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달 포트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송달 포트발(Sogndal Fotball)은 1926년에 창단된 노르웨이의 축구 클럽이다. 1976년 노르웨이 컵 결승에 진출했으며, 1988년에는 1부 리그에서 6위를 기록했다. 1980년대와 1990년대에 1부 리그와 2부 리그를 오갔으며, 2010년과 2015년에는 2부 리그에서 우승했다. 2017년 강등 플레이오프에서 패배하여 엘리테세리엔에서 강등되었다. 현재는 2부 리그에서 활동하고 있으며, 포슈하우게네 캠퍼스를 홈 구장으로 사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OBOS 리가엔 구단 - 콩스빙에르 IL
콩스빙에르 IL은 1892년에 창단된 노르웨이의 축구 클럽으로, 노르웨이 최상위 리그에서 17시즌 연속 활동하며 1992년 리그 준우승, 1986년과 1987년 리그 3위를 기록했고, 현재는 1. 디비시온에서 활동하고 있다. - OBOS 리가엔 구단 - 산네스 울프
1911년 창단된 노르웨이 산네스 연고의 축구 클럽 산네스 울프는 1930년대 전성기를 누렸고, 2003년 합병 후 2011년 엘리테세리엔으로 승격했으나 현재는 2부 리그에 있으며 외스테르 후스 아레나를 홈 경기장으로 사용한다. - 1926년 설립된 축구단 - SSC 나폴리
SSC 나폴리는 1904년 창단된 이탈리아 프로 축구 클럽으로, 디에고 마라도나 시대에 전성기를 누렸으며, 파산 위기를 극복하고 2022-23 시즌 세리에 A 우승을 통해 과거의 영광을 재현했고 현재 디에고 아르만도 마라도나 스타디움을 홈 구장으로 사용한다. - 1926년 설립된 축구단 - 레알 오비에도
레알 오비에도는 1926년에 창단된 스페인의 축구 클럽으로, 한때 라 리가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었으나 재정난으로 하위 리그로 강등되기도 했으며 현재는 세군다 디비시온에서 활동한다.
송달 포트발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정식 명칭 | 송달 포트발 |
현재 시즌 | 2024 시즌 |
별칭 | (지정된 별칭 없음) |
창단일 | 1926년 2월 19일 |
홈구장 | 포스하우가네 캄푸스 |
연고지 | 송달 |
수용 인원 | 5,622명 |
회장 | 토르 아르네 네스 |
감독 | 루이스 피멘타 |
감독 직함 | 수석 코치 |
리그 | 1. divisjon |
2024 시즌 순위 | 1. divisjon, 16개 팀 중 13위 |
웹사이트 | 송달 포트발 공식 웹사이트 |
셔츠 공급 업체 | (정보 없음) |
셔츠 스폰서 | (정보 없음) |
클럽 색상 | 흰색, 검은색 |
유니폼 정보 | |
홈 유니폼 | 흰색 상의, 검은색 하의, 검은색 양말 |
원정 유니폼 | 검은색 상의, 검은색 하의, 검은색 양말 |
2. 역사
소그네달 IL은 1926년 2월 19일에 창단되었다.[4] 1982년에 처음으로 1부 리그에 참가하여 11위를 기록하며 시즌을 마쳤지만, 강등되어 2부 리그로 다시 돌아갔다.[4] 이 클럽이 노르웨이 축구계에서 두각을 나타낸 것은 1976년으로, 3부 리그 팀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처음으로 1976년 노르웨이 컵 결승에 진출했다. 소그네달은 브란과의 결승전에서 울레볼 스타디온에서 2-1로 패했는데, 크누트 크리스티안센이 소그네달의 유일한 골을 기록했다.[4]
1988년 노르웨이 1부 리그에서 6위를 기록하며 당시 최고 순위를 달성했다. 1989 시즌에는 2부 리그로 강등되었다. 소그네달은 1990년 2. 디비시온 A조에서 우승하며 승격했다. 1990년대 동안 소그네달은 1부 리그에서 다섯 시즌을 보냈다. 1999년에는 에이리크 바케가 리즈 유나이티드로 이적하면서 약 4천만 NOK의 이적료를 받았다.[4] 2001년부터 2004년까지 소그네달은 1부 리그에서 4시즌 연속으로 뛰었고, 이는 2011-14 시즌에도 반복되었다. 남자팀은 2010년 1. 디비시온에서 우승한 후 2011년 티펠리겐으로 승격되었다. 소그네달은 2015년 노르웨이 1부 리그에서 우승하며 여섯 번째 2부 리그 타이틀을 획득했다. 이는 함캄과 린과 함께 노르웨이 2부 리그에서 여섯 번의 우승을 차지한 유일한 클럽이다.
2017년, 소그네달은 란하임과의 승부차기에서 패하며 강등 플레이오프에서 패배하여 엘리테세리엔에서 여덟 번째로 강등되었다.[5]
시즌 | 디비전 | 노르웨이 컵 | ||||||||
---|---|---|---|---|---|---|---|---|---|---|
리그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2000 | 아데코리가엔 | 3위 | 26 | 15 | 6 | 5 | 73 | 37 | 51 | |
2001 | 엘리테세리엔 | 8위 | 26 | 9 | 5 | 12 | 45 | 61 | 32 | |
2002 | 엘리테세리엔 | 11위 | 26 | 8 | 6 | 12 | 37 | 51 | 30 | |
2003 | 엘리테세리엔 | 8위 | 26 | 9 | 8 | 9 | 43 | 46 | 35 | |
2004 | 엘리테세리엔 | 14위 | 26 | 5 | 7 | 14 | 39 | 57 | 22 | 3라운드 탈락 |
2005 | 아데코리가엔 | 7위 | 30 | 11 | 8 | 11 | 47 | 51 | 41 | 3라운드 탈락 |
2006 | 아데코리가엔 | 6위 | 30 | 11 | 8 | 8 | 43 | 41 | 44 | 4라운드 탈락 |
2007 | 아데코리가엔 | 7위 | 30 | 13 | 5 | 12 | 48 | 44 | 44 | 1라운드 탈락 |
2008 | 아데코리가엔 | 4위 | 30 | 15 | 9 | 6 | 53 | 36 | 54 | 4라운드 탈락 |
2009 | 아데코리가엔 | 4위 | 30 | 14 | 12 | 4 | 46 | 29 | 54 | 4라운드 탈락 |
2010 | 아데코리가엔 | 1위 | 28 | 17 | 5 | 6 | 51 | 28 | 56 | 8강 탈락 |
2011 | 엘리테세리엔 | 14위 | 30 | 8 | 10 | 12 | 24 | 31 | 34 | 4라운드 탈락 |
2012 | 엘리테세리엔 | 12위 | 30 | 8 | 10 | 12 | 29 | 37 | 34 | 1라운드 탈락 |
2013 | 엘리테세리엔 | 12위 | 30 | 8 | 9 | 13 | 33 | 48 | 33 | 4라운드 탈락 |
2014 | 엘리테세리엔 | 15위 | 30 | 6 | 6 | 18 | 31 | 49 | 24 | 4라운드 탈락 |
2015 | 아데코리가엔 | 1위 | 30 | 18 | 8 | 4 | 59 | 31 | 62 | 3라운드 탈락 |
2016 | 엘리테세리엔 | 11위 | 30 | 8 | 12 | 10 | 33 | 37 | 36 | 3라운드 탈락 |
2017 | 엘리테세리엔 | 14위 | 30 | 8 | 8 | 14 | 38 | 48 | 32 | 3라운드 탈락 |
2018 | 아데코리가엔 | 4위 | 30 | 15 | 6 | 9 | 47 | 31 | 51 | 2라운드 탈락 |
2019 | 아데코리가엔 | 6위 | 30 | 13 | 6 | 11 | 51 | 39 | 45 | 3라운드 탈락 |
2020 | 아데코리가엔 | 3위 | 30 | 15 | 6 | 9 | 57 | 36 | 51 | 중단 |
2021 | 아데코리가엔 | 6위 | 30 | 11 | 9 | 10 | 40 | 35 | 42 | 3라운드 탈락 |
2022 | 아데코리가엔 | 7위 | 30 | 12 | 7 | 11 | 55 | 53 | 43 | 4라운드 |
2023 | 아데코리가엔 | 위 | 30 |
2. 1. 창단 초기 (1926~1976)
송달 IL은 1926년 2월 19일에 창단되었다. 1976년, 당시 3부 리그 팀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노르웨이 컵 결승에 진출하는 쾌거를 이루었다. 비록 브란과의 결승전에서 울레볼 스타디온에서 2-1로 패했지만, 크누트 크리스티안센이 송달의 유일한 골을 기록하며 깊은 인상을 남겼다.[4]1982년 처음으로 1부 리그에 참가했지만 11위를 기록하며 강등되었다.[4] 1988년 노르웨이 1부 리그에서는 6위를 기록하며 당시 최고 순위를 달성했으나, 1989 시즌에는 다시 2부 리그로 강등되었다.[4] 이후 1990년 2. 디비시온 A조에서 우승하며 승격했다.[4]
2. 2. 노르웨이 컵 준우승과 1부 리그 승격 (1976~1980년대)
소그네달 IL은 1926년 2월 19일에 창단되었다.[4] 1976년, 당시 3부 리그 팀이었음에도 불구하고 1976년 노르웨이 컵 결승에 진출하는 쾌거를 이루었다. 브란과의 결승전에서 울레볼 스타디온에서 2-1로 패했지만, 크누트 크리스티안센이 소그네달의 유일한 골을 기록하며 노르웨이 축구계에 이름을 알렸다.[4]1982년, 소그네달은 처음으로 1부 리그에 참가했지만 11위를 기록하며 강등되었다.[4] 1988년 노르웨이 1부 리그에서는 6위를 기록하며 당시 최고 순위를 달성했으나, 1989 시즌에는 다시 2부 리그로 강등되었다.[4] 1990년 2. 디비시온 A조에서 우승하며 승격한 후, 1990년대 동안 1부 리그에서 다섯 시즌을 보냈다. 1999년에는 에이리크 바케가 리즈 유나이티드로 이적하면서 약 4천만 NOK의 이적료를 받았다.[4]
2001년부터 2004년까지 1부 리그에서 4시즌 연속으로 뛰었고, 2011-14 시즌에도 같은 기록을 세웠다. 2010년 1. 디비시온에서 우승한 후 2011년 티펠리겐으로 승격했으며, 2015년 노르웨이 1부 리그에서 우승하며 여섯 번째 2부 리그 타이틀을 획득했다. 이는 함캄과 린과 함께 노르웨이 2부 리그 최다 우승 기록이다.[4]
2017년, 란하임과의 승부차기에서 패하며 강등 플레이오프에서 패배, 엘리테세리엔에서 여덟 번째로 강등되었다.[5]
2. 3. 승격과 강등의 반복 (1990년대~2000년대)
1988년 노르웨이 1부 리그에서 소그네달은 6위를 기록하며 당시 최고 순위를 달성했지만, 1989 시즌에는 2부 리그로 강등되었다.[4] 1990년 2. 디비시온 A조에서 우승하며 다시 승격한 후, 1990년대 동안 1부 리그에서 다섯 시즌을 보냈다. 1999년에는 에이리크 바케가 리즈 유나이티드로 이적하면서 약 4천만 크로네의 이적료를 받았다.[4] 2001년부터 2004년까지는 1부 리그에서 4시즌 연속으로 참가했다.[4]2. 4. OBOS 리가엔 우승과 엘리테세리엔 복귀 (2010년대)
에이리크 바케는 소그네달에서 두 번의 선수 생활을 했으며, 2015년부터 2020-21 시즌까지 클럽의 감독을 맡았고, 시즌 중반에 클럽에서의 마지막 시즌이 될 것이라고 발표하며 6년의 감독 생활을 마무리했다.]]송달 포트발(IL)은 1926년 2월 19일에 창단되었다.[4] 1982년에 처음으로 1부 리그에 참가하여 11위를 기록하며 시즌을 마쳤지만, 강등되어 2부 리그로 다시 돌아갔다.[4] 1976년에는 3부 리그 팀이었음에도 불구하고 1976년 노르웨이 컵 결승에 진출했다. 브란과의 결승전에서 울레볼 스타디온에서 2-1로 패했는데, 크누트 크리스티안센이 송달의 유일한 골을 기록했다.[4]
1988년 노르웨이 1부 리그에서 6위를 기록하며 당시 최고 순위를 달성했지만, 1989 시즌에는 2부 리그로 강등되었다. 1990년 2. 디비시온 A조에서 우승하며 승격했으며, 1990년대 동안 1부 리그에서 다섯 시즌을 보냈다. 1999년에는 에이리크 바케가 리즈 유나이티드로 이적하면서 약 4천만 NOK의 이적료를 받았다.[4]
2001년부터 2004년까지 1부 리그에서 4시즌 연속으로 뛰었고, 이는 2011-14 시즌에도 반복되었다. 2010년 1. 디비시온에서 우승한 후 2011년 티펠리겐으로 승격되었다. 2015년 노르웨이 1부 리그에서 우승하며 여섯 번째 2부 리그 타이틀을 획득했는데, 이는 함캄과 린과 함께 노르웨이 2부 리그에서 여섯 번의 우승을 차지한 유일한 클럽이다.
2017년, 란하임과의 승부차기에서 패하며 강등 플레이오프에서 패배하여 엘리테세리엔에서 여덟 번째로 강등되었다.[5]
2. 5. 현재 (2020년대~)
에이리크 바케는 소그네달에서 두 번의 선수 생활을 했으며, 2015년부터 2020-21 시즌까지 클럽의 감독을 맡았고, 시즌 중반에 클럽에서의 마지막 시즌이 될 것이라고 발표하며 6년의 감독 생활을 마무리했다. 소그네달 IL은 1926년 2월 19일에 창단되었다.[4] 남자팀은 2010년 1. 디비시온에서 우승한 후 2011년 티펠리겐으로 승격되었다. 소그네달은 2015년 노르웨이 1부 리그에서 우승하며 여섯 번째 2부 리그 타이틀을 획득했다. 이는 함캄과 린과 함께 노르웨이 2부 리그에서 여섯 번의 우승을 차지한 유일한 클럽이다.[4] 2017년, 소그네달은 란하임과의 승부차기에서 패하며 강등 플레이오프에서 패배하여 엘리테세리엔에서 여덟 번째로 강등되었다.[5]3. 경기장
구단의 경기장은 포슈하우게네 캠퍼스이다. 경기장은 2006년에 개조되어 재개장되었으며, 경기장 내에 지역 소그네 피오라네 대학교와 고등학교가 위치해 있어 "캠퍼스"라는 이름이 추가되었다. 수용 인원은 5,622명이다.
최다 관중 기록은 1976년 노르웨이 컵 8강전에서 스타트를 상대로 7,025명의 관중을 기록한 것이다.
4. 최근 성적
송달 포트발은 1976년 노르웨이 컵에서 준우승을 차지했고, 1988년 엘리테세리엔에서 6위를 기록했다.[6] 2010년과 2015년에는 OBOS 리가엔에서 우승을 차지했다.[6]
시즌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컵 | 비고 | |
---|---|---|---|---|---|---|---|---|---|---|---|
2000 | 아데코리가엔 | 3위 | 26 | 15 | 6 | 5 | 73 | 37 | 51 | align="left"| | |
2001 | 엘리테세리엔 | 8위 | 26 | 9 | 5 | 12 | 45 | 61 | 32 | align="left"| | |
2002 | 엘리테세리엔 | 11위 | 26 | 8 | 6 | 12 | 37 | 51 | 30 | align="left"| | |
2003 | 엘리테세리엔 | 8위 | 26 | 9 | 8 | 9 | 43 | 46 | 35 | align="left"| | |
2004 | 티펠리겐 | 14 | 26 | 5 | 7 | 14 | 39 | 57 | 22 | 3라운드 | 1. 디비전으로 강등 |
2005 | 1. 디비전 | 7 | 30 | 11 | 8 | 11 | 47 | 51 | 41 | 3라운드 | |
2006 | 1. 디비전 | 6 | 30 | 11 | 8 | 8 | 43 | 41 | 44 | 4라운드 | |
2007 | 1. 디비전 | 7 | 30 | 13 | 5 | 12 | 48 | 44 | 44 | 1라운드 | |
2008 | 1. 디비전 | 4 | 30 | 15 | 9 | 6 | 53 | 36 | 54 | 4라운드 | |
2009 | 1. 디비전 | 4 | 30 | 14 | 12 | 4 | 46 | 29 | 54 | 4라운드 | |
2010 | 1. 디비전 | 1 | 28 | 17 | 5 | 6 | 51 | 28 | 56 | 8강 | 티펠리겐으로 승격 |
2011 | 티펠리겐 | 14 | 30 | 8 | 10 | 12 | 24 | 31 | 34 | 4라운드 | align="left"| |
2012 | 티펠리겐 | 12 | 30 | 8 | 10 | 12 | 29 | 37 | 34 | 1라운드 | align="left"| |
2013 | 티펠리겐 | 12 | 30 | 8 | 9 | 13 | 33 | 48 | 33 | 4라운드 | align="left"| |
2014 | 티펠리겐 | 15 | 30 | 6 | 6 | 18 | 31 | 49 | 24 | 4라운드 | 1. 디비전으로 강등 |
2015 | 1. 디비전 | 1 | 30 | 18 | 8 | 4 | 59 | 31 | 62 | 3라운드 | 티펠리겐으로 승격 |
2016 | 티펠리겐 | 11 | 30 | 8 | 12 | 10 | 33 | 37 | 36 | 3라운드 | align="left"| |
2017 | 엘리테세리엔 | 14 | 30 | 8 | 8 | 14 | 38 | 48 | 32 | 3라운드 | 1. 디비전으로 강등 |
2018 | 1. 디비전 | 4 | 30 | 15 | 6 | 9 | 47 | 31 | 51 | 2라운드 | align="left"| |
2019 | 1. 디비전 | 6 | 30 | 13 | 6 | 11 | 51 | 38 | 45 | 3라운드 | align="left"| |
2020 | 1. 디비전 | 3 | 30 | 15 | 6 | 9 | 57 | 36 | 51 | 취소됨/Avlystno | align="left"| |
2021 | 1. 디비전 | 6 | 30 | 11 | 9 | 10 | 40 | 35 | 42 | 3라운드 | align="left"| |
2022 | 1. 디비전 | 7 | 30 | 12 | 7 | 11 | 55 | 53 | 43 | 4라운드 | align="left"| |
2023 | 1. 디비전 | 7 | 30 | 12 | 7 | 11 | 45 | 45 | 43 | 4라운드 | align="left"| |
2024 | 1. 디비전 | 13 | 30 | 9 | 7 | 14 | 34 | 40 | 34 | 3라운드 | align="left"| |
5. 선수
5. 1. 현재 선수 명단 (2024년 9월 6일 기준)
2024년 9월 6일 기준 송달 포트발의 선수 명단은 다음과 같다.[7][8]등번호 | 국적 | 포지션 | 이름 | 비고 |
---|---|---|---|---|
1 | GK | 라스 옌달 | ||
2 | DF | 펠릭스 에릭손 | IFK 예테보리에서 임대 | |
3 | DF | 예스페르 로버트슨 | 트롬쇠에서 임대 | |
4 | DF | 다니엘 아로차 | ||
5 | DF | 크리스토퍼 파울센 | 바이킹에서 임대 | |
6 | MF | 마르틴 호일란 | ||
8 | MF | 야콥 블릭스트 플라텐 | ||
9 | FW | 올리버 힌차 | ||
10 | MF | 카스페르 스코네스 | ||
11 | FW | 엠마누엘 멘사 | ||
13 | DF | 페르-에길 플로 | ||
16 | DF | 엠마누엘 올루와페미 올루그베 | ||
17 | MF | 마르틴 셸스태드 | ||
19 | FW | 요로 바 | 트롬쇠에서 임대 | |
20 | MF | 아이작 툼 | ||
29 | MF | 크리스토퍼 하우카스 스타인세트 | ||
30 | FW | 에릭 호브덴 플라타케르 | ||
31 | FW | 요아킴 베르그 눈달 | ||
32 | DF | 마티아스 외렌 | ||
35 | GK | 다니엘 예르데 세트렌 | ||
36 | MF | 마리우스 오로이 | ||
77 | MF | 오스카르 보르그토르손 |
- 손드레 외리아세테르(2022 ~ )
5. 2. 임대 선수
알레한드로 디아스는 밴쿠버 FC에서 임대 선수로 활동하고 있다.5. 3. 역대 주요 선수
분류:송달 포트발의 축구 선수에 현역 및 과거 선수들에 대한 자세한 정보가 있다.- 토레 안드레 플로no 1993-1994, 2011-2012
- 히카르두 산투스/히카르두 엔히키 다 시우바 도스 산투스pt 2012-2013
- 스테판 바지프랑스어 2012-2013
6. 기록
아슬레 힐레스타드가 611경기로 최다 출장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스베인 바케는 321골로 최다 골 기록을 가지고 있다. 엘리테세리엔 최다 골은 호바르 플로가 기록한 46골이다. 엘리테세리엔 최다 점수 차 승리는 2003년 6월 15일 오드를 상대로 기록한 5-0 승리이다. 엘리테세리엔 최다 점수 차 패배는 2009년 10월 25일 스타벡에게 당한 0-9 패배이다.
7. 역대 감독
잉바르 스타드하임(1979–80, 1983–84)
하랄 아브레크(1990–92, 2010–11)
마이클 스피트(1999–00)
토르비요른 글롬네스(2000년 1월 1일 – 2002년 12월 31일)
얀 할보르 할보르센(2003년 1월 1일 – 2004년 11월 30일)
트론드 퓔링(2005)
스티그 노르(2006년 – 2006년 12월 31일)
칼 오스카르 엠버랜드(2007년 1월 1일 – 2009년 11월 6일)
요나스 올손(2012년 1월 1일 – 2014년 12월 31일)
에이리크 바케(2015년 1월 1일 – 2021년 12월 31일)
토레 안드레 플로(2022년 1월 1일 – 2024년 9월 30일)
모르텐 칼베네스(2024년 10월 1일 – 2024년 12월 31일)
루이스 피멘타(2025년 1월 1일 – )
8. 수상 경력
엘리테세리엔 최고 성적은 1988 시즌의 6위이다. 노르웨이 컵에서는 1976년에 준우승을 기록했다. 1. 디비시온 / 2. 디비시온에서는 1981, 1987, 1990, 1993, 2010, 2015년에 우승을 차지하며 총 6번 우승하였다.
8. 1. 국내 대회
엘리테세리엔 최고 성적은 1988 시즌의 6위이다. 노르웨이 컵에서는 1976년에 준우승을 기록했다. 1. 디비시온 / 2. 디비시온에서는 1981, 1987, 1990, 1993, 2010, 2015년에 우승을 차지하며 총 6번 우승하였다.8. 2. 국제 대회
송달 포트발은 엘리테세리엔에서 1988년에 6위를 기록했다. 노르웨이 컵에서는 1976년에 준우승을 차지했다. OBOS 리가엔에서는 2010년과 2015년에 우승했다. 라 망가 컵에서는 2014년에 우승했다.참조
[1]
웹사이트
Fakta om Fosshaugane Campus
https://www.sogndalf[...]
Sogndal Fotball
2020-01-24
[2]
웹사이트
40 år sidan den største kampen
https://www.nrk.no/s[...]
NRK
2020-01-24
[3]
웹사이트
Eirik Bakke blir ny trener i Sogndal
https://www.dagblade[...]
Dagbladet
2020-01-24
[4]
웹사이트
Fotballaget Sogndal
https://www.allkunne[...]
Nynorsk kultursentrum
2020-01-24
[5]
웹사이트
Sogndal rykket ned
https://www.ba.no/sp[...]
Bergensavisen
2020-01-24
[6]
웹사이트
Sogndal Fotball
https://www.nifs.no/[...]
2022-10-30
[7]
웹사이트
A-laget
https://www.sogndalf[...]
Sogndal Fotball
2023-06-08
[8]
웹사이트
Sogndal Menn Senior A - Spillere
https://www.fotball.[...]
2022-04-01
[9]
웹사이트
Fakta om Fosshaugane Campus
https://www.sogndalf[...]
Sogndal Fotball
2020-01-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