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슬로푸드문화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슬로푸드문화원은 2007년 슬로 푸드 운동을 한국에 처음 소개한 국제슬로푸드한국협회의 부설기관으로 2017년에 설립되었다. 윤리적 식생활과 식문화의 가치를 확산하고 생물 다양성 보호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교육, 체험, 축제/이벤트, 미식여행, 지역교류 등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특히 서울시 지역상생교류사업단, 농림축산식품부 등과 협력하여 지역 농산물 홍보 및 전통주 갤러리 운영 등 지역 상생을 위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2. 슬로푸드문화원 (Slow Food Cultural Center)

슬로푸드문화원 CI


슬로푸드문화원은 2017년에 국제슬로푸드한국협회(Slow Food Korea)의 부설기구로 설립된 비영리 단체이다. 국제슬로푸드한국협회는 2007년 한국에 슬로 푸드 운동을 처음 소개했다. 슬로푸드 운동은 누구라도 좋고(GOOD), 깨끗하고(CLEAN), 공정한(FAIR) 음식을 먹을 권리가 있음을 주장한다.

슬로푸드문화원은 슬로푸드의 철학을 널리 알리고, 전문 인력을 육성하며, 슬로푸드 네트워크를 확산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슬로푸드의 철학은 생태계와 조화를 이루는 지역사회의 전통적이고 지속가능한 음식, 식재료를 지키는 것이다. 슬로푸드 교육, 체험, 축제, 이벤트, 여행 등 다양한 영역에서 식문화프로젝트를 개최하고 있다.

2. 1. 목적

슬로푸드문화원은 다음을 목적으로 한다.

  • 식생활교육사업을 통해 윤리적 식생활 및 식문화의 가치를 알린다.
  • 중소가족농, 전통적 제조업의 친환경적 생산품을 소비하는 문화를 조성하여 지역 및 농촌과 상생한다.
  • 생태계와 조화를 이루는 음식, 식재료를 통해 생물종다양성을 보호한다.
  • 식품 생산자와 소비자를 연결하고, 공동생산자로서의 소비자를 교육한다.

2. 2. 주요 활동

슬로푸드문화원은 교육, 체험, 축제/이벤트, 미식여행, 지역 교류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한다.

2. 2. 1. 교육

음식을 둘러싼 사회, 문화, 과학, 예술, 역사 등을 종합적으로 이해하고 연구하는 음식학 강연회인 http://tomorrows-table.com/academy-e 음식학포럼과 장 문화에 초점을 맞춘 http://tomorrows-table.com/academy-e 간장포럼 등을 지속적으로 개최하고 있다. 전통 발효식품 분야에서 청년 전문인력을 육성하고 지구적 위기를 해결하기 위해 농업과 지역, 상호 협동의 가치를 탐구하는 청년 교육 프로그램인 http://tomorrows-table.com/academy-j 전환아카데미와 첫거름재단과 협력한 http://tomorrows-table.com/academy-n 내일을 여는 발효학교 등을 운영하고 있다.

2. 2. 2. 체험

슬로푸드문화원은 서울 소비자와 지역 자원을 연결하기 위해 좋은 음식을 직접 경험하는 식문화 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주요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다.

  • 서울시 지역상생교류사업단과 협력한 "[http://tomorrows-table.com/tableproject-s 서로맛남]"
  • 서울시 식생활종합지원센터와 협력한 "[http://tomorrows-table.com/tableproject-g 가나다밥상]"
  • "[http://tomorrows-table.com/tableproject-k 금요미식회]"


대산농촌재단의 대산농촌문화상 수상 농가와 연계한 "[http://tomorrows-table.com/tableproject-b 대지의 밥상]"에서는 농부가 직접 만드는 농장 다이닝(Farm Dining)을 체험할 수 있다.

2. 2. 3. 축제/이벤트

슬로푸드문화원은 서울과 농촌 지역의 우수한 먹거리를 발굴하고 지속가능한 먹거리 캠페인을 실천하는 축제, 행사, 이벤트를 개최한다. 관련 내용으로는 http://tomorrows-table.com/SFCF 서울 먹거리문화축제, http://tomorrows-table.com/goodfoodawards 참간장어워즈 등이 있다.

2. 2. 4. 미식여행

한국문화관광연구원과 공동으로 추진한 'http://tomorrows-table.com/localtrip-m 미지로', 홍천군과 협력한 'http://www.ikp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41544 홍천 술나들이' 등 농촌 지역 주민체와 협력하여 음식, 체험 등 관광자원을 발굴하여 지역미식관광 모델을 제시하는 프로젝트를 하고 있다.

2. 2. 5. 지역 교류

상생상회 운영: 전국 각 지역의 농특산물 홍보 및 판매, 지역 자원 정보를 제공한다. 서울시 지역상생교류사업단의 위탁을 받아 안국역에 위치한 상생상회를 운영하며 중소 농업 생산자의 판로를 지원하고 있다.

전통주 갤러리 운영: 전통을 보존하는 국내 양조장을 지원, 홍보하기 위해 농림축산식품부와 aT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에서 위탁받아 1년간 전통주 갤러리를 운영했다.

2. 3. 연혁

슬로푸드문화원은 2007년 12월 7일 사단법인으로 설립된 후(초대 이사장: 안종운), 슬로푸드 운동 보급, (사)국제슬로푸드한국협회 출범을 거쳐 슬로푸드 교육문화 전문 기관으로 활동해왔다.

2. 3. 1. 2007년 – 2013년 : 슬로푸드 운동 보급

슬로푸드문화원은 2007년 12월 7일 사단법인으로 설립되었으며(초대 이사장: 안종운), 2009년 4월 9일 남양주시와 슬로푸드 운동 공동 추진 협약을 체결했다. 같은 해 11월 20일 실학박물관에서 '2009 슬로푸드/테라마드레 컨퍼런스'를 개최하고, '슬로푸드' 창간호를 발간했다(116페이지, 1,000부).

2010년 6월 4일 '남양주시 슬로푸드 기본계획' 연구용역 보고회를 개최했고, 9월 9일부터 11일까지 남양주체육문화센터에서 '2010 슬로푸드대회'를 개최했다. 10월 21일부터 26일까지는 이탈리아 토리노에서 열린 2010 국제슬로푸드대회에 참가하여 한국관을 운영했다.

2011년 2월 1일 농림수산식품부로부터 식생활교육전문기관(제17호)으로 지정되었고, 4월 20일부터 6월 22일까지 제6기 슬로푸드 매니저 양성과정을 운영하여 27명의 수료생을 배출했다. 9월 28일 '슬로푸드' 2호를 발간했으며(112쪽, 1000부), 같은 달 28일부터 10월 2일까지 남양주체육문화센터에서 '2011 슬로푸드대회'를 개최했다. 9월 29일에는 아시아 오세아니아 슬로푸드 국제컨퍼런스를 개최하고, 국제슬로푸드연맹과 한국국가위원회 설립 협약을 체결했다.

2012년에는 4월 4일 어린이 식생활교육전문가 양성 프로그램 개발 연구용역 보고회를 개최하고, 6월 22일 2012 녹색식생활교육박람회에서 미각체험관을 운영했다. 6월 24일부터 27일까지 제10기 대학생 농식품탐방을 진행했으며, 8월 8일부터 11일까지 어린이재단과 함께 1기 식생활교육 전문가과정을 운영했다. 9월 14일부터 16일까지 남양주 유기농테마파크에서 '2012 슬로푸드대회'를 개최했다. 10월 2일, 2013 슬로푸드국제대회가 기획재정부로부터 국제행사로 승인받았으며, 10월 23일부터 31일까지 2012 국제슬로푸드대회에 참가하여 한국관을 운영했다. 10월 26일 국제본부, 남양주시와 함께 2013 AsiO Gusto 개최에 관한 3자 협약을 체결했다. 같은 해 10월 둔덕체험마을 슬로푸드 프로그램 개발 연구용역 보고회를 개최했다.

2013년 10월 1일부터 6일까지 남양주시체육문화센터에서 '2013 슬로푸드국제대회 (AsiO Gusto)'를 개최했다.

2. 3. 2. 2014년 – 2016년 : (사)국제슬로푸드한국협회 출범

2014년 5월 12일, 전국 30개 지역이 참여한 (사)국제슬로푸드한국협회가 출범했다. 초대 회장은 김종덕이 맡았다. 같은 해 12월 12일부터 14일까지 aT센터에서 <2014 슬로푸드대회>가 개최되었다.

2015년 6월 20일부터 10월 17일까지 DDP에서 '느린농부장터 in DDP'(현 얼굴있는 농부장터)가 운영되었다. 같은 해 11월 18일부터 22일까지 KINTEX에서 <2015 슬로푸드국제페스티벌(SFAPF)>이 개최되었다.

2016년 8월 6일, 지역 협동 생활경제 청년배움터인 전환아카데미 1기가 개강했다. 같은 해 10월 2일부터 5일까지 코엑스에서 열린 <푸드위크코리아2016>에서 슬로푸드특별관이 운영되었다.

2. 3. 3. 2017년- 현재 : 슬로푸드 교육문화 전문 기관

Slow Food Culture Center영어는 2017년 비영리단체로 설립된 이후, 슬로푸드 교육 및 문화 확산을 위한 다양한 활동을 전개해왔다.

2017년에는 서울시 식생활종합지원센터 용역사업으로 '가나다밥상' 프로젝트를 시작하고, 전라북도 임실군과 생활개선회중앙회에서 미각교육전문가 양성과정을 운영했다. 또한, 지역 협동 생활경제 청년배움터 전환아카데미 2기를 개강하고, 전라남도농업기술원과 함께 국제농업박람회에서 슬로푸드특별관을 운영했으며, 서울혁신파크에서는 2017 서울식문화혁신주간을 개최했다.

2018년에는 서울특별시 식생활교육지원센터로 지정되었고, 경기도 공유농업 플랫폼 구축사업에 참여했다. 농장다이닝 '내일의 식탁' 프로젝트, 대산농촌재단 '대지의 밥상' 업무협약, 한국문화관광연구원의 '미지로' 농촌음식관광 프로젝트, 서울시 지역상생교류사업단의 '서로맛남' 프로젝트 등을 시작했다. 서울특별시에 비영리민간단체(등록번호 2269호)로 등록되었고, 울진농업기술센터와 함께 울진해방풍 맛의 방주 등재기념 미디어데이를 주관했다. 전환아카데미 3기를 개강하고, 청년농촌현장학습형 여행 농가하루@논산,완주를 진행했으며, 서울혁신파크에서 2018 서울식문화혁신주간을 주관했다.

2019년에는 서울시 지역상생교류사업단(상생상회)을 수탁 운영하기 시작했고, 2020년까지 농림축산식품부 전통주갤러리를 운영했다.

2. 4. 내일의 식탁

슬로푸드문화원의 캠페인으로, 식문화 변화를 통해 지속가능한 사회를 만들고자 하는 농부, 요리사, 소비자 연합체이다. 식사를 통해 자연과 삶에 대한 가치와 감사를 표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