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서직 윤곽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직 윤곽은 은하의 표면 휘도 분포를 설명하는 데 사용되는 수학적 모델이다. 이 모델은 서직 지수(n)라는 변수를 사용하여 은하 중심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른 휘도의 변화를 나타내며, n 값에 따라 다양한 은하 형태를 근사할 수 있다. n=4일 때는 드보쿨뢰르 윤곽으로 타원 은하에, n=1일 때는 지수 윤곽으로 나선 은하에 적용된다. 서직 지수는 은하의 크기, 광도, 형태, 블랙홀 질량, 암흑 물질 헤일로 등과 연관되어 있으며, 핵-서직 모델 및 아인슈타인 프로파일과 같은 관련 모델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천체물리학 - 천문학
    천문학은 우주 공간에서 일어나는 현상들을 연구하는 자연과학으로, 별, 행성, 은하 등을 연구하며 고대부터 발전해 왔고 현대에는 첨단 기술을 이용해 우주를 관측하고 이론적으로 탐구하는 학문이다.
  • 천체물리학 - 우주
    우주는 모든 공간과 시간, 에너지, 물질, 천체 등을 포함하며 물리 법칙의 지배를 받는 "존재의 총체"로, 천문학, 항공우주공학, 철학, 종교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정의되며 빅뱅 이론으로 설명되는 기원과 진화, 암흑 물질과 암흑 에너지로 구성된 요소, 그리고 외계 생명체 가능성이 연구되는 공간이다.
서직 윤곽
개요
유형광도 프로파일
적용 분야은하
왜소 은하
벌지
항성 클러스터
수식
서식 윤곽ln I(R) = ln I₀ - k R^(1/n)
I(R)R에서의 표면 광도
I₀R = 0에서의 표면 광도
R중심으로부터의 반지름
n서식 지수
k서식 지수 n에 의존하는 상수
역사적 맥락
제안호세 루이스 세르시크 (1963년)

2. 정의

서직 윤곽(Sérsic profile)의 식은 다음과 같다.[2][3][18][19][20]

:

\ln\ I(R) = \ln\ I_{0} - k R^{1 \over n} ,



이때 I_{0}R=0, 즉 은하 중심에서의 휘도이다.

I_{0} 대신 유효반경 R_{e}에서의 휘도 I_{e}를 사용해서 쓰면

:

I(R) = I_{e} \exp \left[ -k \left( \left( {R \over R_{e}} \right)^{1 \over n} - 1 \right) \right]



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여기서 ''R''은 은하 중심으로부터의 거리(타원 은하의 경우, 장축 ''R''의 타원)를 의미하고, I(R)은 ''R''에서의 표면 휘도를 나타낸다.

변수 n은 "서직 지수"(Sérsic index)라고 하며, 윤곽을 그래프로 그렸을 때 그래프의 만곡률을 조정한다. n 값이 작을수록 중심에의 집중도가 떨어지고 반지름이 작을 때의 로그곡선이 완만해진다. 반지름이 작을 때 서직 윤곽은 다음 로그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

\frac{\mathrm{d} \ln I}{\mathrm{d} \ln R} = - \left( {k \over n} \right) R^{1 \over n} .



몇몇 서직 지수 ''n''에 따른 서직 법칙.


b_nn>8에 대해 대략 2n-1/3으로 근사할 수 있다. 또한, n > 0.36에 대해 b_n2n - 1/3 + \frac{4}{405 n} + \frac{46}{25515 n^2} + \frac{131}{1148175 n^3} - \frac{2194697}{30690717750 n^4}로 근사 가능하다. b_n은 감마 함수 \Gamma와 낮은 불완전 감마 함수 \gamma에 대해, \gamma(2n; b_n) = \frac{1}{2} \Gamma(2n)를 만족한다.

''n''이 1 이상일 때 b_n은 :b_n\sim 2 n - 0.324에 의해 근사할 수 있다.

2. 1. 서직 지수 (Sérsic index)

서직 윤곽(Sérsic profile)의 식은 다음과 같다.[2][3][18][19][20]

:

\ln\ I(R) = \ln\ I_{0} - k R^{1 \over n} ,



이때 I_{0}R=0, 즉 은하 중심에서의 휘도이다.

I_{0} 대신 유효반경 R_{e}에서의 휘도 I_{e}를 사용해서 쓰면

:

I(R) = I_{e} \exp \left[ -k \left( \left( {R \over R_{e}} \right)^{1 \over n} - 1 \right) \right]



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여기서 ''R''은 은하 중심으로부터의 거리(타원 은하의 경우, 장축 ''R''의 타원)를 의미하고, I(R)은 ''R''에서의 표면 휘도를 나타낸다.

변수 n은 "서직 지수"(Sérsic index)라고 하며, 윤곽을 그래프로 그렸을 때 그래프의 만곡률을 조정한다. n 값이 작을수록 중심에의 집중도가 떨어지고 반지름이 작을 때의 로그곡선이 완만해진다. 반지름이 작을 때 서직 윤곽은 다음 로그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

\frac{\mathrm{d} \ln I}{\mathrm{d} \ln R} = - \left( {k \over n} \right) R^{1 \over n} .



b_nn>8에 대해 대략 2n-1/3으로 근사할 수 있다. 또한, n > 0.36에 대해 b_n2n - 1/3 + \frac{4}{405 n} + \frac{46}{25515 n^2} + \frac{131}{1148175 n^3} - \frac{2194697}{30690717750 n^4}로 근사 가능하다. b_n은 감마 함수 \Gamma와 낮은 불완전 감마 함수 \gamma에 대해, \gamma(2n; b_n) = \frac{1}{2} \Gamma(2n)를 만족한다.

''n''이 1 이상일 때 b_n은 :b_n\sim 2 n - 0.324에 의해 근사할 수 있다.

3. 응용

대부분의 은하는 1/2 < ''n'' < 10 범위의 지수를 갖는 서직 프로파일로 적합하다. 최적의 ''n'' 값은 은하의 크기와 광도와 상관관계가 있어 더 크고 밝은 은하일수록 더 큰 ''n'' 값으로 적합되는 경향이 있다.[5][6][26][27]

''n'' = 4를 대입하면 드보쿨뢰르 윤곽이 되며, 이는 일반적인 타원은하를 대략적으로 근사한 것이다.

''n'' = 1을 대입하면 지수 윤곽(exponential profile)이 되며, 이는 나선은하 원반을 잘 근사하며 왜소타원은하를 대략적으로 근사한다.

250px


삼각형자리 은하와 같은 나선 은하의 원반은 낮은 서직 지수와 낮은 중심 집중도를 갖는다.


서직 지수(즉, 은하 집중도[7])와 은하 형태 사이의 상관관계는 때때로 먼 은하의 허블 유형을 결정하기 위한 자동화된 방식에 사용된다.[8] 서직 지수는 또한 은하 중심에 있는 초대질량 블랙홀의 질량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9]

서직 프로파일은 서직 지수가 헤일로 질량과 상관관계가 있는 암흑 물질 헤일로를 설명하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다.[10][11]

3. 1. 드보쿨뢰르 윤곽 (De Vaucouleurs profile)

대부분의 은하는 ½ < ''n'' < 10 범위 안에서 서직 윤곽을 만족한다. ''n'' 값은 은하의 크기와 광도에 상관이 있는데, 크고 밝은 은하일수록 ''n''이 커지는 경향이 있다.[26][27][5][6]

''n'' = 4를 대입하면 드보쿨뢰르 윤곽이 되며,

:I(R) \propto e^{-kR^{1/4}}

이것은 타원은하에 잘 맞는다. 드 보클레르 법칙(''R''1/4 법칙)은 타원 은하나 나선 은하의 벌지 성분의 면 휘도 분포를 잘 설명한다.[22]

''n'' = 1을 대입하면 지수 윤곽(exponential profile)이 되며,

:I(R) \propto e^{-kR}

이것은 나선은하의 원반과 왜소타원은하에 잘 맞는다.

서직 지수(즉, 은하 집중도[7])와 은하 형태 사이의 상관관계는 때때로 먼 은하의 허블 유형을 결정하기 위한 자동화된 방식에 사용된다.[8] 서직 지수는 또한 은하 중심에 있는 초대질량 블랙홀의 질량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9]

서직 프로파일은 서직 지수가 헤일로 질량과 상관관계가 있는 암흑 물질 헤일로를 설명하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다.[10][11]

단, 실제 타원 은하 중에서도 셀식 지수 ''n''은 그 광도나 크기에 따라 다른 값을 갖는다. 어두운 타원 은하는 ''n'' ∼ 0.5 정도가 되지만, 가장 밝은 타원 은하는 ''n''이 10 이상이 된다.[18]

3. 2. 지수 윤곽 (Exponential profile)

대부분의 은하는 1/2 < ''n'' < 10 범위 안에서 서직 윤곽을 만족한다. ''n'' 값은 은하의 크기와 광도에 상관이 있는데, 크고 밝은 은하일수록 ''n''이 커지는 경향이 있다.[26][27]

''n'' = 1을 대입하면 지수 윤곽(exponential profile)이 되며,

:

I(R) \propto e^{-kR}



이것은 나선은하의 원반과 왜소타원은하에 잘 맞는다.

셀식 지수 ''n'' = 1일 때,

:\ln \frac{ I }{ I_e } = - b_1 \left( \frac{ R }{ R_e } - 1 \right)

이며, 이는 지수 법칙이라고 불린다. 지수 법칙은 원반 은하의 원반 성분의 면 밝기 프로파일을 잘 설명한다.[24] 단, 원반 은하의 면 밝기 분포가 벌지와 원반의 두 셀식 법칙의 중첩으로부터 벗어나는 경우도 종종 관측된다.[24]

3. 3. 추가 응용 및 확장

대부분의 은하는 ½ < ''n'' < 10 범위 안에서 서직 윤곽을 만족한다. ''n'' 값은 은하의 크기와 광도에 상관이 있는데, 크고 밝은 은하일수록 ''n''이 커지는 경향이 있다.[26][27]

''n'' = 4를 대입하면 드보쿨뢰르 윤곽이 되며,

:I(R) ∝ e^(-kR^(1/4))

이것은 타원은하에 잘 맞는다.

''n'' = 1을 대입하면 지수 윤곽(exponential profile)이 되며,

:I(R) ∝ e^(-kR)

이것은 나선은하의 원반과 왜소타원은하에 잘 맞는다.

대부분의 은하는 1/2 < ''n'' < 10 범위의 지수를 갖는 서직 프로파일로 적합하다.

최적의 ''n'' 값은 은하의 크기와 광도와 상관관계가 있어 더 크고 밝은 은하일수록 더 큰 ''n'' 값으로 적합되는 경향이 있다.[5][6]

''n'' = 4로 설정하면 드 보클레르 프로파일이 된다.

: I(R) ∝ e^(-bR^(1/4))

이는 일반적인 타원 은하를 대략적으로 근사한 것이다.

''n'' = 1로 설정하면 지수 프로파일이 된다.

: I(R) ∝ e^(-bR)

이는 나선 은하 원반을 잘 근사하며 왜소 타원 은하를 대략적으로 근사한다. 서직 지수(즉, 은하 집중도[7])와 은하 형태 사이의 상관관계는 때때로 먼 은하의 허블 유형을 결정하기 위한 자동화된 방식에 사용된다.[8] 서직 지수는 또한 은하 중심에 있는 초대질량 블랙홀의 질량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9]

서직 프로파일은 서직 지수가 헤일로 질량과 상관관계가 있는 암흑 물질 헤일로를 설명하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다.[10][11]
핵-서직 모델 (Core-Sérsic model)가장 밝은 타원 은하는 종종 서직의 법칙/Sérsic's law영어으로 잘 설명되지 않는 저밀도 핵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은하를 설명하기 위해 핵-서직 모델군이 도입되었다.[12][13][14] 핵-서직 모델은 핵을 설명하는 추가적인 매개변수 집합을 가지고 있다.

왜소 타원 은하와 벌지는 종종 점과 같은 은하 핵을 가지고 있으며, 이 또한 서직의 법칙으로 잘 설명되지 않는다. 이러한 은하는 종종 핵을 나타내는 추가적인 중심 구성 요소를 가진 서직 모델로 맞추어진다.[15][16]

아인슈타인 프로파일은 *I* 가 체적 밀도인 *ρ* 로 대체되고, *R* 이 하늘에 투영되지 않은 중심으로부터의 내부 거리인 *r* 로 대체된다는 점을 제외하면 서직 프로파일과 수학적으로 동일하다.

3. 3. 1. 핵-서직 모델 (Core-Sérsic model)

가장 밝은 타원 은하는 종종 서직의 법칙/Sérsic's law영어으로 잘 설명되지 않는 저밀도 핵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은하를 설명하기 위해 핵-서직 모델군이 도입되었다.[12][13][14] 핵-서직 모델은 핵을 설명하는 추가적인 매개변수 집합을 가지고 있다.

왜소 타원 은하와 벌지는 종종 점과 같은 은하 핵을 가지고 있으며, 이 또한 서직의 법칙으로 잘 설명되지 않는다. 이러한 은하는 종종 핵을 나타내는 추가적인 중심 구성 요소를 가진 서직 모델로 맞추어진다.[15][16]

아인슈타인 프로파일은 *I* 가 체적 밀도인 *ρ* 로 대체되고, *R* 이 하늘에 투영되지 않은 중심으로부터의 내부 거리인 *r* 로 대체된다는 점을 제외하면 서직 프로파일과 수학적으로 동일하다.

3. 3. 2. 점광원 추가

요약(summary)에 내용이 없습니다. 요약에 내용을 채워주세요.

3. 3. 3. 아인슈타인 프로파일

가장 밝은 타원 은하는 종종 서직의 법칙(Sérsic's law)으로 잘 설명되지 않는 저밀도 핵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은하를 설명하기 위해 핵-서직 모델(core-Sérsic model)군이 도입되었다.[12][13][14] 핵-서직 모델은 핵을 설명하는 추가적인 매개변수 집합을 가지고 있다.

왜소 타원 은하와 벌지는 종종 점과 같은 은하 핵을 가지고 있으며, 이 또한 서직의 법칙으로 잘 설명되지 않는다. 이러한 은하는 종종 핵을 나타내는 추가적인 중심 구성 요소를 가진 서직 모델로 맞추어진다.[15][16]

아인슈타인 프로파일은 체적 밀도(I)가 \rho로 대체되고, 투영되지 않은 중심으로부터의 내부 거리(R)가 r로 대체된다는 점을 제외하면 서직 프로파일과 수학적으로 동일하다.

참조

[1] 논문 Influence of the atmospheric and instrumental dispersion on the brightness distribution in a galaxy https://ui.adsabs.ha[...] 1963-02-01
[2] 논문 Analytical properties of the R^(1/m) luminosity law 1999
[3] 논문 A Concise Reference to (Projected) Sérsic R1/n Quantities, Including Concentration, Profile Slopes, Petrosian Indices, and Kron Magnitudes https://ui.adsabs.ha[...] 2005-01-01
[4] 논문 The supermassive black hole mass-Sérsic index relations for bulges and elliptical galaxies 2013-09-01
[5] 논문 On the Shape of the Light Profiles of Early Type Galaxies 1993-12-01
[6] 논문 A New Extragalactic Distance Indicator Based on the Surface Brightness Profiles of Dwarf Elliptical Galaxies 1994-05-01
[7] 논문 On the estimation of galaxy structural parameters: the Sérsic model 2001-09-01
[8] 논문 The morphology-density relation: a constant of nature https://ui.adsabs.ha[...] 2008-07-01
[9] 논문 A Log-Quadratic Relation for Predicting Supermassive Black Hole Masses from the Host Bulge Sérsic Index https://ui.adsabs.ha[...] 2007-01-01
[10] 논문 A Universal Density Profile for Dark and Luminous Matter? https://ui.adsabs.ha[...] 2005-05-01
[11] 논문 Empirical Models for Dark Matter Halos. I. Nonparametric Construction of Density Profiles and Comparison with Parametric Models https://ui.adsabs.ha[...] 2006-12-01
[12] 논문 A New Empirical Model for the Structural Analysis of Early-Type Galaxies, and A Critical Review of the Nuker Model https://ui.adsabs.ha[...] 2003-06-01
[13] 논문 Evidence for a New Elliptical-Galaxy Paradigm: Sérsic and Core Galaxies https://ui.adsabs.ha[...] 2004-04-01
[14] 논문 Density-potential pairs for spherical stellar systems with Sérsic light profiles and (optional) power-law cores 2005-09-01
[15] 논문 HST Photometry of Dwarf Elliptical Galaxies in Coma, and an Explanation for the Alleged Structural Dichotomy between Dwarf and Bright Elliptical Galaxies https://ui.adsabs.ha[...] 2003-06-01
[16] 논문 The ACS Virgo Cluster Survey. VIII. The Nuclei of Early-Type Galaxies https://ui.adsabs.ha[...] 2006-07-01
[17] 천문학辞典
[18] 서적 Galaxy Formation and Evolu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0
[19] 논문 Stellar systems following the R1/m luminosity law 1991
[20] 논문 A Concise Reference to (Projected) Sérsic R1/n Quantities, Including Concentration, Profile Slopes, Petrosian Indices, and Kron Magnitudes
[21] 천문학辞典 ドゥ・ボークルール則
[22] 웹사이트 秋山正幸「銀河物理学特論I」 https://www.astr.toh[...] 2019-07-02
[23] 천문학辞典 指数法則(銀河の輝度分布の)
[24] 서적 Galaxy Formation and Evolu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0
[25] 간행물 Influence of the atmospheric and instrumental dispersion on the brightness distribution in a galaxy http://adsabs.harvar[...] 1963
[26] 간행물 On the Shape of the Light Profiles of Early Type Galaxies http://adsabs.harvar[...] 1993
[27] 간행물 A New Extragalactic Distance Indicator Based on the Surface Brightness Profiles of Dwarf Elliptical Galaxies http://adsabs.harvar[...] 199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