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소프트웨어 크래킹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소프트웨어 크래킹은 소프트웨어의 복제 방지 기술을 우회하여 소프트웨어를 불법적으로 사용하는 행위를 의미한다. 초기에는 컴퓨터 애호가들이 기술적 우위를 과시하기 위해 경쟁적으로 크래킹을 시도했으며, 인터넷의 발달과 함께 온라인 조직을 형성하여 정보를 공유했다. 크래킹 방법으로는 바이너리 수정, 디컴파일 등이 있으며, 이는 소프트웨어 불법 복제의 주요 원인이 되어 법적, 윤리적 문제로 이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와레즈 - P2P
    P2P는 인터넷 연결된 리소스를 활용하는 분산 컴퓨팅 네트워크 아키텍처로, 파일 공유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발전하여 다양한 분야로 확장되었으며, 인덱스 정보 관리 방식에 따라 여러 유형으로 분류되고 사회적 함의를 지닌다.
  • 와레즈 - 키젠
    키젠은 소프트웨어 불법 복제를 위해 라이선스 키를 생성하거나 인증을 우회하는 프로그램으로, 리버스 엔지니어링을 통해 인증 알고리즘을 분석하며, 멀웨어와 함께 배포되기도 한다.
  • 해커 문화 - 메이커 문화
    메이커 문화는 재미와 자기 충족을 동기로 능동적 학습을 장려하며, 다양한 영역의 융합과 커뮤니티 기반 지식 공유를 통해 개인 맞춤형 제작을 가능하게 하는 문화 현상이다.
  • 해커 문화 - 해커스페이스
    해커스페이스는 카오스 컴퓨터 클럽의 영향을 받아 시작된 개방적인 커뮤니티 공간으로, 지식 공유, 커뮤니티 형성, 자유 소프트웨어 및 오픈 하드웨어 개발, 사회 참여 활동 지원, 그리고 소외 계층의 참여 확대를 위한 노력을 특징으로 한다.
  • 저작권 침해 - 하이스코어 걸
    하이스코어 걸은 1990년대 대전 격투 게임 붐을 배경으로 《스트리트 파이터 II》를 통해 인연을 맺는 주인공 야구치 하루오와 히로인 오노 아키라의 러브 코미디 만화 시리즈이며, 등장인물들의 심경을 게임으로 표현하고 작가의 게임 경험이 담겨 있어 회상록으로도 즐길 수 있는 작품으로, 애니메이션으로도 제작되었다.
  • 저작권 침해 - 슈퍼햄스밴드
    슈퍼햄스밴드는 최정인 원작, 두루픽스 제작의 대한민국 애니메이션으로, 밴드 결성을 희망하는 소녀와 외계인 공주, 밴드부 멤버들의 이야기를 담아 MBC에서 2009년부터 2011년까지 방영되었으며 이선주, 이용신 등 여러 성우가 참여했다.
소프트웨어 크래킹
개요
정의소프트웨어의 기능을 의도적으로 변경하는 행위
목적불법 복제 방지 우회
기능 제한 제거
소프트웨어 사용 기간 제한 해제
소프트웨어의 취약점 분석
기술적인 측면
주요 활동디스어셈블링
리버스 엔지니어링
패치 적용
키젠 (Keygen) 생성
크래커의 역할소프트웨어 보호 메커니즘을 우회하거나 제거
관련 용어
로더 (Loader)메모리에 로드하여 실행하는 프로그램
크랙 (Crack)소프트웨어 보호를 제거하거나 우회하는 데 사용되는 도구 또는 기술
법적 측면
저작권 침해크래킹은 저작권 침해에 해당될 수 있음
역공학 (Reverse Engineering)특정 조건 하에 합법적으로 인정될 수 있음
윤리적 측면
논쟁의 여지크래킹은 상업적 이익을 해치고 소프트웨어 개발자의 권리를 침해한다는 비판이 있음
역사
초기 동기무료 또는 무제한으로 소프트웨어 사용
크래킹 방법
패치 적용실행 파일 수정
키젠 생성유효한 시리얼 키 생성
로더 사용보호 루틴 우회
에뮬레이터 사용소프트웨어의 동작을 모방하여 보호 우회
크래킹의 목적
상업적 소프트웨어불법 복제
기능 제한 제거
사용 기간 제한 해제
비상업적 소프트웨어소프트웨어의 취약점 분석
개인적인 용도로 소프트웨어 수정
크래킹 도구
디스어셈블러실행 파일을 어셈블리어 코드로 변환
디버거프로그램 실행을 추적하고 분석
패치 적용 도구실행 파일 수정
키젠 생성 도구시리얼 키 생성
크래킹의 합법성
저작권법 위반대부분의 국가에서 소프트웨어 크래킹은 저작권법 위반임
역공학의 예외특정 조건 하에 역공학은 합법적으로 인정될 수 있음

2. 역사

소프트웨어 크래킹의 역사는 소프트웨어 산업의 발전과 함께 시작되었다. 초기에는 컴퓨터 애호가들이 기술적 우위를 과시하거나 도전을 목적으로 크래킹을 시도했지만, 인터넷의 발달과 함께 조직화, 상업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소프트웨어는 생산 비용이 비싸지만 복제 및 배포는 저렴하기 때문에, 소프트웨어 제작자들은 시장에 출시하기 전에 복제 방지 기술을 적용하려 했다. 그러나 1984년, 소프트웨어 보호 회사 Formaster의 라인드 헌츠먼은 "어떤 보호 시스템도 기업가적인 프로그래머에 의해 몇 달 이상 크랙되지 않은 채로 남아있지 않았다"고 언급했다.[13] 2001년, 라이스 대학교의 댄 S. 왈라흐 교수는 "복제 방지를 우회하려는 사람은 항상 그렇게 할 방법을 찾아왔고, 앞으로도 그럴 것이다"라고 주장했다.[14]

2017년, 소프트웨어 크래커 그룹은 애플 II 소프트웨어의 복제 방지를 제거하여 보존하는 프로젝트를 시작했다.[16]

해킹은 컴퓨터나 소프트웨어의 구조를 연구하고 조사하는 행위이다. 해킹 자체는 "높은 기술 수준을 필요로 하는 컴퓨터 이용"과 같은 의미이며, 선악의 요소를 가지지 않는다. 반면 크래킹은 파괴 등을 동반하여 타인에게 피해를 주거나, 숨겨진 데이터에 부정한 방법으로 접근하는 등 악의나 해의를 동반하는 것을 의미하며, 명확한 부정적인 의미를 가진다.

"크래킹(Cracking)"은 "Crack"의 동명사형으로, "쪼개다", "금이 가다" 등의 의미이다. 즉, 물체를 처음 의도한 상태보다 나쁜 상태로 만들어 원래의 용도로 사용하기 어렵게 만드는 것이다. 이것을 컴퓨터 프로그램이나 데이터에 적용하여 "원래대로 되돌릴 생각도 없이, 반쯤 시스템을 파괴하면서 억지로 사용하는" 의미로 사용되게 되었다.

"해킹(Hacking)"은 "Hack"의 동명사형으로, "날카롭게 잘게 부수다"라는 의미이며, 장작 패기 등의 이미지가 있다. 물체를 처음 상태에서 잘게 쪼개어 일단 사용할 수 있는 상태로 만드는 것을 의미한다.

일본에서는 크래킹이 전자 계산기 손괴 등 업무 방해죄나 부정 액세스 행위의 금지 등에 관한 법률 (부정 액세스 금지법)에 저촉되어, 형사 처벌의 대상이 된다.

2. 1. 초기 크래킹 문화

1980년대 컴퓨터 애호가들은 주로 기술적 도전을 목적으로 크래킹을 시도했다.[13] 이들은 소프트웨어 크래킹 및 배포에서 서로 경쟁하는 그룹을 형성하기도 했다. 새로운 복제 방지 체계를 가능한 한 빨리 깨는 것은 자신의 기술적 우위를 증명할 기회로 여겨졌다.[13]

소프트웨어 크래커들은 자신의 행동으로 물질적인 이익을 얻지 않았으며, 그들의 동기는 보호 제거라는 도전 그 자체였다.[13] 이들은 크랙하고 출시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에 크랙 인트로라는 애니메이션 화면을 첨부하여 자신과 기술을 광고했다.[15] 기술 경쟁이 크래킹에서 시각적으로 놀라운 인트로 제작으로 확장되자, 데모신이라는 새로운 하위 문화가 생겨났다. 데모신은 1990년대에 불법적인 "warez scene"으로부터 분리되어 현재는 완전히 다른 하위 문화로 여겨진다.

2. 2. 인터넷과 조직화

인터넷의 발달로 소프트웨어 크래커들은 비밀스러운 온라인 조직을 만들기 시작했다. 1990년대 후반, 프라비아의 웹사이트는 "소프트웨어 보호 리버싱"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곳으로 알려졌다.[17]

올드 레드 크래커(+ORC)가 설립한 ''하이 크래킹 대학교''(High Cracking University, +HCU)는 리버스 코드 엔지니어링(RCE) 연구를 발전시킨 대표적인 조직이다. +ORC는 RCE 분야의 선구자로 여겨지며, 그가 가르치고 저술한 글들은 이 분야의 고전으로서 RCE를 배우는 학생들에게 필독서로 여겨진다.[17]

+HCU 멤버들은 리버서 닉네임 앞에 "+" 기호를 붙여 표시했다. +HCU에는 세계 최고 수준의 윈도우 리버서들이 있었다.[17] +HCU는 매년 새로운 리버스 엔지니어링 문제를 발표했고, 가장 뛰어난 답을 제출한 소수의 응답자만이 학부생으로 선발되었다.[17]

+Fravia는 +HCU의 교수였다. 그의 웹사이트 "+Fravia의 리버스 엔지니어링 페이지"는 프로그래머뿐만 아니라 일반 대중에게도 "부패하고 만연한 물질주의의 세뇌"를 "리버스 엔지니어링"할 것을 촉구했다. 그의 웹사이트는 전성기에 연간 수백만 명의 방문자를 기록하며 큰 영향력을 가졌다.[17] +Fravia는 자신의 사이트에서 +HCU 학생들이 만든 튜토리얼 데이터베이스를 보존했다.[18]

오늘날 대부분의 +HCU 졸업생들은 리눅스로 옮겨갔으며, 윈도우 리버서로 남은 사람은 거의 없다. +HCU의 자료들은 새로운 세대의 RCE 연구자와 실무자들에 의해 재발견되어, 이 분야의 새로운 연구 프로젝트들이 시작되었다.[17]

3. 방법

소프트웨어 크래킹은 여러 기술적 방법을 통해 이루어진다.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프로그램의 특정 분기를 조작하기 위해 애플리케이션 바이너리를 수정하는 것이다. 크래커는 디버거헥사 편집기를 이용하여 바이너리 코드를 변경하여 특정 서브루틴을 실행하거나 건너뛰게 할 수 있다.[20] 사유 소프트웨어 개발자들은 코드 난독화, 암호화 등의 기술을 사용하지만, 크랙된 프로그램이 쉽게 배포되기 때문에 어려움을 겪는다.

시간 제한이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만료 시간을 제거하거나, 하드웨어 동글을 요구하는 소프트웨어의 제한을 푸는 것도 가능하다.

다른 방법으로는, 원본 소스 코드를 얻기 위해 프로그램을 역컴파일하는 것이 있다. 이는 스크립트 언어JIT 컴파일을 사용하는 언어에서 가능하다. 예를 들어, 자바 바이트코드는 플랫폼에 의존적인 기계어로 컴파일되기 전의 중간 언어이다.

시큐롬, 세이프디스크, 스타포스와 같은 복사 방지 기술을 리버싱하는 것은 크래커들에게 많은 시간과 노력을 요구한다.

인터넷에는 크랙된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할 수 있는 사이트들이 많이 존재한다. 이러한 크랙은 불법 다운로드를 통해 소프트웨어를 얻은 사람들에게도 사용된다.

3. 1. 바이너리 수정

소프트웨어 크래킹의 가장 흔한 방법은 프로그램의 실행 파일(바이너리)을 직접 수정하는 것이다. 이는 프로그램 실행에서 특정 분기를 유발하거나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진다.[20] 이를 위해 x64dbg, SoftICE,[19] OllyDbg, GDB, MacsBug 등의 디버거를 사용하여 컴파일된 프로그램 코드를 리버스 엔지니어링한다. 또한, IDA와 같은 디스어셈블러를 사용하여 실행 파일을 분해하기도 한다.[20]

바이너리 수정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크래커는 소프트웨어를 보호하는 주요 메서드를 포함하는 서브루틴에 도달할 때까지 리버스 엔지니어링을 계속한다. 그 후, HIEW,[21] 모니터와 같은 헥스 에디터를 사용하여 분기 opcode를 보완하거나 NOP opcode로 대체한다. 이를 통해 특정 서브루틴을 항상 실행하거나 건너뛰도록 키 분기를 수정한다. 대부분의 소프트웨어 크랙은 이러한 방식을 변형한 것이다.[22]

독점 소프트웨어 개발자들은 코드 난독화, 암호화, 자기 수정 코드와 같은 기술을 통해 바이너리 수정을 어렵게 만든다.[23] 그러나 숙련된 크래커들은 크랙된 EXE 파일이나 인스톨러를 배포하여 일반 사용자들이 직접 크랙할 필요가 없도록 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기술의 예시로는 기간 제한이 있는 평가판 소프트웨어의 만료 시간을 제거하는 크랙이 있다. 이러한 크랙은 보통 프로그램 실행 파일을 변경하며, 때로는 응용 프로그램에 연결된 .dll 또는 .so 파일을 변경하기도 한다. 이 과정을 패칭이라고 한다.[24]

3. 2. 디컴파일

디컴파일(Decompilation)은 컴파일된 프로그램을 역컴파일하여 소스 코드에 가깝게 복원하고, 이를 분석하여 취약점을 찾거나 수정하는 방법이다.[3] 이는 주로 스크립트 언어JIT 컴파일 방식을 사용하는 언어에서 가능하다.[3] 예를 들어, 자바 바이트코드는 프로그램이 플랫폼에 의존적인 기계어로 컴파일되기 전의 중간 언어로서 사용된다.[3]

3. 3. 기타 방법

CloneCD와 같은 특수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상용 복제 방지 응용 프로그램의 사용을 검색하고, Alcohol 120%, CloneDVD, Game Jackal, Daemon Tools와 같은 도구를 사용하여 소프트웨어의 복제 방지를 제거하기도 한다. 검색 가능한 상용 복제 방지 응용 프로그램에는 SafeDisc 및 StarForce가 있다.[25]

시리얼 번호 생성기(Keygen)를 이용해 정품 인증을 우회하는 방법도 있다.

4. 법적 문제

소프트웨어 크래킹은 전 세계적으로 불법 복제 소프트웨어 유통(소프트웨어 불법 복제)을 야기했다. 1996년 미국은 비즈니스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분야에서 23억달러의 손실을 본 것으로 추산되었다. 소프트웨어 불법 복제율은 아프리카, 아시아, 동유럽 및 라틴 아메리카 국가에서 특히 만연했다. 인도네시아, 파키스탄, 쿠웨이트, 중국, 엘살바도르와 같은 특정 국가에서는 사용되는 소프트웨어의 90%가 불법 복제되었다.[29]

컴퓨터나 소프트웨어의 구조를 연구, 조사하는 행위는 해킹이라고 하며, 해킹 자체는 "높은 기술 수준을 필요로 하는 컴퓨터 이용"과 같은 의미로 선악의 요소를 가지지 않는다. 그 중, 파괴 등을 동반하여 타인에게 폐를 끼치는 것, 숨겨진 데이터에 부정한 방법으로 접근하는 등 악의나 해의를 동반하는 것을 크래킹이라고 부르며, 여기에는 명확한 부정적인 의미가 있다.

일본에서는 전자계산기손괴 등 업무방해죄나 부정접속행위의 금지 등에 관한 법률(부정 액세스 금지법)에 저촉되어, 형사처벌의 대상이 된다.

4. 1. 한국의 법률

대한민국에서 소프트웨어 크래킹은 다음과 같은 법률을 위반할 수 있다.

법률위반 내용
저작권법복제권, 배포권, 2차적 저작물 작성권 등을 침해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악성 프로그램 유포, 정보통신망 침해 행위 등에 해당
형법컴퓨터 등 장애 업무방해죄, 사기죄 등이 적용될 수 있음


5. 윤리적 문제

소프트웨어 크래킹은 저작권자의 권리를 침해하고, 소프트웨어 산업의 발전을 저해할 수 있다는 윤리적 문제가 있다.

해킹은 컴퓨터나 소프트웨어의 구조를 연구, 조사하는 행위로, 본래 선악의 요소를 가지지 않는다. 그러나 타인에게 피해를 주거나, 숨겨진 데이터에 부정한 방법으로 접근하는 등 악의나 해의를 동반하는 행위를 크래킹이라고 하며, 이는 명확히 부정적인 의미를 가진다.

해킹과 크래킹을 동일시하는 경우도 있지만, 해킹은 본래 부정적인 의미가 없으므로, 크래킹의 의미로 사용하는 것은 오용이라는 주장이 있다. "크래킹"이라는 단어는 "악의·해의를 동반하는 해킹"을 단순한 "해킹"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기 시작했다.

일본에서는 전자 계산기 손괴 등 업무 방해죄나 부정 액세스 행위의 금지 등에 관한 법률 (부정 액세스 금지법)에 저촉되어 형사 처벌의 대상이 된다.

5. 1. 찬성 측 주장

크래킹(Cracking)은 "쪼개다", "금이 가다" 등의 의미를 가진 영어 단어 "Crack"에서 유래되었다. 이는 컴퓨터 프로그램이나 데이터에 적용되어, 원래의 용도로 사용하기 어렵게 만드는 행위를 의미한다.[1]

일반적으로 크랙을 할 때는 취약점을 공격하기 위해 임시변통의 도구를 만들거나 사용하여 크래커가 원하는 대로 작동하게 하는 경우가 많다.[1] 이는 해킹에 해당하며, 이러한 이유로 크래킹과 해킹이 혼용되어 사용되기도 한다.[1]

5. 2. 반대 측 주장

소프트웨어 크래킹은 전 세계적으로 불법 복제 소프트웨어 유통을 야기하여, 소프트웨어 개발자의 수익을 감소시키고 창작 의욕을 저해한다.[28] 1996년 미국은 비즈니스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분야에서 23억달러의 손실을 본 것으로 추산되었다.[28] 특히 아프리카, 아시아, 동유럽 및 라틴 아메리카 국가에서 소프트웨어 불법 복제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인도네시아, 파키스탄, 쿠웨이트, 중국, 엘살바도르와 같은 국가에서는 사용되는 소프트웨어의 90%가 불법 복제된 것으로 나타났다.[29]

또한, 크랙된 소프트웨어는 악성코드 감염, 개인 정보 유출 등 보안 위협을 초래할 수 있으며, 이는 불법 복제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6. 관련 작품


  • 블러디・먼데이|블러디 먼데이일본어: 해커와 크래커의 대결을 다룬 일본 만화 및 드라마이다.
  • 춤추는 대수사선 THE MOVIE3: 야츠라를 해방하라!|춤추는 대수사선 THE MOVIE3: 야츠라를 해방하라!일본어: 시스템 해킹을 소재로 한 일본 영화이다.
  • 『The Art of Intrusion 해커: 그 침입의 수법 그들은 상식을 뛰어넘는다』: 케빈 미트닉 등 유명 해커들의 실화를 바탕으로 한 책이다.

참조

[1] 뉴스 Isepic https://archive.org/[...] 1985-10
[2] 서적 Microsoft Encyclopedia of Security http://examples.orei[...] Microsoft Press 2003
[3] 서적 Proceedings of the 2012 ACM conference on Computer and communications security ACM 2012-10-16
[4] 서적 Software Piracy Exposed - Secrets from the Dark Side Revealed Syngress Publishing 2005-04
[5] 간행물 Cracking with Loaders: Theory, General Approach, and a Framework Universitas-Virtualis Research Project 2006-01
[6] 간행물 Guide on how to play with processes memory, writing loaders, and Oraculumns Universitas-Virtualis Research Project 2006-05
[7] 웹사이트 Test_Drive_Ferrari_Legends_PROPER-FLT http://www.srrdb.com[...] 2014-09-13
[8] 웹사이트 The_Sims_3_70s_80s_and_90s_Stuff-FLT http://www.srrdb.com[...] 2014-09-13
[9] 웹사이트 Test.Drive.Ferrari.Racing.Legends.Read.Nfo-SKIDROW http://www.srrdb.com[...] 2014-09-13
[10] 웹사이트 Batman.Arkham.City-FiGHTCLUB nukewar https://pre.corrupt-[...] 2011-12-02
[11] 웹사이트 Microsoft files lawsuit over DRM crack https://arstechnica.[...] 2017-06-15
[12] 웹사이트 Is reverse engineering legal? http://www.woodmann.[...] 1998-11
[13] 웹사이트 What Motivates Software Crackers? http://people.anu.ed[...] Sigi Goode and Sam Cruise,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Journal of Business Ethics (2006) 2022-04-30
[14] 간행물 Copy protection technology is doomed https://ieeexplore.i[...] 2023-03-10
[15] 간행물 Crack Intros: Piracy, Creativity and Communication https://ijoc.org/ind[...] 2022-06-17
[16] 뉴스 Programmers Are Racing to Save Apple II Software Before It Goes Extinct https://motherboard.[...] Motherboard 2017-07-24
[17] 서적 Security Warrior https://archive.org/[...] "O'Reilly Media, Inc." 2004-01-12
[18] 웹사이트 Academy Home Page https://rdk.deadbsd.[...] 2022-05-17
[19] 간행물 Software Cracking (April 2007) https://courses.ece.[...] The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 Electrical and Computer Engineering 2018-01-27
[20] 서적 Crackproof Your Software: Protect Your Software Against Crackers No Starch Press 2002
[21] 웹사이트 Protecting Software Codes By Guards https://www.cerias.p[...] Hoi Chang, Mikhail J. Atallah, CERIAS, Purdue University (2001) 2022-06-06
[22] 웹사이트 Reversing a Self-Modifying Binary with radare2 https://www.megabeet[...] 2023-06-29
[23] 서적 Reverse engineering code with IDA Pro https://www.worldcat[...] Syngress Pub 2022-06-08
[24] 서적 Reversing : secrets of reverse engineering https://www.worldcat[...] Wiley 2005
[25] 웹사이트 Backup Protected Game CD/DVDs http://m0001.gamecop[...] 2008-06-11
[26] 웹사이트 A Survey of Reverse Engineering Tools for the 32-Bit Microsoft Windows Environment https://www.cs.drexe[...] College of EngineeringDrexel University 2022-06-07
[27] 간행물 Warez Wars https://www.wired.co[...] 2020-02-04
[28] 간행물 Global software piracy: you can't get blood out of a turnip 2000-09
[29] 간행물 International Software Piracy: Analysis of Key Issues and Impacts https://www.jstor.or[...] 1998
[30] 서적 Microsoft Encyclopedia of Security http://examples.orei[...] Microsoft Press 2015-11-05
[31] 서적 Software Piracy Exposed - Secrets from the Dark Side Revealed https://archive.org/[...] Syngress Publishing 2005-04
[32] 웹인용 The_Sims_3_70s_80s_and_90s_Stuff-FLT http://www.srrdb.com[...] 2013-01-22
[33] 저널 Cracking with Loaders: Theory, General Approach, and a Framework Universitas-Virtualis Research Project 2006-01
[34] 웹인용 Microsoft files lawsuit over DRM crack http://arstechnica.c[...] 2006-09-27
[35] 웹인용 Is reverse engineering legal? http://www.woodmann.[...] 2015-11-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