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누라이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누라이프는 1999년 설립된 서울대학교 학생들을 위한 온라인 커뮤니티 포털이다. 학내 정보 제공을 시작으로, 인터넷 사용 증가와 함께 상호 토론 및 의사소통의 장으로 기능하며 대학가의 광장 역할을 했다. 2006년 보안 취약점 문제로 임시 폐쇄되었다가 2007년 데이터베이스 복구 후 운영을 재개했다. 언론에서는 서울대 관련 이슈나 학생 여론을 다루는 기사에서 스누라이프를 인용하며, 이에 대해 스누라이프 운영자는 언론의 선정적인 보도 태도와 스누라이프 여론을 전체 학생 여론으로 확대 해석하는 점을 비판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대학교 - 서울대학교병원
서울대학교병원은 1885년 제중원으로 시작하여 대한의원, 조선총독부의원을 거쳐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으로 개편 후 특수법인으로 전환되었으며, 현재 본원 외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서울특별시 보라매병원 등을 운영하며 국내외 의료 활동을 수행하는 대한민국 병원이다. - 서울대학교 - 경성제국대학
경성제국대학은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가 설립한 대한제국 최초의 제국대학으로, 법문학부와 의학부를 시작으로 이공학부를 설치했으며, 광복 후 서울대학교에 흡수 통합되었다. - 대한민국의 웹사이트 - 다음
다음은 1995년 설립되어 검색, 커뮤니티, 뉴스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했으며, 2014년 카카오와 합병 후 현재는 카카오의 주요 서비스 중 하나이다. - 대한민국의 웹사이트 - 오마이뉴스
오마이뉴스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라는 모토 아래 시민기자 제도를 운영하는 대한민국의 인터넷 신문으로, 시민들이 직접 기사를 쓰고 상근 기자가 편집하는 방식으로 운영되며 진보적인 성향을 띤다. - 1999년 설립 - 부산민주공원
부산민주공원은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공원 내에 위치하며 부마민주항쟁 20주년 기념으로 1999년에 개관한 공원으로, (사)부산민주항쟁기념사업회가 부산광역시로부터 위탁받아 운영하며, 부산광역시 조례에 따라 관리된다. - 1999년 설립 - 네이버
네이버는 1999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기업 및 포털 사이트로, 검색 엔진을 기반으로 뉴스, 메일, 블로그, 쇼핑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며 대한민국 검색 시장 점유율 1위를 유지하고 해외 시장에도 진출했다.
스누라이프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스누라이프 |
로고 | SnulifeLogo.jpg |
설명 | 서울대학교 학생 전용의 포털 사이트 |
웹사이트 | 스누라이프 |
영리 여부 | 비영리 |
종류 | 대학생 커뮤니티 |
시작일 | 1999년 |
언어 | 한국어 |
제작자 | 노정용, 박희원, 신승헌, 장우진, 한병우 |
상태 | 운영중 |
2. 역사
1999년 스누라이프는 서울대학교 내 정보 제공을 주된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이후 인터넷 사용이 증가하면서 서울대생들의 참여가 늘어 정보 제공뿐만 아니라 상호 토론 및 의사소통의 장으로 역할이 확대되었다. 특히 1990년대 이후 대학가에서 광장 문화가 약해지면서 스누라이프는 인터넷상의 광장 역할을 수행하게 되었다.[1]
2006년 11월에는 한 사용자에 의해 보안 취약점 문제가 제기되었고, 학생들의 개인 정보 유출 가능성이 언론에 보도되었다.[2] 이에 서울대학교 중앙전산원은 사이트를 임시 폐쇄했고, 스누라이프는 사과문과 함께 임시 게시판을 열었다. 2007년 1월 28일 데이터베이스 복구 후 정상 운영을 재개하였다.
2. 1. 설립 초기 (1999년 ~ 2006년)
1999년 설립 후 초창기의 스누라이프는 주로 학내의 여러 가지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담당했다. 인터넷 사용 인구의 증가로 점차 많은 서울대학교 학생들이 스누라이프에 유입되면서 정보 제공 역할과 더불어 상호 토론 및 의사소통의 장으로서의 역할이 부각되기 시작하였다. 1990년대 이후 학생들이 함께 모여 토론하는 이른바 광장 문화가 대학가에서 점차 약해지면서, 스누라이프는 인터넷상의 광장 역할을 맡게 되었다.[1]2. 2. 보안 취약점 문제 및 복구 (2006년 ~ 2007년)
2006년 11월 한 사용자가 스누라이프의 보안 상태가 매우 취약하다는 사실을 밝혔고, 학생들의 사생활이 담긴 쪽지들을 누구나 열람할 수 있으며 부정 인증을 통해 게시판에 글을 쓸 수 있다는 점이 언론에 알려졌다.[2] 서울대학교 중앙전산원은 당시 서버를 관리하며 스누라이프를 임시로 닫았고, 스누라이프는 사과문을 내걸고 임시 게시판을 운영하였다. 2007년 1월 28일 기존 데이터베이스를 복구하고 정상 운영을 재개하였다.3. 언론에서의 인용
언론은 서울대학교 관련 이슈나 학생들의 여론을 파악하기 위해 스누라이프를 인용한다.[3][4][5][6] 그러나 스누라이프 운영자는 언론이 서울대학교에 과도하게 관심을 가지고, 스누라이프 여론을 서울대생 전체 의견으로 일반화하는 것을 비판한다.[7]
3. 1. 서울대학교 관련 이슈 및 학생 여론 보도
서울대학생 전용의 종합 커뮤니티 포털이기 때문에 언론들이 스누라이프를 출처로 서울대학교와 관련한 이슈나 학생들의 생각과 고민에 관한 기사에서 종종 인용하기도 한다.[3][4][5][6] 이와 관련해 서울대학교의 일거수일투족에 선정적인 관심을 기울이는 기성 언론의 모습과 스누라이프에서 형성되는 여론을 마치 서울대생 전체의 여론인 것처럼 보도하는 것을 스누라이프 운영자가 비판한 바 있다.[7]3. 2. 언론 보도에 대한 비판적 시각
언론에서 서울대학교 전용 종합 커뮤니티 포털인 스누라이프를 출처로 하여 서울대학교 관련 이슈나 학생들의 생각 및 고민에 관한 기사를 작성할 때 종종 인용한다.[3][4][5][6] 이와 관련하여, 서울대학교의 일거수일투족에 선정적인 관심을 보이는 기성 언론의 보도 태도와 스누라이프에서 형성되는 여론을 서울대 학생 전체의 여론인 것처럼 보도하는 것에 대해 스누라이프 운영자가 비판한 바 있다.[7]참조
[1]
뉴스
'스누라이프 10주년 특집' SNULIFE
http://www.snunews.c[...]
대학신문
2010-09-05
[2]
뉴스
서울대생 쪽지메일 줄줄 샜다… 전용 포털서 ‘훔쳐보는 법’ 공개 파문
https://news.naver.c[...]
국민일보
2006-11-24
[3]
뉴스
서울대 도서관 `외부개방' 7년 만에 `축소'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7-06-12
[4]
뉴스
서울대 도서관 폭행사건, 인터넷 타고 일파만파
https://news.naver.c[...]
오마이뉴스
2005-04-07
[5]
칼럼
천자칼럼 성형의 명암
http://www.hankyung.[...]
한국경제
2007-06-22
[6]
뉴스
서울대생들 “정치인들 이력·발언 똑똑히 기억해주마”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08-07-22
[7]
간행물
서울대 인터넷 공간,네트워크를 모색하다
http://www.snujn.com[...]
서울대저널
2005-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