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영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영춘은 1928년 전라북도 임실군에서 태어나 1986년 사망한 대한민국의 코미디언이다. 극장 간판 화가로 시작하여 배우의 대역으로 데뷔했으며, 1950년대부터 극장 쇼와 텔레비전 방송에서 활동하며 인기를 얻었다. MBC의 《웃으면 복이와요》, 《폭소대작전》, 《일요일밤의 대행진》등의 프로그램에 출연했고, 영화, 라디오, 광고에서도 활동했다. 유행어로는 "인천 앞바다에 사이다가 떴어도 고뿌 없이는 못 마십니다"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임실군 출신 - 김용택
김용택은 섬진강을 배경으로 농촌의 삶과 자연을 소재로 한 서정시를 주로 발표한 대한민국의 시인이자 교육자이며, 농민의 일상과 현실 비판을 담은 초기 시와 직관적이고 감성적인 1990년대 이후의 서정시를 창작했고, 김수영문학상, 소월시문학상, 윤동주문학대상 등을 수상했으며, 교사와 영화배우로도 활동했다. - 임실군 출신 - 한상렬 (1950년)
한상렬은 대한민국의 목사이자 통일운동가로, 반유신 운동, 효순미선 사건, 평택 미군기지 확장 저지 시위 등 다양한 사회 운동에 참여했으며, 2010년 무단 방북 사건으로 사회적 논란을 일으켰다. - MBC 방송연예대상 대상 수상자 - 무한도전
《무한도전》은 2005년부터 2018년까지 MBC에서 방영된 리얼 버라이어티 프로그램으로, 유재석을 중심으로 다양한 멤버들이 미션과 프로젝트를 수행하며 높은 인기를 얻었으나 여러 논란과 주요 제작진 및 멤버들의 탈퇴로 종영되었다. - MBC 방송연예대상 대상 수상자 - 하하
하하는 1979년생 대한민국의 방송인이자 가수로, 《무한도전》, 《런닝맨》 등 예능 프로그램에 출연하며 MC와 가수로 활동하며, 2012년 가수 별과 결혼하여 2남 1녀를 두고 있다. - MBC 방송연예대상 - 김숙
김숙은 1995년 KBS 희극 배우로 데뷔하여 '따귀 소녀'로 인기를 얻은 후 다양한 예능, 라디오 등에서 활발히 활동하며 2020년 KBS 연예대상을 수상한 대한민국의 희극 배우이자 방송인이다. - MBC 방송연예대상 - 신봉선
신봉선은 2005년 KBS 공채 20기로 데뷔하여 개그우먼, MC, 배우, 가수로 활동하며 다양한 예능 프로그램과 라디오, 영화, 드라마, 뮤지컬, 음반 등 다방면에서 활동한다.
서영춘 | |
---|---|
기본 정보 | |
이름 | 서영춘 |
출생일 | 1928년 8월 25일 |
출생지 | 일제강점기 전라북도 임실군 |
사망일 | 1986년 11월 1일 |
사망지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
배우자 | 이영옥 |
자녀 | 2남 3녀 (넷째 서현선, 다섯째 서동균) |
직업 | 희극인 |
활동 기간 | 1965년 ~ 1986년 |
종교 | 불교 |
2. 생애
서영춘은 1950년대부터 극장 쇼에서 활동하다가, 텔레비전 방송국이 개국하자 텔레비전으로 무대를 옮겼다. 코미디로 인기를 얻었으나, 술을 많이 마셔 간암으로 고생하다가 1986년 11월 1일 58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1] 2000년 1월 전라북도 임실군 예원예술대학교에 그를 기리는 동상이 세워졌다.[2]
2. 1. 가족 관계
徐永春|서영춘중국어은 7남 4녀 중 다섯째이며, 형은 작곡가 서영은이고, 동생은 코미디언 서영수와 서영환이다.[1]2. 2. 데뷔
1928년 8월 25일 전라북도 임실군에서 태어났으며, 본관은 이천 서씨이다. 서영춘은 원래 극장 간판을 그리는 화공이었는데, 어느 날 배우가 출연할 수 없게 되어 대신 공연을 한 것이 데뷔 무대가 되었다.[1]2. 3. 활동
1928년 8월 25일 전라북도 임실군에서 태어났으며, 본관은 이천 서씨이다. 서영춘은 원래 극장 간판을 그리는 화공이었는데, 어느 날 배우가 출연할 수 없게 되자 대신 공연을 한 것이 데뷔 무대가 되었다.1950년대부터 극장 쇼에 출연하다가, 텔레비전 방송국이 개국하자 텔레비전 무대로 옮겨 활동했다. 이후 코미디로 인기를 끌었으며, 술을 많이 마신 탓에 간암으로 고생하다가 1986년 11월 1일에 향년 58세로 사망하였다.[1]
2. 4. 사망
1950년대부터 극장 쇼에 출연하다가, 텔레비전 방송국이 개국하자 텔레비전 무대로 옮겨 활동했다. 이후 코미디로 인기를 끌었고, 술을 많이 마신 탓에 간암으로 고생하다가 1986년 11월 1일에 간암으로 인하여 향년 58세를 일기로 사망하였다.[1] 2000년 1월에는 전라북도 임실군 예원예술대학교에 그를 기념하는 동상이 세워졌다.[2]3. 출연작
서영춘은 라디오, 텔레비전 프로그램, 영화, 광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였다. 대표적인 라디오 프로그램으로는 라디오 서울의 꽁생원 상경기가 있으며, 텔레비전 프로그램으로는 웃으면 복이와요(MBC), 《고전유모어극장》(TBC), 《폭소대작전》(MBC), 일요일 밤의 대행진(MBC), 《좋았군좋았어》(TBC), 《살찌기웃어예》(TBC) 등이 있다.
1965년 《출세해서 남주나》를 시작으로, 《여자가 더 좋아》, 《불붙는 대륙》, 《마지막 정열》, 《민며느리》 등 다수의 영화에 출연하였다. 1983년에는 《여자가 더 좋아》에 다시 출연하기도 했다.
광고로는 1960년대 한일약품의 유비론, 바이엘 아스피린 광고에 출연하였다. 2002년에는 고려제약 하벤플러스 광고에 서현선, 서동균 남매와 함께 등장하는 장면이 합성되어 제작되기도 했다.[1]
3. 1. 라디오
- 라디오 서울의 꽁생원 상경기
3. 2. 텔레비전
- 웃으면 복이와요 (MBC)
- 《고전유모어극장》 (TBC)
- 《폭소대작전》 (MBC)
- 일요일 밤의 대행진 (MBC)
- 《좋았군좋았어》 (TBC)
- 《살찌기웃어예》 (TBC)
3. 3. 영화
연도 | 제목 |
---|---|
1965 | 출세해서 남주나 |
1965 | 여자가 더 좋아 |
1965 | 불붙는 대륙 |
1965 | 마지막 정열 |
1965 | 민며느리 |
1966 | 밤하늘의 부르스 |
1966 | 만져만 봅시다 |
1968 | 단벌 신사 |
1968 | 남자 미용사 |
1968 | 바람같은 사나이 |
1968 | 번지수가 틀렸네요 |
1969 | 신세 좀 지자구요 |
1969 | 투명인간 |
1969 | 오부자 |
1970 | 울기는 왜 울어 |
1971 | 꼬마 암행어사 |
1972 | 방자와 향단이 |
1973 | 부부교대 |
1980 | 마음약해서 |
1980 | 형님먼저 아우먼저 |
1981 | 오늘밤은 참으세요 |
1982 | 82 바보들의 청춘 |
1983 | 여자가 더 좋아 |
3. 4. 광고
2002년 광고는 서영춘의 생전 공연 장면에 서현선, 서동균 남매가 등장하는 장면을 합성해서 제작하였다.[1]
4. 유행어
5. 미디어
KBS 《오래된TV - 15화 붑빠라붑빠 붑빠빠 서영춘입니다》
참조
[1]
뉴스
코미디언 徐永春(서영춘)씨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1986-11-01
[2]
간행물
대통령과 코미디언
http://www.donga.com[...]
신동아
2001-03
[3]
서적
웃음 따라 요절복통 제 1집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