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서울대학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울대학교는 1895년 설립된 법관양성소를 시작으로, 1946년 경성제국대학과 9개의 전문학교를 통합하여 설립된 대한민국 국립 종합대학교이다. 15개의 단과대학, 1개의 일반대학원, 12개의 전문대학원을 운영하며, 관악캠퍼스, 연건캠퍼스, 평창캠퍼스 등 3곳의 캠퍼스를 두고 있다. '진리는 나의 빛'을 표어로 삼고 있으며, 다양한 연구 기관과 부설 학교를 운영한다. 국내 최고, 아시아 최상위권, 세계적인 명문 대학으로 위상을 떨치고 있으며, 대한민국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각 분야의 리더를 배출해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치과대학 - 전북대학교
    전북대학교는 1947년 설립되어 전북특별자치도에 여러 캠퍼스를 둔 거점국립대학교로, 다양한 단과대학과 대학원을 운영하며 QS 아시아 대학 평가에서 우수한 순위를 기록했다.
  • 치과대학 - 원광대학교
    원광대학교는 1946년 유일학림으로 설립되어 1971년 종합대학으로 승격된 대한민국의 사립 종합대학교로, 다양한 학부 및 대학원 과정을 운영하며 아름다운 캠퍼스와 다채로운 행사로 풍성한 대학 생활을 제공한다.
  • 서울 관악구의 학교 - 서울산업정보학교
    서울산업정보학교는 일반계 고등학교 2학년 과정 이수 예정자를 대상으로 자동차, 항공정비, 친환경에너지전기, 영상미디어콘텐츠, 인테리어디자인, 웹툰디자인, 호텔외식조리, 카페베이커리, 미용예술, 헤어디자인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 인력을 양성하는 직업 위탁 교육 기관이다.
  • 서울 관악구의 학교 - 서울정문학교
    서울정문학교는 1997년 3월 1일 옛 서울난화초등학교 부지에 개교한 학교이다.
서울대학교 - [대학]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서울대학교 상징
서울대학교 상징
정식 명칭서울대학교
한자 표기서울大學校
로마자 표기Seoul Daehakgyo
영어 표기Seoul National University
모토Veritas Lux Mea
모토 (한국어)진리는 나의 빛
모토 (영어)The Truth is My Light
설립일1946년 8월 22일
학교 종류국립
총장유홍림
위치관악구, 서울특별시 (관악 캠퍼스)
종로구, 서울특별시 (연건 캠퍼스)
평창군, 강원도 (평창 캠퍼스)
시흥시, 경기도 (시흥 캠퍼스)
국가대한민국
캠퍼스 면적4.2 km² (1037 에이커), 아보레타와 다른 캠퍼스 포함 시 7.0 km² (1,729 에이커)
교색서울대 파랑색
마스코트두루미, 느티나무
소속아시아 자유 인문 대학 연합
동아시아 연구 대학 협회
환태평양 대학 협회
아시아 대학 연합
웹사이트서울대학교
서울대학교 (영문)
서울대학교 로고
서울대학교 로고
역사적 중국어 명칭漢城國立大學 (한성국립대학)
규모
교수진2,278명 (2022년)
학생 수28,264명 (2022년)
학부생15,870명
대학원생12,394명
박사 과정4,019명
조직
단과대학15개
자유전공학부1개
일반대학원1개
전문대학원12개
추가 정보
대학 설립 형태국립대학법인 서울대학교
캠퍼스 정보
冠岳 (관악) 캠퍼스 주소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
蓮建 (연건) 캠퍼스 주소서울특별시 종로구 대학로 103
平昌 (평창) 캠퍼스 주소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대화면 평창대로 1447
始興 (시흥) 캠퍼스 주소경기도 시흥시 서울대학로 173

2. 역사

1946년 7월 13일 미 군정청 문화교육부는 '국립서울종합대학안'을 공식 발표했다. 조선교육심의회에서 현대적 국립대학을 건립할 때 경성대학을 중심으로 여러 관 · 공립 및 사립의 전문학교를 통합하자는 구상이 있었다고 한다.[59] 1946년 8월 22일에 ‘국립서울대학교 설립에 관한 법령’이 공포됨으로써 서울대학교는 공식적으로 설립됐다. 이 법령은 경성대학을 중심으로 여러 관 · 공 · 사립 전문학교를 통합하여 종합 대학을 설립하는 것이었는데, 9개 단과대학(문리과대학, 공과대학, 농과대학, 법과대학, 사범대학, 상과대학, 의과대학, 예술대학, 치과대학)과 1개 대학원으로 구성된 ‘국립서울대학교’가 1946년 10월에 개교하였다. 초대 총장으로 해리 엔스테드 미국 해군 대위가 취임하였다.[60] 그러나 설립 과정에서 기존 대학에 있던 교수, 직원, 학생들은 반대 운동을 강렬히 전개했으며, 이를 국대안 파동이라 부른다.

한국 전쟁 발발로 1951년부터는 부산으로 옮겨가 전시연합대학 형태로 수업을 진행해야 했다. 이듬해 5월에 전시 연합대학은 해체됐으며, 1953년 9월 18일이 돼서야 본부와 문리과 대학이 서울로 돌아오게 됐다.

1960년에는 독재 정권에 항거한 4·19 혁명으로 서울대학교 재학생 7명이 사망했으며, 그 해 11월 민족통일연맹이 결성됐다. 4·19 혁명이 끝나고 대학에는 학생회 조직과 같은 자율적인 분위기가 잠시 조성됐으나 이듬해 5·16 군사 정변으로 탄압이 다시 이어졌다.[61] 1960년대는 이에 대한 학생들의 저항이 계속 이어지는 시기였다.[62] 한편 1961년에는 정부의 ‘국립대학 정비절차’에 따라 많은 사범대학 학과가 폐지되고 문리대로 합쳐지는 일이 벌어지기도 했다. 사범대 교수와 학생들은 이에 거세게 항의했으며, 이듬해 정부는 없어진 학과들을 다시 부활시켰다.[63]

1970년대 중반까지 서울대학교 단과대학들은 서울특별시 동숭동(문리과대학), 연건동(의과대학), 을지로(사범대학, 음악대학), 공릉동(공과대학), 종암동(상과대학), 경기도 수원시(농과대학) 등 곳곳에 나뉘어 있었다. 이에 서울대학교는 종합화 계획을 세우고 1975년에 공과대학, 농과대학(현재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과 의과대학 본과만을 제외하고 단과대학들을 모두 새로 세운 관악캠퍼스로 이전하였고, 1980년에는 노원구 공릉동공과대학을 관악캠퍼스로 이전하였다. 현재 공릉동 캠퍼스는 서울과학기술대학교가 사용하고 있다. 수원에 남아 있던 단과대학도 2003년에 관악으로 이전하게 됨에 따라 현재와 같이 관악과 연건캠퍼스만 남게 됐다.[64]

경성공업전문학교(현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10월 유신 이후 계속 억눌려 있던 대학에는 1987년 6월 항쟁으로 민주화 분위기가 조성됐으며 1991년에 총장 선출 방식도 직선제로 변경됐다.[61] 첫 직선제 총장인 김종운을 시작으로 이수성, 선우중호, 이기준, 정운찬, 이장무, 오연천 등이 총장으로 선출됐다.

2011년 12월 28일에는 새로 시행된 ‘국립대학법인 서울대학교 설립·운영에 관한 법률’에 따라 1946년 이래 65년 동안 유지해왔던 국립대학교 체제로부터 독립법인 체제로 전환하였다.[65] 2014년 6월에는 평창캠퍼스가 준공됐으며 같은 해 7월 법인화로 전환된 이후에 치러진 첫 간선제 총장 선거에서 성낙인이 제26대 총장으로 선출되면서 2018년 7월까지 맡았다.

서울대학교 총장은 대한민국 내에서의 서울대학교의 위상으로 인해 대한민국 고등교육 및 학문 분야의 수장으로 여겨지고 있으며, 그 지위는 장관급이다.[66]

1946년 개교 이후 총 26명의 총장이 배출되었으며 이들 중 3명이 국무총리, 6명이 장관을 지냈다. 개교 초기부터는 정부에서 임명하는 관선제였으나 1987년 6월 항쟁 이후 제19대 총장부터 직선제로 바뀌었으며, 2011년에 법인화로 전환된 이후 간선제로 다시 바뀌었다.

2. 1. 서울대학교의 기원

19세기대한제국의 고종은 자력 근대화를 위한 교육 사업을 추진하면서 여러 근대식 고등 교육 기관을 설립했다. 1895년 4월 19일, 칙령을 통해 최초의 근대 법학 교육기관인 '''법관양성소'''가 설립되었고, 이곳에서 이준을 포함한 47명이 졸업했다. 법관양성소는 이후 '''법학교'''(1909년), '''경성전수학교'''(1911년), '''경성법학전문학교'''(1922년)를 거쳐 '''국립서울대학교 법과대학'''(1946년)으로 이어졌으며, 2018년 2월까지 존속하였다.

1895년 5월 10일에는 소학교 교사 양성기관인 '''한성사범학교'''가 설립되었다. 한성사범학교는 '''관립경성고등보통학교 사범과'''(1911년)를 거쳐 '''국립서울대학교 사범대학'''(1946년)으로 이어져 현재의 서울대학교 사범대학이 되었다.

1899년 고종은 전문 의료인 양성을 위해 의학교를 설립했다. 의학교는 이후 '''대한의원 교육부''', '''경성의학전문학교'''를 거쳐 '''국립서울대학교 의과대학'''으로 이어졌고, 현재의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및 의학전문대학원으로 계승되었다. 대한의원은 1901년 산파 및 간호부양성과를 신설했는데, 이는 '''서울대학교 간호대학'''의 시작이었다.

1904년에는 농업상업을 가르치는 '''농상공학교'''가 개교했고, 이후 '''국립서울대학교 농과대학'''을 거쳐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으로 이어졌다.[58]

2. 2. 일제강점기와 경성제국대학

1924년 일본은 외지 최초의 제국대학인 '''경성제국대학'''을 경성부(현 서울특별시)에 설립하였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1945년 10월 17일 '''경성대학'''으로 이름이 바뀌었다.[58]

1946년 8월 22일, 대한민국 미군정은 경성대학과 9개의 구제 전문학교(경성의학전문학교, 경성법학전문학교, 경성치과의학전문학교, 경성공업전문학교, 경성광산전문학교, 수원농림전문학교, 경성경제전문학교, 경성사범학교, 경성여자사범학교)를 통합하여 하나의 국립대학을 설립하려는 「국립 서울대학교 설립에 관한 법령」을 발표하였다. 이 법령에 따라 같은 해 10월 15일 서울대학교가 개교하였다.

초대 총장은 미국인 Harry Bidwell Ansted|해리 비드웰 안스테드영어였다. 한국인 총장은 1947년에 취임한 이춘호|이춘호한국어가 처음이다. 1950년 9월에 경성약학전문학교가 서울대학교로 이관되어 서울대학교 약학대학이 되었다.[58]

한국 전쟁 중에는 한때 부산으로 피난하기도 하였다.[58]

법적으로 구 경성제대와 서울대학교의 연속성은 없으므로, 서울대학교의 공식적인 견해는 경성제대를 기원으로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사회와 일부 시설은 구 경성제대의 것을 사용하고 있으며, 일부 학부는 일제강점기 시대의 학교를 전신으로 하고 있다.

2. 3. 개교와 그 이후의 변천

19세기대한제국 고종은 자력 근대화를 위한 교육 사업을 추진하면서 여러 근대식 고등 교육 기관을 설립했다. 1895년 4월 19일, 칙령을 통해 최초의 근대 법학 교육기관인 법관양성소가 설립되었고, 이후 법학교(1909년), 경성전수학교(1911년), 경성법학전문학교(1922년)를 거쳐 1946년 국립서울대학교 법과대학으로 이어졌다. 같은 해 5월 10일에는 소학교 교사 양성기관인 한성사범학교가 설립되어, 관립경성고등보통학교 사범과(1911년)를 거쳐 국립서울대학교 사범대학으로 이어졌다. 1899년에는 의학교가 설립되어 대한의원 교육부, 경성의학전문학교를 거쳐 국립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및 의학전문대학원으로 계승되었다. 대한의원은 1901년 산파 및 간호부양성과를 신설했는데, 이는 서울대학교 간호대학의 시작이었다. 1904년에는 농상공학교가 개교하여 농업상업을 가르쳤고, 이후 국립서울대학교 농과대학을 거쳐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으로 이어졌다.[58]

1924년 일본이 외지 최초의 제국대학경성제국대학경성부(현 서울특별시)에 설립하였다. 1945년 광복 이후 10월 17일 '''경성대학'''으로 개칭되었다.

1946년 8월 22일 대한민국 미군정은 경성대학과 9개의 구제 전문학교를 통합하여 국립대학을 설립하려는 「국립 서울대학교 설립에 관한 법령」(국대안)을 공표하였다. 같은 해 10월 15일 서울대학교가 개교하였다. 통합된 학교는 다음과 같다.

초대 총장은 해리 비드웰 앤스테드(Harry Bidwell Ansted)였다.[5] 미 군정의 대학 통합에 반대하는 학생들과 교수들은 시위 운동(국대안 파동)을 1년 반 이상 벌였다. 이 과정에서 교수 320명이 해고되었고 학생 4,950명이 학교를 떠났다.[5] 1947년 10월부터는 이춘호한국어가 두 번째 총장으로 재임했다.

1950년 9월 경성약학전문학교가 서울대학교로 이관되어 서울대학교 약학대학이 되었다.[6]

한국 전쟁 당시 서울대학교는 북한군에 점령당했고, 그 기간 동안 서울대학교병원 학살 사건이 발생했다.[7] 이후 서울대학교는 부산으로 임시 이전하였다.

서울대학교는 법적으로 구 경성제대와의 연속성은 없다고 보고 있으나, 이사회와 일부 시설은 구 경성제대의 것을 사용하고 있으며, 일부 학부는 일제강점기 학교를 전신으로 하고 있다.

3. 캠퍼스

서울대학교는 여러 캠퍼스를 운영하고 있는데, 크게 관악캠퍼스, 연건캠퍼스, 평창캠퍼스로 나뉜다.
관악캠퍼스는 서울특별시 관악구에 위치한 주 캠퍼스이다. 1975년 서울대학교 종합화 계획에 따라 여러 단과대학이 이전해 오면서 조성되었다. 박정희 대통령의 지시로 학생 시위를 막기 위해 이전했다는 의혹도 있다. 캠퍼스 내에는 '샤' 모양의 정문 조형물이 랜드마크 역할을 하며, 주변에는 '샤로수길'이라는 상권이 형성되어 있다.
연건캠퍼스는 서울특별시 종로구 대학로에 위치하며, 의과대학, 치의학대학원, 간호대학과 서울대학교병원이 있다. 과거 경성제국대학 의학부 건물이었던 역사적 장소이기도 하다.
평창캠퍼스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에 위치하며, 국제농업기술대학원이 유일한 교육기관이다. 농업 및 바이오 분야 연구에 특화된 캠퍼스이다.

과거에는 종로구 동숭동(문리과대학, 법과대학 등), 노원구 공릉동(공과대학), 성북구 종암동(상과대학) 등에도 캠퍼스가 있었으나, 1975년 서울대학교 종합화 계획에 따라 대부분 관악캠퍼스로 이전하였다. 공릉동 캠퍼스 부지는 현재 서울과학기술대학교가 사용하고 있다.

이 외에도 시흥시에 글로벌 캠퍼스 설립을 추진하는 등 캠퍼스 확장을 위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서울대학교는 과거 사범대학 부속국민학교 부지(현 미군 점유)를 두고 국방부와 법정 다툼을 벌이고 있다.[71] 또한, 전라남도 구례군광양시 등에 연습림을 소유하고 있으며, 인천경제자유구역 청라지구, 경기도 수원시,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등에 새로운 캠퍼스 및 연구단지 조성 계획을 추진 중이다.

3. 1. 관악캠퍼스

서울대학교 정문 광장 전경


thumb

thumb

thumb

1960년대 초 설립되어 경기도 화성시로 이전했던 관악컨트리클럽 부지에 1975년 2월 관악캠퍼스가 조성되었다. 박정희 대통령은 학생 시위를 싫어하여, 1975년부터 1979년 사이에 대부분의 단과대학을 관악캠퍼스로 이전시켰다.[8][9]

정문 앞 광장에 있는 '샤' 모양 조형물은 서울대학교의 랜드마크이자 교표에도 사용된다. 서울국립대학교 초성(ㅅㄱㄷ)을 형상화한 것으로, 교훈 '진리는 나의 빛(VERITAS LUX MEA)'의 '진리'를 찾는 열쇠를 상징한다. 서울대입구역 2번 출구에서 이어지는 관악로 14길은 '샤로수길'로 불리며, 카페와 식당이 밀집한 관악구의 주요 상권이다.

2006년 개교 60주년을 맞아 정문 조형물을 밝은 은회색으로 도색하고 야간 조명을 설치하여, 학문 전당의 이미지를 강화했다. 2022년에는 정문 환경 개선 사업으로 광장이 조성되었다. 기존 도로는 관악산 계곡 방향으로 옮겨졌고,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서현 교수의 설계로 2024년 4월 25일 착공, 8월 24일 완공되었다. 광장 바닥에는 서울대학교 교표가 새겨졌고, '지식의 계단'(삼각형 수경 시설)과 '지식인의 의자'가 설치되어 기념사진 촬영 명소가 되었다.

서울대학교는 관악캠퍼스(관악구 관악로 1), 연건캠퍼스(대학로), 평창캠퍼스(강원도 평창군)를 운영한다. 관악캠퍼스는 서울 지하철 2호선 서울대입구역과 연결된 주 캠퍼스다.

규장각(Gyujanggak)은 1776년 정조의 명으로 창덕궁에 설립된 왕실 도서관이다. 현재는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21]에서 관리하며, 한국 역사 기록의 주요 보관소이자 학술지 '규장각' 발간 등 연구 중심지 역할을 한다.

서울대학교 미술관(SNUMoA)은 1995년 이종상 교수의 제안과 삼성문화재단의 기부로 설립되었다. 렘 쿨하스가 설계하고 삼성이 시공한 건물은 지상 3층, 지하 3층, 4450m2 규모로, 앞부분이 돌출된 캔틸레버 구조가 특징이다. 2006년 6월 8일 개관했으며, 정헌민 관장이 2006년부터 미술관장직을 맡고 있다.[24]

서울대학교 체육관은 5,000석 규모의 실내 경기장으로, 1988년 하계 올림픽 탁구와 배드민턴(시범 종목) 경기를 위해 1986년 건립되었다.

관악캠퍼스에는 대학 본부, 경영대학(정문 근처), 공과대학(산 중턱), 관악사(기숙사), 교수회관(과거 클럽하우스) 등이 있다. 서울에서는 여의도와 함께 벚꽃 명소로 알려져 있다. 관악산 자락에 위치하여 외부 출입이 제한적이었던 지형은, 학생들의 반박정희 투쟁을 통제하기 위한 정부의 의도라는 의혹도 있다.

1990년대 이후 관악캠퍼스에 건물 약 200동 중 절반이 건설되었으며, 최근 신축 건물 급증으로 시민단체의 항의를 받기도 했다. 가장 가까운 역은 낙성대역 또는 서울대입구역이다.

3. 2. 연건캠퍼스

과거 경성제국대학 의학부 자리에 위치한 연건 캠퍼스에는 의과대학, 치의학대학원, 간호대학이 있으며, 서울대학교병원 본원도 이 캠퍼스에 위치해 있다.[8][9] 대학로창경궁로 사이에 위치하며, 혜화역이 가장 가까운 역이다. 병원 본관이 캠퍼스 중심에 있으며, 의대 본관 등은 대학로에, 치과대학은 창경궁로에 위치해 있다.

3. 3. 평창캠퍼스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대화면 신리에 위치하며, 2014년 6월 12일 정식으로 준공식이 열렸다.[82] 국제농업기술대학원이 평창캠퍼스 내의 유일한 교육기관이며 현재 약 100명 이상의 석사·박사과정생들이 수업 및 연구에 집중하고 있다.[82] 캠퍼스 전체가 농업 및 바이오 집중 기관이다 보니 대중들에게 많이 알려지지 않은 면이 있다. 방문하기 위해선 KTX 평창역에서 하루 5회 운행하는 시내버스를 타고 이동하거나 택시를 타야 한다. 택시비는 가장 가까운 문으로 진입 시 5500KRW이다.

3. 4. 기타 캠퍼스

과거 서울대 사범대학 부속국민학교가 사용하던 서울 중구 을지로의 땅은 현재 국방부와 법정 다툼을 벌이고 있다. 해당 토지의 크기는 약 40000m2 정도로 현재 미군 극동사령부 공병단이 점유하고 있다.[71]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대화면 신리에 위치한 평창캠퍼스는 2014년 6월 12일 정식으로 준공되었다. 평창캠퍼스에는 국제농업기술대학원이 있으며, 현재 약 100명 이상의 석사, 박사과정생들이 수업 및 연구에 집중하고 있다.[82]

2010년 2월 서울대학교는 시흥시와 글로벌 캠퍼스 설립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송도국제업무지구, 평택항, 인천국제공항, 인천항 인근 서해안 경제자유구역 내 약 2090000m2의 부지를 확보했다.[17] 이 부지 확보로 서울대학교의 면적은 기존 1400000m2에서 2200000m2로 58% 증가하고, 재학생 및 교직원 수는 현재의 33%에 해당하는 1만 명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18]

과거 농생명과학대학, 수의과대학이 있던 수원 캠퍼스는 이들 단과대학이 2003년 관악 캠퍼스로 이전함에 따라 매각될 예정이었으나, 아직까지 성사되지 않았다. 그 외에도 전라남도 구례군광양시 등에 약 200km2의 연습림을 소유하고 있다. 현재 인천경제자유구역 청라지구에 한국과학기술원(KAIST)의 신캠퍼스와 국제과학복합연구단지, 경기도 수원시에 차세대융합기술원,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에 그린바이오첨단연구단지를 조성하는 계획이 진행 중이다.

4. 대학 및 개설 학과

서울대학교는 학부 과정과 대학원 과정을 모두 제공한다. 1981년부터 1987년까지는 지원자가 한 대학교에만 지원할 수 있었는데, 매년 정부 시행 학력고사 상위 0.5% 성적의 80% 이상이 서울대학교에 지원했고, 그중 많은 수가 불합격했을 정도로 입학 경쟁이 매우 치열했다.[14]

서울대학교는 16개 단과대학에서 83개 학부 학위 프로그램을 제공하며,[14] 5개 학문 분야의 99개 프로그램을 갖춘 일반대학원과 12개의 전문대학원을 두고 있다.[15][16]

4. 1. 학부 과정

국립대학법인 서울대학교의 교육조직은 국립대학법인 서울대학교 설립ㆍ운영에 관한 법률(서울대법)[53] 제4조 제1항 제6호 및 국립대학법인 서울대학교 정관(서울대정관)[88] 제30조에 따라 서울대학교 이사회의 권한으로 학칙에 위임되어 있다. 서울대학교 학칙(학칙)[89] 제2장 제2절 제14조 내지 제22조는 '교육조직'이라는 제목으로 대학 및 대학원의 편제를 규정하고 있다.

서울대학교 학칙 제14조 제1항, 제3항 별표 1[89]에 따르면, 2022년 기준으로 15개의 단과대학에 83개 학과(부)가 설치되어 있다. 각 학과별 정원은 학칙 제16조 제1항 별표2에 규정되어 있다.

2002학년도를 마지막으로 치의예과 및 치의학과는 학부 신입생을 받지 않고 ‘치의학전문대학원’으로 통합되었으나, 2014학년도 입시부터 치의학과 학석사 통합과정을 운영하여 신입생을 선발하고 있다.[90] 2009학년도부터는 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의 개원으로 법학부 신입생을 받지 않는다. 2008학년도 신입생부터는 주전공 외에 복수전공, 부전공, 연합전공, 연계전공 등 다른 학과의 학점을 필수로 이수해야 하는 제2전공제가 사실상 의무적으로 실시되었다. 2017학년도 신입생부터는 광역으로 모집하던 사회과학대학을 학부별로 모집한다.[91]

서울대학교 학부 과정 학과 목록은 다음과 같다.

단과대학학과(부)
인문대학
사회과학대학
자연과학대학
공과대학
농업생명과학대학
미술대학
음악대학
사범대학
생활과학대학
약학대학[95]
연합전공
수의과대학
간호대학
경영대학
의과대학
자유전공학부


4. 2. 대학원

서울대학교는 고등교육법에 따라 1개의 일반대학원과 12개의 전문대학원을 두고 있다.[89]

일반대학원은 석사 및 박사 학위를 수여하며, 5개 계열, 70여 개의 학과 및 협동과정으로 구성되어 있다.[89] 일반대학원의 학생들은 각 대학 및 전문대학원 소속이 아닌, 일반대학원 산하의 학과, 전공, 협동과정 중 한 곳에 소속된다.[89]

전문대학원은 총 12개로, 전문 학위가 수여되지만 예외적으로 학술 학위를 받을 수도 있다.[89] 법학전문대학원은 다른 전문대학원과 달리 법학전문대학원 설치ㆍ운영에 관한 법률에 따른 규제를 받는다.[98] 2016년에는 공학전문대학원, 2020년에는 데이터사이언스전문대학원이 개원하였다.

서울대학교 대학원 현황[89][16]
구분대학원명학과
전문대학원보건대학원보건학과, 환경보건학과
환경대학원환경계획학과, 환경조경학과
행정대학원행정학과, 정책학과, 공기업정책학과
국제대학원국제학과
공학전문대학원응용공학과
의학대학원의학과
수의학대학원수의학과
치의학대학원치의학과
경영전문대학원Global MBA, SNU MBA, Executive MBA
법학전문대학원법학과
융합과학기술대학원나노융합학과, 디지털정보융합학과, 지능형융합시스템학과, 분자의학 및 바이오제약학과
국제농업기술대학원국제농업기술학과
데이터사이언스전문대학원데이터사이언스학과
일반대학원5개 계열, 70여 개 학과 및 협동과정[89]


5. 대학 시설

서울대학교는 서울(관악, 연건), 평창에 캠퍼스를 운영한다. 관악캠퍼스는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에, 연건캠퍼스는 한강 북쪽 대학로(서울특별시 종로구)에, 평창캠퍼스는 강원도 평창군에 있다.

2010년 2월, 서울대학교는 시흥시와 글로벌 캠퍼스 설립 양해각서를 체결, 송도국제업무지구, 평택항, 인천국제공항, 인천항 인근 서해안 경제자유구역 내 약 2090000m2 부지를 확보했다.[17] 이로써 서울대학교 면적은 기존 1400000m2에서 2200000m2로 58% 증가, 재학생 및 교직원 수는 33%(1만 명) 증가가 예상된다.[18]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광교신도시에는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이,[84] 서울대학교 시스템면역의학연구소는 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화촌면에 조성되었다. 인천경제자유구역 청라지구에 한국과학기술원과 국제 과학 복합 연구 단지[85] 조성 계획은 무산,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에는 그린바이오 첨단 연구 단지[86]인 평창캠퍼스가 조성되어 평창역 인근에 있다.

서울대학교는 전라남도 구례군, 광양시 등지에 200km2 연습림을 소유한다.[87]

과거 농업생명과학대학, 수의과대학이 있던 수원캠퍼스는 2003년 관악캠퍼스 이전 후 매각이 추진되었으나,[83] 서울대 법인화 이후 동쪽은 서울대학교, 서쪽은 기획재정부 소유가 되었다. 서울대학교는 구 농학도서관을 리모델링, 중앙도서관의 오래된 책 보존을 위한 보존도서관을 만들었다. 기획재정부와 경기도가 구 수원캠퍼스 정부 소유 부지를 경인교육대학교 경기캠퍼스 부지와 교환, 정부 소유 부지는 경기도 소유 경기상상캠퍼스가 되었다. 수원캠퍼스 서울대 소유 부지 기숙사(상록사)는 경기도 수원 소재 대학생을 위해 경기도에 임대되었다.

''대학신문''(大學新聞|대학신문한국어)은 학교 학생 신문이다.[26] 1952년 2월 4일 한국 전쟁 중 첫 발행, 1953년 서울 동숭동 이전, 1958년 고등학교 판 발행, 1960년 재정난으로 중단, 1975년 관악 캠퍼스 이전 후 현재까지 발행된다.[27] 초기 500원, 주 2회 발행이었으나 현재 매주 월요일 무료 배포된다. 학교 휴일, 시험 기간에는 발행되지 않는다.

서울대학교 체육관은 5,000석 규모 실내 스포츠 경기장으로, 1988년 하계 올림픽 탁구, 배드민턴(시범 종목) 경기ளுக்காக 1986년 건립되었다.

서울대학교의 주요 시설은 다음과 같다:

5. 1. 도서관

1946년 개교와 동시에 경성제국대학의 건물과 도서를 이어받아 “국립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으로 개관하였으며, 1949년에 “서울대학교 부속도서관”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99] 1975년 1월, 본관이 관악캠퍼스로 이전하면서 “서울대학교 도서관”으로 명칭이 변경되었고, 1992년에 다시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으로 변경되었다.[99] 2005년 수원캠퍼스에 있던 농업생명과학대학이 관악캠퍼스로 이전하면서 농학도서관도 관악캠퍼스로 이전하였다. 2006년 기준 분관으로는 사회과학도서관, 경영학도서관, 농학도서관, 법학도서관, 의학도서관, 치의학도서관, 국제학도서관 7개 관이 설치되었다.[100] 중앙도서관은 관악캠퍼스 62동 대학본부 뒤쪽에 자리 잡고 있으며, 2009년 기준 분관을 포함한 총 장서량은 약 400만 권이다.[100]

중앙도서관 통로의 야경


도서관 내 열람실은 재학생 전용과 일반인도 사용 가능한 열람실로 나뉘어 운영되었다. 국립 대학교라는 성격상 지역 주민도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전 열람실이 개방되었으나, 서울대학교 학생들의 열람실 부족 문제가 심화되면서 개방 여부에 대한 토론이 계속되었다. 결국 현재는 일부 열람실의 일반인 출입이 제한되었다.

'''관정관'''은 기존 중앙도서관에 이어 별도로 설치된 제2의 중앙도서관이다. 기존 중앙도서관의 시설 노후화와 학업 공간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012년부터 별관 신축이 계획되었다. 2013년 5월 29일에 기공식을 가졌고, 2015년 2월 5일 준공식을 거쳐 2월 23일에 개관하였다.

관정관 신축을 위해 2012년 3월부터 1000억 원 모금행사를 진행하였는데, 2개월 만에 이종환 삼영화학그룹 명예회장(이종환 장학재단 이사장)이 단일 기부로는 최대 액수인 600억 원을 기부하였다. 이후 수많은 교원, 동문, 일반인 등 약 700여 명이 모금에 동참하여 약 100억 원을 추가로 마련하였다. 제2도서관 이름은 이종환 명예회장의 아호인 '관정(冠庭)'을 따서 '관정관'으로 명명되었다.

관정관은 지하 1층, 지상 7층, 총넓이 약 2만 7천320m2 규모로, 4천 석의 열람실, 공동학습실, 멀티미디어실, 스터디가든, 콘퍼런스룸, 실내정원 등을 갖추고 있다. 건설에 기부한 유지들을 기리기 위해 도서관 내부 서가와 의자 등에는 100만 원 이상 기부한 이들의 이름이 새겨져 있다. 관정관은 통로로 연결된 기존 중앙도서관 (3만 500m2)과 합하여 국내 대학교 중 최대 규모의 도서관이 되었다.

관정관 완공과 함께 각종 상업 시설이 들어서고, 교외 일반인 및 본교 졸업자의 출입을 제한하는 문제로 논란이 있었다.

5. 2. 규장각한국학연구원

규장각


1962년 5월 서울대학교 부속중앙도서관 안에 ‘규장각 도서위원회’가 설치되었다. 1990년 6월 규장각 전용 건물이 준공되어 현재 위치에 자리 잡았다. 한국학 연구에 기초자료가 되어온 규장각 도서 이외에 17만 5천여 책의 고도서, 5만 여점의 고문서, 1만 8천여 점의 책판 등 총 30만 여점의 자료를 소장하고 있다. 2006년 2월 1일 서울대학교 규장각과 서울대학교 한국문화연구소가 통합되면서 현재의 ‘규장각한국학연구원’이라는 이름으로 설립됐다.[21]

1986년부터 ‘규장각 자료조사 사업’을 통해 고문서 간행사업을 시작했으며, 2001년부터 ‘한국학장기기초연구사업’을 진행하면서 한국학 관련 연구 과제를 지원하고 있다. 한국학 관련 워크숍, 심포지엄, 콜로퀴엄, 학술세미나 등 다양한 학술행사를 개최하고 있으며, 시민강좌, 초서강좌 등 일반인들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도 제공한다. ‘한국문화’, ‘규장각’, ‘Seoul Journal of Korean Studies’ 등 학술지를 발행하고 있으며, 자료 열람 및 전시 관람은 무료로 제공된다. 현재 원장은 김인걸 국사학과 교수이다.

thumb

규장각은 조선 시대의 왕실 도서관으로, 1776년 정조의 명으로 창덕궁 경내에 설립되었다. 오늘날 규장각 도서관 또는 규장각 아카이브로 알려져 있으며,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에서 관리하고 있다.[22] 규장각은 한국 역사 기록의 주요 저장소이자 연간 학술지 ''규장각''의 연구 및 출판 중심지 역할을 한다.

5. 3. 연구 기관

서울대학교의 연구 기관으로는 주관대학연구소, 본부직할연구소, 국가지원연구센터, BK21플러스 사업단, 그리고 HK 사업단이 있다. 본부직할연구소는 다음과 같다.



또한 대한민국 최초의 국제 기구인 국제 백신 연구소(IVI)도 위치해 있다.

국제 백신 연구소 건물
[82]

5. 4. 미술관

1995년 미술대학 동양화과 이종상 교수가 미술관 건립 건의안을 제출하였고, 삼성문화재단의 기증으로 건립되었다.[101] 설계는 네덜란드건축가인 렘 쿨하스가 맡았으며, 지상 3층, 지하 3층, 연면적 4450m2 규모로 삼성물산이 시공을 맡았다. 2003년에 관악캠퍼스 정문 옆에 착공하여 2005년에 완공되었고, 2006년 6월 8일에 개관하였다. 건물의 절반이 지면에서 떨어져 떠있는 것이 특징이며, 건물 내에 기둥이 전혀 없을 뿐 아니라 나선형 계단으로 각 층이 연결돼 있는 독특한 구조로 국내 미술계와 건축계의 주목을 받아왔다.[101] 2007년 10월 9일에는 덴마크 여왕인 마르그레테 2세가 방문하였다.[102]

서울대학교 미술관

5. 5. 박물관

1941년 경성제국대학 부속 박물관으로 건립되었던 건물과 유물을 그대로 이어받아 1946년 서울대학교 설립과 함께 “서울대학교 부속박물관”으로 개관하였다. 1975년 중앙도서관 6층으로 이전하면서 “서울대학교 박물관”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1993년 현재의 건물로 이전하였다.[103]

1층에는 고고학과 역사, 현대미술 및 기획 전시물을, 2층에는 인류 민속과 전통미술 관련 유물을 전시하고 있다. 주요 상설 전시품으로는 각종 고고학적 유적 출토품 및 자연사 관련 표본 등이 있다.[23]

5. 6. 언어교육원

1963년 서울대학교 동숭동 캠퍼스에서 어학연구소로 발족하여 2001년 언어교육원으로 승격하였다. 언어교육원은 서울대학교 구성원에게 영어를 비롯한 외국어 교육을 실시하며, 외국인에게 한국어 및 한국 문화를 가르치고 있다. 이 밖에도 국가공인 영어능력 인증시험인 TEPS, ‘TEPS- Speaking & Writing’, ‘u-TEPS’ 등과 중국어, 일본어를 포함한 6개의 외국어 능력을 측정하는 SNULT를 연구 개발하고 있으며, 언어학 학술지 《어학연구》를 발행한다.[104] 현 원장은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교수 전영철이다.

산하에 외국어교육센터, 한국어교육센터, TEPS 측정 센터, SNULT 센터가 있다.[104] 언어교육원은 관악 캠퍼스 수의대와 행정대학원 옆에 있으며,[105] 연건 캠퍼스에서도 분원을 두어 교육을 하고 있다.[106]

5. 7. 학생생활관 (기숙사)

[http://dorm.snu.ac.kr '''서울대학교 관악사''']는 학부생활관, 대학원생활관, 가족생활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1975년 8월 관악사 5개동과 후생동 1개동을 개사하여 남학생 970명을 수용하였고, 1983년 3월에는 여학생 거주동(288명 수용)이 개사되었다. 이후 1996년 8월에는 기혼 대학원생들을 위한 가족생활관(200세대 수용), 1999년 9월에는 918동 1인실 대학원생활관(304명 수용), 2004년 3월에는 919동 아파트형 기숙사(990명 수용), 2010년 9월에는 BTL생활관(7개동, 2,500명 수용)을 각각 개사하였다. 2014년 6월 기준으로 학부생활관 8개동, 대학원생활관 7개동, 가족생활관 5개동으로 총 5,010명의 수용 규모를 갖추고 있으며, 여기에는 전 세계 80여 개국에서 유학 온 1,000여 명의 외국인 학생들도 포함된다.[107] 현재 사감은 수의과대학 수의학과 김대용 교수이다.[108] 다른 학교들과 달리 특별히 제한된 출입 시간은 없는 것이 특징이다.[109]

관악사 전경


2010년 9월 이후 관악사에 새롭게 개보수된 기숙사 건물 1,300실 이상


관악사에 대한 더 상세한 사항들은 [http://dorm.snu.ac.kr/guidebook/2014_guidebook_ko_m.pdf '''관악사 가이드 북''']에 기술되어 있다. 관악사에서는 해마다 관악사 가이드 북을 발간하여 다양한 정보들을 제공하고 있으며, 외국인 학생들을 위해서 [http://dorm.snu.ac.kr/guidebook/2014_guidebook_en_m.pdf 영문판]도 제공하고 있다.

관악사는 숙박 외에도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들을 운영하여 학생들의 생활을 지원하고 있다. 2012년 12월부터 서울대학생을 대상으로 소통·봉사·팀웍의 민주시민 역량을 갖춘 사회적 리더를 양성하기 위한 반복 트레이닝 토론 프로그램인 [https://web.archive.org/web/20140714222921/http://acropolis.or.kr/ '''아크로폴리스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110] 또한, 2014년 6월부터 관악사 거주 사생이 자신이 준비한 학업 관련 컨텐츠를 영상매체를 통해 다른 관악사 구성원과 자발적으로 공유하는 지식나눔프로그램, [https://web.archive.org/web/20140714194715/http://gknet.or.kr/ '''서울대학교 관악사 지식실천공유프로그램(GKNet)''']을 운영하고 있다.[111]

연건캠퍼스에 있는 기숙사인 연건사는 일반 사생동 533명, 가족 생활동 17세대의 수용 규모를 갖추고 있다. 함춘사는 130명, 국제회관은 51명을 수용할 수 있다.

5. 8. 기타 시설


  • '''기록관'''은 1997년 7월 서울대학교 기록 및 역사 보존을 위해 설치된 대학 사료실에서 출발하였으며, 2001년 9월에 현재의 명칭인 기록관으로 개칭되었다. 서울대학교와 관련된 역사 기록 및 행정 문서들을 광범위하게 수집하고 있다. 기록관에 소장된 기록물은 서울대학교의 역사적 발전과 변천을 보여주는 학교사 자료를 포함해 학생운동 관련 자료, 교수 및 동문 등이 기증한 개인 컬렉션 등이다. 일반인도 열람 및 복사가 가능하며(단, 개인 정보가 포함된 자료는 부분 열람만 가능) 현재 약 5만여 건의 서울대 관련 기록을 보존하고 있다. 기록관 홈페이지를 통해 기록물을 기증할 수도 있다.[82]

  • '''기초교육원'''은 2002년 대학생들의 기본 소양과 각 전공의 기초 지식을 함양하는 것을 목적으로 설치됐다. 서울대학교 합격자를 대상으로 하는 영어(TEPS 평가), 수학, 물리 성취도 평가를 담당하고 있으며 성적에 따라 수준에 맞는 기초교육을 제공하고 있다. 그리고 핵심교양의 지정과 관리를 담당하고 있으며 학생들이 자율적으로 주제와 수업 방식을 선택할 수 있는 프로그램도 제공하고 있다. 현 원장은 인문대학 철학과 교수 허남진이다.[112]

  • '''대학생활문화원'''은 학생들의 심리검사 및 상담을 비롯한 각종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1962년 2월 ‘학생지도연구소’라는 이름으로 설립됐는데 1964년 의과대학 함춘회관에 있다가 1975년 관악캠퍼스 학생회관으로 장소를 옮겼으며, 2001년에 현재의 명칭을 대학생활문화원으로 변경하였다. 현 원장은 사회과학대학 사회복지학과 교수 김혜란이다.

  • '''평생교육원'''은 온/오프라인 평생교육을 통해 동반자 사회의 지식 나눔을 실천하는 기관으로 2010년 5월 개원하였다. 다양한 시민교양교육 프로그램과 원격교육을 활용한 전문자격 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며, 이 중 서울대학교 온라인 한국어교원 양성과정은 2013년 1월 기준으로 33개국 80여 개 지역의 학습자에게 서비스되고 있다. 현 원장은 국어국문학과 교수 장소원이다.

5. 9. 산하 부설학교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부설초등학교,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부설중학교,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부설여자중학교,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부설고등학교가 서울대학교 산하에 있다. 서울대학교가 법인화된 이후에도 이들 학교는 국립대학법인 서울대학교 소속으로 편입되지 못하다가 최근에 편입되었다. 국립대학법인이 부설한 학교는 국립학교로 간주한다는 법 조항에 따라 이들 학교는 공식적으로 국립이지만, 운영은 사립학교와 유사하게 이루어진다.[113]

현재 서울대학교 부설학교 교직원 중에는 아직 국공립학교 교사들이 남아있다. 그러나 이들이 수년 후 정기 인사이동을 하고 법인에서 빈 자리를 채울 교직원을 새로 뽑으면, 신임 교직원들은 국공립학교 교사가 아니라 법인 소속 직원이 되어 사립학교 교직원의 신분에 가까워진다. 그 외 운영 전반도 사립학교와 유사하게 이루어진다.[113]

6. 위상

대한민국대학수학능력시험 수석 및 수능 만점자들이 주로 서울대학교에 입학하며,[114] 졸업생들은 대한민국 학계, 정계, 재계에 널리 진출해 있다.[115] 국내에서는 '대한민국 최고의 대학', '대한민국의 최고 지성들이 모이는 곳'이라는 인식이 일반적이다.

영국타임스가 발표한 세계 대학 평가와 QS 세계 대학 평가 등에서 서울대학교의 순위는 꾸준히 상승했다. 2005년 93위로 100위권에 처음 진입한 후, 2014년에는 31위[119]도쿄 대학과 같은 순위에 오르기도 했다. 서울대학교는 2015년까지 세계 30위권, 2025년까지 세계 10위권 진입을 목표로 제시하기도 했으나,[120] QS 평가는 학술적 성과보다 평판도 비중이 커서 신뢰성 문제가 제기되기도 한다.

2015년에는 타임스 등 여러 대학 평가 기관에서 평가 대학을 확대하고 채점 기준을 변경하면서 QS를 제외한 대부분의 대학 평가 기관 순위가 하락했다. 2024년에는 QS 세계 대학 순위 31위에 올랐으며,[122] 이는 도쿄 대학교, 존스 홉킨스 대학교, 컬럼비아 대학교보다 높은 순위이다.

6. 1. 국내 위상

대한민국 정부가 시행한 대학수학능력시험 수석 및 수능만점자들이 주로 서울대학교에 입학하고,[114] 졸업생들은 대한민국 학계, 정계, 재계에 대거 포진해 있다.[115] 많은 인재를 배출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대한민국 최고의 대학', '대한민국의 최고 지성들이 모이는 곳'이라는 인식이 절대적이다. 이러한 인식으로 인해 일각에서는 서울대학교의 학벌주의를 타파하기 위해 서울대를 폐지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하였다.[116] 실제로 진보정권에서는 반지성주의를 내세워 서울대학교 폐지론을 내세웠으나 무산되었다.

서울대학교 졸업생들은 한국의 학계, 정부, 정치 및 사업계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한국교육개발원(KEDI)의 연구에 따르면 서울대학교의 명성은 다른 어떤 한국 대학교보다 평균 약 12% 높은 임금으로 이어진다.[28] 정부가 주관하는 대학수학능력시험(CSAT)의 책임자들은 대부분 서울대학교 졸업생이다.

1981년부터 1987년까지는 지원자가 한 대학교에만 지원할 수 있었는데, 매년 정부에서 시행하는 학력고사 상위 0.5% 성적대의 80% 이상이 서울대학교에 지원했고, 그중 많은 수가 불합격했다.

6. 2. 국제적 위상

영국타임스가 발표한 세계 대학 평가와 QS가 발표한 QS 세계 대학 평가 등에서 서울대학교의 순위는 꾸준히 상승했다. 2005년 93위로 100위권에 처음 진입한 후, 2006년 63위, 2007년 51위,[117] 2008년 50위, 2009년 47위, 2010년 50위, 2011년 42위, 2012년 37위, 2013년 35위,[118] 2014년 31위[119]도쿄 대학과 같은 순위에 오르는 등 순위가 상승했다. 서울대학교는 2015년까지 세계 30위권, 2025년까지 세계 10위권 진입을 목표로 제시하기도 했다.[120] 그러나 QS 평가는 학술적 성과보다 평판도 비중이 커서 신뢰성 문제가 제기되기도 한다.

2015년에는 타임스 등 여러 대학 평가 기관에서 평가 대학을 확대하고 채점 기준을 변경하면서 QS를 제외한 대부분의 대학 평가 기관 순위가 하락했다. 2015년 타임스 기준 순위는 85위, 세계 대학 학술 순위(ARWU) 기준 순위는 100위권 이하였다. 2018년 US 뉴스 & 월드 리포트 기준 순위는 129위였다.

2024년에는 QS 세계 대학 순위 31위에 올랐다.[122] 이는 도쿄 대학교, 존스 홉킨스 대학교, 컬럼비아 대학교보다 높은 순위이다.

평가 기관2023년 순위2024년 순위
QS 세계 대학 평가29위31위
타임스 고등교육 세계 대학 평가56위해당 없음
세계 대학 학술 순위(ARWU)98위해당 없음



2008년 과학 인용 색인 확장판(Science Citation Index Expanded) 데이터 분석에서 논문 발표 수 기준 20위를 기록했으며,[37] 그 다음 해에는 임상 시험 분야에서 세계 8위를 차지했다.[38]

7. 학생 활동

서울대학교 학생들은 총학생회, 동아리 활동 외에도 다양한 교내 언론 활동에 참여하고 있다.

관악캠퍼스 75동에 자리 잡은 대학신문사

  • '''대학신문''': 1952년 한국 전쟁 피난 중에 창간된 주간지이다. 1953년 서울 동숭동으로 이전했으며, 1958년부터 고교판을 발행하기도 했다. 1975년 관악캠퍼스로 이전하여 현재까지 발행되고 있다. 창간 당시에는 유료였으나 현재는 매주 월요일 무료로 배포하며, 방학이나 시험기간에는 발행하지 않는다.
  • '''서울대저널''': 1995년 총학생회에서 《우리세대》란 이름으로 창간한 월간지이다. 1997년 총학생회에서 벗어났으며, 2001년 《서울대저널》로 이름을 바꾸었다.[130]
  • '''교육저널''': 2007년 사범대 학생회에서 준비호를 발행한 후 연 4회 혹은 3회 발간되고 있다. 준비호 발행 이후에는 사범대 학생회 소속이 아닌 독립적인 자치언론으로 운영되고 있다.
  • '''교지 관악''': 1990년에 창간되어 2014년까지 매 학기 말(연 2회)에 발행되었다. 본래 총학생회 산하에 있었으나 2006년 총학생회회칙에서 해당 조항이 삭제됐다. 2014년에는 신입 기자 부족으로 폐간을 발표하였다.
  • '''쥬이쌍스''': 2002년부터 발행되고 있는 여성주의 자치언론이다.
  • '''스누나우''': 2001년 문을 연 인터넷 뉴스였으나 2007년 종간하였다.[131]
  • '''스누라이프(SNULife)''': 1999년에 개설된 비공식 사이트로, 학내 뉴스, 선거 소식, 교수들과의 대화 등의 내용을 제공하며 일부 학생들의 의사소통 창구로 기능하고 있다.

7. 1. 총학생회

서울대학교 총학생회는 군부독재 정권 시대에 민주화운동을 이끈 주요 대학 학생회 가운데 하나이며,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에서 볼 수 있듯이 민주화 과정에서 서울대학교 학생들의 희생도 적지 않았다. 2007년을 기점으로 50대를 맞았으며, 3.8 여성의 날 행사, 4.19 혁명 기념 대행진, 4.30 메이데이 행사, 봄 대동제(5월), 가을 대동제(10월), 총학생회 선거(11월) 등을 기획한다.[124]

미국산 쇠고기 수입 반대 및 동맹 휴업 총투표 결의 후 행진하는 서울대학교 재학생들(2008년)


2006년 황라열 총학생회장의 탄핵과 송동길 부총학생회장의 사퇴로 한동안 단과대학 회장단 회의 체제로 운영됐다.[125] 선거는 매년 11월에 열리지만, 2006년 선거 당시 투표율이 낮아 2007년 4월에 재선거가 열렸으며, 학생행진(운동권 좌파) 계열인 한성실 후보가 회장으로 당선됐다. 2007년 선거에서는 비운동권 계열인 '실천 가능' 선거운동본부의 전창열 후보가 당선됐고, 이듬해 선거에서도 같은 선본의 박진혁 후보가 당선됐다. 이후 ‘식권파동’, ‘서울대 총학생회 선거 도청 사건’ 등을 겪으며 2009년 11월과 2010년 4월, 두 차례의 총학생회 선거가 무산되어 2010년은 단과대학생회장연석회의로 운영됐다. 2010년 11월, 학생행진 계열로 사회대 학생회장 출신인 지윤이 총학생회장에 당선됐으며, 이후 2012년 3월에 선출된 사노위 계열로 법대 학생회장 출신의 오준규가 총학생회장에 당선됐다. 2013년 4월에는 산림환경학과 소속 김형래가 총학생회장에 당선되었다.

7. 2. 동아리

서울대학교의 학생 동아리는 본부에 소속된 중앙 동아리와 단과대학에 소속된 단과대학 동아리로 나뉜다. 2006년 기준으로 본부 동아리는 103개가 있다.[124] 본부 동아리 학생들은 다양한 활동을 통해 취미와 특기를 연마한다.

서울대학교에는 체육 특기생이 없지만 야구, 축구, 농구부 등이 있다. 1977년 창단한 야구부는 199패 1무 뒤에 2004년 첫 승을 거뒀다.[126] 축구부도 2004년에 18년 만에 승리했다.[127] 농구부는 2001년 이후로 무승을 기록하고 있다.[128] 반면 서울대학교 복싱부는 2001년부터 대학 복싱 동아리연합대회에서 종합 우승을 네 번이나 차지했다.[129]

8. 교내 언론


  • http://www.snunews.com/ '''대학신문''': 주간지 《대학신문》(大學新聞)은 1952년 2월 4일 한국 전쟁 피난 중에 창간되어 1953년 서울 동숭동으로 이전하였으며, 1958년부터 고교판을 발행한 적도 있다. 1960년 재정난으로 한때 발간이 중지되기도 하였지만 1975년 관악캠퍼스로 이전하여 오늘날까지 발행해오고 있다. 창간 당시에는 유료(500원)였고 한때 주 2회 발행했던 적도 있으나 현재는 매주 월요일 무료로 배포하고 있다. 방학이나 시험기간에는 발행하지 않는다.[26][27]
  • http://www.snujn.com/ '''서울대저널''': 월간지 《서울대저널》은 1995년 총학생회에서 《우리세대》란 이름으로 창간했다. 1997년 총학생회에서 벗어났으며, 2001년 《서울대저널》로 이름을 바꾸었다.[130]
  • '''교육저널''': 2007년 사범대 학생회에서 준비호를 발행하였으며 이후 연 4회 혹은 3회 발간되고 있다. 준비호 발행 이후에는 사범대 학생회 소속이 아닌 독립적인 자치언론으로 운영되고 있다.
  • '''교지 관악''': 1990년에 창간, 2014년까지 매학기 말(연 2회)에 발행되었다. 본래 총학생회 산하에 있었으나 2006년 총학생회회칙에서 해당 조항이 삭제됐다. 2014년에는 신입 기자 부족으로 폐간을 발표하였다.
  • '''쥬이쌍스''': 여성주의 자치언론 《쥬이쌍스》는 2002년 시작하여 꾸준히 발행되고 있다.
  • '''스누나우''': 2001년 문을 연 인터넷 뉴스 ‘스누나우’는 2007년 종간하였다.[131]
  • [http://www.snulife.com/ '''스누라이프(SNULife)''']]: 1999년에 개설됐으며 학내 뉴스, 선거 소식과 역사, 교수들과의 대화 등의 내용을 제공하는 등 언론으로서의 기능도 일부 담당하고 있다. 스누라이프는 비공식적인 사이트이고, 일부 학생들의 의사소통을 담당하는 사이트로써 기능하고 있다.

9. 동문회

서울대학교는 설립과 개교 이래로 학계, 법조계, 정계, 재계, 교육계, 언론계, 문화예술계, 의료계 등 사회 다방면에 걸쳐 많은 인재를 배출하였고 33만 동문을 보유하였다. 서울대학교 총동창회는 시기별로 단독활동기(1946년 ~ 1968년 12월)와 연립활동기(1968년 12월 ~ 1976년 2월), 종합활동기(1976년 2월 ~ 1979년 12월), 그리고 발전구축기(1980년 1월 ~ 현재)로 나눌 수 있다.

10. 관련 단체

서울대학교는 여러 대학 연합체에 참여하고 있다.

11. 기타



서울대학교 정문 앞 광장의 '샤' 모양 조형물은 서울대학교의 랜드마크이다. 서울국립대학교의 초성(ㅅㄱㄷ)을 표현한 것으로, 교훈인 ‘진리는 나의 빛(VERITAS LUX MEA)’의 '진리'를 찾는 열쇠를 상징한다. 서울대입구역 2번 출구로부터 이어지는 관악로 14길은 이 조형물에서 이름을 따 '샤로수길'이라 불린다.

2006년에는 개교 60주년을 맞아 조형물을 밝은 은회색으로 도색하고 주변에 조명을 설치했다. 2022년에는 정문 환경 개선 사업으로 정문 광장이 조성되었다.

서울대학교는 여러 드라마와 예능 프로그램의 배경으로 등장하기도 했다.


  • SBS 드라마 스타의 연인(2008)은 서울대학교 캠퍼스에서 촬영되었다.[43]
  • 2015년 5월에는 1박 2일 185회 촬영이 서울대학교 캠퍼스에서 진행되었다.[44]
  • tvN 드라마 응답하라 1988(2016)에서 류혜영이 서울대학교 수학교육과 학생 성보라 역을 맡았다.[45]
  • JTBC 드라마 스카이 캐슬(2018~2019)에서 서울대학교는 줄거리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 넷플릭스 시리즈 오징어 게임(2021)에서 주인공 조상우의 서울대학교 재학 경력이 중요한 설정으로 등장한다.
  • tvN 드라마 갯마을 차차차(2021)에서 주인공 홍두식은 서울대학교 출신이다.
  • SBS 드라마 펜트하우스(2020~2021)에서는 많은 등장인물이 서울대학교를 이상적인 대학교로 언급한다.
  • tvN 드라마이자 넷플릭스 드라마인 눈물의 여왕(2024)에서 백현우는 서울대학교 출신이다.

11. 1. 정문 광장



정문 앞 광장의 '샤' 모양을 한 조형물은 서울대학교의 랜드마크이다. 서울대학교 정장에도 이 조형물이 들어가 있다. 서울국립대학교의 초성(ㅅㄱㄷ)을 표현한 조형물로 서울대학교의 교훈인 ‘진리는 나의 빛(VERITAS LUX MEA)’의 '진리'를 찾는 열쇠를 상징하는 것이기도 하다. 서울대입구역 2번 출구로부터 이어지는 관악로 14길은 여기서 이름을 본따 '샤로수길'이라 불린다. 샤로수길은 카페와 식당이 즐비한 곳으로 관악구에 위치한 커다란 상권 가운데 하나이다.

2006년에는 개교 60주년을 맞아 기존 노란색에서 밝은 은회색으로 새로이 도색하고 정문 주변에 밤새 점등되는 조명을 설치했다. 이는 공적인 교육 공간의 이미지를 강화함과 동시에 24시간 깨어 있는 학문의 전당으로서의 서울대를 표현하고자 한 것이다.

2022년에는 정문 환경 개선 사업이 실시되어 정문 광장이 마련되었다. 이에 따라 조형물 바로 아래를 지났던 기존의 4차선 도로는 관악산 계곡 방향으로 옮겨졌고 정문 광장은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서현 교수의 설계 아래 4월 25일 착공하여 동년 8월 24일에 완공되었다. 광장 바닥에는 서울대학교의 정장이 새겨졌고, 그 위에는 '지식의 계단'이라는 이름의 삼각형 모양의 수경 시설이 설치되었다. 'ㅅㄱㄷ' 조형물 앞에는 '지식인의 의자'가 설치되어 재학생 및 졸업생, 방문객 등이 기념 사진을 남기기에 용이하게 되었다.

11. 2. 대중문화 속 서울대학교

서울대학교는 여러 드라마와 예능 프로그램의 배경으로 등장하며, 한국 사회에서 서울대학교가 갖는 상징적인 의미를 보여준다.

  • SBS 드라마 스타의 연인(2008)에서는 서울대학교 캠퍼스가 촬영 장소로 사용되었다. 갤러리, 규장각, 박물관 길 등이 주요 장면에 등장했는데, 이는 서울대학교가 캠퍼스를 영화나 TV 촬영 세트로 사용한 첫 번째 사례였다.[43]
  • 2015년 5월에는 유명 예능 프로그램 1박 2일 185회 촬영이 서울대학교 캠퍼스에서 진행되어 학교를 홍보하는 데 기여했다.[44]
  • tvN 드라마 응답하라 1988(2016)에서는 류혜영이 서울대학교 수학교육과 학생 성보라 역을 맡았다.[45]
  • JTBC 드라마 스카이 캐슬(2018~2019)에서 서울대학교는 줄거리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 넷플릭스 시리즈 오징어 게임(2021)에서는 주인공 조상우의 서울대학교 재학 경력이 중요한 설정으로 반복해서 등장한다.
  • tvN 드라마 갯마을 차차차(2021)에서 주인공 홍두식은 서울대학교 출신이다.
  • SBS 드라마 펜트하우스(2020~2021)에서는 많은 등장인물이 서울대학교를 이상적인 대학교로 언급한다.
  • tvN 드라마이자 넷플릭스 드라마인 눈물의 여왕(2024)에서 백현우는 서울대학교 출신이다.

참조

[1] 웹사이트 President's Office / Curriculum Vitae https://en.snu.ac.kr[...] Seoul National University 2023-02-06
[2] 웹사이트 Facts http://en.snu.ac.kr/[...]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9-04-01
[3] 웹사이트 Symbols & Identity | Overview | About SNU | SNU http://en.snu.ac.kr/[...] 2016-11-11
[4] 웹사이트 Best Investment to SNU Students http://useoul.edu/ne[...] Useoul.edu 2010-01-03
[5] 웹사이트 1st Harry B. ANSTED – History of Office – President's Office – About SNU – SNU http://useoul.edu/pr[...] 2015-07-15
[6] 웹사이트 History of the College of Pharmacy http://www.snupharm.[...] 2005-07-24
[7] 웹사이트 https://web.archive.[...] 서울대병원 2010-06-04
[8] 서적 https://books.google[...] Star Books 2015
[9] 뉴스 https://www.joongang[...] 2020-07-25
[10] 뉴스 Ruling party pushes to move top university out of Seoul to Sejong http://english.yonha[...] Yonhap News Agency 2012-09-24
[11] 웹사이트 Seoul Nat'l Univ. Asked to Build 2nd Campus in Sejong City http://english.donga[...] The Dong-A Ilbo 2009-11-21
[12] 뉴스 Sejong City Now Slated as Education, Science Hub http://english.chosu[...] 2009-11-24
[13] 뉴스 University campuses in Sejong City unlikely https://www.koreatim[...] 2010-06-27
[14] 웹사이트 Undergraduate http://en.snu.ac.kr/[...]
[15] 웹사이트 Graduate http://en.snu.ac.kr/[...]
[16] 웹사이트 Professional Graduate Schools http://en.snu.ac.kr/[...]
[17] 웹사이트 Siheung is on the Road to Becoming Korea's Investment Mecca http://www.koreaitti[...] The Korea Times (Los Angeles) 2011-03-16
[18] 웹사이트 Plans under way for new SNU branch in Siheung http://joongangdaily[...] joongangdaily.joins.com 2010-02-12
[19] 웹사이트 SNU To Share Siheung International Campus with Regional Universities http://useoul.edu/ne[...] useoul.edu 2011-01-25
[20] 웹사이트 http://library.snu.a[...]
[21] 웹사이트 Kyujanggak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http://kyujanggak.sn[...] 2016-11-11
[22] 웹사이트 History: Kyujanggak http://e-kyujanggak.[...] 2012-04-24
[23] 웹사이트 http://museum.snu.ac[...] 2007-06-16
[24] 웹사이트 http://snumoa.org/ 2007-06-16
[25] 웹사이트 Gwanaksa http://dorm.snu.ac.k[...] 2016-11-13
[26] 웹사이트 http://www.snunews.c[...] 2015-10-04
[27] 웹사이트 http://www.snunews.c[...] 2016-11-13
[28] 논문 Estimating the university prestige effect in South Korea's labor market https://web.archive.[...] Korean Education Development Institute 2013-05-14
[29] 뉴스 https://web.archive.[...] 이데일리 2013-12-20
[30] 뉴스 Science High Schools Dominate Scholarship https://www.koreatim[...] The Korea Times 2010-05-30
[31] 웹사이트 The World's Most Innovative Universities https://www.reuters.[...] Thomson-Reuters 2015-09-15
[32] 웹사이트 QS Asian University Rankings: Overall in 2023 https://www.topunive[...] Quacquarelli Symonds 2020
[33] 웹사이트 World Reputation Rankings https://www.timeshig[...] 2015-04-13
[34] 웹사이트 ARWU 2020 https://www.shanghai[...] Shanghai Jiaotong University 2022
[35] 웹사이트 CWUR 2020–2021 Top Universities in the World https://cwur.org/202[...]
[36] 웹사이트 QS World University Rankings: Seoul National University Rankings https://www.topunive[...]
[37] 웹사이트 Facts http://en.snu.ac.kr/[...] Useoul.edu 2011-12-02
[38] 웹사이트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World Ranking http://medicine.snu.[...] Seoul National University
[39] 웹사이트 SNU Ranked World's Top 5th in Producing Global CEOs http://en.snu.ac.kr/[...] Useoul.edu 2009-07-16
[40] 웹사이트 Graduates of Chinese Universities Take the Lead in Earning American Ph.D.'s http://chronicle.com[...]
[41] 웹사이트 Why are foreign academics running away? http://english.chosu[...] 2013-12-24
[42] 웹사이트 Faculty listing as of 1 April 2010 http://useoul.edu/ab[...] 2011-12-02
[43] 웹사이트 'A Star's Lover' http://english.visit[...] Korea Tourism Organization 2012-05-30
[44] 웹사이트 YouTube https://www.youtube.[...]
[45] 웹사이트 'Reply 1988' Ryu Hye Young, What's Your Identity https://www.kdramast[...] 2015-11-22
[46] 웹사이트 QS University Rankings: Asia 2014 http://www.topuniver[...]
[47] 웹사이트 http://www.snu.ac.kr[...]
[48] 웹인용 서울대학교 UI 사용 원칙 https://identity.snu[...] 서울대학교 홈페이지 2022-05-22
[49] 웹사이트 https://www.snu.ac.k[...]
[50] 웹사이트 https://www.snu.ac.k[...]
[51] 웹사이트 서울대학교 소개/다양한 상징들 http://www.snu.ac.kr[...]
[52] 웹인용 서울대학교의 상징, 정문의 변천사 https://www.snu.ac.k[...] 서울대학교 홈페이지 2022-05-22
[53] 웹인용 국립대학법인 서울대학교 설립ㆍ운영에 관한 법률,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 웹사이트 https://www.law.go.k[...]
[54] 웹사이트 서울대학교 연혁 http://www.snu.ac.kr[...]
[55] 웹인용 국립대학법인 서울대 출범 https://snu.ac.kr/sn[...] 서울대학교 홈페이지 2022-05-22
[56] text
[57] 웹사이트 서울대학교 통계연보 2019년판 https://www.snu.ac.k[...] 2020-08-26
[58] 웹사이트 서울대 60년사 http://www.snu.ac.kr[...]
[59] 웹사이트 서울대학교 연혁 http://www.snu.ac.kr[...]
[60] 웹사이트 서울대학교 창설 관련 기록 http://archives.snu.[...]
[61] 뉴스 개교60년 서울대 세계와 경쟁하라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06-09-28
[62] 뉴스 27년 만에 빛 본 1980년 ‘신동아’ 계엄검열 삭제 기사 ‘4·19에서 10·26까지 학생운동이 걸어온 발자취’ https://news.naver.c[...] 신동아 2007-10-27
[63] 뉴스 파란만장했던 학제 변천사 http://www.snunews.c[...] 대학신문 2006-04-08
[64] 웹사이트 서울대학교 발자취 2000년대 http://www.snu.ac.kr[...]
[65] 법률 서울대학교 설치령 http://likms.assembl[...] 2009-02-27
[66] 뉴스 https://news.naver.c[...]
[67] 뉴스 浪漫 저무는 東崇洞50년 <3> 文理大교정 경향신문 1975-01-18
[68] 뉴스 浪漫 저무는 東崇洞50년 <1> 부속圖書館 경향신문 1975-01-16
[69] 뉴스 浪漫 저무는 東崇洞50년 <5> 빨간 벽돌 講義室 경향신문 1975-01-23
[70] 뉴스 浪漫 저무는 東崇洞50년 <完> 독특한 學風자랑 경향신문 1975-01-30
[71] 뉴스 서울대-국방부, 서울 을지로 '땅 싸움' 점입가경 http://media.daum.ne[...] 뉴시스 2008-08-19
[72] 대학신문 관악 캠퍼스, 왜 이렇게 무질서한 미로 공간이 됐나 http://www.snunews.c[...] 2008-04-12
[73] 뉴스 00~06학번들의 캠퍼스 ‘공사판의 추억’ http://www.hani.co.k[...] 한겨레신문 2006-09-04
[74] 뉴스 '원래 등잔 밑이 어둡다잖아요' 숨겨진 서울 산책 코스 세 곳 http://article.joins[...] 중앙일보 2007-06-14
[75] 대학신문 서울대의 얼굴, ‘빛이 난다’ http://www.snunews.c[...] 2006-09-16
[76] 뉴스 관악구청 앞~서울대 정문 1500m ‘디자인 서울거리’ 추가 선정 http://www.siminilbo[...] 시민일보 2008-04-02
[77] 웹사이트 관악 캠퍼스 안내 http://www.snu.ac.kr[...]
[78] 뉴스 서울대 “SHOW를 하라” http://www.donga.com[...] 동아일보 2008-04-26
[79] 대학신문 학부모 여러분, 서울대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http://www.snunews.c[...] 2008-05-04
[80] 기타
[81] 웹사이트 http://www.snunews.c[...]
[82] 웹인용 서울대학교 평창캠퍼스 https://pyeongchang.[...] 2022-05-16
[83] 뉴스 애물단지가 된 서울대 수원캠퍼스 http://www.heraldbiz[...] 헤럴드경제 2006-11-13
[84] 뉴스 광교 명품신도시에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개원 http://www.fnnews.co[...] 전자신문 2008-03-21
[85] 뉴스 서울대 (BT)ㆍKAIST (IT) 청라에서 만난다 http://www.hankyung.[...] 한국경제 2007-04-12
[86] 뉴스 〈평창〉 서울대 연구단지 조성사업 윤곽 http://www.kwnews.co[...] 강원일보 2007-04-25
[87] 뉴스 서울대 보유 토지 여의도의 23배 달해 https://web.archive.[...] 서울경제 2005-03-27
[88] 웹인용 국립대학법인 서울대학교 정관,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 웹사이트 https://www.law.go.k[...]
[89] 웹인용 서울대학교 학칙,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 웹사이트 https://www.law.go.k[...]
[90] 웹사이트 대학입학 수시모집 http://admission.snu[...]
[91] 웹인용 2017학년도 대학 신입학생 입학전형 안내(최종) http://admission.snu[...] 2016-09-24
[92] text
[93] text
[94] text
[95] text
[96] 웹인용 고등교육법,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 웹사이트 https://www.law.go.k[...]
[97] 웹인용 고등교육법 시행령,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 웹사이트 https://www.law.go.k[...]
[98] 웹인용 법학전문대학원 설치ㆍ운영에 관한 법률,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 웹사이트 https://www.law.go.k[...]
[99] 웹사이트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 연혁 http://library.snu.a[...]
[100] 웹인용 출처자료: 2009 한국도서관연감 http://www.kla.kr/bu[...] 2010-01-28
[101] 뉴스 '문화 향연'에 흠뻑 취한 서울대생 학부모들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8-04-26
[102] 뉴스 마그레테 2세 덴마크 여왕, 서울대 미술관 방문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7-10-09
[103] 웹사이트 서울대학교 박물관 발자취 http://museum.snu.ac[...]
[104] 웹사이트 언어교육원 공식 홈페이지, 원장 인사 http://language.snu.[...]
[105] 웹사이트 언어교육원 공식 홈페이지, 오시는 길 http://language.snu.[...]
[106] 웹사이트 언어교육원 공식 홈페이지, 외국어교육센터 http://language.snu.[...]
[107] 웹사이트 서울대학교 관악사 현황 및 건물배치도 http://dorm.snu.ac.k[...]
[108] 웹사이트 서울대학교 관악사 사감인사말 http://dorm.snu.ac.k[...]
[109] 웹사이트 서울대학교 관악사 생활규정 http://dorm.snu.ac.k[...]
[110] 웹인용 아크로폴리스 연혁 및 비전 http://acropolis.or.[...] 2014-07-08
[111] 웹인용 GKNet 설립 목적 http://gknet.or.kr/i[...] 2014-07-08
[112] 웹사이트 기초교육원 공식 홈페이지, 원장인사말 http://liberaledu.sn[...]
[113] 뉴스 서울사대 부설 초중고, 서울대법인 소속으로 새출발 http://m.news.naver.[...] 연합뉴스 2014-01-01 # 날짜 형식 수정 (일자 정보 없으므로 01로 설정)
[114] 간행물 대입 수석 합격자 23인의 인생 스토리 월간중앙 2000-02-01 # 월 정보만 있으므로 01로 설정
[115] 뉴스 학벌 엘리트여, 학원에 감사하라 한겨레21 2006-11-21
[116] 뉴스 〈서울대 개교 60주년〉 6·25때 부산 피란… 91년에 첫 직선총장 https://news.naver.c[...] 서울신문 2006-10-13
[117] 뉴스 서울대 「더 타임스」 대학평가 세계 51위 http://www.snunews.c[...] 대학신문 2007-11-11
[118] 웹사이트 QS World University Rankings 2013 공식 홈페이지 2013년 순위 표 http://www.topuniver[...]
[119] 뉴스 서울대학교, 2014 QS 세계대학평가 31위 http://www.snu.ac.kr[...] 서울대학교 홍보팀 2014-09-16
[120] 뉴스 서울대, 영국QS 세계대학평가서 35위... 역대 최고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3-09-10
[121] 웹인용 글로벌경영자 배출 서울대 세계5위 http://www.snu.ac.kr[...] 서울대학교 2009-09-01 # 날짜는 연도만 제공되었으므로 1일로 가정합니다.
[122] 뉴스 세계 톱 100에 한국 대학 5곳...서울대, 9년 만에 도쿄대 제쳤다 https://www.chosun.c[...] 조선일보 2024-06-07
[123] 뉴스 세계대학순위 서울대 31위…한국 대학들 '약진' https://m.edaily.co.[...] 이데일리 2024-06-05
[124] 간행물 2007년 서울대학교 요람집 http://www.snu.ac.kr[...]
[125] 뉴스 송동길씨 사퇴 발표 http://www.snunews.c[...] 대학신문 2006-07-29
[126] 뉴스 서울대 야구부, 창단 28년 만에 첫 승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4-09-01
[127] 뉴스 서울대 축구승리 “18년만이네”…순수 아마팀…86년 후 1무가 최고 https://news.naver.c[...] 국민일보 2004-10-31
[128] 뉴스 꼴찌의 도전, 서울대 농구부 https://news.naver.c[...] 세계일보 2005-05-27
[129] 뉴스 서울대는 돌주먹…각종 아마복싱대회서 우승 휩쓸며 최강군림 http://sports.khan.c[...] 스포츠칸 2007-03-11
[130] 웹인용 서울대저널 소개 http://www.snujn.com[...] 2007-06-29
[131] 뉴스 마지막 편집장 되고 싶지 않았지만… http://www.mediatoda[...] 미디어오늘 2007-05-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