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스포르팅 크리스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포르팅 크리스탈은 1955년 창단된 페루의 프로 축구 클럽으로, 페루 1부 리그에서 20번의 우승을 차지하며 페루 축구 역사상 가장 성공적인 팀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1950년대 중반 Backus & Johnston 맥주 회사가 스포르팅 타바코를 인수하여 창단했으며, '로스 셀레스테스'라는 별칭으로 불린다. 1990년대는 4번의 리그 우승과 1997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준우승으로 전성기를 맞이했다. 에스타디오 알베르토 가야르도를 홈 구장으로 사용하며, 우니베르시타리오, 알리안자 리마와 라이벌 관계를 형성하고 있다. 여자 축구팀과 여자 배구팀도 운영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페루 프리메라 디비시온 구단 - 우니베르시타리오 데 데포르테스
    우니베르시타리오 데 데포르테스는 1924년에 창단된 페루의 스포츠 클럽으로, 축구팀이 페루 프리메라 디비시온에서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며, 알리안사 리마와 라이벌 관계를 형성하고 있다.
  • 페루 프리메라 디비시온 구단 - CD 우니베르시다드 세사르 바예호
    CD 우니베르시다드 세사르 바예호는 1996년 세사르 바예호 대학교를 대표하여 창단된 페루 트루히요 연고의 축구 클럽으로, 코파 페루, 페루 세군다 디비시온, 토르네오 델 잉카에서 우승한 경력이 있으며 만시체 경기장을 홈 구장으로 사용하고 파란색, 흰색, 빨간색을 클럽 색상으로 한다.
  • 페루 축구에 관한 - 우니베르시타리오 데 데포르테스
    우니베르시타리오 데 데포르테스는 1924년에 창단된 페루의 스포츠 클럽으로, 축구팀이 페루 프리메라 디비시온에서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며, 알리안사 리마와 라이벌 관계를 형성하고 있다.
  • 페루 축구에 관한 - 페루 프리메라 디비시온
    페루 프리메라 디비시온은 1912년 아마추어 리그로 시작하여 1951년 프로 리그로 전환된 페루의 최상위 축구 리그이며, 18개 팀이 참가하여 토르네오 아페르투라, 토르네오 클라우수라, 플레이오프 방식으로 진행되고, 우니베르시타리오 데 데포르테스가 최다 우승을 기록한다.
  • 1955년 설립된 축구단 - 가와사키 프론탈레
    가와사키 프론탈레는 1955년 후지쓰 축구부로 창단되어 1997년 프로팀으로 전환한 일본의 프로 축구단으로, J2리그 두 차례 우승과 J1리그 네 차례 우승을 포함해 다수의 메이저 타이틀을 획득하며 J리그 최강팀으로 자리매김했고 지역 밀착 활동으로도 유명하다.
  • 1955년 설립된 축구단 - 알나스르 FC
    알나스르 FC는 1955년 창단되어 노란색과 파란색을 팀 색상으로 하는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 연고의 프로 축구 클럽으로, 사우디 프로 리그 9회 우승, 아시아 클럽 위너스컵 우승 등 국내외에서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으며, 2022년 크리스티아누 호날두를 영입하며 세계적인 주목을 받았다.
스포르팅 크리스탈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공식 명칭클럽 스포르팅 크리스탈 S.A.
별칭로스 세르베세로스 (Los Cerveceros)
로스 리멘세스 (Los Rimenses)
로스 셀레스테스 (Los Celestes)
라 푸에르사 벤세도라 (La Fuerza Vencedora)
라 마키나 셀레스테 (La Máquina Celeste)
창단일1955년 12월 13일
홈 경기장에스타디오 알베르토 가야르도
수용 인원11,600명
구단주Innova Sports
회장조엘 라포
감독기예르모 파레
리그리가 1
2024 시즌리가 1, 2위 (18개 팀 중)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스포르팅 크리스탈 로고
스포르팅 크리스탈 로고
유니폼 정보
홈 유니폼pattern_la1: _scristal24h
pattern_b1: _scristal24h
pattern_ra1: _scristal24h
pattern_sh1: _scristal24h
pattern_so1: _3_stripes_white
leftarm1: 6BC5FD
body1: 6BC5FD
rightarm1: 6BC5FD
shorts1: 6BC5FD
socks1: 6BC5FD
원정 유니폼pattern_la2: _scristal24a
pattern_b2: _scristal24a
pattern_ra2: _scristal24a
pattern_sh2: _scristal24a
pattern_so2: _scristal24a
leftarm2: 001646
body2: 001646
rightarm2: 001646
shorts2: 001646
socks2: 001646
세 번째 유니폼pattern_la3: _scristal23a
pattern_b3: _scristal23a
pattern_ra3: _scristal23a
pattern_sh3: _scristal23a
pattern_so3: _3_stripes_white
leftarm3:
body3:
rightarm3:
shorts3:
socks3: 000000

2. 역사

Backus and Johnston 양조장의 공동 소유주였던 '''리카르도 벤틴 무히카'''는 아내의 지원을 받아 회사의 목표를 달성한 인물로 평가받고 있다. 1926년 설립되어 담배 재배자 연합에 속했던 스포르팅 타바코는 페루 1부 리그에서 활동했지만, 전국 선수권 대회 우승 경험은 없었고 심각한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벤틴은 클럽을 인수하여 프로 수준의 경기력을 갖추도록 발전시키기 위해 ''라 플로리다'' 지역에 137,000m2 규모의 부지를 찾았다.

스포르팅 크리스탈의 역사는 크게 세 시기로 구분할 수 있다.


  • 창단과 초기 (1956-1970)
  • 전성기와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준우승 (1970-1997)
  • 2000년대 이후

2. 1. 창단과 초기 (1956-1970)

1955년 12월 13일, Backus의 가장 유명한 맥주 브랜드인 ''Cristal''을 따서 '''스포르팅 크리스탈'''이 창단되었다.[10] 리마 구역에서 새롭게 창단된 이 클럽은 1956년 프로 프리메라 디비시온에 데뷔하여 그 해에 첫 번째 전국 타이틀을 획득했다. 언론인들은 이를 챔피언으로 태어난 클럽(''nació campeon'')이라고 불렀다.

스포르팅 타바코
1926–1955


스포르팅 크리스탈 Backus 프로젝트는 창단되기 전부터 반대 의견이 있었다. 당시의 기사들은 특정 스포츠 언론인과 축구 클럽들이 한 사기업이 자금을 지원하는 팀을 어떻게 불쾌하게 바라봤는지 지적했다. 심지어 페루 축구 연맹 자체도 클럽 합병 전후로 팀에 법적 장애물을 제시했다. 1956년 3월까지 페루 축구 연맹은 클럽의 광고 금지에서부터 국가 영웅, 장소 또는 기관의 이름을 사용해야 한다는 주장에 이르기까지 그 해 선수권 대회에 크리스탈의 참여를 허가하지 않았다. 연맹의 강요에 여러 법적 수단이 사용되었지만, 논란은 1968년, 마침내 "Backus"라는 단어가 클럽 이름에서 삭제될 때까지 끝나지 않았다.

1956년 페루 챔피언 자격으로 크리스탈은 세계 여러 지역을 순회하도록 초청받았으며, 이는 페루 챔피언 팀의 첫 번째 순회였다. 일련의 경기는 미국에서 시작하여 쿠알라룸푸르, 말라카 시티, 테헤란과 같은 여러 아시아 도시를 거쳐 스페인에서 절정에 달했다. 총 30경기가 2개월에 걸쳐 진행되었으며, 그 중 20승, 7무, 3패를 기록했다. 이 투어의 스타는 37골을 넣은 알베르토 가야르도였다.

클럽은 1962년에 전설적인 브라질 선수인 지디를 영입하면서 다시 시장을 뒤흔들었다. 그는 1962년 월드컵에서 조국과 함께 우승한 세계적으로 유명한 축구 선수였다. 지디는 팀의 코치가 되어 브라질 축구의 특징인 공격적이고 소유적인 플레이 스타일을 구현했다. 브라질은 시선을 사로잡는 팀을 구성하여 쇼를 제공했지만, 1962년과 1963년에는 준우승에 머물러야 했다.

축구에서 은퇴한 후 지디는 1967년에 다시 클럽의 기술 감독을 맡아 그 해에도 준우승을 차지했다. 다음 시즌에 복수가 이루어졌는데, 스포르팅 크리스탈은 후안 아우리치 클럽과 함께 최고 점수를 얻었고, 이로 인해 데스센트랄리사도 1968의 챔피언은 알베르토 가야르도의 두 골에 힘입어 ''브루어스''가 2-1로 승리한 추가 경기에서 결정되었다. 자국 내 타이틀 외에도 젊은 기관은 국제적인 성과로 명성을 얻었다.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1962년 판부터 1969년 판까지 스포르팅 크리스탈은 17경기 무패 행진을 이어갔는데,[10] 이는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역사상 최장 무패 기록으로, 8승 9무를 기록했다.

다음 해에는 새로운 타이틀이 찾아왔고, 그 중 첫 번째는 1970년, 아르헨티나 출신 비토 안드레스 바르톨리 감독 아래에서 우니베르시타리오 데 데포르테스와 치열한 경쟁을 벌여 토너먼트의 결승 리그에서 결정되었다. 이 마지막 단계에서 크리스탈은 최고의 성과와 최고 누적 점수를 기록하여 새로운 타이틀을 획득했다. 마지막 경기는 후안 아우리치와의 경기였으며 4-2로 승리했다. 그 해 치러진 32경기 중 팀은 18승, 9무, 5패를 기록했다.

2. 2. 전성기와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준우승 (1970-1997)

1970년대에 스포르팅 크리스탈은 비토 안드레스 바르톨리 감독의 지휘 아래 1970년 리그 우승을 차지하는 등 꾸준히 리그 상위권을 유지했다. 1970년 리그 결승전에서 후안 아우리치를 4-2로 꺾고 우승했다. 1978년부터 1981년까지 짧은 기간 동안 파란색 유니폼을 사용하기도 했지만, 1982년에 다시 클럽의 상징색인 하늘색으로 돌아왔다.

1990년대는 스포르팅 크리스탈의 황금기였다. 후안 카를로스 오블리타스 감독 아래에서 1991년, 1994년, 1995년 리그 우승을 달성했고, 세르히오 마르카리안 감독 부임 후 1996년에도 리그 우승을 추가했다. 1997년, 세르히오 마르카리안 감독이 이끄는 스포르팅 크리스탈은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결승에 진출하는 쾌거를 이뤘다. 결승전에서 브라질의 크루제이루를 만나 홈에서 0-0 무승부, 원정에서 0-1로 패하며 아쉽게 준우승에 머물렀다.[10] 이는 1972년 우니베르시타리오 이후 페루 팀이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결승에 가장 근접한 기록이었다.

2. 3. 2000년대 이후

클럽은 2000년대 대부분의 기간 동안 전국 토너먼트에서 상위권을 유지했으며, 2000년부터 2007년까지 8년 연속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진출 자격을 얻었다.[10] 이 기간 동안 세르히오 레알, 호르헤 소토, 루이스 알베르토 보네트와 같은 선수들이 활약했지만, 2002년과 2005년에 두 번의 리그 우승을 차지하는 데 그쳤다. 2007년에는 강등 위기를 겪기도 했으나, 4점 차로 강등을 면했다. 2008년 시즌에는 다시 좋은 성적을 거두며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 진출했다.

2012년 우승을 축하하는 크리스탈


2009년, 프리메라 디비시온 페루아나의 토너먼트 구조 변경으로 인해 스포르팅 크리스탈은 이후 몇 년 동안 평범한 성적을 거두었다. 그러나 7년간의 무관 이후 2012년 시즌에 레알 가르실라소를 결승에서 꺾고 다시 한번 전국 챔피언에 등극했다. 2013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 진출했지만 조별 예선을 통과하지는 못했다. 2013년 시즌에는 레알 가르실라소와 리그에서 경쟁하며 시즌 마지막 경기까지 결승 진출을 다투었으나, 결국 3위를 기록하며 2014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진출권을 획득했다.

2018년 시즌에는 프로 시대(1966년 - 2018년) 역사 테이블에서 3264점을 기록하며 우니베르시타리오 (3236점)를 제치고 페루 최고의 팀이 되는 역사적인 업적을 달성했다.[11]

2020년 시즌, 리가 1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서 좋지 않은 출발을 보인 후, 클럽은 마누엘 바레토 감독의 사임을 발표했다. 며칠 뒤 로베르토 모스케라가 7년 만에 기술 감독으로 복귀했다.[12][13] 스포르팅 크리스탈은 2020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3단계에서 바르셀로나 S.C.에게 합계 5-2(원정 4-0 패, 홈 2-1 승)로 패하며 탈락했다. 3월 12일, 페루의 COVID-19 대유행으로 인해 토르네오 아페르투라가 중단되었다. 대회가 재개된 후 팀은 3위를 기록했다. 클라우수라 토너먼트에서는 A조에서 우승하며 아야쿠초 FC와의 결승전에 진출했으나, 승부차기 끝에 패했다. 그러나 크리스탈은 누적 테이블에서 1위를 차지하여 아야쿠초와 준결승전을 치렀고, 1, 2차전 합계 6-2(1차전 2-1 승, 2차전 4-1 승)로 승리하며 전국 결승에 진출했다. 스포르팅 크리스탈은 최종 결승전에서 우니베르시타리오를 합계 3-2로 꺾고 통산 20번째 타이틀을 획득했다.

3. 경기장

에스타디오 알베르토 가야르도


스포르팅 크리스탈은 페루 스포츠 연구소가 소유하고 2022년까지 클럽이 사용할 권한을 가진 에스타디오 알베르토 가야르도를 홈 경기장으로 사용한다. 이 경기장은 리마의 산 마르틴 데 포레스 구역에 있으며, 페루에서 가장 긴 강 중 하나인 리막 강둑에 있다. 1961년 6월 9일 "에스타디오 프라이 마르틴 데 포레스"라는 이름으로 공식 개장했으며, 2012년 5월 19일 선수와 코치로서 스포르팅 크리스탈과 함께 챔피언이 되었던 전 축구 선수 알베르토 가야르도를 기리기 위해 "에스타디오 알베르토 가야르도"로 공식 개명되었다. 클럽은 특정 경우에 페루 국립 경기장에서 경기를 치르기도 한다.

4. 라이벌

우니베르시타리오, 알리안사 리마는 스포르팅 크리스탈의 오랜 라이벌이며, 이 세 팀은 페루 축구의 '빅 3'로 불린다. 이들 간의 경기는 "클라시코(Clásico)"라고 불리며, 대개 토너먼트에서 가장 흥미로운 경기로 꼽힌다. 스포르팅 크리스탈은 데포르티보 무니시팔, 스포르트 보이스와도 라이벌 관계를 가지고 있다.[1]

스포르팅 크리스탈은 공격적인 축구 스타일을 추구하며, 알리안사 리마 역시 공격적인 스타일의 경기를 펼치는 경우가 많아 이 두 팀 간의 경기는 토너먼트에서 가장 매력적인 경기로 꼽히며, 대개 매우 팽팽하다. 1961년 스포르팅 크리스탈이 알리안사 리마를 2-0으로 꺾고 첫 챔피언에 등극한 것을 시작으로, 두 팀은 여러 차례 챔피언십을 결정지었다. 2018 토르네오 데센트랄리사도 결승전에서는 스포르팅 크리스탈이 원정에서 4-1, 홈에서 3-0으로 승리하며 합계 7-1로 압도적인 결과를 거두며 페루 축구 역사상 가장 큰 결승전 결과를 만들었다. 두 팀 간의 마지막 전국 선수권 대회는 2021년에 열렸다.[1]

스포르팅 크리스탈은 1960년 알리안사 리마를 5-0으로 꺾으며 최대 점수 차 승리를 거두었다. 반면, 2004년에는 5-0으로 패하며 가장 큰 패배를 겪었다. 1987년, 스포르팅 크리스탈은 에스타디오 알레한드로 비야누에바에서 4-0으로 승리하며 알리안사 원정 경기에서 역대 최대의 승리를 거두었다.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서는 1995년 스포르팅 크리스탈이 3-0으로 승리했고, 1978년에는 4-1로 패했다.[1]

스포르팅 크리스탈과 우니베르시타리오 간의 경기는 페루에서 가장 중요한 라이벌전 중 하나이다. 페루 프리메라 디비시온이 1966년부터 시작된 이후 스포르팅 크리스탈이 18번, 우니베르시타리오가 16번 우승을 차지하면서, 두 팀 사이에 큰 라이벌 관계가 만들어졌다. 이 경기는 때때로 '페루 축구의 현대 클라시코'라고 불리기도 한다.[1]

스포르팅 크리스탈, 알리안사 리마, 우니베르시타리오는 페루에서 가장 인기 있는 축구 클럽들이며, 스포르팅 크리스탈은 이 중 3번째로 인기 있는 팀으로 여겨진다.[1]

5. 서포터

스포르팅 크리스탈에는 "Extremo Celeste", "Fverza Oriente", "Gvardia Xtrema"로 알려진 세 개의 울트라가 있다.[24]

Fverza Oriente는 1975년에 창단된 크리스탈의 첫 번째 울트라였다.[24] 이들은 경기장의 동쪽 관람석에 위치해 있다.[24] Extremo Celeste는 1991년에 Fuerza Oriente의 젊은 팬들이 젊고 열정적인 서포터를 위한 새로운 그룹을 결성하기로 결정하면서 결성되었다.[24] "Extremo Celeste"는 페루에서 가장 큰 "바라 브라바" 중 하나가 되었다.[24] 2007년에는 팀을 응원하기 위해 서쪽 관람석에 세 번째 작은 울트라인 Gvardia Xtrema가 만들어졌다.[24] 스포르팅 크리스탈은 알베르토 가야르도 경기장의 모든 관람석에 서포터를 두고 있었다.[24]

6. 우승 기록

스포르팅 크리스탈은 국내 리그와 국제 대회에서 다양한 성과를 거두었다. 프리메라 디비시온에서 20회 우승을 차지했으며,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서는 1997년에 준우승을 기록했다.

6. 1. 국내 리그

대회우승우승 연도
프리메라 디비시온201956, 1961, 1968, 1970, 1972, 1979, 1980, 1983, 1988, 1991, 1994, 1995, 1996, 2002, 2005, 2012, 2014, 2016, 2018, 2020
토르네오 아페르투라42003, 2015, 2018, 2021
토르네오 클라우수라61998, 2002, 2004, 2005, 2014, 2016
토르네오 데 베라노12018
리구야 프리-리베르타도레스21992, 1997
토르네오 아페르투라11994
토르네오 레히오날31989–I, 1991–I, 1991–II
토르네오 데센트랄리사도11988
토르네오 인터조날11972
캄페오나토 데 아페르투라11961


6. 2. 국내 컵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국내 컵' 섹션에 해당하는 내용이 없다. 따라서 이전 결과는 정확하며, 수정할 내용이 없다.

6. 3. 국제 대회

스포르팅 크리스탈은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 40회 출전하여 1997년에 준우승을 차지했고,[1] 1993년과 1995년에는 8강에 진출했다.[1]

코파 수다메리카나에는 4회 출전하여 2021년에 8강, 2019년에 16강에 진출했고,[1] 2018년에는 1라운드, 2023년에는 KO 플레이오프에서 탈락했다.[1]

코파 CONMEBOL에는 1회 출전하여 1994년에 8강에 진출했고,[1] 코파 메르코노르테에는 4회 출전하였으나 모두 1라운드에서 탈락했다.[1] U-20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는 2회 출전하여 모두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1]

대회참가 횟수최고 성적
코파 리베르타도레스40회준우승 (1997)
코파 수다메리카나4회8강 (2021)
코파 CONMEBOL1회8강 (1994)
코파 메르코노르테4회1라운드
U-20 코파 리베르타도레스2회조별 리그


7. 선수 명단

2024년 8월 2일es 기준 선수 명단이다.[25] 현역 선수 명단은 여기에서 확인할 수 있다.

7. 1. 현역 선수

2024년 8월 2일es 기준 선수 명단.[25]

번호포지션이름국적
1GK마티아스 코르도바
2DF후안 마드리드
3DF벤하민 비야르타
4DF장프랑코 차베스
5DF오마르 메를로
6MF헤수스 프레텔
7MF오라시오 카르카테라 (주장)
8MF레안드로 소사
9FW존 하이로 모스케라
10FW알레한드로 호베르그
11FW일벤 아빌라
12GK레나토 소리스
13GK알레한드로 두아르테
14FW크리스토퍼 올리바레스
15DF질마르 로라
16MF헤수스 카스티요
17MF크리스토페르 곤살레스
19DF라파엘 루티거
20FW조아오 그리말도
24MF디에고 소토
25MF마르틴 타바라
26GK에밀 프랑코
27MF요시마르 요툰
29DF닐손 로요라
30FW페르시 리사
7FW산티아고 곤잘레스
9FW마틴 카우테루치오
55MF구스타보 카조나티


7. 2. 역대 주요 선수


  • 호르헤 히라노 (1983-1985)
  • 우에하라 에드윈 (1989)
  • 호르헤 소토 (1993-1999, 2000-2003, 2004-2007)
  • 노르베르토 솔라노 (1994-1997)
  • 다비드 소리아 (1996-1997, 2000-2003, 2005-2007)
  • 사와 마사카츠 (2005)

8. 역대 감독

Waldir Pereyra|왈디르 페레이라pt (디디)는 1962년부터 1963년, 그리고 1967년부터 1968년까지 스포르팅 크리스탈의 감독을 역임했다.[10] 그는 1962년 월드컵에서 브라질 대표팀으로 우승한 세계적인 축구 선수였으며, 은퇴 후 스포르팅 크리스탈의 감독을 맡아 브라질 축구 특유의 공격적이고 점유율 높은 플레이 스타일을 팀에 도입했다.

후안 카를로스 오블리타스는 1990년대에 스포르팅 크리스탈 감독을 맡아 1991년, 1994년, 1995년, 1996년 4번의 전국 타이틀을 획득하며 팀의 전성기를 이끌었다.

세르히오 마르카리안은 1996년에 스포르팅 크리스탈의 리그 우승을 이끌었으며, 1997년에는 팀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결승전으로 이끌었다. 비록 결승전에서 브라질의 크루제이루에 패했지만, 이는 1972년 이후 페루 팀이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결승에 가장 근접한 사례였다.

로베르토 모스케라는 2012년에 스포르팅 크리스탈을 전국 챔피언으로 이끌었고, 2020년에 다시 감독으로 복귀하여[12][13] 팀의 통산 20번째 타이틀 획득을 이끌었다.

역대 감독
연도이름
1962–1963왈지르 페헤이라
1967–1968왈지르 페헤이라
1971루디 구텐도르프
1977–1978로케 마스폴리
1991후안 카를로스 오블리타스
1994–1995후안 카를로스 오블리타스
1996세르히오 마르카리안
2002파울루 아우투오리
2007호르헤 삼파올리
2016마리아노 소소
2017호세 델 솔라르
2017파블로 세가라
2018마리오 살라스
2019알렉시스 멘도사
2019클라우디오 비바스[26][27]
2019-2020마누엘 바레토[28][29]
2020-2022로베르토 모스케라[30][31]
2023치아고 누네스[32]
2024엔데르손 모레이라
2024-기예르모 팔레[33]


9. 기타 스포츠

스포르팅 크리스탈은 여자 축구팀과 여자 배구팀도 운영하고 있다. 여자 축구팀은 페루 여자 리그에서 2회 우승을 차지했다. 여자 배구팀은 페루 여자 배구 리그에서 준우승을 한 바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Club Sporting Cristal S.A conocida como Club Sporting Cristal con RUC 20510014279 en RIMAC https://www.datosper[...]
[2] 웹사이트 La grandeza de la Familia Bentín http://www.clubsport[...] 2020-04-14
[3] 웹사이트 Pasión 'Cervecera': Sepa cómo se fundó el Sporting Cristal http://www.larepubli[...] 2020-04-14
[4] 웹사이트 El club que nació campeón https://es.fifa.com/[...] FIFA 2020-04-14
[5] 웹사이트 Sporting Cristal superó en títulos a Universitario en torneos Descentralizados https://larepublica.[...] La República 2020-04-14
[6] 웹사이트 Peru - List of final tables https://www.rsssf.or[...] 2013-07-10
[7] 웹사이트 Libertadores: Curiosidades y datos accesorios http://el-area.com/s[...] 2011-02-21
[8] 웹사이트 Equipo Femenino de Fútbol del Sporting Cristal http://www.internets[...] 2015-06-04
[9] 웹사이트 2013: Los Balances. Parte VI: Voley. http://www.elcristal[...] 2020-04-14
[10] 웹사이트 Conmebol rememoró el histórico récord que ostenta Sporting Cristal en la Libertadores https://www.msn.com/[...] La Republica 2019-05-21
[11] 웹사이트 Tabla Acumulada 1966-2018 https://dechalaca.co[...] 2019-05-21
[12] 웹사이트 Roberto Mosquera es el nuevo técnico de Sporting Cristal https://peru.as.com/[...] 2023-03-12
[13] 웹사이트 ¡Oficial! Roberto Mosquera es el nuevo técnico de Sporting Cristal tras la salida de Manuel Barreto https://rpp.pe/futbo[...] 2023-03-12
[14] 웹사이트 PLANTEL PROFESIONAL https://www.clubspor[...] Club Sporting Cristal 2020-04-14
[15] 웹사이트 Sporting Cristal https://www.clubspor[...] 2019-08-29
[16] 웹사이트 Luis Tirado: De raza sureña https://dechalaca.co[...] 2023-03-12
[17] 웹사이트 '"Claudio Vivas vuelve a casa": Sporting Cristal fichó al técnico argentino por dos temporadas' https://rpp.pe/futbo[...] 2019-02-09
[18] 웹사이트 Claudio Vivas: Sporting Cristal anunció la salida del técnico argentino https://elbocon.pe/f[...] 2019-09-10
[19] 웹사이트 Manuel Barreto fue presentado oficialmente como nuevo director técnico de Sporting Cristal https://rpp.pe/futbo[...] 2019-09-12
[20] 웹사이트 Sporting Cristal anuncia el despido de Manuel Barreto https://peru.as.com/[...] 2020-02-20
[21] 웹사이트 Sporting Cristal confirma a Roberto Mosquera como DT https://andina.pe/ag[...] 2020-02-17
[22] 웹사이트 Roberto Mosquera deja el Sporting Cristal tras perder la semifinal en Perú https://www.swissinf[...] 2022-11-08
[23] 웹사이트 Tiago Nunes es el nuevo director técnico de Sporting Cristal para el 2023 https://libero.pe/fu[...] 2022-11-09
[24] 웹사이트 Estadio Alberto Gallardo https://int.soccerwa[...] soccerway 2017-08-18
[25] 웹사이트 PLANTEL PROFESIONAL https://www.clubspor[...] Club Sporting Cristal 2020-04-14
[26] 웹사이트 '"Claudio Vivas vuelve a casa": Sporting Cristal fichó al técnico argentino por dos temporadas' https://rpp.pe/futbo[...] 2019-02-09
[27] 웹사이트 Claudio Vivas: Sporting Cristal anunció la salida del técnico argentino https://elbocon.pe/f[...] 2019-09-10
[28] 웹사이트 Manuel Barreto fue presentado oficialmente como nuevo director técnico de Sporting Cristal https://rpp.pe/futbo[...] 2019-09-12
[29] 웹사이트 Sporting Cristal anuncia el despido de Manuel Barreto https://peru.as.com/[...] 2020-02-20
[30] 웹사이트 Sporting Cristal confirma a Roberto Mosquera como DT https://andina.pe/ag[...] 2020-02-17
[31] 웹사이트 Roberto Mosquera deja el Sporting Cristal tras perder la semifinal en Perú https://www.swissinf[...] 2022-11-08
[32] 웹사이트 Tiago Nunes es el nuevo director técnico de Sporting Cristal para el 2023 https://libero.pe/fu[...] 2022-11-09
[33] 웹사이트 Belgrano oficializó a Guillermo Farré como el nuevo DT: lo presentan el viernes https://www.lavoz.co[...] La Voz del Interior 2022-11-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