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솔이끼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솔이끼과는 솔이끼강에 속하는 이끼과의 하나이다. 알로포시아, 주름솔이끼속, 들솔이끼속, 솔이끼속 등을 포함한 여러 속을 포함한다. 계통 분류를 통해 솔이끼강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솔이끼과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솔이끼과
큰솔이끼
학명Polytrichaceae
과 명명자Schwägr.
상위 분류군Doweld
목 명명자M. Fleisch.
스기고케속 외 22개 속 (본문 참조)
화석 기록발랑진절
하위 분류
Atrichopsis
Atrichum
Bartramiopsis
Dawsonia
Dendroligotrichum
Hebelia
Itatiella
Lyellia
Meiotrichum
Oligotrichum
Plagioracelopus
Polytrichastrum
Polytrichum (스기고케속)
Polytrichadelphus
Pogonatum
Pseudatrichum
Psilopilum
Steereobryon

2. 하위 속

솔이끼과에는 다음과 같은 속이 분류된다.


  • ''Alophosia''
  • ''Atrichopsis''
  • 주름솔이끼속 (''Atrichum'')
  • 풍령이끼속 (''Bartramiopsis'')
  • 나사솔이끼속 (''Dawsonia'')
  • ''Dendroligotrichum''
  • ''Hebantia''
  • ''Itatiella''
  • ''Lyellia''
  • ''Meiotrichum''
  • ''Notoligotrichum''
  • 날개주름솔이끼속 (''Oligotrichum'')
  • ''Plagioracelopus''
  • 들솔이끼속 (''Pogonatum'')
  • ''Polytrichadelphus''
  • 산솔이끼속 (''Polytrichastrum'')
  • 솔이끼속 (''Polytrichum'')
  • ''Pseudatrichum''
  • ''Pseudoracelopus''
  • ''Psilopilum''
  • ''Racelopodopsis''
  • ''Racelopus''
  • ''Steereobryon''


주름솔이끼(''Atrichum undulatum'')

3. 형태적 특징

솔이끼류는 잎 표면에 세로로 배열된 판 모양의 돌기 구조인 '''박판'''이 있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외형적으로는 비늘이끼나 바람개비이끼처럼 잎의 질이 부드러운 것부터 다소 딱딱한 것, 잎 끝이 침 모양으로 뾰족한 것까지 다양하다. 특히 잎의 질이 부드러운 종류는 실이끼 무리와 혼동하기 쉽다.

솔이끼류를 동정할 때는 건조했을 때 잎이 보이는 변화를 중요한 특징으로 삼는다. 예를 들어, 잎이 강하게 말리는지, 느슨하게 구부러지는지, 줄기에 느슨하게 또는 강하게 붙는지, 한쪽 방향으로 낫처럼 휘는지 등을 관찰한다. 이러한 건조 시 잎의 변화 특징은 꼬리이끼 등을 포함하는 꼬리이끼과의 식물을 동정할 때도 이용된다. 잎 자체의 모양 역시 구별에 중요한 형질로 여겨진다.

4. 생태 및 분포

솔이끼류는 잎 표면에 세로로 배열된 판 모양의 돌기 구조인 '''박판'''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솔이끼나 왕솔이끼 등 솔이끼류의 여러 종은 이끼 정원 등에 심기도 한다.

솔이끼류는 습도가 높은 수림 속, 습한 땅, 맨땅, 바위 틈 등 다양한 환경에서 자란다. 겉모습은 비늘이끼나 바람개비이끼처럼 잎이 부드러운 것부터 다소 딱딱한 것, 잎 끝이 바늘처럼 뾰족한 것까지 다양하다. 이 중에서 잎이 부드러운 종류는 실이끼 무리와 혼동하기 쉽다.

솔이끼류는 꼬리이끼 등을 포함하는 꼬리이끼과의 여러 종과 함께 산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대표적인 이끼이며, 환경 조건에 따라 서로 다른 곳에 자라거나 함께 섞여 자라기도 한다. 솔이끼류 중에서도 넓은 환경에 적응해 자라는 종이 있는가 하면, 특정 환경에서만 자라는 종도 있다. 예를 들어 고산솔이끼나 털솔이끼 등은 주로 높은 산지에서만 발견된다.

사슴이 풀을 많이 뜯어 먹어 맨땅이 드러난 환경에서도 고사리 군락 사이에서 실솔이끼나 붓이끼 군락이 보이기도 한다.

솔이끼류를 구분할 때는 마른 상태에서 잎이 어떻게 변하는지를 관찰하는 것이 중요하다. 잎이 심하게 말리는지, 느슨하게 구부러지는지, 줄기에 느슨하게 붙는지 혹은 단단하게 붙는지, 한쪽 방향으로 낫처럼 휘는지 등의 특징을 이용한다. 이러한 특징은 꼬리이끼과 식물을 구분할 때도 사용된다. 잎의 모양 역시 종을 구별하는 중요한 기준이 된다.

5. 계통 분류

이끼류의 계통 분류에서 솔이끼과(Polytrichaceae)는 솔이끼강(Polytrichopsida)에 속한다. 솔이끼강은 솔이끼목(Polytrichales) 아래에 있으며, 솔이끼과가 이 목에 포함된다.[6][7]

분자계통학적 DNA 염기 서열 데이터에 기초한 연구에 따르면, 솔이끼강은 네잎이끼강(Tetraphidopsida)과 가장 가까운 관계이며, 이 두 강은 망울이끼강(Bryopsida)과 함께 하나의 분기군을 형성한다.[4][5]

참조

[1] 논문 The diversity of the Polytrichopsida—a review https://www.mapress.[...] 2021
[2] 웹사이트 Polytrichaceae "http://www.efloras.[...] 2024-07-19
[3] 보고서 Shorter contributions to general geology, 1925 https://pubs.usgs.go[...]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4] 서적 Bryophyte Biology Cambridge University Press
[5] 논문 Systematics of the Bryophyta (Mosses): From molecules to a revised classification Missouri Botanical Garden Press
[6] 서적
[7] 저널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