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리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승리선은 라선특별시 선봉구역에 있는 철도 노선이다. 1990년대 승리화학연합기업소 산업선으로 개업하였다. 선봉역에서 승리역까지 4.2km 구간에 2개의 역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라선시의 철도 교통 - 평라선
평라선은 평양 간리역에서 라진역까지 780~790km에 이르는 단선 철도로, 표준궤를 사용하며 전 구간이 직류 3000V로 전철화되었고, 135개의 역을 포함하며, 과거 평원선, 함경선, 청라선이 통합되어 형성되어 남북 관계 개선 및 동해선 연결의 중요한 기반으로 여겨진다. - 라선시의 철도 교통 - 홍의선
홍의선은 함경북도 홍의역과 러시아 하산역을 잇는 철도 노선으로, 조선-러시아 우정의 다리를 통해 북한과 러시아를 연결하며 유라시아 횡단 철도의 관문 역할을 기대하고 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철도 노선 - 동해북부선
동해북부선은 일제강점기 동해선 계획의 일부로 개통되었으나 남북 분단으로 단절, 폐지되었고 현재 강릉~제진 간 연결 사업이 진행 중이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철도 노선 - 청년이천선
청년이천선은 북한에서 두 번째로 건설된 동서 횡단 철도 노선으로, 평산역과 세포청년역을 연결하며 평부선과 강원선을 이어주고, 건설에는 청년돌격대와 정치범 수용소 수용자들이 동원되었으며 1962년부터 1980년까지 단계적으로 개통 및 전철화가 완료되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철도 노선 - 운흥역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철도 노선 - 평양역
평양역은 1906년 경의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여, 1958년 사회주의 리얼리즘 건축 양식으로 재건되었으며, 북한 철도의 중심지로서 여러 노선이 지나고 베이징행 국제 열차도 운행하며, 남북통일 이후 한반도 북부 교통 중심지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승리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 |
---|---|
노선 정보 | |
노선 이름 | 승리선 (勝利線) |
로마자 표기 | Seungni-seon |
종류 | 화물 철도 |
노선 상태 | 운영 중 |
위치 | 라선시 |
기점 | 선봉역 |
종점 | 승리역 |
역 수 | 2개 |
노선 길이 | 4.2 km |
궤간 | 1,435 mm (표준궤) |
선로 수 | 단선 |
전기화 | 전 구간 (직류 3000V) |
소유주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 |
운영자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 |
2. 연혁
1990년대에 승리화학연합기업소 산업선이 개업하였다.[1]
2. 1. 개요
승리화학연합기업소 산업선으로 1990년대에 개업하였다.3. 노선 정보
3. 1. 개요
4. 역 목록
(웅기역)
웅기역|웅기역한국어
(Ungg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