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임실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임실군은 전라북도에 위치한 군으로, 백제 시대부터 임실군으로 불렸다. 고려 시대에는 감무를 두었고, 조선 시대에는 현으로 승격되었다. 1896년 전라북도 임실군으로 개편되었으며, 여러 차례 행정 구역 개편을 거쳐 현재 1읍 11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지리적으로는 노령산맥에서 뻗어 나온 산줄기와 섬진강 상류에 위치하며, 온대 하우 기후를 보인다. 주요 산업으로는 임실치즈를 중심으로 한 축산업과 농업이 발달했으며, 옥정호, 사선대, 오수의견공원 등 관광 명소가 있다. 또한, 전라선 임실역과 오수역, 순천완주고속도로가 지나 교통이 편리하며, 이석용, 김영원, 박준승, 한영태 등 독립운동가를 배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임실군 - 오수개
    오수개는 전라북도 임실군 오수면의 지명과 지역을 상징하는 개로, 불길 속에서 주인을 구하고 죽은 개의 충성심을 기리는 전설에서 유래되었으며, 의견비와 동상이 세워지고 품종 연구가 진행되었다.
  • 임실군 - 거사물현
    거사물현은 백제 시대에 설치되어 현재의 전북특별자치도 장수군 번암면 일대로 비정되는 현으로, 마한 영역이었으나 대가야가 설치한 상기물을 백제가 점령하여 설치되었으며, 백제 멸망 후 백제 부흥 운동의 거점인 거물성이 있었고 통일신라 시대에 청웅현, 고려 시대에 거령현으로 개칭되었다.
  • 전북특별자치도의 군 - 무주군
    무주군은 전라북도 동부에 위치한 소백산맥 서쪽의 산지가 많은 군으로, 금강 상류 지역에 해당하며, 신라의 무풍과 백제의 주계를 합쳐 지명이 유래되었고, 태권도원, 덕유산 국립공원 등의 관광지와 축제가 열린다.
  • 전북특별자치도의 군 - 순창군
    순창군은 전북특별자치도 남부에 위치한 산지가 많은 군으로, 섬진강 유역의 순창분지에서 생산되는 고추장을 비롯한 장류가 유명하며, 강천산 군립공원과 순창전통고추장민속마을 등의 관광 명소가 있다.
  • 1895년 설치 - 서빙고동
    서빙고동은 서울특별시 용산구의 법정동이며, 동빙고동, 주성동, 용산동6가와 함께 용산구의 중요 지역을 구성하고, 서빙고 부군당, 서빙고로, 서울서빙고초등학교, 서빙고역 등의 주요 시설이 위치하며 반포대교, 동작대교를 통해 다른 지역과 연결되고 경의·중앙선 서빙고역을 통해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다.
  • 1895년 설치 - 의령군
    의령군은 경상남도에 위치하며, 낙동강과 남강을 접하고 있으며, 삼국시대에는 임례국이 있었고, 곽재우 의병의 기원이자, 삼성그룹 창업자 이병철의 출신지이다.
임실군
지도
대한민국 내 위치
대한민국 내 위치
기본 정보
고유 이름임실군
한자 표기任實郡
로마자 표기Imsil-gun
McCune-Reischauer 표기Imsil-gun
지역호남
방언전라
행정 구역
하위 행정 구역1읍 11면
인구
총 인구25,693명
인구 조사 기준2024년 9월
인구 밀도45명/km²
면적
총 면적596.88 km²
상징
임실군 엠블럼
임실군 엠블럼
임실군 기
임실군 기
군목은행나무
군화개나리
군조왜가리
정치
군수심민 (무소속)
국회의원박희승 (더불어민주당) (남원시·장수군·임실군·순창군)
위치 및 기타 정보
군청 소재지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 임실읍 수정로 30 (이도리)
웹사이트임실군청
기타 이미지
임실 향교
임실 향교
임실 성당
임실 성당
봉천역 전경
봉천역 전경

2. 역사

임실(任實)이라는 지명은 삼국사기 지리조에 백제 임실군이었다는 기록과 신증동국여지승람 비고에 잉힐군(仍肹郡)이었다는 기록이 있을 정도로 삼국 시대부터 사용되었다. 경덕왕 16년(757) 개편 때도 임실군으로 이어졌다. 고려 때는 남원부 진관에 속하였다가 명종 2년(1172)에 감무(監務)를 두었다. 태종 13년(1413)에 임실현으로 삼았으며 감무를 고쳐 현감(縣監)으로 삼았다.

임실의 별칭은 운수(雲水)인데, 이는 조선시대 임실현청의 객사와 군기고 부근에 있었던 운수정(雲水井)에서 유래하였다. 전하는 이야기에 따르면 새로 부임한 관리가 이 우물물을 마시면 선정을 베풀게 되었다고 한다.

1895년 6월 23일(음력 윤5월 1일) 23부제 개편 때 전라도 임실현을 남원부 임실군으로 개편하였다.[14] 1896년 8월 4일 13도 개편 때 전라북도 임실군으로 개편하였다.[15] 1906년 남원군 둔덕면, 오지면, 석현면, 아산면, 말천면, 영계면 등 조선시대 남원부 6개 방이 임실군에 편입되었다.

1914년 4월 1일 일제는 군면 통폐합을 통해 양계면을 순창군에 편입시키고, 임실군 내에 임실면, 청웅면, 운암면, 신평면, 성수면, 둔남면, 신덕면, 삼계면, 오천면, 강진면, 덕치면, 지사면 등 12개 면을 설치하였다.[16] 1935년 3월 1일 오천면을 관촌면으로 개칭하였다.[18] 1979년 5월 1일 임실면을 임실읍으로 승격하였다.[20] 1992년 8월 10일 둔남면을 오수면으로 개칭하였다.

1965년 7월 5일 운암면 하운암출장소를 설치하였고,[19] 1983년 2월 15일 남원군 덕과면 금암리를 임실군 둔남면(현 오수면)에 편입하였다.[21] 1987년 1월 1일 정읍군 산내면 종성리 일부(종성3리)를 임실군 강진면 용수리에 편입하였다.[22] 1990년 4월 1일 관촌면 금성리를 임실읍으로 편입하였다. 1994년 12월 12일 삼계면 신정리, 망전리를 임실읍으로 편입하였다.

2024년 1월 18일 전라북도가 전북특별자치도로 개편하였다.

2. 1. 삼국 시대 이전

임실은 신원진국(新元辰國)으로서 마한에 속했다.[2]

2. 2. 삼국 시대

임실이라는 이름은 삼국 시대부터 사용되었다. 삼국사기 지리조에 백제 임실군이었다는 기록이 있으며,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잉힐군이었다는 기록도 있다.[2] 경덕왕 16년(757년)에도 임실군으로 이어졌다. 백제 때 속현으로 마돌현(지금의 진안군 마령면 일원)과 거사물현(지금의 임실군 지사면, 오수면 일원)을 두었다. '임실'은 한자를 빌려 표기한 것으로, "임"은 "그립고 사랑하는 사람", "실"은 '마을'을 뜻하는 순우리말이다.

2. 3. 통일 신라 시대

임실군은 남원부에 속해 있었다. 잉일군은 759년에 임실군으로 개칭되었다. 임실 징구사지 석탑 또한 통일신라 시대에 건립되었다.[2]

2. 4. 고려 시대

임실(任實)이라는 지명은 삼국사기 지리조에 백제 임실군이었다는 기록과 신증동국여지승람 비고에 잉힐군(仍肹郡)이었다는 기록이 있다. 경덕왕 16년(757) 개편 때도 임실군으로 이어졌다. 백제 때는 속현으로 마돌현(馬突縣: 지금의 진안군 마령면 일원)과 거사물현(居斯物縣: 지금의 임실군 지사면, 오수면 일원)을 두었다. [임실]은 한자 취음으로 "임"은 "그립고 사랑하는 사람", "실"은 실(谷:마을)로 '서울'처럼 순우리말로 전해지는 지명이다.

고려 때는 남원부 진관에 속하였다가 명종 2년(1172)에 감무(監務)를 두었다. 태종 13년(1413)에 임실현으로 삼았으며 감무를 고쳐 현감(縣監)으로 삼았다.

임실의 별칭은 운수(雲水)이다. 운수는 조선시대 임실현청의 객사와 군기고 부근에 있었던 운수정(雲水井)에서 유래하였다. 전하기를 신관(新官)이 부임하면 처음 이 우물물을 마시게 하였는데, 이렇게 운수정 우물을 마신 사람은 아무리 성급하고 포악한 관리라 하더라도 선정을 베풀게 되었다고 한다.

2. 5. 조선 시대

임실(任實)이라는 지명은 삼국사기 지리조에 백제 임실군이었다는 기록과 신증동국여지승람 비고에 잉힐군(仍肹郡)이었다는 기록이 있을 정도로 삼국시대부터 사용되었다. 경덕왕 16년(757)에도 임실군으로 유지되었다. 백제 때는 마돌현(지금의 진안군 마령면 일원)과 거사물현(지금의 임실군 지사면, 오수면 일원)을 속현으로 두었다. '임실'은 순우리말로 '그립고 사랑하는 사람이 있는 마을'을 뜻한다.[10]

고려 때는 남원부 진관에 속했다가 명종 2년에 감무(監務)를 두었다. 태종 13년에 임실현으로 삼고 감무를 현감(縣監)으로 고쳤다.

임실의 별칭은 운수(雲水)인데, 이는 조선시대 임실현청의 객사와 군기고 부근에 있던 운수정(雲水井)에서 유래하였다. 전하는 이야기에 따르면 새로 부임한 관리가 이 우물물을 마시면 선정을 베풀게 되었다고 한다.

2. 6. 일제 강점기


  • 1914년 4월 1일, 일제는 군면 통폐합을 통해 양계면을 순창군에 편입시키고, 임실군 내에 임실면, 청웅면, 운암면, 신평면, 성수면, 둔남면, 신덕면, 삼계면, 오천면, 강진면, 덕치면, 지사면 등 12개 면을 설치하였다.[16]
  • 1935년 3월 1일, 오천면이 관촌면으로 개칭되었다.[18]

2. 7. 대한민국

임실이라는 이름은 삼국시대부터 사용되었으며, 삼국사기에는 백제 임실군이었다는 기록과 신증동국여지승람의 비고에는 잉힐군[10]이었다는 기록이 있다. 경덕왕 16년(757) 개편 때도 임실군으로 유지되었다. 고려와 조선 시대를 거쳐 대한민국에 이르기까지 같은 지명이 사용되고 있다.

3. 지리

임실군은 동쪽으로 진안군, 장수군, 남원시, 서쪽으로는 순창군, 정읍시, 북쪽으로는 완주군과 각각 접하고 있다. 도청 소재지인 전주시와는 29km 거리에 위치해 있다.

노령산맥에서 뻗어내린 지맥은 서북쪽으로 성수면성수산을 만들고 서남쪽으로는 강진면백련산, 덕치면회문산을 이루고 있으며, 진안군 부귀면, 백운면에서 발원한 소하천은 관촌, 신편, 신덕, 운암 등 여러 줄기를 합하여 섬진강 상류를 이루고 옥정호에 모인다.[23]

3. 1. 기후

임실군의 기후는 다음과 같다. 아래 자료는 임실읍 이도리의 임실기상관측소의 자료이다.

최고 기온 (℃)평균 최고 기온 (℃)평균 기온 (℃)평균 최저 기온 (℃)최저 기온 (℃)
1월16.13.8-2.5-8.0-24.4
2월21.96.5-0.3-6.2-21.8
3월25.112.14.6-2.0-13.8
4월30.618.710.73.2-7.1
5월33.823.716.39.3-0.8
6월34.727.120.815.54.2
7월37.129.124.120.510.6
8월37.529.824.420.48.8
9월33.426.019.514.42.6
10월29.820.612.56.2-4.9
11월25.813.46.0-0.1-17.0
12월19.66.0-0.4-5.9-21.9
37.518.111.35.6-24.4



강수량 (mm)강수 일수습도 (%)일조 시간
1월28.59.273.4154.3
2월36.97.468.6168.8
3월53.88.765.8203.1
4월83.68.863.3219.8
5월85.98.866.7234.2
6월142.410.972.9179.9
7월312.016.079.3148.5
8월312.115.378.8169.0
9월138.39.176.9175.1
10월58.16.474.4190.7
11월50.78.373.5155.7
12월33.39.674.2143.5
1335.6118.572.32142.6



위 자료의 출처는 기상청이며, 평년값은 1991년~2020년, 극값은 1970년부터 현재까지의 자료이다.[24][25]

4. 행정 구역

임실군의 행정 구역은 1 11으로, 255개의 행정리(131개의 법정리)로 구성되어 있다. 임실군의 면적은 597 km2서울특별시와 비슷하며, 전북특별자치도 전체 면적의 7.4%를 차지한다. 2015년 12월 말 주민등록 기준으로 임실군의 인구는 3만 271명, 세대수는 1만 4269 가구이며, 이 중 24.46%가 임실읍에 거주한다.[26]

임실군 행정구역도


읍·면한자면적 (km2)인구 (명)세대 (가구)
임실읍任實邑67.667,4053,275
청웅면靑雄面34.771,515727
운암면雲岩面76.161,828911
신평면新平面33.71,762900
성수면聖壽面60.361,852896
오수면獒樹面40.494,3672,007
신덕면新德面65.781,496736
삼계면三溪面54.081,684883
관촌면館村面53.633,8381,711
강진면江津面50.611,797869
덕치면德峙面42.081,306688
지사면只沙面17.791,421666
임실군任實郡597.0930,27114,269



읍·면법정리
임실읍갈마리, 감성리, 금성리, 대곡리, 두곡리, 두만리, 망달리, 성가리, 신안리, 신정리, 오정리, 이도리, 이인리, 장재리, 정월리, 현곡리
청웅면구고리, 남산리, 두복리, 석두리, 옥석리, 옥달리, 청계리, 향교리
운암면금기리, 마암리, 쌍암리, 사량리, 선거리, 용운리, 운암리, 운정리, 운종리, 월면리, 입석리, 지천리, 청운리, 학암리
신평면가덕리, 대리, 덕암리, 용암리, 원천리, 창인리, 호암리
성수면도인리, 봉강리, 삼봉리, 삼청리, 성수리, 양지리, 오류리, 오봉리, 왕방리, 월평리, 태평리
오수면오수리, 용정리, 신기리, 둔덕리, 용두리, 둔기리, 대이리, 대명리, 오산리, 주천리, 오암리, 봉천리, 군평리, 금암리
신덕면금정리, 삼길리, 수천리, 신덕리, 신흥리, 오궁리, 월성리, 조월리, 지장리
삼계면뇌천리, 덕계리, 두월리, 봉현리, 산수리, 삼계리, 삼은리, 세심리, 어은리, 오지리, 죽계리, 학정리, 홍곡리, 후천리
관촌면관촌리, 덕천리, 도봉리, 방수리, 방현리, 병암리, 복흥리, 상월리, 슬치리, 신전리, 용산리, 운수리, 회봉리
강진면백련리, 부흥리, 갈담리, 회진리, 용수리, 옥정리, 문방리, 필봉리, 학석리, 방현리
덕치면가곡리, 두지리, 물우리, 사곡리, 일중리, 장암리, 천담리, 회문리
지사면관기리, 금평리, 방계리, 안하리, 영천리, 원산리, 계산리


5. 산업

임실군의 주요 산업으로는 임실치즈를 중심으로 한 축산업과 농공단지를 통한 제조업이 있다. 지정환 신부가 시작한 임실치즈는 임실치즈테마파크 운영 및 임실치즈피자 프랜차이즈 사업 확장으로 이어져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다.[3]

임실군에는 다음 농공단지가 조성되어 있다.

농공단지명위치입주 업체
오수농공단지오수면식품, 금속가공 등 18개 업체
신평농공단지신평면식품, 화장지, 가구 제작 등 8개 업체
임실농공단지임실읍금속, 에너지 비축업 등 2개 업체


5. 1. 축산업

임실치즈테마파크는 임실군 임실읍 근처에 있으며, 어린이와 관광객을 위한 치즈 만들기 체험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이곳에서 생산되는 치즈는 군의 이름을 따서 임실치즈라고 불린다. 임실치즈는 한국 이름 지정환을 사용한 벨기에 출신의 한 가톨릭 사제의 특별한 유산이다. 그는 한국 전쟁으로 인해 경제가 여전히 폐허였던 1950년대 중반, 임실의 농촌 마을에 도착했다. 그는 농민들의 우유 협동조합을 설립했고, 이는 결국 임실치즈공장이 되었다. 공장은 오늘날에도 존재하며 한국 시장에 고품질의 치즈와 요구르트를 생산하고 있다.

임실치즈를 사용하는 피자 프랜차이즈는 2004년 이후 임실치즈피자라는 이름으로 대한민국 전역에서 널리 사업을 확장했다.[3] 인근 축산 농가에서 치즈 제조에 필요한 유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5. 2. 임실치즈

임실치즈테마파크


'''임실치즈'''(Imsil cheese)는 임실군을 대표하는 특산물이다. 1959년 한국에 온 벨기에의 선교사 지정환(본명 디디에 세르스테반스) 신부가 1966년 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에서 치즈를 생산하면서 시작되었다. 1968년 프랑스에서 치즈 기술자가 방문하여 카망베르 치즈를 만들었으나 보급에 실패하였고, 1969년 지정환 신부가 직접 유럽에 세 달을 머무르며 치즈 제조 기술을 배우고 와서 1970년 체더 치즈를 만들었다. 이후 조선호텔과 계약이 성사되어 대량으로 납품하게 되어 치즈생산이 본궤도에 오르게 되었다.

임실치즈테마파크는 임실군 임실읍 근처에 위치해 있으며, 어린이와 관광객을 위한 치즈 만들기 체험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이곳에서 생산되는 치즈는 군의 이름을 따서 임실치즈라고 불린다. 임실치즈는 한국 이름 지정환(Ji Junghwan)을 사용한 벨기에 출신의 한 가톨릭 사제의 특별한 유산이다. 그는 1950년대 중반, 한국 전쟁으로 인해 경제가 여전히 폐허였던 임실의 농촌 마을에 도착했다. 그는 농민들의 우유 협동조합을 설립했고, 이는 결국 임실치즈공장이 되었다. 공장은 오늘날에도 존재하며 한국 시장에 고품질의 치즈와 요구르트를 생산하고 있다.

임실치즈를 사용하는 피자 프랜차이즈는 2004년 이후 임실치즈피자라는 이름으로 대한민국 전역에서 널리 사업을 확장했다.[3] 인근 축산 농가에서 치즈 제조에 필요한 유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5. 3. 농공단지

임실군에는 다음 농공단지가 있다.

농공단지명위치입주 업체
오수농공단지오수면식품, 금속가공 등 18개 업체
신평농공단지신평면식품, 화장지, 가구 제작 등 8개 업체
임실농공단지임실읍금속, 에너지 비축업 등 2개 업체


6. 문화

임실군은 다양한 문화유산을 보유하고 있다.

1963년 1월 21일 보물로 지정된 임실 진구사지 석등신평면 용암리에 위치하며, 상륜부의 일부가 없어졌지만, 우리나라 석등 중 가장 큰 것으로 추정된다.[1] 삼국유사에는 보덕의 제자 적멸과 의융이 진구사를 창건했다는 기록이 있으며, 조선 전기인 1407년(태종 7)에는 88개의 자복사(資福寺) 중 하나로 지정되었다가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다고 전한다.[1]

1997년 12월 30일에는 임실 덕천리 가침박달나무 군락과 임실 덕천리 산개나리 군락이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다. 가침박달나무 군락은 남부지방에서는 보기 드물게 대규모 군락을 형성하고 있으며, 자생 남방한계선으로서 학술적 가치를 지닌다.[1] 산개나리 군락은 가침박달나무 군락과 연접하여 있으며, 중부지방에서 주로 자라는 산개나리의 남부지방 분포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2]

임실필봉농악강진면 필봉리에서 전해져 내려오는 풍물놀이로, 국가무형유산 제11-마호로 지정되어 있다.[1]

임실군에는 오수망루, 임실 회문망루, 임실 운암망루, 천도교 구 임실교당 등 4건의 국가등록문화유산이 있다.

이름위치지정일
임실 오수망루오수면 오수로 1462005년 5월 18일
임실 회문망루덕치면 회문리 100-12014년 9월 1일
임실 운암망루운암면 운암리 640-82014년 9월 1일
천도교 구 임실교당임실읍 성가리 3672020년 12월



2024년 3월 기준으로 국가 지정 유산은 총 9건(보물 1건, 천연기념물 2건, 국가무형유산 2건, 등록문화유산 4건), 전북특별자치도 지정 유산은 총 38건(유형유산 15개소, 기념물 6개소, 무형유산 1명, 민속유산 3건, 문화유산자료 12개소), 임실군 지정 유산은 13건이다. 유형별로는 목조 건축물이 18개소로 가장 많고, 불교 관련 문화재는 11개소, 유교 관련 문화재는 임실향교 대성전을 비롯하여 서원과 누정을 합쳐 13건이다. 국가무형유산으로는 임실필봉농악과 한지장 홍춘수씨 등 2건이 있으며, 도지정 무형유산으로는 지장(紙匠) 제35호 김일수씨가 있다. 천연기념물은 임실군 관촌면 덕천리 산개나리군락과 덕천리 가침박달나무군락 2건이다.

임실군 향토문화유산은 2015년 이상형 묘비가 지정된 이래 13개가 지정 관리되고 있다.

6. 1. 보물

1963년 1월 21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임실군 신평면 용암리 188-1에 위치한 임실 진구사지 석등은 상륜부의 보개와 보주가 없어졌지만, 상륜부까지 포함하면 우리나라 석등 중 가장 큰 것으로 추정되며 높이는 5.18m에 이른다.[1]

전북대학교 박물관에서 1992년부터 2001년까지 다섯 차례의 발굴조사를 통해 진구사지라는 것이 밝혀짐에 따라 2010년 9월부터 '용암리사지석등'에서 '진구사지석등'으로 이름을 고쳐 부르게 되었다.[1]

삼국유사보덕의 제자 적멸과 의융이 진구사를 창건했다는 기록이 있어, 열반종사찰로만 주목받아 왔다.[1]

그러나 최근 진구사지 고복형석등과 실상사 고복형석등의 비교를 통해 진구사가 통일신라시대 실상산문에 소속된 선종사찰이었다는 견해가 제기되었으며, 고려시대에는 조계종에서 천태종으로 종파가 또 한번 바뀌었다.[1]

조선 전기인 1407년(태종 7)에는 88개의 자복사(資福寺) 중 하나로 지정하였다는 기록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후 임진왜란 때 소실하였다고 전한다.[1]

팔각의 지대석 위에 놓인 하대는 2매석으로 되었으며 팔각하대의 각 총면에는 세 장한 안상을 새기고 상하에는 굽을 돌렸다.[1]

이 위에 올려진 연화대석 위에는 연화문이 새겨 있으며 팔면의 복연으로 팔각에 1판씩 조각하였는데 그 끝에는 큼직한 귀꽃을 달아 장식하였다.[1]

그리고 복연대 상면에는 팔각의 받침을 각출하였으며 전면에는 운문을 새겨 돋보이도록 했다.[1]

간주석은 원주형으로 중앙에는 북모양으로 배가 부른 양각대가 있고 상ㆍ하단의 주위에는 복엽팔판의 양복연을 대칭이 되도록 조각하였다.[1]

상대석에는 낮고 높은 2단의 원형 괴임이 조출되고 측면에는 단엽 팔판에 양련이 새겨져 있다.[1]

화사석은 팔면에 모두 장방형의 화창을 내었다.[1]

옥개석은 하면에 3단의 괴임을 각출하였고 추녀의 낙수홈도 각이 낮다.[1]

추녀의 전각은 반전되었고 전각 끝에는 삼선형의 큼직한 귀꽃을 입상으로 놓아서 웅장하면서도 경쾌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1]

낙수면의 각 합각은 뚜렷하며 상부에 복련을 놓아 상륜부를 받도록 하였다.[1]

옥개석 정상에는 현재 팔각의 노반과 양화석 만이 남아있으나 원래는 보개와 보주 등 여러 가지 상륜부재가 있었을 것이다.[1]

이 석등은 조각된 문양이 섬세하고 다양하여 전체적으로 조화를 이루고 있다.[1]

6. 2. 천연기념물

1997년 12월 30일에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임실 덕천리 가침박달나무 군락은 남부지방에서 보기 드물게 대규모 군락을 형성하고 있으며, 자생 남방한계선으로서 학술적 가치를 지닌다.[1] 가침박달나무는 장미과 낙엽 관목으로, 높이 2~3m이며 5월에 흰색 꽃이 피고 9월에 열매가 익는다.[1]

임실 덕천리 산개나리 군락은 1997년 12월 30일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으며, 가침박달나무 군락과 연접하여 성미산성 쪽으로 약 300그루가 자생하고 있다.[2] 산개나리는 물푸레나무과 낙엽관목으로 개나리와 유사하지만 잎 뒷면 맥 위와 엽병에 잔털이 있고 꽃이 더 작다.[2] 3~4월에 잎보다 먼저 연한 황색 꽃이 피며, 9~10월에 열매가 익는다.[2] 덕천리 산개나리 군락은 주로 중부지방에서 자라는 산개나리의 남부지방 분포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2]

6. 3. 국가무형유산

임실필봉농악은 임실군 강진면 필봉리에서 전해져 내려오는 풍물놀이이다. 국가무형유산 제11-마호로 지정되어 있다.[1]

6. 4. 등록유산

임실군 내에는 국가등록문화유산이 4건 있다. 2020년 12월에는 천도교 임실교당이 지정 가결되었다.

이름위치지정일
임실 오수망루오수면 오수로 1462005년 5월 18일
임실 회문망루덕치면 회문리 100-12014년 9월 1일
임실 운암망루운암면 운암리 640-82014년 9월 1일
천도교 구 임실교당임실읍 성가리 3672020년 12월


6. 5. 기타 문화재

임실군에는 다양한 문화재가 보존되어 있다. 2024년 3월 기준으로 국가 지정 유산은 보물 1건, 천연기념물 2건, 국가무형유산 2건, 등록문화유산 4건으로 총 9건이다. 전북특별자치도 지정 유산은 유형유산 15개소, 기념물 6개소, 무형유산 1명, 민속유산 3건, 문화유산자료 12개소로 총 38건이다. 임실군 지정 유산은 13건이다.

임실군 내 문화유산을 유형별로 살펴보면 목조 건축물이 18개소로 가장 많다. 불교 관련 문화재는 11개소이며, 유교 관련 문화재는 임실향교 대성전을 비롯하여 서원과 누정을 합쳐 13건이다. 국가무형유산으로는 임실필봉농악과 한지장 홍춘수씨 등 2건이 있으며, 도지정 무형유산으로는 지장(紙匠) 제35호 김일수씨가 보유자로 지정되었다. 이외에 천연기념물은 임실군 관촌면 덕천리 산개나리군락과 덕천리 가침박달나무군락 2건이다.

도지정 문화재는 다음과 같다.

번호명칭유형주소지정일
1임실 진구사지 석조비로자나불상유형유산신평면 용암2길 11-321977.12.31.
2오수리석불유형유산오수면 오수10길 24-221979.12.27.
3학정리석불유형유산삼계면 학정2길 117-81979.12.27.
4만취정유형유산삼계면 산수1길 641983.08.24.
5신흥사 대웅전유형유산관촌면 상월로 889-191985.08.16.
6운서정유형유산관촌면 관진로 61-201990.06.30
7김복규・김기종 효자정려비 및 정판유형유산임실읍 임삼로 1590-201993.08.31.
8임실 이도리 미륵불상유형유산임실읍 봉황10길 1091993.08.31.
9상이암 부도유형유산성수면 성수산길 6581995.06.20.
10수운정유형유산신덕면 금정리 215-11995.06.20.
11삼계강사계안유형유산오수면 둔덕2길 34-131998.01.09.
12관곡서원 소장 전적 및 고문서유형유산지사면 관기1길 32-112003.05.16.
13이석용 생가기념물성수면 삼봉3길 56-31997.07.18.
14임실 성미산성기념물관촌면 덕천리 산241999.04.23.
15상가 윷판형 암각화 유적기념물신평면 가덕리 산32 외2016.10.28.
16지장(紙匠) 김일수무형유산덕치면 장암1길2016.11.11.
17의견비민속유산오수면 오수리 3321971.12.01.
18이웅재 고가민속유산오수면 둔덕2길 59-101977.12.31.
19사곡리 남근석민속유산덕치면 사곡리 10191998.01.09.
20영천서원문화유산자료지사면 영천3길 331984.04.01.
21주암서원문화유산자료지사면 방계3길 46-21984.04.01.
22신안서원문화유산자료임실읍 신안1길 8-191984.04.01.
23해월암문화유산자료오수면 오수8길 49-301984.04.01.
24죽림암문화유산자료임실읍 호반로 79-531984.04.01.
25임실향교 대성전문화유산자료임실읍 봉황7길 231984.04.01.
26노동환 가옥문화유산자료삼계면 후천1길 19-201986.09.08.
27상이암부도문화유산자료성수면 성수산길 6581986.09.08.
28광제정문화유산자료삼계면 세심길 821990.06.30.
29양요정문화유산자료운암면 입석리 490-11997.07.18.
30오괴정문화유산자료삼계면 삼은2길 22-312000.11.17.
31중기사 철조여래좌상유형유산신평면 용암리2020.06.
32임실 진구사지기념물신평면 용암리2020.12.
33독립유공자 김영원 일괄 자료유형유산운암면 청운로 409-332022.0311.
34주암서원 최덕지 영정유형유산지사면 방계3길 46-22022.05.22.
35임실 월평리 산성기념물성수면 월평리 산332022.08.12.
36임실 가덕리 하가구석기유적기념물신평면 가덕리 685-232023.01.20.
37임실 이문원 고택문화유산자료오수면 둔기길 242022.12.16.
38임실성당 사제관등록유산임실읍 이도리 5882023.05.26.



임실군 향토문화유산은 2015년 이상형 묘비가 지정된 이래 삼청동비, 삼계석문, 단구대, 옥정암지 마애여래석불좌상, 말천방들노래, 임실현읍총병풍, 충신 이상길 정려, 현주서원 소장 전적, 월파정, 청성군 사우, 이윤성 모자 정려, 설보비 등 13개가 지정 관리되고 있다.

7. 관광



임실치즈테마파크는 임실군 임실읍 근처에 위치해 있으며, 어린이와 관광객을 위한 치즈 만들기 체험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이곳에서 생산되는 치즈는 군의 이름을 따서 임실치즈라고 불린다. 임실치즈는 한국 이름 지정환을 사용한 벨기에 출신의 한 가톨릭 사제의 특별한 유산이다. 그는 1950년대 중반, 한국 전쟁으로 인해 경제가 여전히 폐허였던 임실의 농촌 마을에 도착했다. 그는 농민들의 우유 협동조합을 설립했고, 이는 결국 임실치즈공장이 되었다. 공장은 오늘날에도 존재하며 한국 시장에 고품질의 치즈와 요구르트를 생산하고 있다.

임실치즈를 사용하는 피자 프랜차이즈는 2004년 이후 임실치즈피자라는 이름으로 대한민국 전역에서 널리 사업을 확장했다.[3] 인근 축산 농가에서 치즈 제조에 필요한 유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옥정호


옥정호섬진강댐 건설로 만들어진 인공 호수이다. 호수 주변에는 산책로가 있다.[4] 섬진강 상류에 위치한 옥정호는 낮과 밤의 기온 차가 커 안개가 자주 발생한다.[5]

8. 교통

전라선 임실역, 오수역순천완주고속도로 임실 나들목, 오수 나들목이 있다. 관촌역은 전라선 상에 위치하며, 서도역남원시에 소재하지만 역 구내 일부는 임실군에 속한다.[1]

임실군의 교통
철도
고속도로
국도
국가지원지방도
지방도
주요 간선도로
버스


9. 정치

임실군은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에서 순창군, 남원시와 함께 지역구를 구성하고 있다.[1] 현재 국회의원은 더불어민주당 소속의 박희승 의원이다.[1]

국회의원정당임기비고
박희승더불어민주당2024년 5월 30일 ~ 현재제22대 국회의원


10. 인물

임실군은 일제강점기 여러 독립운동가를 배출한 고장이다. 주요 인물로는 국권회복기 최초의 전북의병장인 이석용, 동학농민혁명과 3.1만세운동에 참여한 김영원, 3·1 독립만세 33인의 민족대표 박준승, 임실군 일대 독립만세운동을 주도한 한영태 등이 있다.[1]

10. 1. 독립운동가

11. 자매 도시

임실군은 다음과 같은 도시들과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국가도시
中华人民共和国|중화인민공화국중국어랴오닝성 푸순 시 칭위안 만족 자치현
中华人民共和国|중화인민공화국중국어산둥성 빈저우 시
United States of America|미국영어미네소타주 와세카군
서울특별시 강서구
서울특별시 은평구
서울특별시 중랑구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광주광역시 남구


참조

[1] 웹사이트 Population statistics https://jumin.mois.g[...] 2024
[2] 웹사이트 History https://www.imsil.go[...]
[3]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eb.archive.[...] 2008-01-25
[4] 웹사이트 Okjeongho Lake (옥정호 (물안개길)) https://english.visi[...]
[5] 웹사이트 Okjeongho Lake https://www.imsil.go[...]
[6] 웹사이트 Climatological Normals of Korea (1991 ~ 2020) https://data.kma.go.[...]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2-04-04
[7] 웹사이트 https://data.kma.go.[...]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2-04-04
[8] 웹사이트 Climatological Normals of Korea http://www.kma.go.kr[...]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1
[9]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3
[10] 웹사이트 연혁 https://www.imsil.go[...]
[11] 웹사이트 우리나라 기후평년값(1991~2020) 임실(244) https://data.kma.go.[...] 韓国気象庁 2021-03-25
[12] 웹사이트 순위값 - 구역별조회 임실(244) https://data.kma.go.[...] 대한민국 기상청 2021-10-02
[13] 웹인용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14] 법률 칙령 제98호
[15] 법률 칙령 제36호
[16] 법률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12-29
[17] 기타
[18] 법률 도령 제1호 1935-01-30
[19] 법률 군조례 제91호 1965-07-05
[20] 법률 대통령령 제9409호 미금읍등53개읍설치에관한규정 1979-04-07
[21] 법률 대통령령 제11027호 시·군·구·읍·면의관할구역변경및면설치등에관한규정 1983-01-10
[22] 법률 대통령령 제12007호 1986-12-23
[23] 간행물 임실군 통계연보 2010
[24] 웹인용 우리나라 기후평년값(1991~2020) 임실(244) https://data.kma.go.[...] 기상청 2021-03-25
[25] 웹인용 순위값 - 구역별조회 임실(244) https://data.kma.go.[...] 기상청 2021-10-02
[26] 뉴스 행정자치부 주민등록 인구통계 2016-02-27
[27] 웹인용 임실치즈 마을 http://cheese.invil.[...] 2011-08-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