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궁초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수궁초족은 협죽도과에 속하는 분류군으로, 베아우몬티아아족, 수궁초아족, 암피네우리온아족, 우르케올라아족, 이크노카르푸스아족, 코네모르파아족, 파푸에키테스아족을 포함한다. 각 아족은 특정 속들을 포함하며, 분류 및 명명은 마르셀 피숑과 마리 E. 엔드레스 등이 수행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협죽도아과 - 마삭줄
마삭줄은 아시아 원산의 상록 덩굴 식물로, 최대 6미터까지 자라며 윤기 있는 잎과 여름에 재스민 향이 나는 크림색 꽃을 피우며 관상용으로 재배된다. - 협죽도아과 - 털마삭줄
털마삭줄은 최대 10m까지 자라는 상록 덩굴식물로, 흰색의 향기로운 꽃을 피우며 관상용으로 재배되고, 향유 추출 및 섬유 채취에도 사용된다. - 1831년 기재된 식물 - 석곡아과
석곡아과는 난초과의 아과로 착생식물이며, 고등 석곡아과와 하등 석곡아과로 나뉘고, 열대 및 아열대 우림에서 주로 발견되며 CAM 대사 방식을 활용한다. - 1831년 기재된 식물 - 사스래나무
사스래나무는 일본, 쿠릴 열도, 한반도 등지에 분포하는 낙엽활엽수 교목으로, 얇게 벗겨지는 껍질이 특징이며 과거 껍질에 글씨를 쓸 수 있어 '소우시칸바'라고도 불렸고 불쏘시개나 야구 배트 재료로도 활용된다.
수궁초족 - [생물]에 관한 문서 | |
---|---|
수궁초족 | |
학명 | Apocyneae |
명명자 | Rchb., 1831 |
상위 분류 | 협죽도아과 |
과 | 협죽도과 |
목 | 용담목 |
미분류_목 | 국화군 |
미분류_강 | 진정쌍떡잎식물군 |
미분류_문 | 속씨식물군 |
계 | 식물계 |
모식속 | 수궁초속(Apocynum L.) |
![]() | |
하위 분류 |
2. 하위 분류
; 베아우몬티아아족(Beaumontiinae Pichon ex M.E.Endress)[3][6]
- ''Beaumontia'' Wall.
- ''Parepigynum'' Tsiang & P.T.Li
; 수궁초아족(Apocyinae Pichon ex Leeuwenb.)[4]
- 수궁초속(''Apocynum'' L.)
- ''Cleghornia'' Wight
; 암피네우리온아족(Amphineuriinae Pichon ex M.E.Endress)[5][6]
- ''Amphineurion'' (A.DC.) Pichon
- ''Sindechites'' Oliv.
- ''Streptoechites'' D.J.Middleton & Livsh.
; 우르케올라아족(Urceolinae Pichon ex M.E.Endress)[7][6]
- ''Urceola'' Roxb.
; 이크노카르푸스아족(Ichnocarpinae Benth. & Hook.f.)[8]
- ''Aganosma'' (Blume) G.Don
- ''Amalocalyx'' Pierre
- ''Baharuia'' D.J.Middleton
- ''Epigynum'' Wight
- ''Ichnocarpus'' R.Br.
- ''Micrechites'' Miq.
- ''Pottsia'' Hook. & Arn.
; 코네모르파아족(Chonemorphinae Pichon ex M.E.Endress)[9][6]
- 마삭줄속(''Trachelospermum'' Lem.)
- ''Chonemorpha'' G.Don
- ''Vallaris'' Burm.f.
; 파푸에키테스아족(Papuechitinae Pichon ex M.E.Endress)[10][6]
- ''Anodendron'' A.DC.
- ''Ixodonerium'' Pit.
- ''Papuechites'' Markgr.
2. 1. 베아우몬티아족 (Beaumontiinae)
베아우몬티아족(Beaumontiinae)은 Pichon이 처음 분류하고 M.E.Endress가 명명한 협죽도과의 한 족이다.[3][6] 베아우몬티아족에는 다음 속들이 속한다.- ''Beaumontia'' Wall.
- ''Parepigynum'' Tsiang & P.T.Li
2. 2. 수궁초족 (Apocyinae)
수궁초아족(Apocyinae Pichon ex Leeuwenb.[4])은 수궁초속(''Apocynum'' L.)과 ''Cleghornia'' Wight를 포함한다.[4]베아우몬티아아족(Beaumontiinae Pichon ex M.E.Endress)에는 ''Beaumontia'' Wall.와 ''Parepigynum'' Tsiang & P.T.Li가 속한다.[3][6]
암피네우리온아족(Amphineuriinae Pichon ex M.E.Endress)은 ''Amphineurion'' (A.DC.) Pichon, ''Sindechites'' Oliv., ''Streptoechites'' D.J.Middleton & Livsh.로 구성된다.[5][6]
우르케올라아족(Urceolinae Pichon ex M.E.Endress)에는 ''Urceola'' Roxb.가 있다.[7][6]
이크노카르푸스아족(Ichnocarpinae Benth. & Hook.f.)에는 ''Aganosma'' (Blume) G.Don, ''Amalocalyx'' Pierre, ''Baharuia'' D.J.Middleton, ''Epigynum'' Wight, ''Ichnocarpus'' R.Br., ''Micrechites'' Miq., ''Pottsia'' Hook. & Arn.가 포함된다.[8]
코네모르파아족(Chonemorphinae Pichon ex M.E.Endress)은 마삭줄속(''Trachelospermum'' Lem.), ''Chonemorpha'' G.Don, ''Vallaris'' Burm.f.를 포함한다.[9][6]
파푸에키테스아족(Papuechitinae Pichon ex M.E.Endress)에는 ''Anodendron'' A.DC., ''Ixodonerium'' Pit., ''Papuechites'' Markgr.가 속한다.[10][6]
2. 3. 암피네우리온족 (Amphineuriinae)
암피네우리온족(Amphineuriinae)은 피숑이 처음 분류하였고, 이후 엔드레스가 재분류한 협죽도과의 한 족이다.[5][6] 암피네우리온족에는 다음 속들이 속한다.[5][6]- ''Amphineurion'' (A.DC.) Pichon
- ''Sindechites'' Oliv.
- ''Streptoechites'' D.J.Middleton & Livsh.
2. 4. 우르케올라족 (Urceolinae)
우르케올라족(Urceolinae)은 Pichon ex M.E.Endress가 분류한 족이다.[7][6] 우르케올라속(''Urceola'' Roxb.)을 포함하고 있다.2. 5. 이크노카르푸스족 (Ichnocarpinae)
Benth. & Hook.f.가 분류한 이크노카르푸스아족(Ichnocarpinae)에는 다음 속들이 포함된다.[8]- ''Aganosma'' (Blume) G.Don
- ''Amalocalyx'' Pierre
- ''Baharuia'' D.J.Middleton
- ''Epigynum'' Wight
- ''Ichnocarpus'' R.Br.
- ''Micrechites'' Miq.
- ''Pottsia'' Hook. & Arn.
2. 6. 코네모르파족 (Chonemorphinae)
마삭줄속( ''Trachelospermum'' Lem.), ''Chonemorpha'' G.Don, ''Vallaris'' Burm.f.를 포함한다.[9][6]2. 7. 파푸에키테스족 (Papuechitinae)
피숑과 M.E.Endress가 명명한 파푸에키테스아족(Papuechitinae)에는 다음 속들이 포함된다.[10][6]- ''Anodendron'' A.DC.
- ''Ixodonerium'' Pit.
- ''Papuechites'' Markgr.
참조
[1]
간행물
Flora Germanica Excursoria
1831
[2]
웹사이트
Germplasm Resources Information Network - (GRIN) [Online Database]
http://www.ars-grin.[...]
National Germplasm Resources Laboratory, Beltsville, Maryland
2013-10-18
[3]
간행물
Mémoires du Muséum National d'Histoire Naturelle. Nouvelle Série. Série 2B, Botanique
1950
[4]
간행물
Wageningen Agricultural University Papers
1994
[5]
간행물
Mémoires du Muséum National d'Histoire Naturelle. Nouvelle Série. Série 2B, Botanique
1950
[6]
저널
An updated classification for Apocynaceae
2014
[7]
간행물
Mémoires du Muséum National d'Histoire Naturelle. Nouvelle Série. Série 2B, Botanique
1950
[8]
간행물
Genera Plantarum
1876
[9]
간행물
Mémoires du Muséum National d'Histoire Naturelle. Nouvelle Série. Série 2B, Botanique
1950
[10]
간행물
Mémoires du Muséum National d'Histoire Naturelle. Nouvelle Série. Série 2B, Botanique
195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