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스노베 료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노베 료조는 도쿄 출신의 일본 외교관으로, 도쿄 제국대학 법학부를 졸업하고 1941년 외무성에 들어갔다. 주 소련 대사관 참사관, 주미 공사, 외무성 아시아 국장, 주 네덜란드 대사, 주 인도네시아 대사, 주 대한민국 대사를 역임했으며, 1981년부터 1983년까지 외무사무차관을 지냈다. 1983년부터 1993년까지 교린 대학 교수로 활동했으며, 독도 문제에 대해 독특한 견해를 보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도네시아 주재 일본 대사 - 시오지리 고지로
    시오지리 고지로는 일본의 외교관으로, 대한민국 일본대사관 참사관, 인도네시아 대사 등을 역임하고 ANA 홀딩스 주식회사 상근 고문으로 활동했으며 2024년 서보중광장을 수훈받았다.
  • 인도네시아 주재 일본 대사 - 에비하라 신
    에비하라 신은 일본의 외교관으로, 외무성 대신관방 심의관, 내각총리대신 비서관, 주 인도네시아 대사 등을 역임하고 퇴임 후에는 기업 고문 등으로 활동한다.
  • 네덜란드 주재 일본 대사 - 시데하라 기주로
    시데하라 기주로는 국제 협조 외교를 펼친 외무대신이자 일본국 헌법 제정에 관여하고 총리를 역임한 정치인으로, 헌법 9조 제안에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
  • 네덜란드 주재 일본 대사 - 나가미네 야스마사
    나가미네 야스마사는 일본의 외교관, 법조인으로, 주 네덜란드, 대한민국 대사를 거쳐 2021년 최고재판소 재판관이 되었다.
  • 대한민국 주재 일본 대사 - 아이보시 고이치
    아이보시 고이치는 도쿄 대학을 졸업하고 외무성에 들어가 대한민국 등에서 근무했으며, 주 대한민국 특명 전권 대사를 역임하다가 2024년 5월 의원 면직되었다.
  • 대한민국 주재 일본 대사 - 시게이에 도시노리
    시게이에 도시노리는 1969년 외무성에 입성하여 미국, 말레이시아, 영국 등에서 대사관 근무 후 외무성 북미국 안전보장과장, 주미 일본 대사관 공사 등을 역임하고 2007년부터 2010년까지 대한민국 주재 특명전권대사로 활동한 일본의 외교관이다.
스노베 료조
기본 정보
스노베 료조
스노베 료조
이름스노베 료조
본명스노베 쇼타로
출생1889년 1월 11일
사망1964년 1월 11일 (75세)
출생지일본 가가와현 미토요시
사인심부전
국적일본
직업정치인
관료
학력
출신 학교도쿄 제국대학 법학부
정치 경력
소속 정당입헌정우회→일본자유당→민주자유당→자유당
주요 경력내무관료
가가와현 지사
귀족원 의원
참의원 의원
의원 재임 기간귀족원 의원: 1939년 5월 12일 ~ 1947년 5월 2일
참의원 의원: 1947년 5월 20일 ~ 1953년 5월 19일
가가와현 지사 재임 기간1932년 6월 17일 ~ 1935년 1월 21일
가족 관계
배우자스노베 미네코 (須之部ミネ子)
자녀슬하 1남 3녀

2. 생애

스노베 료조는 도쿄도 출신으로 도쿄 제국대학 법학부를 졸업하고 1941년 외무성에 입성하여 외교관 경력을 쌓았다. 주소련 대사관 참사관, 주미 공사, 외무성 아시아 국장, 주네덜란드 대사, 주인도네시아 대사, 주대한민국 대사 등을 역임하고, 1981년부터 1983년까지 외무사무차관을 맡았다. 1983년부터 교린 대학 교수로 활동하다 2006년 사망했다.

2. 1. 학창 시절

도쿄도 출신으로 구제 우라와 중학교(우라와 고등학교), 구제 시즈오카 고등학교를 거쳐[1] 도쿄 제국대학 법학부를 졸업했다.

2. 2. 외교관 경력

도쿄도 출신으로 도쿄 제국대학 법학부를 졸업했다. 1941년 12월 외무성에 입성했다. 1950년 가리오아 기금으로 미국 유학[2]을 했다. 경제국 제4과장(영국 연방 담당), 1955년 주연합왕국 대사관 1등 서기관, 1958년 대신 관방 인사과장, 1961년 조약국 외무 참사관을 역임했다. 1964년소련 대사관 참사관, 1966년 주미 공사, 1968년 외무성 아시아 국장[3], 주네덜란드 대사(1972년 ~ 1973년), 주인도네시아 대사(1973년 ~ 1977년), 주대한민국 대사[5][6](1977년 ~ 1981년)를 거쳐 1981년 외무 사무차관에 취임했다. 독도 문제 등에 대해 '해결하지 않는 것을 가지고 해결한다'고 설파했다[4]

2. 3. 퇴임 이후

1983년부터 1993년까지 교린 대학 교수로 활동하였고, 그 후 명예교수가 되었다. 2006년 2월 14일에 사망했다. 독도 문제 등에 대해 '해결하지 않는 것을 가지고 해결한다'고 설파했다.[4]

3. 이례적인 인사

일반적으로 사무차관은 연차 순으로 취임하고, 그 후 대국 또는 유엔 등 중요한 국제 기관에 파견되어 특명전권대사를 맡는 관례가 있다. (외무성 사무차관#외무성 사무차관 참조). 그러나 스노베 료조는 사무차관 취임 전, 대국 중 하나인 대한민국 대사를 역임했으며, 전임 사무차관 다카시마 마스오는 스노베보다 연차가 2년 아래였다.

참조

[1] 서적 旧制高等学校物語 第10 財界評論社 1965
[2] 서적 オーラルヒストリー 日米外交
[3] 간행물 日本官界名鑑 第22版 日本官界情報社 1970
[4] 뉴스 五輪で竹島PRして国内で批判あがらぬ韓国は「国際常識ない」 https://www.news-pos[...] SAPIO 2012-09-19
[5] 뉴스 새 駐韓日대사로 임명된 須之部量三 "難題해결, 가벼운마음으로 赴任"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77-06-29
[6] 뉴스 인터뷰 前 駐韓日本大使 須之部量三씨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84-04-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