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망울이끼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망울이끼강은 물우산대이끼아강, 리본이끼아강, 망울이끼아강의 3개 아강으로 분류된다. 분자생물학적 연구를 바탕으로 한 계통 분류 체계가 있으며, 2015년 노비코프와 바라바스-크라스니의 연구가 중요한 기여를 했다. 각 아강은 하위 목(目)들을 포함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우산이끼류 - 미주타니아 리카르디오이데스
    미주타니아 리카르디오이데스는 일본에서 유래된 이름의 누에고케라고 불리는 태류 식물로, 한 겹의 세포층으로 이루어진 엽상체를 가지며 고사리과의 전엽체와 유사한 외관을 띄고, 비늘이끼목 구멍이끼과에 속한다.
  • 우산이끼류 - 산호우산대이끼과
    산호우산대이끼과는 메츠게리알레스 목에 속하는 단순한 엽상체 선태류 과로, 종의 구분이 어렵고 유전자 연구를 통해 형태적으로 숨겨진 종이 밝혀졌으며, 초록우산대이끼속, Cryptothallus, Lobatiriccardia, 산호우산대이끼속, Verdoornia 등이 속한다.
망울이끼강 - [생물]에 관한 문서
개요
''Jungermannia hyalina''
Jungermannia hyalina
학명Jungermanniopsida
명명자Stotler & Stotl.-Crand., 1977 emend. 2000
하위 분류 계급
하위 분류Jungermanniidae
Jungermanniales
Porellales
Ptilidiales
Metzgeriidae
Metzgeriales
Pleuroziales
Pelliidae
Fossombroniales
Pallaviciniales
Pelliales

2. 하위 분류


Hymenophytaceae
Moerckiaceae
Pallaviciniaceae (Dilaenaceae, Symphyogynaceae)
Sandeothallaceae

  • ** Phyllothalliineae (아목)

Phyllothalliaceae
Calyculariaceae

  • ** Fossombroniineae (아목) (Codoniineae)

Allisoniaceae
Fossombroniaceae (Codoniaceae)
Petalophyllaceae

  • ** Makinoiineae (아목)

Makinoaceae

  • 리본이끼아강 (Metzgeriidae)
  • * 플레우로지아목 (Pleuroziales)
  • ** Pleuroziaceae
  • * 리본이끼목 (Metzgeriales)
  • ** Aneuraceae (Riccardiaceae, Verdoorniaceae)
  • ** Metzgeriaceae (Vandiemeniaceae)
  • 망울이끼아강 (Jungermanniidae)
  • * 세줄이끼목 (Porellales)
  • ** Jubulineae (아목)

Frullaniaceae
Jubulaceae
Lejeuneaceae (Metzgeriopsaceae)

  • ** Porellineae (아목)

Goebeliellaceae
Lepidolaenaceae (Jubulopsaceae)
Porellaceae (Macvicariaceae)

  • ** Radulineae (아목)

Radulaceae
Adelanthaceae (Jamesoniellaceae)
Anastrophyllaceae
Cephaloziaceae
Cephaloziellaceae (Phycolepidoziaceae)
Lophoziaceae
Scapaniaceae (Diplophyllaceae, Chaetophyllopsaceae)

  • ** Jungermanniineae (아목)

Acrobolbaceae
Antheliaceae
Arnelliaceae
Balantiopsidaceae (Isotachidaceae)
Blepharidophyllaceae
Calypogeiaceae (Mizutaniaceae)
Endogemmataceae
Geocalycaceae
Gymnomitriaceae
Gyrothyraceae
Harpanthaceae
Hygrobiellaceae
Jackiellaceae
Jungermanniaceae (Mesoptychiaceae, Delavayellaceae)
Notoscyphaceae
Saccogynaceae
Solenostomataceae
Southbyaceae
Stephaniellaceae
Trichotemnomataceae

  • ** Lophocoleineae (아목)

Blepharostomataceae
Brevianthaceae
Chonecoleaceae
Grolleaceae
Herbertaceae
Lepicoleaceae (Vetaformataceae)
Lepidoziaceae (Neogrollaceae)
Lophocoleaceae
Mastigophoraceae
Plagiochilaceae
Pseudolepicoleaceae (Herzogiariaceae, Chaetocoleaceae)
Trichocoleaceae

  • ** Myliineae (아목)

Myliaceae

  • ** Perssoniellineae (아목)

Schistochilaceae (Perssoniellaceae)

3. 계통 분류

망울이끼강의 계통 분류는 연구자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으나, 분자생물학적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점차 명확해지고 있다. 2006년 포레스트(Forrest) 등의 연구와 2015년 노비코프(Novíkov) 및 바라바스-크라스니(Barabaš-Krasni)의 연구는 망울이끼강의 분류 체계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기여를 했다.

포레스트 등의 2006년 연구에 따르면, 우산이끼문(Marchantiophyta) 내에서 망울이끼강은 하플로미트리움강(Haplomitriopsida)과 자매군 관계를 이루는 분기군 다음에 위치하며, 우산이끼강(Marchantiopsida)과 자매군 관계를 형성한다.[8] 이 연구에서 제시된 우산이끼류의 계통 분류는 다음과 같다.



노비코프와 바라바스-크라스니의 2015년 연구는 망울이끼강의 하위 분류에 대한 더 상세한 정보를 제공한다.[9] 이 연구에 따른 망울이끼강의 계통 분류는 다음과 같다.

4. 과(科) 목록

=== 물우산대이끼목 (Pelliales) ===


  • Noterocladaceae
  • Pelliaceae


=== 거미집이끼목 (Pallaviciniales) ===

  • Hymenophytaceae
  • Moerckiaceae
  • Pallaviciniaceae
  • Sandeothallaceae
  • Phyllothalliaceae


=== 비늘우산대이끼목 (Fossombroniales) ===

  • Calyculariaceae
  • Allisoniaceae
  • Fossombroniaceae
  • Petalophyllaceae
  • Makinoaceae


=== 플레우로지아목 (Pleuroziales) ===

  • Pleuroziaceae


=== 리본이끼목 (Metzgeriales) ===

  • Aneuraceae
  • Metzgeriaceae


=== 세줄이끼목 (Porellales) ===

  • Frullaniaceae
  • Jubulaceae
  • Lejeuneaceae
  • Goebeliellaceae
  • Lepidolaenaceae
  • Porellaceae
  • Radulaceae


=== 손꼴가시이끼목 (Ptilidiales) ===

  • Herzogianthaceae
  • Neotrichocoleaceae
  • Ptilidiaceae


=== 망울이끼목 (Jungermanniales) ===

  • Adelanthaceae
  • Anastrophyllaceae
  • Cephaloziaceae
  • Cephaloziellaceae
  • Lophoziaceae
  • Scapaniaceae
  • Acrobolbaceae
  • Antheliaceae
  • Arnelliaceae
  • Balantiopsidaceae
  • Blepharidophyllaceae
  • Calypogeiaceae
  • Endogemmataceae
  • Geocalycaceae
  • Gymnomitriaceae
  • Gyrothyraceae
  • Harpanthaceae
  • Hygrobiellaceae
  • Jackiellaceae
  • Jungermanniaceae
  • Notoscyphaceae
  • Saccogynaceae
  • Solenostomataceae
  • Southbyaceae
  • Stephaniellaceae
  • Trichotemnomataceae
  • Blepharostomataceae
  • Brevianthaceae
  • Chonecoleaceae
  • Grolleaceae
  • Herbertaceae
  • Lepicoleaceae
  • Lepidoziaceae
  • Lophocoleaceae
  • Mastigophoraceae
  • Plagiochilaceae
  • Pseudolepicoleaceae
  • Trichocoleaceae
  • Myliaceae
  • Schistochilaceae

참조

[1] 논문 A checklist of the liverworts and hornworts of North America American Bryological and Lichenological Society
[2] 서적 Bryophyte Biology Cambridge University Press
[3] 논문 World checklist of hornworts and liverworts
[4] 웹사이트 Part 2- Plantae (starting with Chlorophycota) http://mave.tweakdsl[...] 2016-06-30
[5] 서적 Modern plant systematics Liga-Pres
[6] 논문 A checklist of the liverworts and hornworts of North America American Bryological and Lichenological Society
[7] 서적 Bryophyte Biology Cambridge University Press
[8] 논문 Unraveling the evolutionary history of the liverworts (Marchantiophyta): multiple taxa, genomes and analyses
[9] 논문 Modern plant systematics Liga-Pre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