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새의 카탈로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새의 카탈로그'는 올리비에 메시앙이 새의 노래에 매료되어 작곡한 피아노 곡으로, 총 7권 13곡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권은 프랑스 특정 지역을 대표하는 새의 이름을 표제로 삼고 있으며, 각 곡에는 해당 지역에 서식하는 총 77종의 새들이 등장한다. 이 작품은 1959년 파리에서 이본 로리오에 의해 초연되었으며, 모델이 된 새들과 작곡가의 아내 이본 로리오에게 헌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올리비에 메시앙의 작품 - 아기 예수를 향한 스무가지 시선
    《아기 예수를 향한 스무가지 시선》은 올리비에 메시앙이 작곡한 20곡의 피아노 독주곡으로, 각 곡은 메시앙 특유의 음악적 기법과 제목을 통해 아기 예수를 다양한 시각으로 조명하며, "신의 주제", "신비로운 사랑의 주제" 등의 반복적인 요소와 "별과 십자가" 주제를 사용하여 예수의 생애를 상징적으로 나타내고, 전체 연주 시간은 약 2시간 10분이다.
  • 새를 소재로 한 작품 - 마테를링크의 파랑새: 틸틸과 미틸의 모험 여행
    《마테를링크의 파랑새: 틸틸과 미틸의 모험 여행》은 모리스 마테를링크의 희곡을 원작으로 12세 남매가 행복을 상징하는 파랑새를 찾아 떠나는 모험을 그린 1980년 일본 애니메이션으로, 총 26화로 구성되어 후지 TV에서 방영되었으며, 「행복의 바빌라 톨라릴라」와 「창문 불빛」이 각각 오프닝과 엔딩곡으로 사용되었다.
  • 새를 소재로 한 작품 - 노수부
    《노수부》는 콜리지가 1798년에 발표한 시로, 늙은 선원이 앨버트로스를 죽인 후 고통과 속죄를 겪으며 자연과 생명의 소중함을 깨닫는 과정을 그리고 있다.
  • 피아노 곡 - 밤의 가스파르
    모리스 라벨이 알로이지우스 베르트랑의 시집에서 영감을 받아 작곡한 《밤의 가스파르》는 세 악장으로 구성된 피아노 모음곡으로, 시의 이미지를 섬세하게 표현하면서도 극도의 연주 난이도를 자랑하며 라벨의 독창적인 음악적 개성을 드러낸다.
  • 피아노 곡 - 쿠프랭의 무덤
    모리스 라벨의 《쿠프랭의 무덤》은 제1차 세계 대전 중 전사한 친구들을 기리기 위해 바로크 시대 춤곡 형식을 바탕으로 작곡된 6악장 피아노 모음곡으로, 전쟁의 참상과 상실감을 표현하며 인상주의 음악과 20세기 음악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새의 카탈로그

2. 작곡 배경

1940년대 후반부터 1950년대 초반, 올리비에 메시앙은 전위적인 작곡 기법에서 벗어나 새로운 방향을 모색했다. 그 과정에서 그는 새의 노래에 깊이 매료되었고, 이를 중심으로 작곡 스타일을 전환했다. 1952년, 플루트와 피아노를 위한 '검은새'를 시작으로 '새들의 기상', '이국적인 새들'과 같은 작품을 거쳐, 마침내 '새의 카탈로그'로 새로운 시대를 열었다.

'새의 카탈로그'는 총 7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권마다 다양한 종류의 새들을 소개하고 있다.


  • 1권: 제1번 알프스황조 (Chocard des Alpes)는 알프스 산맥을 중심으로 서식하는 새이다. 제2번 황금색 오리올 (Loriot d'Europe)은 메시앙의 아내인 이본 로리오의 성과 발음이 유사하다는 점이 특징이다. 제3번 바위종다리 (Merle bleu)는 유럽과 아시아의 산악 지역에서 발견되는 종다리이다.

  • 2권: 검은귀휘파람새(Traquet stapazin)는 1825년 프랑스의 박물학자 르네 프리망 데소르시(René-Primevère Lesson)가 처음 기술했다. 검은귀휘파람새는 모로코, 알제리, 튀니지에서 발견된다. 검은귀휘파람새의 자연 서식지는 지중해성 관목 식생이다.

  • 3권: 제5번 수리부엉이 (Chouette hulotte)는 회색과 갈색의 깃털을 가진 중간 크기의 올빼미이다. 머리는 둥글고 얼굴은 크며, 노란색 눈과 작은 귀 깃털이 특징이다. 주로 유럽, 아시아, 북아프리카의 숲에서 서식하며, 야행성으로 작은 포유류, 새, 곤충 등을 잡아먹는다. 둥지는 나무 구멍이나 오래된 건물에 짓는다.


제6번 숲종달새 (Alouette lulu)는 작은 크기의 종달새로, 갈색과 회색의 얼룩덜룩한 깃털을 가지고 있다. 가슴에는 검은 반점이 있으며, 눈에는 어두운 줄무늬가 있다. 유럽, 아시아, 북아프리카의 건조한 초원, 관목지, 농경지에서 서식한다. 땅 위에 둥지를 짓고, 곤충, 씨앗 등을 먹는다. 숲종달새는 아름다운 노래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번식기에 높은 소리로 지저귄다.

  • 4권: 제7번 유럽 갈대새 (Rousserolle effarvatte) ( *Acrocephalus scirpaceus*)는 12~14cm의 작은 새이다. 수컷과 암컷은 비슷하며, 머리는 갈색이고, 등은 짙은 갈색이고, 배는 베이지색 또는 흰색을 띤다. 눈 위에는 눈썹이 없고, 부리는 뾰족하고 튼튼하며, 다리는 회색이다. 유럽 갈대새는 유럽, 서아시아, 북아프리카에서 번식하며, 겨울에는 아프리카로 이동한다. 갈대, 부들, 수생 식물이 우거진 습지에서 산다. 곤충, 거미, 달팽이, 씨앗을 먹는다. 4~6개의 알을 낳으며, 암컷이 알을 품고, 수컷이 먹이를 가져다준다. 12~14일 후에 부화하며, 새끼는 12~14일 동안 둥지에 머문다. 유럽 갈대새는 멸종 위협에 직면해 있지 않다.

  • 5권: 8. 큰발톱종달새 (Alouette calandrelle)와 9. 체티울새 (Bouscarle de Cetti)가 수록되어 있다.

  • 6권: 10. 흰배바위새 (Merle de roche)

흰배바위새(Monticola cinclorhynchus)는 참새목(Passeriformes) 딱새과(Turdidae)에 속하는 조류이다. 수컷은 머리, 등, 날개가 짙은 청회색이고, 아랫면은 흰색이다. 암컷은 갈색을 띠며, 아랫면은 흰색 바탕에 어두운 반점이 있다.

흰배바위새는 주로 바위가 많은 산악 지대에서 서식하며, 곤충, 열매 등을 먹는다. 번식기에는 둥지를 짓고 4-5개의 알을 낳는다.

분포 지역은 중앙아시아, 남아시아, 동남아시아 등이다. 대한민국에서는 보기 드문 나그네새로 기록되어 있다.

  • 7권: 제7권은 다음과 같은 새들을 다루고 있다.

  • 제11번: 유럽 새매 (Buse variable)
  • 제12번: 검은 휘파람새 (Traquet rieur)
  • 제13번: 알락꼬리마도요 (Courlis cendré)

3. 구성

총 7권 13곡으로 구성된 "새의 카탈로그"는 프랑스 특정 지역을 대표하는 새의 이름을 표제로 삼고 있으며, 각 곡에는 표제의 새와 같은 지역에 서식하는 총 77종의 새들이 등장한다. 총 연주 시간은 약 2시간 40분이다.

2권에는 검은귀휘파람새(Traquet stapazin)가 등장한다. 검은귀휘파람새는 1825년 프랑스의 박물학자 르네 프리망 데소르시(René-Primevère Lesson)가 처음 기술했다. 검은귀휘파람새는 모로코, 알제리, 튀니지에서 발견되며, 자연 서식지는 지중해성 관목 식생이다.

3권에는 수리부엉이 (Chouette hulotte)와 숲종달새 (Alouette lulu)가 등장한다. 수리부엉이는 회색과 갈색의 깃털을 가진 중간 크기의 올빼미로, 머리는 둥글고 얼굴은 크며, 노란색 눈과 작은 귀 깃털이 특징이다. 주로 유럽, 아시아, 북아프리카의 숲에서 서식하며, 야행성으로 작은 포유류, 새, 곤충 등을 잡아먹는다. 둥지는 나무 구멍이나 오래된 건물에 짓는다. 숲종달새는 작은 크기의 종달새로, 갈색과 회색의 얼룩덜룩한 깃털을 가지고 있으며, 가슴에는 검은 반점이 있고, 눈에는 어두운 줄무늬가 있다. 유럽, 아시아, 북아프리카의 건조한 초원, 관목지, 농경지에서 서식하며 땅 위에 둥지를 짓고, 곤충, 씨앗 등을 먹는다. 숲종달새는 아름다운 노래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번식기에 높은 소리로 지저귄다.

4권은 유럽 갈대새 ( *Acrocephalus scirpaceus*)를 다룬다. 유럽 갈대새는 12~14cm의 작은 새이다. 수컷과 암컷은 비슷하며, 머리는 갈색이고, 등은 짙은 갈색이고, 배는 베이지색 또는 흰색을 띤다. 눈 위에는 눈썹이 없고, 부리는 뾰족하고 튼튼하며, 다리는 회색이다. 유럽 갈대새는 유럽, 서아시아, 북아프리카에서 번식하며, 겨울에는 아프리카로 이동한다. 갈대, 부들, 수생 식물이 우거진 습지에서 산다. 곤충, 거미, 달팽이, 씨앗을 먹는다. 4~6개의 알을 낳으며, 암컷이 알을 품고, 수컷이 먹이를 가져다준다. 12~14일 후에 부화하며, 새끼는 12~14일 동안 둥지에 머문다. 유럽 갈대새는 멸종 위협에 직면해 있지 않다.

5권에는 큰발톱종달새 (Alouette calandrelle)와 체티울새 (Bouscarle de Cetti)가 수록되어 있다.

6권에는 흰배바위새 (Merle de roche)가 등장한다. 흰배바위새(Monticola cinclorhynchus)는 참새목(Passeriformes) 딱새과(Turdidae)에 속하는 조류이다. 수컷은 머리, 등, 날개가 짙은 청회색이고, 아랫면은 흰색이다. 암컷은 갈색을 띠며, 아랫면은 흰색 바탕에 어두운 반점이 있다. 흰배바위새는 주로 바위가 많은 산악 지대에서 서식하며, 곤충, 열매 등을 먹는다. 번식기에는 둥지를 짓고 4-5개의 알을 낳는다. 분포 지역은 중앙아시아, 남아시아, 동남아시아 등이며, 대한민국에서는 보기 드문 나그네새로 기록되어 있다.

7권에는 다음과 같은 새들이 다루어진다.


  • 제11번: 유럽 새매 (Buse variable)
  • 제12번: 검은 휘파람새 (Traquet rieur)
  • 제13번: 알락꼬리마도요 (Courlis cendré)

3. 1. 1권

제1번 알프스황조 (Chocard des Alpes)는 알프스 산맥을 중심으로 서식하는 새이다. 제2번 황금색 오리올 (Loriot d'Europe)는 메시앙의 아내인 이본 로리오의 성과 발음이 유사하다는 점이 특징이다. 제3번 바위종다리 (Merle bleu)는 유럽과 아시아의 산악 지역에서 발견되는 종다리이다.

3. 2. 2권

검은귀휘파람새(Traquet stapazin)는 1825년 프랑스의 박물학자 르네 프리망 데소르시(René-Primevère Lesson)가 처음 기술했다. 검은귀휘파람새는 모로코, 알제리, 튀니지에서 발견된다. 검은귀휘파람새의 자연 서식지는 지중해성 관목 식생이다.

3. 3. 3권

제5번 수리부엉이 (Chouette hulotte)는 회색과 갈색의 깃털을 가진 중간 크기의 올빼미이다. 머리는 둥글고 얼굴은 크며, 노란색 눈과 작은 귀 깃털이 특징이다. 주로 유럽, 아시아, 북아프리카의 숲에서 서식하며, 야행성으로 작은 포유류, 새, 곤충 등을 잡아먹는다. 둥지는 나무 구멍이나 오래된 건물에 짓는다.

제6번 숲종달새 (Alouette lulu)는 작은 크기의 종달새로, 갈색과 회색의 얼룩덜룩한 깃털을 가지고 있다. 가슴에는 검은 반점이 있으며, 눈에는 어두운 줄무늬가 있다. 유럽, 아시아, 북아프리카의 건조한 초원, 관목지, 농경지에서 서식한다. 땅 위에 둥지를 짓고, 곤충, 씨앗 등을 먹는다. 숲종달새는 아름다운 노래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번식기에 높은 소리로 지저귄다.

3. 4. 4권

7. 유럽 갈대새 (Rousserolle effarvatte)

유럽 갈대새 ( *Acrocephalus scirpaceus*)는 12~14cm의 작은 새이다. 수컷과 암컷은 비슷하며, 머리는 갈색이고, 등은 짙은 갈색이고, 배는 베이지색 또는 흰색을 띤다. 눈 위에는 눈썹이 없고, 부리는 뾰족하고 튼튼하며, 다리는 회색이다. 유럽 갈대새는 유럽, 서아시아, 북아프리카에서 번식하며, 겨울에는 아프리카로 이동한다. 갈대, 부들, 수생 식물이 우거진 습지에서 산다. 곤충, 거미, 달팽이, 씨앗을 먹는다. 4~6개의 알을 낳으며, 암컷이 알을 품고, 수컷이 먹이를 가져다준다. 12~14일 후에 부화하며, 새끼는 12~14일 동안 둥지에 머문다. 유럽 갈대새는 멸종 위협에 직면해 있지 않다.

3. 5. 5권

8. 큰발톱종달새 (Alouette calandrelle)는 5권에 수록되어 있다. 9. 체티울새 (Bouscarle de Cetti) 역시 5권에 수록되어 있다.

3. 6. 6권

10. 흰배바위새 (Merle de roche)

흰배바위새(Monticola cinclorhynchus)는 참새목(Passeriformes) 딱새과(Turdidae)에 속하는 조류이다. 수컷은 머리, 등, 날개가 짙은 청회색이고, 아랫면은 흰색이다. 암컷은 갈색을 띠며, 아랫면은 흰색 바탕에 어두운 반점이 있다.

흰배바위새는 주로 바위가 많은 산악 지대에서 서식하며, 곤충, 열매 등을 먹는다. 번식기에는 둥지를 짓고 4-5개의 알을 낳는다.

분포 지역은 중앙아시아, 남아시아, 동남아시아 등이다. 대한민국에서는 보기 드문 나그네새로 기록되어 있다.

3. 7. 7권

제7권은 다음과 같은 새들을 다루고 있다.

  • 제11번: 유럽 새매 (Buse variable)
  • 제12번: 검은 휘파람새 (Traquet rieur)
  • 제13번: 알락꼬리마도요 (Courlis cendré)

4. 작품의 의도

메시앙은 이 작품에서 새의 단순한 묘사에 국한되지 않고, 각 곡이 프랑스 지방을 기리는 의미를 담고 있기를 바랐다. 그는 선택된 지역의 새 종류의 이름뿐만 아니라, 서식지와 이웃들의 노래, 풍경, 낮과 밤의 시간 변화, 색깔, 온도, 향기까지 담아내고자 했다.

5. 초연 및 헌정

1959년 4월 15일, 파리의 살 가보에서 피에르 불레즈가 조직한 "도멘 뮤지컬" 콘서트에서 이본 로리오에 의해 초연되었다. 이 작품은 모델이 된 새들과 작곡가의 아내인 이본 로리오에게 헌정되었다.

6. 녹음 음반

이본 로리오, 피터 힐, 아나톨 우고르스키, 하콘 오스토, 폴 김, 로제 무라로, 피에르-로랑 에마르 등 여러 피아니스트들이 이 작품을 녹음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