갈리아 정복으로 카이사르는 강력하고 인기 있는 인물이 되었고, 이는 원로원과 폼페이우스에 대한 카이사르의 내전으로 이어졌다. 승리 후 카이사르는 종신 독재관이 되었다. 기원전 44년 그의 암살은 옥타비아누스(카이사르의 조카이자 상속자), 마르쿠스 안토니우스, 레피두스 사이의 제2차 삼두정치와 옥타비아누스와 안토니우스 사이의 최종 내전으로 이어졌다.

로마 공화정 시대에 로마는 이탈리아 남부를 거의 영토로 삼으며 수도로서 더욱 발전했다. 인구 증가에 따라 주택은 언덕 아래까지 퍼졌고 벽돌 벽을 갖추었으며, 도로 정비도 진행되었다. 현재까지 남아있는 전차 경기장(키르쿠스 막시무스)도 이 무렵 건설된 것으로 여겨진다.[218] 기원전 312년부터 아피아 가도 건설이 시작되었고,[219] 같은 시기부터 증가하는 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로마 수도교 건설도 시작되었다.[220]

3. 5. 로마 제국

카이사르는 갈리아 전쟁(기원전 58년-기원전 51년)과 카이사르 내전(기원전 49년-기원전 45년)에서 승리하여 종신 독재관이 되었으나, 기원전 44년 브루투스 등 공화정 지지파에게 암살당했다. 이후 옥타비아누스, 안토니우스, 레피두스의 제2차 삼두정치(기원전 43-33)가 있었으나, 기원전 31년 악티움 해전에서 옥타비아누스가 승리하며 로마 제국 시대를 열었다.[31]

서기 117년 트라야누스 황제 시절 로마 제국의 최대 판도


황제들이 로마에 건설한 기념비적인 포룸(광장)인 임페리얼 포룸. 사진에는 트라야누스 시장도 보인다.


로마의 Museo della civiltà romana에 있는 로마 제국의 모형. 클라우디우스 신전은 콜로세움 남쪽에 있다.


기원전 27년, 옥타비아누스는 아우구스투스와 프린켑스로 불리며 원수정(프린키파투스)을 창설했다. 이는 프린켑스와 원로원 사이의 이원정치였다. 새로운 군주는 "사령관"을 의미하는 임페라토르(황제)로 불렸다. 네로 통치 기간 로마 대화재로 도시의 3분의 2가 파괴되었고, 기독교인 박해가 시작되었다.[32][33][34]

밤의 콜로세움


로마 제국은 2세기 트라야누스 황제 시대에 최대 팽창을 이루었다. 이 시기 로마는 인구 100만 명이 넘는 세계 최대 도시였으며, '카푸트 문디', 즉 세계의 수도로 불렸다. 제국 초기 2세기 동안 율리우스-클라우디우스 왕조, 플라비우스 왕조(콜로세움 건설), 안토니누스 왕조가 통치했다. 이 시기는 예수 그리스도와 그의 사도들에 의해 기독교가 확산된 시기이기도 하다. 안토니누스 시대는 제국의 절정기로, 영토는 대서양에서 유프라테스 강까지, 영국에서 이집트까지 뻗었다.

235년 세베루스 왕조 멸망 후, 제국은 50년간의 3세기 위기에 들어섰다. 이 시기에는 권력 다툼으로 중앙 권력이 약화되었고, 키프리아누스의 역병(250–270)이 지중해 지역을 휩쓸었다.[35] 경제 악화와 인플레이션이 발생했고, 게르만족과 페르시아의 침입이 잦았다. 285년 디오클레티아누스가 내전을 끝내고 국가 재건에 착수, 원수정을 종식시키고 도미나투스라는 새로운 권위주의적 모델을 도입했다.

디오클레티아누스는 286년 제국을 분할하여 자신은 니코메디아에서 동부를, 막시미아누스밀라노에서 서부를 통치하게 했다. 293년에는 사두 정치 체제를 도입했다. 305년 디오클레티아누스 퇴위 후 내전이 이어졌으나, 324년 콘스탄티누스 대제가 제국을 통일했다. 콘스탄티누스는 관료제를 개혁하고, 313년 밀라노 칙령으로 종교의 자유를 보장했으며, 330년 비잔티움콘스탄티노폴리스로 개명하고 수도로 삼았다.

콘스탄티누스는 행정부를 지역화하고, 군사 지휘권을 주지사로부터 박탈했다. 380년 테살로니카 칙령으로 기독교(니케아 신조)가 제국의 공식 종교가 되었다. 테오도시우스 1세 사후 395년 제국은 서로마 제국동로마 제국으로 분리되었다. 서로마 제국의 정부 청사는 408년 라벤나로 이전되었지만, 450년부터 황제들은 대부분 로마에 거주했다.[37]

로마는 알라리크 1세가 이끄는 비시고트족에게 410년에 약탈당했지만, 큰 피해는 없었다. 교황들은 산타 마리아 마조레 대성당과 같은 대규모 바실리카로 도시를 꾸몄다. 겐세릭이 이끄는 반달족이 455년에 로마를 약탈했을 때, 도시 인구는 80만 명에서 45만~50만 명으로 감소했다. 5세기의 무능한 황제들은 쇠퇴를 막지 못했고, 476년 로물루스 아우구스툴루스가 폐위되면서 서로마 제국은 멸망했다. 이는 많은 역사가들에게 중세의 시작을 알리는 사건이었다.

도시 인구 감소는 440년 이후 북아프리카에서의 곡물 수송 손실과 원로원 계급의 기부금 유지 의지 부족으로 인해 발생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념비적인 중심지를 유지하기 위한 노력이 기울여졌으며, 콘스탄티누스의 대형 목욕탕은 443년에 수리되었다.[38] 인구는 452년까지 50만 명, 500년까지 10만 명으로 감소했다가, 537년 고트족의 포위 공격 후 3만 명으로 감소했지만 그레고리우스 대교황 시대까지 9만 명으로 증가했다.[39] 5세기와 6세기에 서구 도시 생활은 전반적으로 붕괴되었으며, 국가의 보조금 지원 곡물 배포는 6세기 내내 계속되었다.[40]

3. 6. 중세 시대

서로마 제국 멸망 후, 로마는 오도아케르동고트 왕국의 지배를 거쳐 고트 전쟁 이후 동로마 제국의 지배를 받았다. 546년 로마 약탈과 550년 로마 포위 공격은 로마를 황폐화시켰다.[42] 210년 100만 명 이상이던 인구는 273년 50만 명,[43] 고트 전쟁 이후 3만 5천 명으로 급감했다.[44] 도시는 폐허, 초목, 포도밭, 채소밭 사이에 흩어진 거주 건물들로 축소되었다.[45]

카를 브리울로프(1830년대)가 그린 455년 서고트족의 로마 약탈


로마 주교인 교황은 사도 베드로와 바울로의 순교로 인해 초기 기독교 시대부터 중요한 인물이었으며, 베드로의 후계자로 여겨져 가톨릭 교회의 중심지로서 중요성이 커졌다.

569년-572년 롬바르드족의 이탈리아 침입 이후, 로마는 명목상 비잔티움 제국의 지배를 받았지만, 교황은 비잔티움 제국, 프랑크 왕국, 롬바르드족 사이에서 균형 정책을 추구했다. 729년 롬바르드 왕 리우트프란트는 수트리를 교회에 기증하여 교황령의 세속적 권력의 시작을 알렸다. 756년 피핀 3세는 롬바르드족을 패배시킨 후 교황에게 로마 공국과 라벤나 총독령에 대한 세속적 관할권을 주어 교황령을 건설했다. 이후 교황, 귀족, 프랑크 왕의 세 세력이 도시를 통치하려 했으며, 이는 중세 로마 생활의 특징이었다. 800년 크리스마스 밤, 샤를마뉴는 레오 3세에 의해 황제로 즉위하면서 카롤링거 제국이 시작되었고, 로마는 중세 내내 권력 다툼을 벌일 두 세력을 맞이했다.

라파엘이 그린 삽화의 세부 사항. 800년 12월 25일 구 성 베드로 대성당에서 샤를마뉴의 대관식을 묘사하고 있다.


846년, 무슬림 아랍인들은 로마 성벽을 공격했지만 실패했고, 도시 성벽 밖의 성 베드로 대성당과 성 바울 대성당을 약탈했다.[46] 카롤링거 제국 몰락 후, 로마는 봉건적 혼란에 빠졌고, 여러 귀족 가문이 교황, 황제와 다퉜다. 테오도라와 마로지아, 크레센티우스 2세의 시대였으며, 이 시대의 스캔들은 교황청의 자체 개혁을 이끌었다. 일데브란도 다 소아나는 그레고리오 7세로 교황으로 선출된 후 황제 헨리 4세에 대항하는 서임권 투쟁에 참여했다. 그 후, 로마는 로베르 기스카르 지휘하의 노르만족에 의해 약탈당하고 불탔다.[47]

이 기간 동안 도시는 '세나토레' 또는 '파트리치오'에 의해 자치적으로 통치되었으며, 12세기에 코뮌으로 발전했다. 교황 루치우스 2세와 교황 에우제니오 3세는 로마 코뮌과 싸웠고, 수도사 아르날도 다 브레시아의 지지를 받았다. 하드리아누스 4세에게 포로로 잡힌 아르날도는 코뮌의 자치권 종식을 의미했다. 교황 인노첸시오 3세 치하에서 코뮌은 상원을 해체하고 교황의 지배를 받는 '세나토레'로 대체했다.

당시 교황청은 서유럽에서 세속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했고, 기독교 군주들 사이에서 중재자 역할을 하고 추가적인 정치적 권력을 행사했다.[48][49]

1266년, 앙주 공 샤를이 세나토르로 임명되었고, 사피엔차 대학교를 설립했다. 교황 사망 후 추기경들이 후계자에 대해 동의할 수 없자, 도시 사람들이 건물의 지붕을 뜯어내고 그들을 감금하여 새로운 교황을 지명하게 했으며, 이는 콘클라베의 탄생을 알리는 사건이었다. 이 시기에 도시는 아니발디, 카에타니, 콜론나, 오르시니, 콘티 가문 사이의 끊임없는 싸움으로 파괴되었다.

1376년 교황 그레고리오 11세가 로마로 돌아와 아비뇽 유수를 끝냈다.


교황 보니파시오 8세는 교회의 만유 통치를 위해 싸운 마지막 교황이었다. 그는 콜론나 가문에 대한 십자군을 선포했고, 1300년에 최초의 기독교 희년을 선포했다. 그러나 프랑스 왕 필립 4세에 의해 좌절되었다. 그 후 교황청은 아비뇽으로 이전되었다(1309년-1377년). 이 기간 동안 로마는 방치되었고, 평민인 콜라 디 렌초가 권력을 잡았다. 고대 로마의 이상주의자였던 콜라는 로마 제국의 부흥을 꿈꿨으나 실패했다. 1377년, 그레고리오 11세 치하에서 로마는 다시 교황청의 자리가 되었고, 서방 교회 분열(1377년-1418년)이 발생하여 40년 동안 로마는 분열의 영향을 받았다.

3. 7. 르네상스 시대

약 500년 전, 마리오 카르타로(Mario Cartaro)가 1575년에 제작한 로마 지도


산탄젤로 성(Hadrian's Mausoleum)은 서기 134년에 건설된 로마 유적으로, 중세와 르네상스 시대에 크게 변형되었으며 16세기와 17세기 조각상으로 장식되었다.


바르카치아 분수, 잔 로렌초 베르니니가 1629년에 제작


요하네스 링엘바흐의 카니발,


''나보나 광장'', 헨드릭 프란스 판 린트,


바티칸 시국의 산 피에트로 광장과 성 베드로 대성당. 여러 르네상스 시대 예술가들이 건설에 기여했다. 초기 설계는 도나토 브라만테의 것이었다.


1418년, 콘스탄츠 공의회에서 서방교회의 분열이 해결되고 마르티누스 5세가 로마 교황으로 선출되면서 로마는 1세기 동안 내부 평화를 누리며 르네상스를 맞이하게 되었다.[50] 16세기 전반까지 교황들은 도시의 위대함과 아름다움, 예술 후원에 힘을 쏟았다. 바티칸 도서관을 설립한 니콜라오 5세, 인문주의자 피우스 2세, 전사 교황 식스투스 4세, 부도덕하고 친족 등용을 일삼은 알렉산데르 6세, 군인이자 후원자였던 율리우스 2세, 레오 10세 등이 그 예이다.

이 시기 이탈리아 르네상스의 중심지는 피렌체에서 로마로 이동했다. 새로운 성 베드로 대성당, 시스티나 성당, 시스토 다리(고대 이후 티베르 강에 건설된 최초의 다리)와 같은 웅장한 건축물들이 세워졌다. 교황들은 미켈란젤로, 피에트로 페루지노, 라파엘로, 도메니코 기를란다요, 루카 시뇨렐리, 산드로 보티첼리, 코시모 로셀리 등 당대 최고의 예술가들을 고용했다.

그러나 교황들의 부패와 막대한 건설 비용은 종교 개혁반종교개혁으로 이어졌다. 사치스럽고 부유한 교황들 아래 로마는 예술, 시, 음악, 문학, 교육, 문화의 중심지로 변모했고, 부, 위엄, 예술, 학문, 건축 면에서 유럽의 주요 도시들과 경쟁할 수 있게 되었다.

미켈란젤로의 피에타와 보르지아 아파트먼트의 프레스코화 등은 로마의 모습을 극적으로 변화시켰다. 율리우스 2세와 메디치 가문 출신의 레오 10세, 클레멘스 7세 치하에서 로마는 최고의 번영을 누렸다.

이 20년 동안 로마는 세계 최고의 예술 중심지 중 하나였다. 콘스탄티누스 황제[50]가 건설한 구 성 베드로 대성당은 철거되고 새로운 성당이 건설되었다. 리돌포 기를란다요, 피에트로 페루지노, 산드로 보티첼리, 도나토 브라만테 등의 예술가들이 활동했으며, 브라만테는 산 피에트로 인 몬토리오 성당을 건설하고 바티칸 개조를 계획했다. 라파엘로는 파르네시나 빌라, 라파엘로 방에 프레스코화를 그렸고, 미켈란젤로는 시스티나 성당 천장 장식과 율리우스 2세의 묘비를 위한 모세상을 제작했다.

로마의 경제는 아고스티노 키지를 포함한 투스카니 은행가들 덕분에 번영했다. 코냐크 동맹 전쟁 중 1527년 로마 약탈로 르네상스의 황금기는 막을 내렸다.

1545년 트리엔트 공의회를 시작으로 교회는 반종교개혁을 시작했고, 피우스 4세부터 식스투스 5세까지 교황들은 로마를 개혁된 가톨릭의 중심지로 만들고 새로운 기념물들을 건설했다. 17세기와 18세기 초 교황과 추기경들은 도시 경관을 바로크 양식 건물로 풍성하게 했다.

계몽주의 시대에 새로운 사상이 로마에 도달했고, 교황청은 고고학 연구를 지원하고 복지를 개선했다. 그러나 1773년 교황 클레멘스 14세가 세속 권력에 의해 예수회 탄압을 강요받는 등 역경도 있었다.

3. 8. 근현대



빈 회의 이후 오스트리아 제국의 이탈리아 지배는 이탈리아인들의 독립 의지를 고취시켰지만, 나폴레옹 3세의 지원을 받은 프랑스의 이탈리아 점령은 이탈리아인들의 반발을 불러일으켰다. 1861년 이탈리아 대부분은 사보이아 왕가의 지배하에 통일을 이루었다(이탈리아 통일 운동). 교황의 본거지였던 로마는 1870년 프랑스 제2제정 군의 철수 후, 1871년이탈리아 왕국교황령이 병합되면서 이탈리아가 통일되었고, 로마는 피렌체를 대신하여 통일 이탈리아의 수도가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연합군의 로마 폭격, 1943


1930년대에는 파시스트당의 독재자 베니토 무솔리니가 로마 교외에 만국박람회를 위한 신도시 EUR(에우르)를 건설했지만, 무솔리니 주도하에 제2차 세계 대전에 이탈리아가 추축국으로 참전함에 따라 EUR의 확장은 일시적으로 중단되었다.

1943년 6월 5일, 로마에 전화가 미칠 것을 우려하여 수도 방위를 담당해 온 독일군이 로마 교외로 철수했다.[225] 같은 해 7월, 무솔리니 정권이 붕괴되고 피에트로 바돌리오 정권이 출범하자, 비밀리에 연합군과의 사이에 휴전 협정 협상이 시작되었다. 그 과정에서 로마는 무방비 지역을 선포했으나 연합국 측에서는 무시되었고, 로마는 공습을 받았다(로마 폭격). 같은 해 9월 8일, 연합군 측이 이탈리아와의 휴전을 발표했다. 로마는 파시스트들이 항전을 위해 건국한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의 수도가 되었다.

3. 9. 현재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항공기의 발달 덕분에 대한민국을 포함한 아시아, 미국 등 비유럽 지역에서도 많은 관광객이 방문하고 있다. 오늘날 로마는 파리, 런던, 마드리드 등과 더불어 유럽을 대표하는 관광 도시로 사랑받고 있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급격히 성장하여 밀라노를 제치고 이탈리아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도시가 되었다. 이탈리아의 정치, 행정적 기능이 집중된 행정수도이자 로마 가톨릭교회의 본부인 로마 교황청이 위치하고 있으며, 국제기관의 관청이 다수 진출해 있는 등 세계적으로 매우 중요한 도시의 역할을 하고 있다. 1960년 하계 올림픽아베베가 맨발로 뛰어 유명해졌다.

현재의 로마


로마는 이탈리아 중부 라치오주에 위치하며, 테베레 강을 끼고 있다. 도시 중심부는 티레니아해에서 약 24km 내륙에 있지만, 도시 영역은 해안까지 확장되어 남서쪽 지역인 오스티아가 있다. 로마 코무네(Comune)는 약 1,285km²의 면적을 차지하며, 많은 녹지 지역을 포함한다.[54]

이탈리아의 수도이자 정치, 경제, 문화, 종교의 중심지이다. 도시를 둘러싸듯이 교황의 거주지인 바티칸 시국이 있으며, 이곳은 전 세계 가톨릭 신자들의 중심지이다. 현재는 외국이지만 역사, 종교, 문화적으로 로마 시 지역과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다. “로마는 하루아침에 이루어지지 않았다”라는 속담은 옛 로마 제국의 위대함을 보여준다. 영토를 소유하지 않은 몰타 기사단의 본부인 몰타 궁전이 콘도티 거리 68번지에 있으며, 치외법권이 인정된다.

2023년 현재 인구는 약 275만 명으로 이탈리아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도시이다. 2010년 도시권 인구는 271만 명으로 세계 128위였다.[207]

로마는 고대 로마 문명의 중심지였으며, 수세기 동안 사회, 문화, 언어, 문학, 예술, 건축, 도시 계획, 토목 공학, 철학, 종교, , 관습 등에 영향을 미쳤다. 라틴어의 발상지인 이 도시는 고대 로마 제국의 수도였으며, 지중해 분지와 유럽 대부분에 지배력을 확장했다. 가톨릭교회의 중심지이며, 아름다움으로 인해 ''''영원한 도시''''라고 불린다.

2014년 미국 싱크탱크가 발표한 비즈니스, 인재, 문화, 정치 등을 대상으로 한 종합적인 세계 도시 순위에서 세계 32위 도시로 평가되었으며, 이탈리아 도시 중에서는 1위였다.[208]

1970년대 초까지 이탈리아의 패션 중심지였으나, 이후 문화 중심 도시는 밀라노로 옮겨갔다.

현재는 파리, 아테네와 함께 유럽을 대표하는 관광 도시로 사랑받고 있다. 또한 이탈리아의 수도이자 정치, 경제, 문화의 중심지이며, 가톨릭 교회의 중추이기도 하다. 시내에는 국제기구와 다국적 기업의 본사가 있으며, 이탈리아를 대표하는 대기업 본사와 관공서가 즐비한 세계적으로 중요한 도시이다. 한편, 공공 서비스 침체와 인프라 노후화가 심각해지고 있다.[226][227]

4. 행정

로마는 '로마 카피탈레'(Roma Capitale)라는 특별 코무네이며,[102] 이탈리아 8,101개 코무네 중 면적과 인구가 모두 가장 크다. 로마는 시장과 시의회에 의해 통치된다. 코무네의 청사는 카피톨리노 언덕에 있는 세나토리오 궁전으로, 로마의 지방 행정부는 언덕의 이탈리아어 이름을 따서 "캄피돌리오"라고 일반적으로 불린다.



로마는 이탈리아의 수도이며 이탈리아 정부의 소재지이다. 이탈리아 공화국 대통령과 이탈리아 공화국 총리의 공식 관저, 이탈리아 의회 양원의 청사, 그리고 이탈리아 헌법재판소의 청사는 역사 지구에 위치한다. 국가 부처는 파르네시나 궁전에 위치한 외무부를 포함하여 도시 전역에 흩어져 있다.

퀴리날레 궁전, 현재 이탈리아 공화국 대통령의 관저


로마는 2015년 1월 1일부터 운영되는 로마 광역시의 주요 도시이다. 로마 광역시는 로마 대도시권을 포함하고 치비타베키아까지 북쪽으로 뻗어나가는 기존의 로마 주를 대체했다. 로마 광역시는 이탈리아에서 면적이 가장 크며, 5352km2의 크기는 리구리아 지역과 비슷하다. 또한 로마는 라치오 지역의 주도이기도 하다.[107]

세계적인 도시들 중 로마는 도시 경계 내에 바티칸 시국으로 대표되는 교황청과 영토가 더 작은 몰타 기사단이라는 두 개의 주권 국가를 완전히 포함하고 있다는 점에서 독특하다. 바티칸은 이탈리아 수도의 영토 안에 있는 지역으로, 로마 교구이자 로마 가톨릭교회의 최고 정부인 교황청의 주권 영토이다. 이러한 이유로 로마는 때때로 두 국가의 수도로 묘사되기도 한다.[108][109] 로마는 유엔의 세 개 주요 국제기구인 유엔 식량농업기구(FAO), 세계식량계획(WFP), 국제농업개발기금(IFAD)으로 구성된 소위 "로마 폴로(Polo Romano)"의 본부가 있다.[110]

유엔 식량농업기구(FAO) 로마 본부, 막시무스 서커스


로마는 전통적으로 유럽 정치 통합 과정에 관여해 왔다. 유럽 연합 조약은 파르네시나 궁전에 보관되어 있다. 1957년 로마에서는 유럽 경제 공동체(유럽 연합의 전신)를 설립한 로마 조약이 체결되었고, 2004년 7월에는 유럽 헌법 조약의 공식 서명식도 개최되었다. 로마는 유럽 올림픽 위원회와 나토 방위 대학의 본부가 있다. 로마는 국제형사재판소 로마 규정과 유럽 인권 헌장이 제정된 곳이다. 또한 국제개발법기구(IDLO), 국제 문화재 보존 복구 연구 센터(ICCROM), 국제사법통일연구소(UNIDROIT)와 같은 다른 중요한 국제 기구들도 로마에 있다.

4. 1. 지역 정부

로마는 '로마 카피탈레(Roma Capitale, 수도 로마)'라는 특별 코무네 지위에 있으며,[244] 이탈리아 전체 코무네 8,101개 중에서 면적과 인구가 모두 가장 크다. 로마 코무네 행정청은 역사상 로마 행정부의 소재지였던 카피톨리노 언덕의 세나토리오 궁전에 있다.
로마의 시청사인 세나토리오 궁전
흔히 로마의 지방 정부를 가리킬 때 이 언덕의 이탈리아어 이름인 '캄피돌리오'라고 부르기도 한다.

4. 1. 1. 행정 구역 및 역사

로마는 1972년부터 '무니치피오'(municipio, 복수형은 무니치피 (municipi))라는 행정 구역으로 나뉜다.[245] 무니치피오는 시내 분권화를 확대하기 위해 설치되었으며, 각 무니치피오는 주민이 뽑은 대표와 네 명의 의원이 5년 임기로 행정을 맡는다. 무니치피오는 행정상 적용되지는 않으나 예로부터 전해오는 로마의 각 구역 경계와 겹치는 경우가 많다. 2013년에는 무니치피오가 15개로 축소되었다.[247]

로마는 비행정 구역으로도 나뉘는데, 역사 중심부는 22개의 리오네로 세분된다. 프라티와 보르고를 제외하면 모두 아우렐리아누스 성벽 안에 있다.

리오네는 고대 로마의 14구에서 시작되어 중세에 리오네로 발전했다.[248] 르네상스 시대 교황 식스토 5세 시기에는 다시 14개 지역이 되었고, 1743년 교황 베네딕토 14세가 각 리오네의 경계를 확정했다.

나폴레옹 점령 시기에는 새로운 행정 구역이 잠시 적용되었으나, 이후 큰 변화는 없었다. 1870년 로마가 이탈리아의 수도가 되면서 아우렐리아누스 성벽 안팎의 도시화와 인구 증가로 이어졌다. 1874년에는 몬티 리오네에서 에스퀼리노가 분리되었고, 20세기에는 나머지 리오네들이 생겨났다. 마지막으로 1921년 신설된 프라티 리오네는 교황 우르바노 8세 성벽 외곽에 있는 유일한 리오네였다. 이후 로마 시의 새로운 행정 구역명으로 '콰르티에레(quartiere)'가 사용되었다. 오늘날 모든 리오네는 제1무니치피오에 속하며, 제1무니치피오는 역사 중심부(Centro Storico)와 완전히 일치한다.

로마에 처음으로 행정구를 설립한 것은 로마 제국 초대 황제 아우구스투스로, 기원전 7년의 일이다.[210] 아우구스투스 황제에 의한 로마의 14개 행정구로 나누어 행정상의 책임을 명확히 하려고 했다.[210] 각 구에는 1년 임기의 행정관이 선출되었다. 각 구는 위쿠스(마을)로 나뉘었고, 각 위쿠스에는 4명의 마을 관리(위코마기스텔)가 선출되어 주로 치안과 방화의 책임을 맡았다. 기록에 따르면 74년 시점에는 로마 전역에 265개의 위쿠스가 있었고, 제정 말기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 시대에는 304개 또는 306개로 증가했다.[210]

로마 왕정 시대인 기원전 6세기 서르비우스 툴리우스 왕 시대에는 방어용 성벽인 서르비우스 성벽이 로마를 둘러싸듯이 건설되었다고 전해진다. 그러나 고고학적 조사에서는 이 성벽은 기원전 4세기 전반경이며, 역사적으로 갈리아인이 이탈리아 반도에 진출한 시기와 겹치기 때문에 이에 대한 대비로 만들어졌다는 설이 유력하다.[217]

; 로마의 무니치피오

무니치피오는 19개의 행정구로 나뉜다.

번호명칭(한국어)명칭(이탈리아어)
1몬티Municipio Roma I
2파리올리Municipio Roma II
3노멘타노 - 산 로렌초Municipio Roma III
4몬테사크로Municipio Roma IV
5티부르티나Municipio Roma V
6프레네스티노Municipio Roma VI
7첸토첼레Municipio Roma VII
8델레 토리Municipio Roma VIII
9산 조반니Municipio Roma IX
10치네치타Municipio Roma X
11아피아 안티카Municipio Roma XI
12EURMunicipio Roma XII
13오스티아Municipio Roma XIII
14아르발리아 포르투엔세Municipio Roma XV
15몬테 베르데Municipio Roma XVI
16프라티Municipio Roma XVII
17아우렐리아Municipio Roma XVIII
18몬테 마리오Municipio Roma XIX
19카시아 플라미니아Municipio Roma XX



; 로마의 리오네

리오네는 다음 22개의 행정구로 나뉜다.

번호명칭(한국어)명칭(이탈리아어)
R.I(1)몬티Monti
R.II(2)트레비Trevi
R.III(3)콜론나Colonna
R.IV(4)캄포 마르치오Campo Marzio
R.V(5)폰테Ponte
R.VI(6)파리오네Parione
R.VII(7)레골라Regola
R.VIII(8)산테우스타키오SantEustachio
R.IX(9)피냐Pigna
R.X(10)캄피텔리Campitelli
R.XI(11)산탄젤로SantAngelo
R.XII(12)리파Ripa
R.XIII(13)트라스테베레Trastevere
R.XIV(14)보르고Borgo
R.XV(15)에스킬리노Esquilino
R.XVI(16)루도비지Ludovisi
R.XVII(17)살루스티아노Sallustiano
R.XVIII(18)카스트로 프레토리오Castro Pretorio
R.XIX(19)첼리오Celio
R.XX(20)테스타치오Testaccio
R.XXI(21)산 사바San Saba
R.XXII(22)프라티Prati



; 로마의 쿠아르티에레(근린주구)

쿠아르티에레는 다음 35개로 나뉜다.

번호명칭(한국어)명칭(이탈리아어)
Q.I(1)플라미니오Flaminio
Q.II(2)파리올리Parioli
Q.III(3)핀차노Pinciano
Q.IV(4)살라리오Salario
Q.V(5)노멘타노Nomentano
Q.VI(6)티부르티노Tiburtino
Q.VII(7)프레네스티노-라비카노Prenestino-Labicano
Q.VIII(8)투스콜라노Tuscolano
Q.IX(9)압피오 라티노Appio Latino
Q.X(10)오스티엔세Ostiense
Q.XI(11)포르투엔세Portuense
Q.XII(12)자니콜렌세Gianicolense
Q.XIII(13)아우렐리오Aurelio
Q.XIV(14)트리온팔레TrionfaleTrionfale
Q.XV(15)델라 빗토리아Della Vittoria
Q.XVI(16)몬테 사크로Monte Sacro
Q.XVII(17)트리에스테Trieste
Q.XVIII(18)토르 디 퀸토Tor di Quinto
Q.XIX(19)프레네스티노-첸토첼레Prenestino-Centocelle
Q.XX(20)아르데아티노Ardeatino
Q.XXI(21)피에트랄라타Pietralata
Q.XXII(22)콜라티노Collatino
Q.XIII(23)알레산드리노Alessandrino
Q.XXIV(24)돈 보스코Don Bosco
Q.XXV(25)압피오 클라우디오Appio Claudio
Q.XXVI(26)압피오 피냐텔리Appio Pignatelli
Q.XXVII(27)프리마발레Primavalle
Q.XXVIII(28)몬테 사크로 알토Monte Sacro Alto
Q.XXIX(29)폰테 마몰로Ponte Mammolo
Q.XXX(30)산 바질리오San Basilio
Q.XXXI(31)줄리아노 달마타Giuliano Dalmata
Q.XXXII(32)에우로파Europa
Q.XXXIII(33)리도 디 오스티아 포넨테Lido di Ostia Ponente
Q.XXXIV(34)리도 디 오스티아 레반테Lido di Ostia Levante
Q.XXXV(35)리도 디 카스텔 후자노Lido di Ostia Levante


4. 2. 광역 및 지방 정부

로마는 2015년 1월 1일부로 로마 수도 광역시의 행정 중심지가 되었다. 로마 수도 광역시는 구 로마현을 대체했으며, 로마 광역권에서 북쪽으로 치비타베키아까지 뻗어 있다. 로마 수도 광역시의 면적은 5353km2로 이탈리아에서 가장 크며, 리구리아주와 맞먹는다. 더불어 로마는 라치오주의 주도이기도 하다.

4. 3. 행정 수도

로마는 이탈리아의 수도이며 이탈리아 정부의 소재지이다. 이탈리아 공화국 대통령이탈리아 공화국 총리의 공식 관저, 이탈리아 의회 양원의 의사당, 이탈리아 헌법재판소는 모두 로마의 역사 중심부에 있다. 국가 행정기관들 역시 시내 전반에 걸쳐 있으며, 대표적으로 올림픽 스타디움 부근 파르네시나 광장에 자리한 이탈리아 외교부 청사가 있다.[101]

로마는 "로마 카피탈레"(Roma Capitale)라는 이름의 특별 코무네(특별 코무네)이며,[102] 이탈리아 8,101개 코무네 중 면적과 인구가 가장 크다. 로마는 시장과 시의회에 의해 통치된다. 코무네의 청사는 카피톨리노 언덕에 있는 세나토리오 궁전이다. 로마의 지방 행정부는 언덕의 이탈리아어 이름을 따서 "캄피돌리오"라고 불린다. 세나토리오 궁전은 1144년부터 시청으로 사용되어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시청이다.[101]

1972년부터 이 도시는 행정 구역인 무니치피(municipi, 단수: municipio)(2001년까지는 치르코스크리치오니(circoscrizioni)라고 불림)[103]로 나뉘었다. 각 무니치피는 5년마다 주민에 의해 선출되는 25명의 의원으로 구성된 의회와 의장에 의해 통치된다. 무니치피는 도시의 전통적인 비행정 구역의 경계를 자주 넘나든다. 무니치피는 원래 20개, 19개,[104] 2013년에는 15개로 감소했다.[105]

로마는 비행정 단위로도 나뉜다. 역사 지구는 22개의 리오니로 나뉘며, 프라티와 보르고를 제외한 모든 리오니는 아우렐리아누스 성벽 안에 있다. 이것들은 아우구스투스 시대 로마의 14개 지역에서 유래했으며, 중세에는 중세 리오니로 발전했다.[106] 르네상스 시대에 교황 식스토 5세 치하에서 다시 14개가 되었고, 1743년 교황 베네딕토 14세 치하에서 경계가 확정되었다.

로마는 2015년 1월 1일부터 운영되는 로마 광역시의 주요 도시이다. 로마 광역시는 로마 대도시권을 포함하고 치비타베키아까지 북쪽으로 뻗어나가는 기존의 로마 주를 대체했다. 로마 광역시는 이탈리아에서 면적이 가장 크다. 5352km2의 크기는 리구리아 지역과 비슷하다. 로마는 라치오 지역의 주도이기도 하다.[107]

5. 인구

로마 에스퀼리노 지역의 산타 마리아 마조레 광장


ISTAT(이탈리아 국립 통계 연구소)이 2011년에 실시한 통계에 따르면,[88] 로마 인구의 약 9.5%가 이탈리아 국적이 아닌 사람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민자 인구의 약 절반은 다른 유럽 국가 출신(주로 루마니아, 폴란드, 우크라이나, 알바니아)이며, 총 131,118명으로 인구의 4.7%를 차지한다. 나머지 4.8%는 비유럽 출신으로, 주로 필리핀인(26,933명), 방글라데시인(12,154명), 중국인(10,283명)이다.

테르미니 역 근처에 있는 에스퀼리노(Esquilino) 지역은 대규모 이민자 거주 지역으로 발전했다. 로마의 차이나타운으로 여겨지며, 100개국 이상의 이민자들이 거주하고 있다. 상업 지구인 에스퀼리노에는 다양한 국제 요리를 제공하는 레스토랑과 도매 의류 상점들이 있다. 이 지역에서 운영되는 약 1,300개의 상업 시설 중 800개는 중국인 소유이며, 약 300개는 다른 나라 이민자들이 운영하고, 200개는 이탈리아인 소유이다.[89]

'''2023년 1월 1일 기준 국적별 인구'''[90]
국적인구
전 세계 국가511,332
유럽 연합(28개국)193,427
EU 28개국 제외 기타 유럽 국가61,566
북아프리카31,237
서아프리카20,489
동아프리카8,568
중앙 및 남아프리카2,845
서아시아9,073
동아시아65,431
중앙아시아남아시아74,060
북아메리카2,903
중앙아메리카남아메리카41,279
오세아니아303
무국적자151



'''2022년 기준 국가별 외국인 인구'''[213]
출신국인구
România|루마니아ro74,930
Philippines|필리핀영어38,484
বাংলাদেশ|방글라데시bn32,963
中国|중국중국어17,244
Україна|우크라이나uk13,533
Perú|페루es11,344
भारत|인도hi10,653
مصر‎|이집트ar10,359
Polska|폴란드pl8,771
ශ්‍රී ලංකාව|스리랑카ta8,719
Shqipëria|알바니아sq6,858
Moldova|몰도바ro6,739
Ecuador|에콰도르es5,884
Nàìjíríà|나이지리아yo4,819
المغرب‎|모로코ar4,797
España|스페인es4,154
Brasil|브라질pt3,493
France|프랑스프랑스어3,434
پاکستان|파키스탄ur2,554
Sénégal|세네갈프랑스어2,409
United Kingdom|영국영어2,324
Colombia|콜롬비아es2,233
تونس|튀니지ar2,156
Bosna i Hercegovina|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bs2,125
ایران|이란fa2,105
Россия|러시아ru2,050



현재 로마의 인구는 약 280만 명으로, 이탈리아 최대 도시이며, 베를린마드리드에 이어 유럽 연합에서 세 번째로 큰 도시이다. 로마에는 7만 명이 넘는 대규모 루마니아계 커뮤니티가 있으며, 루마니아 외 지역에서는 가장 큰 루마니아인 커뮤니티이다. 그 외에도 아시아계 (주로 필리핀인, 방글라데시인, 중국인) 인구가 많다. 로마의 인구는 1907년에 50만 명을 돌파했고, 1934년에 100만 명, 1957년에 200만 명을 돌파했다.

6. 경제

이탈리아의 수도인 로마에는 대통령궁, 정부, 의회, 주요 사법 재판소, 그리고 이탈리아와 바티칸 시국 주재 각국 외교 대표부 등 국가 주요 기관들이 있다. 국제연합 식량농업기구(FAO)와 같은 유엔 전문 기구와 국제농업개발기금(IFAD), 세계식량계획(WFP), NATO 방위대학, 문화재 보존 및 복원 연구 국제센터(ICCROM) 등 주요 국제기구도 로마에 있다.

GaWC 세계 도시 연구에 따르면 로마는 "베타+" 도시이며,[134] 2014년 글로벌 도시 지수에서 이탈리아 도시 중 가장 높은 32위를 기록했다.[135] 2005년 GDP는 943.76억유로(1215억달러)였으며,[136] 이는 이탈리아 전체 GDP의 6.7%에 해당한다. 2001년에서 2005년 사이 실업률은 11.1%에서 6.5%로 감소하여 유럽 연합 수도 중 가장 낮은 수준이다.[136] 로마 경제는 연평균 약 4.4% 성장하여 다른 도시들보다 높은 성장률을 보인다.[136] 2003년 로마의 1인당 GDP는 29153EUR(37412USD)로, EU 평균 1인당 GDP의 134.1%를 넘었다.[137] 로마는 이탈리아에서 총 수입이 가장 높지만,[138] 근로자 평균 소득은 이탈리아에서 9위이다.[138] 2009년 로마 근로자는 세계에서 30번째로 높은 임금을 받았다.[139] 로마 지역의 GDP는 1678억달러이며, 1인당 38765USD이다.[140]

로마 경제는 서비스업이 주를 이루지만, 첨단 기술 기업(IT, 항공우주, 방위, 통신), 연구, 건설 및 상업 활동(특히 은행), 관광업도 매우 중요하다. 피우미치노 공항(Fiumicino)은 이탈리아에서 가장 크며, 에넬(Enel), 에니(Eni), 텔레콤 이탈리아(Telecom Italia) 등 세계 100대 기업 중 3개 기업의 본사가 로마에 있다.[141]

로마는 대학교, 국영 라디오 및 텔레비전, 영화 산업 (이탈리아 영화 산업의 중심지인 치네치타 스튜디오) 또한 경제의 중요한 부분이다. 로마는 은행, 보험, 전자, 에너지, 교통, 항공우주 산업의 중심지이기도 하다. 수많은 국제 기업 및 기관 본사, 정부 부처, 컨퍼런스 센터, 스포츠 경기장, 박물관이 로마의 주요 비즈니스 지역인 로마 만국박람회(Esposizione Universale Roma)(EUR) 등에 위치해 있다.

2008년 로마의 지역내총생산(GDP)은 1440억달러로 세계 43위였다. 미국의 다우존스(Dow Jones) 등의 2017년 조사에 따르면, 세계 74위의 금융센터로 평가되었으며, 이탈리아에서는 밀라노(Milano)에 이어 2위이다.[228]





오리존테 유로파(Orizzonte Europa), 로마에 있는 BNL 본사


이탈리아중앙은행(Banca d'Italia) 본점

7. 관광

로마는 고고학적, 예술적 보물, 독특한 전통, 아름다운 전망, 그리고 웅장한 "빌라"(공원)들 덕분에 세계에서 가장 중요한 관광지 중 하나이다.[143] 수많은 박물관, 수로, 분수, 교회, 궁전, 역사적 건물, 로마 포럼의 기념물과 유적, 카타콤 등이 있다.

로마는 EU에서 런던과 파리에 이어 세 번째로 방문객이 많은 도시이며, 매년 평균 700만에서 1,000만 명의 관광객이 방문한다.[143] 콜로세움바티칸 박물관은 세계에서 가장 많은 방문객이 찾는 곳 중 하나이다.[143]

로마는 주요 고고학 중심지이자 연구 중심지 중 하나이며, 로마 아메리칸 아카데미[144]와 로마 스웨덴 연구소[145] 등 여러 문화 및 연구 기관이 있다.

또한 다양한 시대의 미술품, 조각품, 분수, 모자이크, 프레스코화, 그림 등을 소장하고 있다. 고대 로마 시대부터 주요 예술 중심지였으며, 르네상스 시대에는 피렌체에 이어 유럽의 주요 예술 중심지 중 하나가 되었다. 이탈리아 바로크 시대에는 베르니니, 카라바조, 카라치, 보로미니, 코르토나와 같은 예술가와 건축가들이 활동했다.[150] 18세기 후반과 19세기 초에는 그랜드 투어의 중심지 중 하나였다.[151]

현대 미술과 건축 분야에서도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국립 현대 미술관에는 발라, 모란디, 피란델로 등의 작품이 전시되어 있으며, 2010년에는 자하 하디드가 디자인한 MAXXI – 21세기 국립 예술 박물관이 개관했다.[153]

스페인 광장의 바르카치아 분수, 스페인 계단 및 트리니타 데이 몬티


나보나 광장




로마의 주요 관광 명소는 다음과 같다:

; 로마의 7개 언덕

로마의 7개 언덕은 로마 시가지 중심부에서 티베르 강 동쪽에 위치한 고대 로마 시대의 7개 언덕이다.

; 바티칸 시국 내 관광 명소

; 로마 교외 관광 명소

  • 티볼리
  • * 티볼리의 에스테 가 별장
  • 오스티아
  • * 오스티아 안티카
  • 카스텔리 로마니 (Castelli Romani)
  • 체르베테리와 타르퀴니아의 에트루리아 고분 유적군
  • 보말초
  • 치비타 디 바뇨레지오
  • 보말초
  • 비르고 수도


산탄젤로 성


산타 마리아 인 코스메딘 교회


오드리 헵번과 그레고리 펙 주연 영화 「로마의 휴일」의 진실의 입


넵투누스 분수(it)


캄포 데이 피오리 광장(꽃 광장)(Campo de' Fiori)


베네치아 광장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2세 기념관


산타 마리아 소프라 미넬바 교회


산 파올로 푸오리 레 무라 대성당


콜론나 광장


바르베리니 광장(Piazza Barberini)


가이우스 케스티우스의 피라미드


카피톨리노 미술관

  • ---

유럽 (EUR)


포로 이탈리코

7. 1. 고대 로마 유적



포로 로마노(Forum Romanum)는 고대 로마 중심부 "포룸 로마눔"의 유적이다.


로마 제국의 수도였던 로마는 아우구스투스 황제 시대에 100만 명이 거주하는 세계 최대 도시였다. 포로 로마노가 정비되고, 로마는 권력의 중심지로서 도시 개발이 진행되었다.[221] 네로 황제 통치 시기인 64년에는 시가지의 1/3을 잃는 로마 대화재가 발생했다. 네로는 이를 계기로 건물 규제를 하고 구획 정비를 추진하여, 로마는 질서 정연한 도시 경관을 갖추게 되었다.[222]

로마 제국은 극도로 번영했다. 베스파시아누스 황제 재위기(69-79년)에는 화재 복구 사업이 활발하게 진행되어 5만 명을 수용할 수 있는 콜로세움(Colosseum)에는 석회암 장식이 더해졌고, 검투사 경기 등이 열렸다. 석회암과 화산재를 섞은 로마 콘크리트가 발명되어 판테온(Pantheon) 등 다양한 건물이 건설되었고,[223] 로마는 대제국의 수도에 걸맞는 도시가 되었다.[224] 황제가 권위를 과시하고 민중의 지지를 얻기 위해 도시 건축을 이용한 것도 영향을 미쳤다.[224]

7. 2. 광장·공원·분수대



로마에는 공원과 자연 보호 구역이 광범위하게 조성되어 있으며, 유럽 수도 중에서 가장 넓은 녹지 공간을 보유하고 있다.[55] 이 녹지 공간에서 가장 주목할 만한 부분은 이탈리아 귀족이 조성한 많은 빌라와 조경된 정원이다. 19세기 후반 건설 붐으로 대부분의 빌라 주변 공원이 파괴되었지만, 일부는 남아 있다. 가장 주목할 만한 곳은 보르게세 정원, 빌라 아다, 도리아 팜필리 빌라이다. 도리아 팜필리 빌라는 쟈니콜로 언덕 서쪽에 있으며, 약 1.8km2에 달한다. 빌라 시아라는 언덕 위에 있으며, 어린이 놀이터와 그늘진 산책로가 있다. 인근 트라스테베레 지역에는 시원하고 그늘진 녹지 공간인 식물원(Orto Botanico)이 있다. 고대 로마 경마장(Circus Maximus) 또한 넓은 녹지 공간이다. 나무는 거의 없지만 팔라티노 언덕과 장미 정원('roseto comunale')이 내려다보인다. 근처에는 카라칼라 목욕탕 주변 정원 가까이에 무성한 첼리몬타나 빌라가 있다. 보르게세 정원은 로마에서 가장 잘 알려진 대규모 녹지 공간으로, 그늘진 산책로 사이에 유명한 미술관이 있다. 포폴로 광장과 스페인 계단이 내려다보이는 핀치오 언덕과 메디치 빌라의 정원도 있다. 오스티아 근처 카스텔푸사노에는 주목할 만한 소나무 숲도 있다. 로마에는 피네토 지역 공원과 아피아 가도 지역 공원을 포함하여 최근에 조성된 여러 지역 공원도 있다. 마르칠리아나와 카스텔포르지아노 저택에도 자연 보호 구역이 있다.

보르게세 정원의 아스클레피오스 신전

7. 3. 성당

로마에는 900개 정도의 교회가 있으며, 주요 성당은 다음과 같다:

성당 이름설명
산 조반니 인 라테라노 대성당로마의 대성당으로, 324년에 건립되었고 1660년에서 1734년 사이에 부분적으로 재건축되었다.
산타 마리아 마조레 대성당로마에서 가장 큰 가톨릭 성모 마리아 교회이며, 로마의 순례 교회 7곳 중 하나이다.
산 파올로 푸오리 레 무라 대성당
산 로렌초 푸오리 레 무라 성당
산 피에트로 인 빈콜리 성당
산타 마리아 인 아라코엘리 성당
도미네 쿼 바디스 성당
산타 마리아 소프라 미네르바 성당
산 안드레아 델라 발레 성당



324년에 건립되고 1660년에서 1734년 사이에 부분적으로 재건축된 로마의 대성당, 라테라노 성 요한 대성전


로마의 순례 교회 7곳 중 하나인 산타 마리아 마조레 성당은 로마에서 가장 큰 가톨릭 성모 마리아 교회이다.


로마는 바티칸 시국성 베드로 대성전의 본거지이지만, 도시의 대성당은 도시 중심부 남동쪽에 있는 라테라노 성 요한 대성전이다. 대성당 외에도 산 클레멘테 대성전, 산 카를로 알레 콰트로 폰타네, 예수회 성당 등이 주목할 만하다. 또한 도시 지하에는 고대 로마 카타콤베가 있다.

7. 4. 궁전


  • 라테라노 궁전
  • 알템프스 궁전 (로마 국립 박물관)
  • 퀴리날레 궁전
  • 팔라초 파르네세
  • 팔라초 바르베리니
  • 팔라초 브란카치오
  • 베네치아 궁전
  • 키지 궁전

7. 5. 미술관·박물관


  • 보르게세 미술관
  • 로마 국립 박물관
  • 빌라 줄리아 국립 박물관
  • 카피톨리니 미술관 Museo Capitolino|무세오 카피톨리노it
  • 마리오 프라츠 미술관
  • 국립 고전 회화관
  • 이탈리아 국립 동양 박물관(국립 오리엔트 박물관)
  • :it:Palazzo delle Esposizioni
  • 악기 박물관 Museo Nazionale degli Strumenti Musicali|무세오 나치오날레 델리 스트루멘티 무시칼리it
  • 베네치아 궁전 박물관 Museo Nazionale del Palazzo di Venezia|무세오 나치오날레 델 팔라초 디 베네치아it

7. 6. 그 외

로마는 다양한 볼거리와 즐길 거리가 있어 관광객들에게 인기가 많은 도시다.

; 고대 로마 유적

  • 로마 포럼 (포로 로마노)
  • 트라야누스 포럼
  • 트라야누스 시장
  • 콜로세움 (콜로세오)
  • 판테온
  • 토레 아르젠티나 광장
  • 아우구스투스 묘
  • 막시무스 서커스
  • 황금궁전
  • 카라칼라 목욕탕
  • 하드리아누스 신전
  • 로마 가도
  • 가이우스 케스티우스의 피라미드
  • * 아우렐리아 가도
  • * 압피아 가도(압피아 가도 주립공원)
  • * 플라미니아 가도


; 광장·공원

; 로마의 오벨리스크

; 교회

  • 산 조반니 인 라테라노 대성당
  • 산타 마리아 마조레 대성당
  • 산 파올로 푸오리 레 무라 대성당
  • 산 로렌초 푸오리 레 무라 대성당
  • 산타 마리아 인 코스메딘 교회
  • * 진실의 입
  • 산타 마리아 인 트라스테베레 성당


; 궁전

  • 팔라초 파르네세
  • 팔라초 바르베리니
  • 팔라초 브란카치오
  • 베네치아 궁전
  • 퀴리날레 궁전
  • 키지 궁전


; 미술관·박물관

  • 보르게세 미술관
  • 로마 국립 박물관
  • 빌라 줄리아 국립 박물관
  • 카피톨리노 미술관
  • 마리오 프라츠 미술관
  • 국립 고전 회화관
  • 이탈리아 국립 동양 박물관(국립 오리엔트 박물관)
  • 팔라초 델레 에스포시치오니


; 기타 건축물

  • 산탄젤로 성
  • 테르미니 역
  • 로마 오페라 극장
  • 로마 법원
  • 펠릭스 수도의 분수
  • 코페데 지구와 개구리 분수


; 시내 기타 장소

; 로마의 7개 언덕

로마의 7개 언덕은 로마 시가지 중심부에서 티베르 강 동쪽에 위치한 고대 로마 시대의 7개 언덕이다.

; 바티칸 시국 내 관광 명소

; 로마 교외 관광 명소

  • 티볼리
  • * 티볼리의 에스테 가 별장
  • 오스티아
  • * 오스티아 안티카
  • 카스텔리 로마니 (Castelli Romani)
  • 체르베테리와 타르퀴니아의 에트루리아 고분 유적군
  • 보말초
  • 치비타 디 바뇨레지오
  • 보말초
  • 비르고 수도

  • ---


시내에는 고대 유적과 미술관 등이 많이 남아 있어 세계 각국에서 관광객이 모여들기 때문에 관광업이 중요한 산업이 되고 있으며, 특히 베네토 거리스페인 광장 주변에는 고급 호텔과 레스토랑, 부티크가 늘어서 일 년 내내 활기를 띠고 있다.

  • 산탄젤로 성
  • 치르코 마시모 (고대 전차 경주장)
  • 진실의 입
  • 헤라클레스 신전

8. 교육

로마는 전국적이며 주요 국제 고등 교육의 중심지로, 수많은 아카데미, 대학 및 대학교가 있다. 특히 고대 로마 시대와 피렌체와 함께 르네상스 시대에 주요 세계적 지적 및 교육 중심지였다.[158] 시티 브랜드 지수에 따르면, 로마는 세계에서 두 번째로 역사적, 교육적, 문화적으로 흥미롭고 아름다운 도시로 여겨진다.[159]

로마 사피엔차 대학교
는 1303년에 설립되어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대학교 중 하나이며,[156] 12만 2천 명의 학생으로 유럽에서 가장 큰 대학교이다.[157] 2005년 유럽 33위 대학교로 선정되었으며,[160] 2013년에는 세계 대학 순위에서 세계 62위, 이탈리아 1위를 차지했다.[161] 유럽 50위, 세계 150위권 대학으로 선정되기도 했다.[162]

사피엔차 대학교의 과밀을 줄이기 위해, 지난 수십 년 동안 두 개의 새로운 공립 대학교가 설립되었다. 1982년 토르 베르가타 대학교와 1992년 로마 트레 대학교이다. 로마에는 또한 LUISS 국제정치대학원(LUISS School of Government)[163] (이탈리아에서 국제 관계 및 유럽 연구 분야의 가장 중요한 대학원)과 LUISS 경영대학원(LUISS Business School)(이탈리아에서 가장 중요한 경영대학원)이 있다. 로마 ISIA는 줄리오 카를로 아르간(Giulio Carlo Argan)에 의해 1973년에 설립되었으며, 이탈리아에서 가장 오래된 산업 디자인 분야의 기관이다.

카사나텐세 도서관(Biblioteca Casanatense)


로마에는 교황청립 대학교 및 다른 여러 기관이 있다. 로마 영국학교(British School at Rome), 로마 프랑스 학교, 교황청립 그레고리오 대학교(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예수회 대학교, 1551년 설립), 유럽 디자인 연구소(Istituto Europeo di Design), 스쿠올라 로렌초 데 메디치, 몰타 캠퍼스, 그리고 캠푸스 비오메디코 대학교(Università Campus Bio-Medico)가 있다. 로마에는 두 개의 미국 대학교인 로마 아메리칸 대학교(The American University of Rome)[164]와 존 캐벗 대학교(John Cabot University), 그리고 세인트 존 대학교 분교, 로욜라 시카고 대학교(Loyola University Chicago)의 분교인 존 펠리체 로마 센터(John Felice Rome Center)와 템플 대학교(Temple University)의 분교인 템플 대학교 로마 캠퍼스가 있다.[165]

로마 대학(Roman Colleges)은 교황청립 대학교에서 사제직을 위해 공부하는 외국 학생들을 위한 여러 신학교이다.[166] 예를 들어 존경할 만한 영국 대학(Venerable English College), 교황청립 북미 대학(Pontifical North American College), 스코틀랜드 대학, 그리고 교황청립 성 제롬 크로아티아 대학(Pontifical Croatian College of St. Jerome)이 있다.

로마의 주요 도서관은 다음과 같다.

  • 1604년에 개관하여 이탈리아 최초의 공공 도서관이 된 안젤리카 도서관(Biblioteca Angelica)
  • 1565년에 설립된 발리첼리아나 도서관(Biblioteca Vallicelliana)
  • 1701년에 개관한 카사나텐세 도서관(Biblioteca Casanatense)
  • 이탈리아의 두 개의 국립 도서관 중 하나이며 4,126,002권의 책을 소장하고 있는 국립 중앙 도서관
  • 외교, 국제 관계 및 근대사를 전문으로 하는 외무부 도서관(Biblioteca del Ministero degli Affari Esteri)
  • 이탈리아 백과사전 연구소 도서관(Biblioteca dell'Istituto dell'Enciclopedia Italiana)
  • 가장 크고 현대적인 살레시오 도서관 중 하나인 돈 보스코 도서관(Biblioteca Don Bosco)
  • 극장 및 연극 역사를 전문으로 하는 박물관-도서관인 부르카르도 극장 도서관 및 박물관(Biblioteca e Museo teatrale del Burcardo)
  • 첼리몬타나 빌라에 위치한 이탈리아에서 가장 중요한 지리 도서관이자 유럽에서 가장 중요한 지리 도서관 중 하나인 이탈리아 지리학회 도서관(Società Geografica Italiana)[167] 도서관
  • 1475년에 공식적으로 설립되었지만 사실상 훨씬 더 오래된 세계에서 가장 오래되고 가장 중요한 도서관 중 하나이며 7만 5천 개의 코덱스와 110만 권의 인쇄된 책(약 8,500권의 초인쇄본 포함)을 소장하고 있는 바티칸 사서관(Vatican Library)


로마의 여러 외국 문화 연구소에는 전문 도서관이 있는데, 그 중에는 로마 미국 아카데미(American Academy in Rome), 로마 프랑스 아카데미(French Academy in Rome), 그리고 예술과 과학 분야에서 탁월성으로 유명한 독일 도서관인 헤르츠 도서관 - 막스 플랑크 미술사 연구소(Bibliotheca Hertziana – Max Planck Institute of Art History)의 도서관이 있다.[168]

9. 문화

로마는 고대 로마 시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오랜 역사를 통해 다양한 문화를 발전시켜 왔다.

=== 건축 ===

로마는 15세기 중반 이후 교황령의 수도로 번영하면서 르네상스 문화의 중심지가 되었다. 교황 니콜라오 5세 시대에는 성벽 개축, 궁전 건설, 교회 수리 공사가 이루어졌다. 주요 예술가와 건축가들이 로마에서 활동하게 되면서 15세기 말에는 로마가 피렌체를 대신하여 르네상스의 중심지가 되었고, 미켈란젤로, 도나토 브라만테, 라파엘로 등의 예술가들이 교황을 위해 작업했다. 그러나 1527년 합스부르크가의 용병군에 의한 "로마 약탈"로 인해 이 도시의 고르네상스는 막을 내렸다.[1]

16세기 말 교황 식스토 5세 시대에는 빽빽한 주택가의 근대화가 시작되었으며, 포폴로 광장에서 시 중심부를 향해 3개의 도로를 개설하고 광장과 분수대를 만들고, 아쿠아 펠릭스 수도교를 복구했다. 산 피에트로 대성당의 돔이 완성된 것도 이 시대이다.[1]

종교 개혁 반대 운동 시대 로마를 특징짓는 바로크 양식은 17세기 건축물에서 많이 볼 수 있다. 잔 로렌초 베르니니프란체스코 보로미니와 같은 조각가와 건축가들이 이 시대에 로마의 모습을 바꾸었다. 18세기 로마는 교황의 통치 아래 비교적 평화로운 시대를 맞이했다. 스페인 계단 등에서 볼 수 있는 18세기 전반의 로코코 양식 건물은 점차 신고전주의 건물로 바뀌었다. 1797년 나폴레옹 1세는 로마를 점령하고 많은 귀중한 미술품을 가져갔지만, 빈 회의 이후 로마는 다시 교황령이 되었다.[1]

=== 분수와 수도교 ===

트레비 분수는 고대 로마 시대에 시작되어 1762년에 완공되었다.


로마는 고전, 중세, 바로크, 신고전주의 등 다양한 스타일의 수많은 분수로 유명한 도시이다. 2천 년 이상 분수가 존재해 왔으며, 식수를 제공하고 로마의 광장들을 장식해왔다. 로마 제국 시대인 서기 98년, 도시의 수자원 관리자인 섹스투스 율리우스 프로티누스에 따르면, 로마에는 9개의 수도교가 있어 39개의 기념비적인 분수와 591개의 공공 분수대에 물을 공급했다고 한다. 이는 황실, 공중목욕탕, 개인 빌라 소유주에게 공급된 물을 제외한 수치이다.[169]

17세기와 18세기 동안, 로마 교황들은 훼손된 로마 수도교들을 재건하고 새로운 분수를 만들어 로마 분수의 황금기를 열었다. 로마의 분수는 바로크 예술의 새로운 양식을 표현했다. 이 분수들에서 조각은 주요 요소가 되었고, 물은 단순히 조각을 생동감 있게 하고 장식하는 데 사용되었다. 바로크 정원과 마찬가지로, 이 분수들은 "자신감과 권력의 시각적 표현"이었다.[170]

=== 조각상 ===

지안 로렌초 베르니니의 네 개의 강의 분수(Fontana dei Fiumi), 1648년


로마는 조각상으로 유명하며, 특히 로마의 말하는 조각상으로 잘 알려져 있다. 이들은 대개 고대 조각상으로, 정치적, 사회적 논의를 위한 인기 있는 연단이자 사람들이 (종종 풍자적으로) 자신의 의견을 표명하는 장소가 되었다. 주요 말하는 조각상과 그 외 네 개의 유명한 조각상은 다음과 같다.

  • 파스키노(Pasquino): 메넬라오스(Menelaus)를 묘사.
  • 아봇 루이지(Abbot Luigi): 신원 미상의 로마 관리를 묘사.
  • 일 바부이노(il Babuino): 실레노스(Silenus)를 묘사.
  • 마르포리오(Marforio): 오케아누스(Oceanus)를 묘사.
  • 마다마 루크레치아(Madama Lucrezia): 이시스(Isis)의 흉상을 묘사.
  • 일 파키노(il Facchino): 1580년에 만들어진 유일한 비로마 조각상이며, 특정 인물을 나타내지는 않는다.


이 조각상들은 종종 정치적 사상과 관점을 표현하는 플래카드나 낙서로 뒤덮여 있다. 로마에는 이 외에도 산탄젤로 다리의 조각상이나 조르다노 브루노의 캄포 데이 피오리 광장 기념비 등 여러 기념물이 도시 곳곳에 흩어져 있다.

=== 오벨리스크와 기둥 ===

포폴로 광장의 플라미니오 오벨리스크


로마에는 고대 이집트 오벨리스크 8개와 고대 로마 오벨리스크 5개를 포함하여 현대 오벨리스크 여러 개가 있다. 2005년까지는 아크숨 제국의 오벨리스크도 있었다.[171] 로마 시내에는 나보나 광장, 성 베드로 광장, 몬테치토리오 광장, 포폴로 광장 등 피아차 광장에 있는 오벨리스크들과 체리몬타나 빌라, 디오클레티아누스 온천, 핀치오 언덕 등 빌라, 온천, 공원에 있는 오벨리스크들이 있다.

또한 로마 중심부에는 나선형 부조로 장식된 고대 로마의 두 기둥인 트라야누스 기둥과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기둥이 있다.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기둥은 콜로나 광장에 있으며, 180년경 콤모두스 황제가 부모를 기념하기 위해 세운 것이다.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기둥은 트라야누스 포럼에 있는 트라야누스 기둥에서 영감을 받았다.[172]

=== 다리 ===

폰테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2세
(Ponte Vittorio Emanuele II) 일몰]]

로마에는 티베르 강을 가로지르는 유명한 다리가 많다. 고대 로마 시대부터 변형되지 않고 남아 있는 유일한 다리는 폰스 파브리키우스(폰테 데이 콰트로 카피)로, 티베르 섬을 왼쪽 강둑과 연결한다. 티베르 강을 가로지르는 다른 고대 로마 다리들도 – 개조되었지만 – 폰스 체스티우스(폰테 체스티오), 폰테 산탄젤로, 폰테 밀비오 등이 남아 있다. 아네네 강을 가로지르는 고대 로마 시대에 건설된 폰테 노멘타노를 고려하면, 현재 로마에는 고대 로마 시대 다섯 개의 다리가 남아 있다.[173]

그 외 주목할 만한 다리로는 르네상스 시대에 로마 시대 기초 위에 건설된 최초의 다리인 폰테 시스토, 사실상 고대 폰스 아에밀리우스의 유일하게 남은 아치인 폰테 로토 (1598년 홍수로 무너진 후 19세기 말에 철거됨), 그리고 코르소 비토리오 에마누엘레와 보르고를 연결하는 현대식 다리인 폰테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2세 등이 있다. 로마의 대부분의 공공 다리는 고전주의 또는 르네상스 양식으로 건설되었지만, 바로크, 신고전주의, 현대 양식으로 건설된 다리들도 있다.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에 따르면, 로마에 남아 있는 가장 훌륭한 고대 다리는 서기 135년에 완공되었고, 1688년 잔 로렌초 베르니니가 디자인한 열 개의 천사상으로 장식된 폰테 산탄젤로이다.[174]

=== 카타콤 ===

많은 교황 매장지가 있는 바티칸 지하묘지.


로마에는 도시 지하 또는 인근에 최소 40개 이상의 광대한 고대 카타콤베(지하 매장지)가 있으며, 일부는 최근 수십 년 동안 발견되었다. 대부분 기독교인 매장지로 유명하지만, 별도의 카타콤베 또는 혼합되어 이교도와 유대인 매장지도 포함되어 있다. 최초의 대규모 카타콤베는 2세기부터 발굴되었다. 원래는 도시 경계 밖의 부드러운 화산암인 튜프를 통해 조각되었는데, 이는 로마법이 도시 경계 내 매장지를 금지했기 때문이다. 현재 카타콤베의 유지는 교황청이 담당하고 있으며, 로마 외곽에 있는 칼릭스투스 성 카타콤베의 감독은 돈 보스코 살레시오회에 위임했다.

=== 오락 및 공연 예술 ===

로마 오페라 극장


로마는 중요한 음악 중심지이며, 여러 권위 있는 음악원과 극장을 포함한 활발한 음악계를 가지고 있다. 세계 최대 규모의 음악 공연장 중 하나인 파르코 델라 무지카에 새 콘서트홀이 건설된 산타 체칠리아 국립 음악원(1585년 설립)이 있다. 로마에는 로마 오페라 극장과 여러 소규모 음악 기관도 있다. 이 도시는 1991년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와 2004년 MTV 유럽 뮤직 어워드를 개최하기도 했다.

로마는 음악 역사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로마 악파는 16세기와 17세기 로마에서 활동했던, 주로 교회 음악을 작곡한 작곡가 그룹으로, 후기 르네상스와 초기 바로크 시대에 걸쳐 활동했다. 이 용어는 그들이 제작한 음악을 가리키기도 한다. 많은 작곡가들이 바티칸과 교황청 예배당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었지만, 여러 교회에서 활동했다. 스타일적으로는 훨씬 더 진보적인 동시대 운동이었던 베네치아 악파와 대조된다. 로마 악파에서 가장 유명한 작곡가는 단연 조반니 피에를루이지 다 팔레스트리나로, 그의 이름은 400년 동안 부드럽고 명료한 다성 음악의 완벽함과 연관되어 왔다. 그러나 로마에서는 다양한 스타일과 형식으로 활동하는 다른 작곡가들도 있었다.

196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 로마는 많은 배우와 감독들이 활동하면서 "새로운 할리우드"로 여겨졌다. 비토리오 베네토 거리(Via Vittorio Veneto)는 유명 인사들을 만날 수 있는 화려한 장소로 변모했다.[175]

로마는 북이탈리아의 여러 도시들에 비해 의외로 오페라가 활성화되어 있지 않으며, 로마 오페라극장은 2014년에 한때 전 직원 해고가 발표된 적이 있다(이후 노사의 타협으로 철회됨). 오히려 이탈리아에서 드물게 콘서트 오케스트라의 명문으로 산타 체칠리아 국립 아카데미 오케스트라가 특필할 만한 존재이다. 또한, 이 무지치 합주단도 로마를 거점으로 하고 있다.

=== 패션 ===

콘도티 거리


로마는 세계적인 패션의 중심지로 널리 인식되고 있다. 2009년 글로벌 랭귀지 모니터에 따르면, 로마는 밀라노, 뉴욕, 파리에 이어 세계에서 네 번째로 중요한 패션 중심지이며 런던을 제치고 있다.[176]

발렌티노, 불가리(Bulgari), 펜디(Fendi),[177] 로라 비아조티(Laura Biagiotti), 브리오니, 레나토 발레스트라(Renato Balestra)와 같은 주요 명품 패션 하우스와 보석 체인의 본사가 로마에 있거나 로마에서 설립되었다. 또한 구찌(Gucci), 샤넬(Chanel), 프라다(Prada), 돌체앤가바나(Dolce & Gabbana), 아르마니(Armani), 베르사체(Versace)와 같은 다른 주요 브랜드들도 로마에 고급 부티크를 운영하고 있으며, 특히 고급스럽고 유명한 콘도티 거리에 많이 위치하고 있다.

=== 요리 ===

스파게티 알라 카르보나라, 전형적인 로마 요리


로마의 요리는 수세기 동안 사회, 문화, 정치적 변화를 거치면서 발전해 왔다. 로마는 고대 시대에 주요한 미식 중심지가 되었다. 고대 로마 요리는 고대 그리스 문화의 영향을 크게 받았고, 그 후 제국의 엄청난 확장으로 로마인들은 많은 새로운 지방의 요리 습관과 요리 기술에 노출되었다.[178]

이후, 르네상스 시대에 로마는 당대 최고의 요리사들이 교황을 위해 일했기 때문에 고급 요리의 중심지로 잘 알려지게 되었다. 그 예로 피우스 4세를 위해 일했던 요리사 바르톨로메오 스카피가 있다. 그는 1570년 그의 요리책 ''Opera dell'arte del cucinare''가 출판되면서 명성을 얻었다. 이 책에는 르네상스 요리의 약 1,000가지 레시피가 나열되어 있으며, 요리 기술과 도구를 설명하고, 최초로 알려진 포크의 그림을 보여준다.[179]

''아바키오 알라 로마나''


로마의 무역 및 도축장 지역인 테스타치오는 종종 로마의 "배" 또는 "도축장"으로 알려졌으며, 정육점인 ''vaccinari''들이 살았다.[180] 가장 일반적이거나 고대 로마 요리에는 "다섯 번째 부위"가 포함되었다.[180] 구식 ''코다 알라 바키나라''(정육점 방식으로 요리한 소꼬리)[180]는 여전히 도시에서 가장 인기 있는 음식 중 하나이며, 로마의 대부분의 레스토랑 메뉴에 포함되어 있다. 양고기도 로마 요리에서 매우 인기 있는 부분이며, 종종 향신료와 허브로 구워진다.[180]

현대에 이르러 도시는 인근 캄파냐의 제품, 즉 양고기와 채소(대표적으로 아티초크)를 기반으로 독특한 요리를 개발했다.[181] 동시에 기원전 1세기부터 도시에 거주해 온 로마 유대인들은 자신들만의 요리인 ''cucina giudaico-romanesca''를 발전시켰다.

로마 요리의 예로는 ''살팀보카 알라 로마나'' – 송아지 고기 컷릿에 생햄과 세이지를 얹고 화이트 와인과 버터로 끓인 로마식 요리; ''카르초피 알라 로마나'' – 로마식 아티초크, 바깥 잎을 제거하고 민트, 마늘, 빵가루를 넣어 삶은 요리; ''카르초피 알라 지우디아'' – 올리브 오일에 튀긴 아티초크, 로마 유대인 요리의 전형적인 요리, 바깥 잎을 제거하고 민트, 마늘, 빵가루를 넣어 삶은 요리; ''스파게티 알라 카르보나라'' – 베이컨, 달걀 및 ''페코리노''가 들어간 스파게티; 그리고 ''세몰리나 뇨키 알라 로마나'' – 로마식 세몰리나 경단이 있다.[182]

=== 영화 ===



로마에는 유럽 대륙에서 가장 큰 영화 및 텔레비전 제작 시설이자 오늘날 최고 흥행작 중 많은 수가 제작되는 이탈리아 영화의 중심지인 치네치타 스튜디오[184]가 있다. 약 40ha 규모의 스튜디오 단지는 로마 중심부에서 9km 떨어져 있으며, 시대극 의상 제작자부터 시각 효과 전문가까지 5,000명이 넘는 전문가들이 있는 세계에서 가장 큰 제작 커뮤니티 중 하나의 일부를 이루고 있으며, 할리우드 다음으로 규모가 크다. 이곳에서 3,000편 이상의 작품이 제작되었다.

1937년 베니토 무솔리니에 의해 설립된 이 스튜디오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서방 연합군에 의해 폭격을 당했다. 1950년대에 치네치타는 여러 대규모 미국 영화 제작의 촬영지였으며, 그 후 페데리코 페리니와 가장 밀접하게 관련된 스튜디오가 되었다.

베니토 무솔리니가 만든 세계적으로 유명한 영화 촬영소인 치네치타는 페데리코 페리니 감독의 『달콤한 인생』과 『인터뷰』 등 수많은 명작이 촬영된 곳으로, 이탈리아 영화 산업뿐만 아니라 이탈리아 근대 문화에도 중요한 장소이다. 페리니 감독은 1971년 영화 "Roma"(한국어 제목은 『페리니의 로마』)를 촬영했는데, 도시 이름만이 그대로 제목이 된 영화는 드물지만(다른 예로는 『카사블랑카』, 『시카고』 등이 있다), 내용 또한 특별한 스토리가 없는 환상적인 로마에 대한 논의로 가득 차 있으며, 키네마 준보 베스트텐 2위 등 명작 영화로 평가받고 있다.

9. 1. 건축



로마는 15세기 중반 이후 교황령의 수도로 번영하면서 르네상스 문화의 중심지가 되었다. 교황 니콜라오 5세 시대에는 성벽 개축, 궁전 건설, 교회 수리 공사가 이루어졌다. 주요 예술가와 건축가들이 로마에서 활동하게 되면서 15세기 말에는 로마가 피렌체를 대신하여 르네상스의 중심지가 되었고, 미켈란젤로, 도나토 브라만테, 라파엘로 등의 예술가들이 교황을 위해 작업했다. 그러나 1527년 합스부르크가의 용병군에 의한 "로마 약탈"로 인해 이 도시의 고르네상스는 막을 내렸다.[1]

16세기 말 교황 식스토 5세 시대에는 빽빽한 주택가의 근대화가 시작되었으며, 포폴로 광장에서 시 중심부를 향해 3개의 도로를 개설하고 광장과 분수대를 만들고, 아쿠아 펠릭스 수도교를 복구했다. 산 피에트로 대성당의 돔이 완성된 것도 이 시대이다.[1]

종교 개혁 반대 운동 시대 로마를 특징짓는 바로크 양식은 17세기 건축물에서 많이 볼 수 있다. 잔 로렌초 베르니니프란체스코 보로미니와 같은 조각가와 건축가들이 이 시대에 로마의 모습을 바꾸었다. 18세기 로마는 교황의 통치 아래 비교적 평화로운 시대를 맞이했다. 스페인 계단 등에서 볼 수 있는 18세기 전반의 로코코 양식 건물은 점차 신고전주의 건물로 바뀌었다. 1797년 나폴레옹 1세는 로마를 점령하고 많은 귀중한 미술품을 가져갔지만, 빈 회의 이후 로마는 다시 교황령이 되었다.[1]

9. 2. 분수와 수도교

로마는 고전, 중세, 바로크, 신고전주의 등 다양한 스타일의 수많은 분수로 유명한 도시이다. 2천 년 이상 분수가 존재해 왔으며, 식수를 제공하고 로마의 광장들을 장식해왔다. 로마 제국 시대인 서기 98년, 도시의 수자원 관리자인 섹스투스 율리우스 프로티누스에 따르면, 로마에는 9개의 수도교가 있어 39개의 기념비적인 분수와 591개의 공공 분수대에 물을 공급했다고 한다. 이는 황실, 공중목욕탕, 개인 빌라 소유주에게 공급된 물을 제외한 수치이다.[169]

17세기와 18세기 동안, 로마 교황들은 훼손된 로마 수도교들을 재건하고 새로운 분수를 만들어 로마 분수의 황금기를 열었다. 로마의 분수는 바로크 예술의 새로운 양식을 표현했다. 이 분수들에서 조각은 주요 요소가 되었고, 물은 단순히 조각을 생동감 있게 하고 장식하는 데 사용되었다. 바로크 정원과 마찬가지로, 이 분수들은 "자신감과 권력의 시각적 표현"이었다.[170]

16세기 말 교황 식스투스 5세는 포폴로 광장에서 시 중심부를 향해 3개의 도로를 개설하고 광장과 분수대를 만들었으며, 아쿠아 펠릭스 수도교를 복구했다.

9. 3. 조각상

로마는 조각상으로 유명하지만, 특히 로마의 말하는 조각상(talking statues of Rome)으로 잘 알려져 있다. 이들은 대개 고대 조각상으로, 정치적, 사회적 논의를 위한 인기 있는 연단이자 사람들이 (종종 풍자적으로) 자신의 의견을 표명하는 장소가 되었다. 주요 말하는 조각상과 그 외 네 개의 유명한 조각상은 다음과 같다.

  • 파스키노(Pasquino): 메넬라오스(Menelaus)를 묘사.
  • 아봇 루이지(Abbot Luigi): 신원 미상의 로마 관리를 묘사.
  • 일 바부이노(il Babuino): 실레노스(Silenus)를 묘사.
  • 마르포리오(Marforio): 오케아누스(Oceanus)를 묘사.
  • 마다마 루크레치아(Madama Lucrezia): 이시스(Isis)의 흉상을 묘사.
  • 일 파키노(il Facchino): 1580년에 만들어진 유일한 비로마 조각상이며, 특정 인물을 나타내지는 않는다.


이 조각상들은 종종 그들의 지위 때문에 정치적 사상과 관점을 표현하는 플래카드나 낙서로 뒤덮여 있다. 로마에는 이 외에도 산탄젤로 다리의 조각상이나 조르다노 브루노(Giordano Bruno)의 캄포 데이 피오리 광장 기념비 등 여러 기념물이 도시 곳곳에 흩어져 있다.

9. 4. 오벨리스크와 기둥

로마에는 고대 이집트 오벨리스크 8개와 고대 로마 오벨리스크 5개를 포함하여 현대 오벨리스크 여러 개가 있다. 2005년까지는 아크숨 제국의 오벨리스크도 있었다.[171] 로마 시내에는 나보나 광장, 성 베드로 광장, 몬테치토리오 광장, 포폴로 광장 등 피아차 광장에 있는 오벨리스크들과 체리몬타나 빌라, 디오클레티아누스 온천, 핀치오 언덕 등 빌라, 온천, 공원에 있는 오벨리스크들이 있다.

또한 로마 중심부에는 나선형 부조로 장식된 고대 로마의 두 기둥인 트라야누스 기둥과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기둥이 있다.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기둥은 콜로나 광장에 있으며, 180년경 콤모두스 황제가 부모를 기념하기 위해 세운 것이다.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기둥은 트라야누스 포럼에 있는 트라야누스 기둥에서 영감을 받았으며, 이는 황제의 포럼의 일부이다.[172]

9. 5. 다리

로마에는 티베르 강을 가로지르는 유명한 다리가 많다. 고대 로마 시대부터 변형되지 않고 남아 있는 유일한 다리는 폰스 파브리키우스(폰테 데이 콰트로 카피)로, 티베르 섬을 왼쪽 강둑과 연결한다. 티베르 강을 가로지르는 다른 고대 로마 다리들도 – 개조되었지만 – 폰스 체스티우스(폰테 체스티오), 폰테 산탄젤로, 폰테 밀비오 등이 남아 있다. 아네네 강을 가로지르는 고대 로마 시대에 건설된 폰테 노멘타노를 고려하면, 현재 로마에는 고대 로마 시대 다섯 개의 다리가 남아 있다.[173]

그 외 주목할 만한 다리로는 르네상스 시대에 로마 시대 기초 위에 건설된 최초의 다리인 폰테 시스토, 사실상 고대 폰스 아에밀리우스의 유일하게 남은 아치인 폰테 로토 (1598년 홍수로 무너진 후 19세기 말에 철거됨), 그리고 코르소 비토리오 에마누엘레와 보르고를 연결하는 현대식 다리인 폰테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2세 등이 있다. 로마의 대부분의 공공 다리는 고전주의 또는 르네상스 양식으로 건설되었지만, 바로크, 신고전주의, 현대 양식으로 건설된 다리들도 있다.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에 따르면, 로마에 남아 있는 가장 훌륭한 고대 다리는 서기 135년에 완공되었고, 1688년 잔 로렌초 베르니니가 디자인한 열 개의 천사상으로 장식된 폰테 산탄젤로이다.[174]

9. 6. 카타콤

로마에는 도시 지하 또는 인근에 최소 40개 이상의 광대한 고대 카타콤베(지하 매장지)가 있으며, 일부는 최근 수십 년 동안 발견되었다. 대부분 기독교인 매장지로 유명하지만, 별도의 카타콤베 또는 혼합되어 이교도와 유대인 매장지도 포함되어 있다. 최초의 대규모 카타콤베는 2세기부터 발굴되었다. 원래는 도시 경계 밖의 부드러운 화산암인 튜프를 통해 조각되었는데, 이는 로마법이 도시 경계 내 매장지를 금지했기 때문이다.[1] 현재 카타콤베의 유지는 교황청이 담당하고 있으며, 로마 외곽에 있는 칼릭스투스 성 카타콤베의 감독은 돈 보스코 살레시오회에 위임했다.[1]

9. 7. 오락 및 공연 예술



로마는 중요한 음악 중심지이며, 여러 권위 있는 음악원과 극장을 포함한 활발한 음악계를 가지고 있다. 세계 최대 규모의 음악 공연장 중 하나인 파르코 델라 무지카에 새 콘서트홀이 건설된 산타 체칠리아 국립 음악원(1585년 설립)이 있다. 로마에는 로마 오페라 극장과 여러 소규모 음악 기관도 있다. 이 도시는 1991년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와 2004년 MTV 유럽 뮤직 어워드를 개최하기도 했다.

로마는 음악 역사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로마 악파는 16세기와 17세기 로마에서 활동했던, 주로 교회 음악을 작곡한 작곡가 그룹으로, 후기 르네상스와 초기 바로크 시대에 걸쳐 활동했다. 이 용어는 그들이 제작한 음악을 가리키기도 한다. 많은 작곡가들이 바티칸과 교황청 예배당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었지만, 여러 교회에서 활동했다. 스타일적으로는 훨씬 더 진보적인 동시대 운동이었던 베네치아 악파와 대조된다. 로마 악파에서 가장 유명한 작곡가는 단연 조반니 피에를루이지 다 팔레스트리나로, 그의 이름은 400년 동안 부드럽고 명료한 다성 음악의 완벽함과 연관되어 왔다. 그러나 로마에서는 다양한 스타일과 형식으로 활동하는 다른 작곡가들도 있었다.

196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 로마는 많은 배우와 감독들이 활동하면서 "새로운 할리우드"로 여겨졌다. 비토리오 베네토 거리(Via Vittorio Veneto)는 유명 인사들을 만날 수 있는 화려한 장소로 변모했다.[175]

로마는 북이탈리아의 여러 도시들에 비해 의외로 오페라가 활성화되어 있지 않으며, 로마 오페라극장은 2014년에 한때 전 직원 해고가 발표된 적이 있다(이후 노사의 타협으로 철회됨). 오히려 이탈리아에서 드물게 콘서트 오케스트라의 명문으로 산타 체칠리아 국립 아카데미 오케스트라가 특필할 만한 존재이다. 또한, 이 무지치 합주단도 로마를 거점으로 하고 있다.

9. 8. 패션



로마는 세계적인 패션의 중심지로 널리 인식되고 있다. 2009년 글로벌 랭귀지 모니터에 따르면, 로마는 밀라노, 뉴욕, 파리에 이어 세계에서 네 번째로 중요한 패션 중심지이며 런던을 제치고 있다.[176]

발렌티노, 불가리(Bulgari), 펜디(Fendi),[177] 로라 비아조티(Laura Biagiotti), 브리오니, 레나토 발레스트라(Renato Balestra)와 같은 주요 명품 패션 하우스와 보석 체인의 본사가 로마에 있거나 로마에서 설립되었다. 또한 구찌(Gucci), 샤넬(Chanel), 프라다(Prada), 돌체앤가바나(Dolce & Gabbana), 아르마니(Armani), 베르사체(Versace)와 같은 다른 주요 브랜드들도 로마에 고급 부티크를 운영하고 있으며, 특히 고급스럽고 유명한 콘도티 거리에 많이 위치하고 있다.

9. 9. 요리



로마의 요리는 수세기 동안 사회, 문화, 정치적 변화를 거치면서 발전해 왔다. 로마는 고대 시대에 주요한 미식 중심지가 되었다. 고대 로마 요리는 고대 그리스 문화의 영향을 크게 받았고, 그 후 제국의 엄청난 확장으로 로마인들은 많은 새로운 지방의 요리 습관과 요리 기술에 노출되었다.[178]

이후, 르네상스 시대에 로마는 당대 최고의 요리사들이 교황을 위해 일했기 때문에 고급 요리의 중심지로 잘 알려지게 되었다. 그 예로 피우스 4세를 위해 일했던 요리사 바르톨로메오 스카피가 있다. 그는 1570년 그의 요리책 ''Opera dell'arte del cucinare''가 출판되면서 명성을 얻었다. 이 책에는 르네상스 요리의 약 1,000가지 레시피가 나열되어 있으며, 요리 기술과 도구를 설명하고, 최초로 알려진 포크의 그림을 보여준다.[179]

로마의 무역 및 도축장 지역인 테스타치오는 종종 로마의 "배" 또는 "도축장"으로 알려졌으며, 정육점인 ''vaccinari''들이 살았다.[180] 가장 일반적이거나 고대 로마 요리에는 "다섯 번째 부위"가 포함되었다.[180] 구식 ''코다 알라 바키나라''(정육점 방식으로 요리한 소꼬리)[180]는 여전히 도시에서 가장 인기 있는 음식 중 하나이며, 로마의 대부분의 레스토랑 메뉴에 포함되어 있다. 양고기도 로마 요리에서 매우 인기 있는 부분이며, 종종 향신료와 허브로 구워진다.[180]

현대에 이르러 도시는 인근 캄파냐의 제품, 즉 양고기와 채소(대표적으로 아티초크)를 기반으로 독특한 요리를 개발했다.[181] 동시에 기원전 1세기부터 도시에 거주해 온 로마 유대인들은 자신들만의 요리인 ''cucina giudaico-romanesca''를 발전시켰다.

로마 요리의 예로는 ''살팀보카 알라 로마나'' – 송아지 고기 컷릿에 생햄과 세이지를 얹고 화이트 와인과 버터로 끓인 로마식 요리; ''카르초피 알라 로마나'' – 로마식 아티초크, 바깥 잎을 제거하고 민트, 마늘, 빵가루를 넣어 삶은 요리; ''카르초피 알라 지우디아'' – 올리브 오일에 튀긴 아티초크, 로마 유대인 요리의 전형적인 요리, 바깥 잎을 제거하고 민트, 마늘, 빵가루를 넣어 삶은 요리; ''스파게티 알라 카르보나라'' – 베이컨, 달걀 및 ''페코리노''가 들어간 스파게티; 그리고 ''세몰리나 뇨키 알라 로마나'' – 로마식 세몰리나 경단이 있다.[182]

9. 10. 영화



로마에는 유럽 대륙에서 가장 큰 영화 및 텔레비전 제작 시설이자 오늘날 최고 흥행작 중 많은 수가 제작되는 이탈리아 영화의 중심지인 치네치타 스튜디오[184]가 있다. 약 40ha 규모의 스튜디오 단지는 로마 중심부에서 9km 떨어져 있으며, 시대극 의상 제작자부터 시각 효과 전문가까지 5,000명이 넘는 전문가들이 있는 세계에서 가장 큰 제작 커뮤니티 중 하나의 일부를 이루고 있으며, 할리우드 다음으로 규모가 크다. 이곳에서 3,000편 이상의 작품이 제작되었다.

1937년 베니토 무솔리니에 의해 설립된 이 스튜디오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서방 연합군에 의해 폭격을 당했다. 1950년대에 치네치타는 여러 대규모 미국 영화 제작의 촬영지였으며, 그 후 페데리코 페리니와 가장 밀접하게 관련된 스튜디오가 되었다.

베니토 무솔리니가 만든 세계적으로 유명한 영화 촬영소인 치네치타는 페데리코 페리니 감독의 『달콤한 인생』과 『인터뷰』 등 수많은 명작이 촬영된 곳으로, 이탈리아 영화 산업뿐만 아니라 이탈리아 근대 문화에도 중요한 장소이다. 페리니 감독은 1971년 영화 "Roma"(한국어 제목은 『페리니의 로마』)를 촬영했는데, 도시 이름만이 그대로 제목이 된 영화는 드물지만(다른 예로는 『카사블랑카』, 『시카고』 등이 있다), 내용 또한 특별한 스토리가 없는 환상적인 로마에 대한 논의로 가득 차 있으며, 키네마 준보 베스트텐 2위 등 명작 영화로 평가받고 있다.

10. 스포츠

축구는 로마에서 가장 인기 있는 스포츠이다. 스타디오 올림피코AS 로마SS 라치오의 홈 경기장이며, 세리에 A에 속해 있다. 두 팀 간의 더비 경기는 로마 스포츠 문화의 중요한 부분이다.[186] 로마 출신 선수로는 AS 로마프란체스코 토티다니엘레 데 로시가 특히 인기가 많다. 아틀레티코 로마는 레가 프로 프리마 디비시오네에서 활동하는 마이너 팀이며, 스타디오 플라미니오를 홈 경기장으로 사용한다.

로마는 1934년 FIFA 월드컵1990년 FIFA 월드컵 결승전을 개최했다.[251] 1960년 하계 올림픽을 성공적으로 개최했으며, 빌라 보르게세카라칼라 욕장 등의 고대 유적을 경기장으로 사용하기도 했다. 올림픽 경기를 위해 올림픽 스타디움, 빌라지오 올림피코 등을 새로 건설했다.

럭비 유니온의 인기도 높아지고 있다. 스타디오 플라미니오는 이탈리아 럭비 국가대표팀의 홈구장으로, 2000년부터 식스 네이션스에 참가하고 있다. 로마에는 유니오네 럭비 카피톨리나, 럭비 로마, S.S. 라치오 같은 지역 럭비 팀들이 있다.

매년 5월 로마는 포로 이탈리코 클레이 코트에서 ATP 월드 투어 마스터스 1000 테니스 대회를 개최한다. 사이클제2차 세계 대전 이전에는 인기가 있었으나 현재는 인기가 줄었다. 로마는 1989년과 2000년에 지로 디탈리아 결승전을 개최했다.

로마는 농구 (비르투스 로마), 배구 (M. 로마 발리), 핸드볼, 수구 팀들의 연고지이기도 하다.

AS 로마 시절 프란체스코 토티


프란체스코 토티는 약 25년 동안 AS 로마에서만 활약한 원클럽맨이며, 동 클럽의 역대 최다 득점(316골)과 역대 최다 출전(786경기)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11. 교통

로마는 고대 로마 도로의 노선을 대략적으로 따르는 방사형 도로망의 중심에 있다. 이 도로는 카피톨리노 언덕에서 시작하여 로마를 제국 전역과 연결했다. 오늘날 로마는 카피톨리노 언덕에서 약 10km 떨어진 곳에 순환 도로(그란데 라코르도 아눌라레 또는 GRA)로 둘러싸여 있다.

이탈리아 반도 중심부에 위치한 로마는 중부 이탈리아의 주요 철도 요지이다. 로마의 주요 철도역인 로마 테르미니 역은 유럽에서 가장 큰 철도역 중 하나이며 이탈리아에서 가장 많이 이용되는 역으로 매일 약 40만 명의 여행객이 이용한다. 도시에서 두 번째로 큰 역인 로마 티부르티나 역은 이탈리아 고속철도 종착역으로 재개발되었다.[189] 모든 주요 이탈리아 도시로 운행하는 고속 열차 외에도 로마는 시칠리아로 가는 야간 '열차 페리' 수면 서비스와 뮌헨과 비엔나로 가는 국제 야간 수면 서비스가 있다.

로마에는 세 개의 공항이 있다. 이탈리아 최대 공항인 대륙간 레오나르도 다 빈치-피우미치노 공항은 로마 남서쪽에 있는 인근 피우미치노에 위치해 있다. 오래된 치암피노-G. B. 파스티네 국제공항은 민간 및 군사 공항을 겸하고 있으며, 로마 남동쪽에 있는 치암피노 옆에 위치해 있어 일반적으로 "치암피노 공항"으로 불린다. 세 번째 공항인 로마 우르베 공항은 도시 중심부에서 약 6km 북쪽에 위치한 소규모 저교통 공항으로 대부분의 헬리콥터와 개인 항공편을 취급한다. 2022년 3,280만 명의 승객을 수송한 도시의 주요 공항 시스템(피우미치노와 치암피노로 구성)은 이탈리아에서 두 번째로 분주한 공항 시스템이다.[190]

도시에는 지중해 연안에 자체 지역(리도 디 오스티아)이 있지만, 이곳에는 요트 정박지와 어선을 위한 소규모 운하 항구만 있다. 로마를 운행하는 주요 항구는 도시 북서쪽 약 62km에 위치한 치비타베키아 항이다.[191]

로마는 방사형 도로 패턴으로 인해 교통 문제를 겪고 있으며, 로마 사람들이 순환 도로를 이용하거나 역사 지구로 들어가지 않고서는 방사형 도로 근처에서 다른 곳으로 이동하기 어렵다. 이러한 문제는 유사한 규모의 다른 도시와 비교했을 때 로마 지하철 시스템의 규모가 제한적이라는 점으로 악화된다. 로마는 1만 명당 택시가 21대에 불과하여 다른 주요 유럽 도시보다 훨씬 적다.[192] 1970년대와 1980년대에 자동차로 인한 만성적인 혼잡으로 인해 낮 시간 동안 내부 도심에 대한 차량 통행이 제한되었다. 이러한 제한이 적용되는 지역을 제한 교통 구역(''Zona a Traffico Limitato'' (ZTL))이라고 한다. 최근에는 트라스테베레, 테스타치오 및 산 로렌초의 심야 교통량이 증가함에 따라 해당 지역에 심야 ZTL이 생성되었다.

2016년 로마 지하철 및 지하철 지도


콘카 도로 지하철역


로마 지하철(''메트로폴리타나'')은 3개 노선으로 구성된 지하철 시스템이다. 최초 노선 건설은 1930년대에 시작되었다.[193] 이 노선은 1942년 세계 박람회가 개최될 예정이었던 남부 교외의 E42 지역과 주요 철도역을 신속하게 연결하기 위해 계획되었다. 전쟁으로 인해 행사는 열리지 않았지만, 이 지역은 나중에 부분적으로 재설계되어 1950년대에 현대적인 업무 지구(에스포지치오네 우니베르살레 로마)로 사용되었다. 이 노선은 1955년에 개통되었으며 현재는 B선의 남쪽 부분이다.

A선은 1980년 오타비아노 역에서 아나니나 역까지 개통되었고, 나중에 단계적으로 (1999~2000년) 바티스티니까지 연장되었다. 1990년대에는 B선이 테르미니 역에서 레비비아 역까지 연장되었다. A선과 B선은 로마 테르미니 역에서 교차한다. 약 5억 유로의 건설 비용이 소요된 B선의 새로운 지선(B1)이 2012년 6월 13일에 개통되었다. B1은 피아차 볼로냐에서 B선과 연결되며 3.9km 거리에 4개의 역이 있다.

3억 유로의 예상 비용이 소요되는 세 번째 노선인 C선이 건설 중이며, 25.5km 거리에 30개의 역이 있을 것이다. 기존 테르미니-판타노 철도 노선을 부분적으로 대체할 것이며, 완전 자동 무인 열차가 운행될 것이다.[194] 도시 동부에 있는 첸토첼레 지역과 판타노를 연결하는 15개 역의 첫 번째 구간은 2014년 11월 9일에 개통되었다.[195] 공사는 2015년에 완료될 예정이었지만, 고고학적 발견으로 인해 지하 공사가 종종 지연되었다.

네 번째 노선인 D선도 계획되어 있다. 20km 거리에 22개의 역이 있을 것이다. 첫 번째 구간은 2015년에 개통될 예정이었고 최종 구간은 2035년 이전에 개통될 예정이었지만, 도시의 재정 위기로 인해 프로젝트가 보류되었다.

로마의 지상 대중교통은 버스, 트램 및 도시 철도 네트워크(FR 노선)로 구성되어 있다. 버스 네트워크는 350개가 넘는 버스 노선과 8천 개가 넘는 버스 정류장을 보유하고 있는 반면, 더 제한적인 트램 시스템은 39km의 선로와 192개의 정류장을 보유하고 있다.[196] 트롤리버스도 있다.[197]

GRA


노선도(2015년 완성 예정)


시내·교외 교통은 이탈리아 철도가 시내와 교외를 잇는 로마 근교 철도(FL선) 8개 노선을 운행하고 있다. 이탈리아 철도의 노선망은 시내 중심부의 로마 테르미니 역과 로마 티부르티나 역, 구시가지 외곽의 로마 오스티엔세 역 등 여러 역의 분산 터미널 방식이다. 또한, ATAC도 도시철도 3개 노선을 운행하여 오스티아 등 교외와 연결하고 있다. 시내 교통은 ATAC가 운영하는 로마 지하철, 트램, 버스망이 중심이다. 그 외에도 택시가 저렴한 교통 수단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229] 버스와 트램은 무임승차 방식이 아니므로, 역의 매표기나 키오스크 등에서 미리 티켓을 구입해야 한다.

장거리 교통은 로마 테르미니 역을 출발 및 도착하는 장거리 열차 외에도 시속 300km로 운행되는 이탈리아 고속철도(Eurostar Italia)(ES*), 이탈로(Italo) 등 고속철도, 항공편 및 고속도로를 이용하는 장거리 버스 등으로 연결되어 있다.

일본을 포함한 장거리 국제선과 EU 내 국제선, 국내선은 피우미치노 공항을 이용하며, EU 내 국제선과 국내선은 참피노 공항도 이용한다. 피우미치노 공항까지는 테르미니 역에서 직통 열차인 레오나르도 익스프레스가 운행되며, 소요 시간은 약 30분이다.

'''일본 취항 도시'''

  • 도쿄(도쿄 국제공항)
  • ITA 항공이 피우미치노 공항으로 직항편을 운항하는 외에, 유럽 주요 도시를 경유하여 갈 수 있다. 이전에는 일본항공도 직항편을 운항했으나 이후 운휴하여 현재는 운항하지 않는다. 일본에서 로마로의 직항편은, 전술한 ITA 항공의 하네다발 편만 있다.
  • 오사카(간사이 국제공항)
  • 과거 알리탈리아-이탈리아 항공이 피우미치노 공항으로 직항편을 취항했으나, 현재는 취항하지 않는다.


누오보 트라스포르토 비아자토리


로마 지하철

12. 국제 관계

로마 시는 1956년부터 파리 시와 독자적으로 파트너 도시 결연을 맺었다.[252][253][254]


  • Seule Paris est digne de Rome; seule Rome est digne de Paris.|파리야말로 로마에게 어울리는 도시며, 로마야말로 파리에게 어울리는 도시다.프랑스어


로마의 자매 도시는 다음과 같다.



세계적인 도시들 중 로마는 도시 경계 내에 바티칸 시국으로 대표되는 교황청과 영토가 더 작은 몰타 기사단이라는 두 개의 주권 국가를 완전히 포함하고 있다는 점에서 독특하다. 바티칸은 이탈리아 수도의 영토 안에 있는 지역으로, 로마 교구이자 로마 가톨릭교회의 최고 정부인 교황청의 주권 영토이다. 이러한 이유로 로마는 때때로 두 국가의 수도로 묘사되기도 한다.[108][109] 로마는 유엔의 세 개 주요 국제기구인 유엔 식량농업기구(FAO), 세계식량계획(WFP), 국제농업개발기금(IFAD)으로 구성된 소위 "로마 폴로(Polo Romano)"의 본부가 있다.[110]

로마는 전통적으로 유럽 정치 통합 과정에 관여해 왔다. 유럽 연합 조약은 파르네시나 궁전에 보관되어 있다. 1957년 로마에서는 유럽 경제 공동체(유럽 연합의 전신)를 설립한 로마 조약이 체결되었고, 2004년 7월에는 유럽 헌법 조약의 공식 서명식도 개최되었다. 로마는 유럽 올림픽 위원회와 NATO 방위 대학의 본부가 있다. 로마는 국제형사재판소 로마 규정과 유럽 인권 헌장이 제정된 곳이다. 또한 국제개발법기구(IDLO), 문화재 보존 및 복원 연구 국제센터(ICCROM), 국제사법통일연구소(UNIDROIT)와 같은 다른 중요한 국제 기구들도 로마에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I numeri di Roma Capitale https://www.comune.r[...] 2018-12-31
[2] 웹사이트 Popolazione residente al 1° gennaio http://dati.istat.it[...]
[3] 웹사이트 Gross domestic product (GDP) at current market prices by metropolitan regions https://ec.europa.eu[...]
[4] 웹사이트 Principal Agglomerations of the World http://www.citypopul[...] Citypopulation 2017-01
[5] 뉴스 What is the smallest country in the world? https://www.history.[...]
[6] 서적 Understanding China Today: An Exploration of Politics, Economics, Society, and International Relations Springer
[7] 서적 Christianity: Religions of the World Infobase Publishing
[8] 서적 Rome in America: Transnational Catholic Ideology from the Risorgimento to Fascism Univ of North Carolina Press
[9] 서적 The Seven Hills of Rome: A Geological Tour of the Eternal City Princeton University Press
[10] 웹사이트 Old Age in Ancient Rome – History Today http://www.historyto[...]
[11] 학술지 Consuming the View: Tourism, Rome, and the Topos of the Eternal City 2024-05-28
[12] 웹사이트 Approximación a la Iconografía de Roma Aeterna http://www.elfuturod[...]
[13] 서적 Topografia e urbanistica di Roma Istituto di Studi Romani 1958
[14] 백과사전 Rome, city, Italy https://www.questia.[...]
[15] 뉴스 World's most visited cities http://www.cnn.com/2[...] CNN
[16] 웹사이트 Historic Centre of Rome, the Properties of the Holy See in that City Enjoying Extraterritorial Rights and San Paolo Fuori le Mura https://whc.unesco.o[...]
[17] 웹사이트 Rome chosen as seat of Euro-Med Assembly secretariat – Italy http://www.ansamed.i[...] 2018-07-13
[18] 웹사이트 Cinecittà: Dream Factory http://www.italia.it[...] 2015-03-23
[19] 서적 The history of Rome Printed for A.Strahan
[20] 백과사전 Romulus and Remus http://www.britannic[...] 2014-11-25
[21] 서적 Comparative mythology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2] 서적 Roma Ieri, Oggi, Domani Newton Compton
[23] 학술지 Geomorphology of the historic centre of the Urbs (Rome, Italy) Informa UK Limited 2020-05-18
[24] 서적 (Unspecified)
[25] 뉴스 More Clues in the Legend (or Is It Fact?) of Romulus https://www.nytimes.[...] 2007-06-12
[26] 서적 The Early History of Rome Penguin Books Ltd
[27] 웹사이트 Strabo, Geography, book 5, chapter 3, section 3 https://www.perseus.[...]
[28] 웹사이트 LacusCurtius • Strabo's Geography — Book V Chapter 3 https://penelope.uch[...]
[29] 서적 Roman Festivals of the Period of the Republic Kennikat Press 1899
[30] 웹사이트 The Roman Forum https://www.worldhis[...] 2012-01-18
[31] 서적 The Oxford Classical Dictionary 2012
[32] 웹사이트 The Great Fire of Rome Background Secrets of the Dead PBS http://www.pbs.org/w[...] 2014-05-29
[33] 웹사이트 Great Fire of Rome http://www.nationalg[...] 2014-06-18
[34] 서적 Egypt, Greece, and Rome : Civilizations of the Ancient Mediterranean Oxford University Press 2014-03
[35] 학술지 The 'Plague of Cyprian': A revised view of the origin and spread of a 3rd-c. CE pandemic 2021-06-07
[36] 논문 Sur la liste de Vérone et la province de Grande Arménie, la division de l'empire et la date de création des diocèses https://www.academia[...] 2002
[37] 논문 Rome, Ravenna and the Last Western Emperors https://www.academia[...] 2001
[38] 서적 Rome, An Urban History from Antiquity to the Present
[39] 서적 Rome, Profile of a City: 321–1308
[40] 서적 Rome, Urban History
[41] 문서 Novel 36, 2, Emperor Valeninian III
[42] 웹사이트 travel, history, civilizations, greatest cities, largest cities, Rome http://www.mandatory[...] Mandatory 2013-01-24
[43] 서적 Urban World History: An Economic and Geographical Perspective https://books.google[...] PUQ
[44] 서적 An Historical Geography of Europe 450 B.C.–A.D. 1330
[45] 서적 Rome in Late Antiquity
[46] 웹사이트 Italian Peninsula, 500–1000 A.D. http://www.metmuseum[...] 2008-12-05
[47] 서적 Autoridade da Verdade – Momentos Obscuros do Magistério Eclesiástico Edições Loyola
[48] 백과사전
[49] 문서 Such as regulating the colonization of the New World. See Treaty of Tordesillas and Inter caetera.
[50] 백과사전 Basilica of St. Peter http://www.newadvent[...] New Advent 1912-02-01
[51] 백과사전 Pope Pius IX http://www.newadvent[...] New Advent 1911
[52] 서적 Mussolini urbanista Laterza 1979
[53] 뉴스 How the Nazi occupation of Rome has gripped Italy's cultural imagination https://www.theguard[...] 2015-07-25
[54] 서적 Roma anno 2750 ab Urbe condita Tascabili Economici Newton
[55] 웹사이트 Green Areas http://www.romaperky[...] RomaPerKyoto.org
[56] 웹사이트 World Map of Köppen−Geiger Climate Classification http://koeppen-geige[...]
[57] 웹사이트 Storia della neve a Roma http://www.meteo-net[...]
[58] 웹사이트 Snow startles Rome on Europe's coldest day of the winter https://www.mercuryn[...] 2018-02-26
[59] 웹사이트 Roma, tutte le nevicate storiche in città dal '56 ad oggi https://roma.corrier[...] 2018-02-26
[60] 웹사이트 Monthly Tor San Lorenzo water temperature chart http://www.seatemper[...]
[61] 뉴스 Southern Europe soars to record temperatures as heat wave peaks https://www.washingt[...] 2023-07-17
[62] 웹사이트 Monte Cimone Climate Normals 1991-2020 https://www.nodc.no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63] 웹사이트 Roma Ciampino http://climaintoscan[...] Temperature estreme in Toscana
[64] 서적
[65] 서적 Floods of the Tiber in Ancient Rome https://books.google[...] JHU Press 2007-01-30
[66] 논문 Roman Population, Territory, Tribe, City, and Army Size from the Republic's Founding to the Veientane War, 509 B.C.-400 B.C. https://www.jstor.or[...] 1990
[67] 서적 The History of Human Populations: Forms of growth and decline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68] 논문 Size and Virtue https://www.academia[...]
[69] 논문 Roman Population, Territory, Tribe, City, and Army Size from the Republic's Founding to the Veientane War, 509 B.C.–400 B.C. 1990-01-01
[70] 서적 A Companion to the Roman Army Wiley-Blackwell
[71] 서적 Cities and Economic Development: From the Dawn of History to the Present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4-07-13
[72] 서적 Metropolis and Hinterland Cambridge 1996
[73] 서적 World History https://archive.org/[...] Wadsworth 2001
[74] 학술지 The population of ancient Rom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7
[75] 학술지 The Population of Rome https://penelope.uch[...]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21-02-20
[76] 서적 The Decline of the Ancient World Lonmans, Green and Co. Ltd 1966
[77] 서적 Rome, Profile of a City, 312–1308 2000
[78] 서적 Rome in Late Antiquity 2001
[79] 서적 From Constantine to Charlemagne, An Archaeology of Italy 300–800 A.D. 2006
[80] 서적 Rome in the Dark Ages London 1993
[81] 웹사이트 Statistiche demografiche ISTAT http://demo.istat.it[...] Demo.istat.it 2010-02-03
[82] 웹사이트 Demographia World Urban Areas http://www.demograph[...] 2015-01
[83] 웹사이트 Study on Urban Functions (Project 1.4.3) https://www.espon.eu[...] 2019-08-22
[84] 웹사이트 Total population in Urban Audit cities, Larger Urban Zone http://epp.eurostat.[...] 2019-08-22
[85] 웹사이트 World Urbanization Prospects (2009 revision) http://esa.un.org/wu[...] 2019-08-22
[86] 서적 OECD Territorial Reviews Competitive Cities in the Global Economy https://books.google[...] OECD Publishing 2006
[87] 웹사이트 Major Agglomerations of the World http://www.citypopul[...] 2019-01-01
[88] 웹사이트 Statistiche demografiche ISTAT http://demo.istat.it[...] Demo.istat.it 2011-01-30
[89] 웹사이트 Rome Post – what's happening in Rome http://www.romepost.[...] 2019-08-22
[90] 웹사이트 Resident foreigners on 1st January - Citizenship : Italy, regions, provinces - Area of citizenship Roma http://dati.istat.it[...] 2024-07-18
[91] 서적 Ad Infinitum: A Biography of Latin HarperCollins 2007
[92] 웹사이트 Romanesco http://www.treccani.[...] Treccani 2015-02-06
[93] 웹사이트 La Parlata romana http://online.unistr[...] Università per stranieri di Siena 2015-02-06
[94] 웹사이트 Italiano di Roma http://www.treccani.[...] Treccani 2015-02-06
[95] 웹사이트 Dialetti http://www.treccani.[...] Treccani 2015-02-06
[96] 서적 (Coarelli reference missing title)
[97] 뉴스 Steps Jesus walked to trial restored to glory https://www.telegrap[...] 2019-08-22
[98] 웹사이트 TEMPO AL TEMPIO. MONASTERO BUDDHISTA HUA YI SI https://fondoambient[...] 2024-11-12
[99] 웹사이트 Culto e cultura nel segno della dea: sorge a Taranto il tempio di Minerva https://www.lagazzet[...] 2023-08-11
[100] 서적 Parallel Lives - Life of Romulus http://penelope.uchi[...]
[101] 서적 Roma segreta e misteriosa https://books.google[...] Newton Compton Editori 2019-08-19
[102] 웹사이트 Roma diventa Capitale http://www.comune.ro[...] 2012-03-06
[103] 웹사이트 Territorio http://www.comune.ro[...] Comune di Roma 2009-10-05
[104] 문서 (referendum details missing)
[105] 뉴스 Roma, sì all'accorpamento dei municipi: il Consiglio li riduce da 19 a 15 http://www.ilmessagg[...] 2013-03-13
[106] 웹사이트 The "Rioni" of Rome http://www.romeartlo[...] Romeartlover.it 2010-02-03
[107] 웹사이트 Rome https://ar-tour.com/[...] 2020-08-25
[108] 웹사이트 Discorsi del Presidente Ciampi http://www.quirinale[...] Presidenza della Repubblica 2013-05-17
[109] 뉴스 Le istituzioni salutano Benedetto XVI http://www.repubblic[...] 2013-05-17
[110] 웹사이트 parlamento.it http://www.parlament[...]
[111] 웹사이트 Gemellaggio Roma – Parigi – (1955) http://www.comune.ro[...] Commune Roma 1956-01-30
[112] 웹사이트 Dichiarazione congiunta Roma – Parigi – (2014) http://www.comune.ro[...] Commune Roma 2014-10-01
[113] 웹사이트 Twinning with Rome http://www.paris.fr/[...] 2010-05-27
[114] 웹사이트 Les pactes d'amitié et de coopération http://www.paris.fr/[...] 2007-10-14
[115] 웹사이트 International relations: special partners http://www.paris.fr/[...] 2007-10-14
[116] 웹사이트 Comune di Roma https://www.comune-i[...] Commune of Rome 2020-11-18
[117] 웹사이트 Sister Cities http://www.ebeijing.[...] Beijing Municipal Government 2009-06-23
[118] 웹사이트 Le jumelage avec Rome http://www.paris.fr/[...] Municipalité de Paris 2008-07-09
[119] 웹사이트 Rome declares Kobane 'sister city' https://www.kurdishq[...] 2016-12-18
[120] 웹사이트 Kraków – Miasta Partnerskie http://www.krakow.pl[...] 2013-08-10
[121] 웹사이트 Mapa Mundi de las ciudades hermanadas http://www.munimadri[...] Ayuntamiento de Madrid 2009-10-17
[122] 뉴스 Sister cities: Multan celebrates Italy's national day https://tribune.com.[...] 2011-06-09
[123] 웹사이트 NYC's Partner Cities http://www.nyc.gov/h[...] The City of New York 2012-12-16
[124] 웹사이트 International Cooperation: Sister Cities http://english.seoul[...] www.seoul.go.kr 2008-01-26
[125] 웹사이트 Seoul – Sister Cities [via WayBackMachine] http://english.seoul[...] 2013-08-23
[126] 웹사이트 Twinning Cities: International Relations http://www.tirana.go[...] www.tirana.gov.al 2009-06-23
[127] 웹사이트 Twinning Cities: International Relations Municipality of Tirana 2008-01-25
[128] 웹사이트 Sister Cities(States) of Tokyo http://www.metro.tok[...] 2019-06-17
[129] 웹사이트 Cooperation Internationale http://www.commune-t[...] 2003–2009 City of Tunis Portal 2009-07-31
[130] 웹사이트 Visita a Washington del Sindaco http://www.comune.ro[...] 2011-10-03
[131] 웹사이트 Yerevan, Rome sign Friendship and Cooperation Agreement https://news.am/eng/[...] news.am 2024-10-14
[132] 웹사이트 The spotlight sharpens: Eni and corruption in Republic of Congo's oil sector https://www.globalwi[...]
[133] 뉴스 Top 10 power companies in the world: Ranking the largest https://www.power-te[...] 2019-03-19
[134] 웹사이트 The World According to GaWC 2020 https://www.lboro.ac[...] 2019-07-18
[135] 웹사이트 2014 Global Cities Index and Emerging Cities Outlook http://www.atkearney[...] 2014-08-02
[136] 웹사이트 Rapporto Censis 2006 http://www.censis.it[...] Censis.it 2010-02-03
[137] 웹사이트 Observatoribarcelona.org http://www.observato[...]
[138] 웹사이트 La classifica dei redditi nei comuni capoluogo di provincia http://www.ilsole24o[...] Il Sole 24 ORE 2010-06-14
[139] 웹사이트 World's richest cities in 2009 http://www.citymayor[...] City Mayors 2009-08-22
[140] 웹사이트 Global city GDP 2011 http://www.brookings[...] Brookings Institution
[141] 뉴스 The World's 2000 Largest Public Companies https://www.forbes.c[...] 2007-01-16
[142] 웹사이트 The 100 most popular art museums in the world—who has recovered and who is still struggling? https://www.theartne[...] 2023-03-27
[143] 웹사이트 The 50 Most Visited Places in The World http://www.itvnews.t[...] 2019-08-22
[144] 웹사이트 AIRC-HC Program in Archaeology, Classics, and Mediterranean Culture http://www.romancult[...] Romanculture.org 2010-02-03
[145] 웹사이트 Isvroma.it http://www.isvroma.i[...] Isvroma.it 2010-02-03
[146] 간행물 Trajan's Glorious Forum http://www.archaeolo[...] Archaeological Institute of America 2010-10-02
[147] 서적 Brewer's Dictionary of Phrase and Fable Cassell 1975
[148] 서적 America, the Land We Love http://catalog.hathi[...] W. T. Blaine 2019-08-22
[149] 논문 Roman Art 1971-12-01
[150] 웹사이트 Baroque Art of Rome (ROME 211) http://www.trincoll.[...] Trincoll.edu 2010-02-03
[151] 웹사이트 Grand Tour of Europe: The Travels of 17th & 18th Century Twenty-Somethings http://geography.abo[...] About.com 2010-02-03
[152] 웹사이트 The Franca Camiz Memorial Field Seminar in Art History http://www.trincoll.[...] Trinity College, Hartford Connecticlt 2010-02-03
[153] 웹사이트 Maxxi_Museo Nazionale Delle Arti Del Xxi Secolo http://www.maxxi.ben[...] Maxxi.beniculturali.it 2010-03-25
[154] 웹사이트 Auditorium Parco della Musica http://www.auditoriu[...] Auditorium.com 2010-03-25
[155] 뉴스 Eur spa, Diacetti: «La nuvola di Fuksas sarà completata entro il 2016 http://roma.corriere[...] 2015-09-30
[156] 웹사이트 La Storia https://www.uniroma1[...]
[157] 웹사이트 Chi Siamo https://www.uniroma1[...]
[158] 백과사전 Roman Academies http://www.newadvent[...] New Advent 2010-02-03
[159] 웹사이트 Anholt-GfK Roper Nation Brands Index http://www.gfkameric[...]
[160] 웹사이트 Top 100 European Universities http://www.arwu.org/[...] 2005
[161] 웹사이트 Top 100 Universities https://cwur.org/201[...] 2019-08-22
[162] 웹사이트 Top 100 European Universities http://www.arwu.org/[...] 2019-08-22
[163] 웹사이트 LUISS School of Government http://www.sog.luiss[...] 2019-08-22
[164] 웹사이트 The American University of Rome http://www.aur.edu/a[...] The American University of Rome 2013-02-04
[165] 웹사이트 Temple Rome Study Abroad http://www.temple.ed[...] Temple University 2013-02-04
[166] 웹사이트 About the NAC http://www.pnac.org/[...] Pontifical North American College 2010-10-01
[167] 간행물 La Biblioteca della Società Geografica Italiana 2009-04-01
[168] 웹사이트 Max Planck Society – Hanno and Ilse Hahn Prize http://www.mpg.de/en[...] Mpg.de 2010-01-25
[169] 서적 Les Aqueducs de la ville de Rome Société d'édition Les Belles Lettres 1944
[170] 서적 Italian Gardens, a Cultural History Francis Lincoln Limited 2006
[171] 웹사이트 Chasing Obelisks in Rome http://www.initaly.c[...] Initaly.com 2010-02-03
[172] 웹사이트 7 Free Things To Do In Rome http://www.roundthew[...] roundtheworldmagazin.com 2017-01-12
[173] 웹사이트 The Bridges of Ancient Rome http://www.citrag.it[...] Citrag.it 2010-02-03
[174] 백과사전 Sant'Angelo Bridge http://www.britannic[...] 2010-02-03
[175] 웹사이트 LA NEW HOLLYWOOD: IL CONTESTO POLITICO-SOCIALE http://www.unife.it/[...] Università degli Studi di Ferrara 2021-01-31
[176] 웹사이트 The Global Language Monitor » Fashion http://www.languagem[...] Languagemonitor.com 2009-07-20
[177] 웹사이트 Fendi http://www.fendi.com[...] fendi.com
[178] 뉴스 Packs Of Ravenous Wild Boars Are Ransacking Rome https://www.npr.org/[...] 2021-09-28
[179] 서적 The food encyclopedia Robert Rose
[180] 간행물 Eyewitness Travel
[181] 서적 Culinaria Italy Culinaria Konemann
[182] 서적 Roma in Cucina Giunti Martello
[183] 웹사이트 Cinecittà, c'è l'accordo per espandere gli Studios italiani https://www.ciakmaga[...] 2021-12-30
[184] 웹사이트 History of Cinecittà Studios in Rome http://www.romefile.[...] Romefile
[185] 웹사이트 Brief Guide to Olympic Stadium of Rome | Spostare le Finale da Roma? No! Grazie http://www.maspostat[...] Maspostatevilaregina.com 2009-04-23
[186] 웹사이트 Football First 11: Do or die derbies http://edition.cnn.c[...] CNN 2008-10-22
[187] 웹사이트 Media http://www.olympic.o[...] Olympic.org
[188] 웹사이트 Candidate Cities for Future Olympic Games http://www.bladespla[...] Bladesplace.id.au
[189] 웹사이트 Eurostar Italia Alta Velocità http://eurostar-av.t[...] 2006-12-03
[190] 웹사이트 Statistiche Dati di Traffico Aeroportuale Italiano https://assaeroporti[...]
[191] 웹사이트 Porti di Roma http://www.port-of-r[...]
[192] 뉴스 Central Rome Streets Blocked by Taxi Drivers https://www.nytimes.[...] 2007-11-30
[193] 서적 Archaeology, Ideology and Urbanism in Rome from the Grand Tour to Berlusconi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4] 뉴스 Roman remains threaten metro https://www.theguard[...] 2007-05-14
[195] 뉴스 Metro C, apre la Pantano-Centocelle: folla di romani all'inaugurazione http://www.ilmessagg[...] 2014-11-09
[196] 웹사이트 ATAC http://www.atac.roma[...]
[197] 서적 Jane's Urban Transport Systems 2009–2010 Jane's Information Group
[198] 웹사이트 Tavola: Popolazione residente - Roma(dettaglio loc. abitate) - Censimento 2001. http://dawinci.istat[...]
[199] 웹사이트 Tavola: Superficie territoriale(Kmq) - Roma(dettaglio comunale) - Censimento 2001. http://dawinci.istat[...]
[200] 웹사이트 Popolazione residente per sesso, età e stato civile al 1° gennaio 2024 https://demo.istat.i[...] 국립통계연구소 (이탈리아)
[201] 웹사이트 로마 제국 https://www.y-histor[...]
[202] 웹사이트 로마 가톨릭 교회 https://www.y-histor[...]
[203] 서적 The Seven Hills of Rome: A Geological Tour of the Eternal City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4] 웹사이트 Old Age in Ancient Rome – History Today http://www.historyto[...]
[205] 학술지 Consuming the View: Tourism, Rome, and the Topos of the Eternal City 2024-05-28
[206] 웹사이트 Aproximación a la Iconografía de Roma Aeterna http://www.elfuturod[...]
[207] 웹사이트 Demographia: World Urban Areas & Population Projections http://www.demograph[...]
[208] 웹사이트 2014 Global Cities Index and Emerging Cities Outlook http://www.atkearney[...] 2014-04
[209] 웹사이트 MasterCard Global Destination Cities Index http://newsroom.mast[...] MasterCard 2012
[210] 서적 皇帝たちの都ローマ
[211] 웹사이트 Tabella dei gradi/giorno dei Comuni italiani raggruppati per Regione e Provincia http://efficienzaene[...] 新技術エネルギー環境局(ENEA) 2011-03-01
[212] 웹사이트 classificazione sismica aggiornata al aprile 2023 https://rischi.prote[...] イタリア市民保護局
[213] 웹사이트 Popolazione straniera residente nel Comune di Roma al 01/01/2022 per sesso e nazionalità https://www.tuttital[...]
[214] 웹사이트 考古学 - MSN エンカルタ 百科事典 ダイジェスト http://jp.encarta.ms[...]
[215] 간행물 ニュートン2003年9月号、pp.30-31、丘の上に数千人の集落を構えていたローマ 2003-09
[216] 간행물 ニュートン2003年9月号、pp.32-33、先端技術を導入し、カピトリーノの丘の上に神殿をつくる 2003-09
[217] 간행물 ニュートン2003年9月号、pp.34-35、滅亡の危機に追い込まれたローマは、七つの丘を囲う城壁をつくった 2003-09
[218] 간행물 ニュートン2003年9月号、pp.36-37、共和制期、ローマの街は七つの丘一帯に広がっていた 2003-09
[219] 간행물 ニュートン2003年9月号、pp.38-39、ローマから四方八方にのびる街道づくりにとりかかる 2003-09
[220] 간행물 ニュートン2003年9月号、pp.40-41、山間部のきれいなわき水がローマの街を潤した 2003-09
[221] 간행물 ニュートン2003年9月号、pp.42-43、地中海世界の政治的中心地となったフォロ・ロマーノ 2003-09
[222] 간행물 ニュートン2003年9月号、pp.44-45、ローマ炎上!街の3分の1が灰と化す大惨事にみまわれた 2003-09
[223] 간행물 ニュートン2003年9月号、pp.46-47、5万人が入れるコロッセオや巨大な神殿パンテオンが登場 2003-09
[224] 간행물 ニュートン2003年9月号、pp.48-49、大帝国の本拠地ローマの街は、かくして完成した 2003-09
[225] 뉴스 独軍、ローマを撤収 毎日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1943-06-06
[226] 뉴스 イタリア・ローマの「劣化」に抗議、市民が大規模デモ https://www.cnn.co.j[...] CNN
[227] 뉴스 ローマのインフラ老朽化に抗議、数千人がデモ 写真11枚 国際ニュース https://www.afpbb.co[...] AFPBB
[228] 간행물 Xinhua-Dow Jones International Financial Centers Development Index http://www.sh.xinhua[...] Xinhua 2013-09-15
[229] 서적 昭文社
[230] 웹사이트 Diocese of Roma – Statistics http://www.catholic-[...]
[231] 웹사이트 Luoghi di incontro e di preghiera degli immigrati a Roma http://www.caritasro[...]
[232] 웹사이트 Roma prima città italiana per presenza Musulmana http://www.neodemos.[...]
[233] 웹사이트 La comunità ebraica di Roma oggi al voto https://ilmanifesto.[...]
[234] 서적 イタリア 2013 昭文社
[235] 웹사이트 History 1980-2011: three decades of Compeed Golden Gala http://www.diamondle[...]
[236] 웹사이트 ローマダービーを前にまた衝突 8名刺傷 http://www.goal.com/[...] Goal.com 2013-04-09
[237] 웹인용 I numeri di Roma Capitale (PDF) https://www.comune.r[...] 2018-12-31
[238] 서적 The Seven Hills of Rome: A Geological Tour of the Eternal City Princeton University Press
[239] 웹인용 Popolazione residente al 1° gennaio http://dati.istat.it[...]
[240] 웹인용 discorso http://www.quirinale[...] 2013-09-21
[241] 웹인용 Repubblica.it » esteri » Le istituzioni salutano Benedetto XVI Ciampi: "Gioia per tutti gli italiani" https://www.repubbli[...]
[242] 웹인용 불평등 의 역사 {{!}} WorldCat.org https://www.worldcat[...]
[243] 웹인용 Poverty in ancient Rome wiki
[244] 웹인용 Roma diventa Capitale http://www.comune.ro[...]
[245] 웹인용 Territorio http://www.comune.ro[...] Comune di Roma
[246] 문서 1992년 제20 치르코시치오네가 주민 투표를 통해 피우미치노 코무네가 되었다.
[247] 뉴스 Roma, sì all'accorpamento dei municipi: il Consiglio li riduce da 19 a 15 http://www.ilmessagg[...] Il Messaggero 2013-03-11
[248] 웹인용 The "Rioni" of Rome http://www.romeartlo[...] Romeartlover.it 2010-02-03
[249] 웹인용 Monte Cimone Climate Normals 1991-2020 https://www.nodc.noa[...] 미국 해양대기청 2023-08-31
[250] 웹인용 Roma Ciampino http://climaintoscan[...] Temperature estreme in Toscana 2023-08-31
[251] 웹인용 Brief Guide to Olympic Stadium of Rome | SPOSTARE LA FINALE DA ROMA? NO! GRAZIE http://www.maspostat[...] Maspostatevilaregina.com 2009-04-23
[252] 웹인용 Twinning with Rome https://wayback.arch[...]
[253] 웹인용 Les pactes d'amitié et de coopération https://web.archive.[...]
[254] 웹인용 International relations: special partners https://web.archive.[...]
[255] 웹사이트 Short newspaper article on the Rome / Achacachi twinning http://www.liberazio[...]
[256] 웹인용 Sister Cities https://www.webcitat[...] Beijing Municipal Government
[257] 웹인용 Le jumelage avec Rome https://web.archive.[...] Municipalité de Paris
[258] 웹인용 Rome and Multan ‘to be made sister cities’ http://www.thenews.c[...] Thenews.com.pk 2008-11-05
[259] 웹인용 Mapa Mundi de las ciudades hermanadas https://archive.toda[...] 마드리드 시청
[260] 웹인용 Twinning Cities: International Relations https://web.archive.[...] www.tirana.gov.al
[261] 웹사이트 Twinning Cities: International Relations Municipality of Tirana 2008-01-25
[262] 웹인용 Cooperation Internationale http://www.commune-t[...] © 2003–2009 City of Tunis Porta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