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궤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궤간은 두 레일 안쪽 면 사이의 거리를 의미하며, 표준궤, 협궤, 광궤로 나뉜다. 궤간은 국가나 지역에 따라 측정 방식에 차이가 있으며, 궤도 변형을 관리하기 위해 정기적인 검측과 보수 작업이 이루어진다. 궤간은 철도 건설 및 유지보수 비용, 고속 운행, 대량 수송 능력 등에 영향을 미치며, 궤간의 역사는 초기의 나무 궤도에서 시작하여 다양한 궤간이 사용되었다. 궤간이 다른 경우 시설 또는 차량 개조를 통해 호환하며, 현대에는 궤간 통일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궤간 - 광궤
    광궤는 표준궤보다 넓은 궤간을 가진 철도 시스템으로, 고속 운행이나 대형 차량 운용에 사용되었으나, 표준궤와의 호환성 문제와 높은 비용으로 인해 많은 국가에서 표준궤로 전환되었고, 현재는 일부 국가에서 주요 철도망의 표준으로 사용되며 고속철도에도 활용되지만 표준궤로의 전환 또는 혼합 궤간화 추세가 지속되고 있다.
  • 궤간 - 협궤
    협궤 철도는 표준궤보다 좁은 궤간의 철도로, 급곡선에 유리하고 건설비가 저렴하여 과거 광산, 임업 등에서 널리 사용되었으며 현재도 일부 국가에서 운영된다.
  • 철도 - 지하철
    지하철은 도시 내 대중교통 시스템의 하나로, 지하 또는 고가로 건설되어 운행되며, 1863년 런던에서 최초로 개통되어 현재 전 세계 여러 도시에서 운영되고, 한국에서는 1974년 서울 지하철 1호선 개통을 시작으로 주요 도시에서 운영되며 교통 체증 완화에 기여한다.
  • 철도 - 복선 (철도)
    복선 철도는 단선 철도보다 많은 열차를 운행할 수 있도록 두 개의 선로를 병행 설치한 시스템으로, 운영 효율성과 열차 운행 자유도가 높지만 건설비용이 많이 들고 넓은 부지를 필요로 하며, 국가나 노선에 따라 통행 방향이 다르고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며 단선 구간과의 혼용은 어려움을 야기할 수 있다.
  • 철도 - 삼각지역
    삼각지역은 서울 지하철 4호선과 6호선이 환승하는 지하철역이며, 1985년 4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여 2000년 6호선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으며, 역명은 삼각지 고가도로에서 유래하고 "베호 만남의 광장"이 있으며, 국방부, 전쟁기념관 등 주요 국가기관과 시설들이 위치해 있다.
  • 철도 - 효창공원앞역
    **핵심 정보:** * 효창공원앞역은 서울 지하철 6호선과 경의·중앙선의 환승역이다. * 1929년 개통된 후 개명과 폐지 후, 2000년 6호선이 개통되었고, 2016년 경의·중앙선이 개통하여 현재의 환승역이 되었다. * 6호선은 섬식 승강장, 경의·중앙선은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요약:** 효창공원앞역은 서울 지하철 6호선과 경의·중앙선의 환승역으로, 1929년 개통 후 폐지되었다가 2000년 6호선, 2016년 경의·중앙선이 개통하면서 현재의 환승역이 되었으며, 6호선은 섬식, 경의·중앙선은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궤간
지도
기본 정보
정의철도 선로에서 두 레일 사이의 거리
관련 용어윤거
트랙 게이지
궤간 종류
광궤1435 mm보다 넓은 궤간
표준궤1435 mm (4 ft 8 1⁄2 in)
협궤1435 mm보다 좁은 궤간
복합궤간두 개 이상의 궤간이 병용되는 경우
주요 궤간 수치
궤간 (미터법)1676 mm (인도, 파키스탄, 스리랑카, 아르헨티나 일부)
1668 mm (스페인, 포르투갈)
1600 mm (아일랜드, 브라질)
1524 mm (러시아, 핀란드)
1520 mm (구 소련 국가, 몽골)
1435 mm (표준궤)
1372 mm (스코틀랜드, 일본 일부)
1067 mm (3 ft 6 in) (일본, 남아프리카 공화국, 대만, 필리핀)
1000 mm (미터궤) (동남아시아, 남미, 아프리카 일부)
914 mm (3 ft) (미국 일부)
762 mm (2 ft 6 in) (인도, 오스트레일리아 일부)
610 mm (2 ft) (오스트레일리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일부)
궤간 (야드파운드법)5 ft 6 in
5 ft 5 21/32 in
5 ft 3 in
5 ft
4 ft 10 in
4 ft 8 1⁄2 in (표준궤)
4 ft 6 in
3 ft 6 in
3 ft 3 3/8 in
3 ft
2 ft 6 in
2 ft
궤간 (분수)5 1⁄2 ft
5 15⁄16 ft
5 1⁄4 ft
5 ft
4 7⁄8 ft
4 1⁄2 ft
4 1⁄2 ft
3 1⁄2 ft
3 3⁄8 ft
3 ft
2 1⁄2 ft
2 ft
측정
측정 기준레일 안쪽 면 사이의 최단 거리
레일 헤드 아래 14mm 지점에서 측정
측정 단위밀리미터(mm), 피트(ft), 인치(in)
기타
관련 법규철도건설규칙 (대한민국)

2. 궤간의 정의 및 측정

궤간은 두 레일 안쪽 면 사이의 거리를 의미하며, 레일의 형태와 마모 정도에 따라 측정 방식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1][2][3] 일반적으로 레일 윗면 아래의 특정 지점에서 측정하며, 대한민국에서는 레일 윗면에서 16mm 아래 지점의 최단 거리를 기준으로 한다. 궤간은 기계적인 오차와 공차로 인해 항상 정확하게 유지되는 것은 아니며, 실제로는 허용 오차 범위 내에서 관리된다.[1]

과거에는 레일의 중심 간 간격을 기준으로 궤간을 언급하는 예가 많았으나, 근래에는 레일 형상과 크기가 표준화되면서 레일 안쪽 면, 즉 차륜의 플런지 부분과 접촉하는 면과 면 사이를 궤간으로 정의한다.[1]

궤간의 정확한 정의는 국가나 지역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다.


  • 일본 - 레일 윗면에서 수직 방향으로 16mm 이내의 최단 내측면 거리。
  • 미국(미국철도기술협회) - 레일 윗면에서 15.875mm(5/8인치) 아래 위치의 내측면 거리。
  • 스페인 - 레일 윗면에서 14.5mm(±5mm) 아래 위치의 내측면 거리。


궤도는 열차 운행 시마다 조금씩 변형되는데, 이를 궤도 변형이라고 한다. 궤간 변형은 궤간과 정해진 값(곡선 구간에서는 정해진 궤간과 여유량의 합)과의 차이를 의미하며, 변형이 커지면 승차감이 나빠지고 탈선 위험이 높아진다. 따라서 정기적인 검측과 보수 작업을 통해 변형을 일정 범위 내로 관리한다. 궤간 변형 검측에는 궤간 게이지라는 기구가 사용되며, 궤도 검측차를 이용하여 주행하면서 검측을 실시할 수도 있다.

일본에서는 침목이나 레일 체결 장치 불량으로 인한 궤간 확대가 탈선 사고의 원인으로 지적되기도 하였다.[63] 이에 대한 대응책으로 콘크리트 침목으로의 재질 변경, 탈선 가드나 탈선 방지 레일 설치, 궤도 정기 검사 및 선로 순시에 의한 침목 및 레일 체결 장치의 적절한 관리, 궤도 변위 상황에 따른 적절한 궤도 정비가 필요하다고 제시되었다.[63]

최근에는 철도 차량에 고속 카메라를 탑재하여 선로를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바탕으로 궤간 변형을 인공지능 등으로 검출하여 보수 공사를 실시하는 기술도 활용되고 있다.

3. 궤간의 종류

궤간은 크게 표준궤, 협궤, 광궤로 구분된다.[15] 표준궤는 전 세계적으로 일반적으로 standard gauge영어로 알려져 있다. 광궤와 협궤와 같은 용어는 표준보다 실제로 더 넓거나 더 좁다는 것 외에는 고정된 의미가 없다.

세계 각국의 대표적인 궤간


일본에서 사용되는 주요 궤간


762mm의 대차와 1067mm의 차축, 그리고 1435mm를 더한 3가지 궤간의 레일 전시(요카이치 아스나로 철도히나가 역)


영국에서는 선로의 레일 사이 간격을 구어체로 "4피트(four-foot)", 두 선로 사이의 간격을 "6피트(six-foot)"라고 부른다. "중간궤간"이라는 용어는 사용 당시 지역의 주요 궤간에 따라 역사적으로 여러 가지 의미를 지녔다. 1840년대에는 1,600mm 아일랜드 궤간이 광궤와 standard gauge영어 협궤에 비해 중간궤간으로 여겨졌으며, 이후 표준궤간이 현대의 표준궤가 되었다.

3. 1. 표준궤

표준궤는 두 레일의 간격인 궤간이 1,435 mm (4 ft 8½ in) 인 철도 선로를 말한다. 현재 전 세계 철도의 약 60%가 표준 궤간으로 부설되어 있으며,[33] 대한민국, 유럽, 북아메리카, 중국 등 주요 국가들이 국가적인 기준으로서 사용하고 있다.

세계 철도의 절반 이상은 1,435mm로 건설되었다.[33] 알바니아, 아르헨티나, 오스트레일리아, 오스트리아, 벨기에,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브라질 (), 불가리아, 캐나다, 중국, 크로아티아, 쿠바, 체코, 덴마크, 지부티, 콩고민주공화국 (카미나-루붐바시 구간, 계획 중), 에티오피아, 프랑스, 독일, 영국 (영국), 그리스, 홍콩, 헝가리, 인도 (급행 철도 및 고속철도에서만 사용됨), 인도네시아 (아체, 자보데타벡 경전철, 자카르타 경전철, 자카르타 MRT 동서선, 인도네시아 고속철도, 및 술라웨시), 이탈리아, 이스라엘, 케냐 (몸바사-나이로비 표준궤 철도), 라오스, 리히텐슈타인, 리투아니아 (레일 발티카), 룩셈부르크, 마케도니아, 모리셔스 (메트로 익스프레스), 멕시코, 몬테네그로, 네덜란드, 북한, 노르웨이, 파나마, 페루, 필리핀, 폴란드, 루마니아, 세르비아, 싱가포르 MRT, 슬로바키아, 슬로베니아, 대한민국, 스페인 (AVE, 알비아 및 FGC), 스웨덴, 스위스, 터키, 미국, 우루과이, 베네수엘라, 북부 베트남에서 사용된다. 또한 민간 회사의 노선 및 일본의 JR 고속선. 타이완의 고속선,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가우트레인 통근 시스템, 탄자니아나이지리아의 새로운 노선에서도 사용된다.[33]

표준궤는 스톡턴 앤 달링턴 철도와 리버풀 앤드 맨체스터 철도와 같은 초기 철도에서 사용된 것이 계기가 되어 전 세계적으로 보급되었다.

하지만 1,435 mm 이외의 궤간이 주류인 지역에서는 그 궤간을 “표준궤”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일본에서는 1,067 mm가 압도적으로 많다. 따라서, 오래된 자료에서는 “1,435 mm=광궤, 1,067 mm=표준궤”라고 기록되어 있는 경우도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이 경우, 게이오 선, 하코다테 시덴 등이 채용하는 1,372 mm는 광궤로 취급되는 경우가 많다.

3. 2. 협궤

협궤는 표준궤보다 폭이 좁은 궤간을 가진 철도 선로를 말한다. 건설 및 유지보수 비용이 저렴하지만, 고속 운행과 차량 대형화, 대량 운송은 어렵다. 협궤는 표준궤보다 좁은 궤간을 통칭하는 용어이며, 특정한 궤간을 의미하지 않는다.

대표적인 협궤로는 1,067mm (케이프 궤간), 1,000mm (미터 궤간) 등이 있다. 일본의 JR재래선과 일부 사철, 지하철 및 남아프리카, 동남아시아 등에서 주로 사용된다. 국제철도연맹 분류에서는 1,000mm부터 1,067mm까지의 궤간을 광의의 미터궤라고도 한다.

표준궤(우)와 페스티니오그 철도의 협궤(597 mm) 선로(좌)


현대에 사용되는 주요 협궤는 다음과 같다.

  • 1,372mm - 스코틀랜드 초기 철도의 일부와 20세기 이후 일본의 일부.
  • 1,067mm - JR재래선, 일부 사철·지하철 등, 타이완, 필리핀, 인도네시아, 남부 아프리카(케이프궤간), 중남미 일부, 오스트레일리아 일부, 뉴질랜드.
  • 1,000mm (미터궤) - 동남아시아(대륙 부분), 아프리카, 남아메리카 일부. 유럽(독일, 스위스 등)의 지방 철도 등.
  • 914mm - 과거 미국의 협궤 철도, 중남미 일부 철도.
  • 762mm - 세계의 많은 경편철도. 일본에서 "경편", "협궤", "특수협궤"라고 불리는 철도의 대부분이 이 궤간이다.
  • 610mm, 600mm 등 - 경편철도


영업용 철도로 인정되는 것 중 가장 좁은 궤간은 영국의 Mull and West Highland Railway와 Wells and Walsingham Light Railway의 260mm이다. 이 외에도 381mm, 500mm 등의 궤간도 존재한다.

3. 3. 광궤

광궤는 표준궤보다 폭이 넓은 궤간을 가진 철도 선로를 말한다. 광궤는 열차의 고속 운행과 차량의 대형화, 여객 및 화물의 대량 운송이 가능한 반면, 건설 및 유지 보수 비용이 많이 드는 단점이 있다. 광궤는 특정한 궤간을 직접 일컫는 표현은 아니며, 표준궤보다 폭이 넓은 궤간을 통틀어 부르는 표현이다.

19세기 중반에는 광궤가 표준궤보다 우수하다는 생각에서 다양한 광궤가 실용화되었다. 그 후 표준궤로 개궤되면서 현재는 존재하지 않는 것도 많지만, 국가나 지역에 따라서는 그대로 지역의 표준적인 궤간이 되었다. 현대의 본선 철도에서 사용되는 궤간 중 가장 넓은 것은 1,676mm이다. 특수 용도의 철도에서는 거대한 적재물을 이동해야 할 필요성 등에서 광궤가 채용되는 경우도 있다. 인클라인이나 레일 위를 이동하는 크레인 등에서는 극단적으로 넓은 궤간이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대표적인 광궤간으로는 러시아를 포함한 소비에트 연방권 국가의 1520mm(러시아 궤간), 아일랜드오스트레일리아(빅토리아주,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주), 브라질 일부에서 이용되는 1600mm(아일랜드 궤간), 포르투갈과 에스파냐가 이용하는 1668mm(이베리아 궤간), 인도 일부 및 아르헨티나, 칠레, 파키스탄, 스리랑카 등에서 이용하는 1676mm(인도 궤간) 등이 있다.

현대의 일반 철도에서 사용되는 주요 광궤는 다음과 같다.

4. 궤간의 역사

wikitext

가장 초기의 철도 형태는 나무로 만든 궤도로, 그 위를 단일 차량이 거의 항상 광산이나 채석장에서 또는 광산이나 채석장으로 사람의 힘에 의해 운반되었다. 처음에는 사람의 근력으로 차량의 진행 방향을 유도했지만, 그 후 다양한 기계적 방법이 사용되었다. 목재 레일은 빠르게 마모되었고, 나중에는 마모를 줄이기 위해 평평한 주철판이 사용되었다. 어떤 지역에서는 L자 모양의 판을 사용했는데, L자의 수직 부분이 바퀴를 안내하는 역할을 했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플레이트웨이"라고 불린다. 결국 플랜지가 있는 바퀴가 보편화되었고, 레일 간의 간격은 차량 바퀴의 간격과 호환되어야 했다.[4]

차량의 안내가 개선됨에 따라, 짧은 차량 열을 연결하여 말 여러 마리가 끌 수 있게 되었고, 선로는 광산이나 채석장 인근에서 일반적으로 수운이 가능한 수로까지 연장될 수 있었다. 차량은 일관된 형태로 제작되었고, 선로는 말과 차량의 요구 사항에 맞춰 제작되었다. 궤간은 더욱 중요해졌다. 1802년 남웨일스의 페니다렌 램로드는 플레이트웨이로, 상부 돌출 부분의 바깥쪽으로 1321mm 간격을 두었다.[5]

크롬포드 앤 하이 피크 철도의 생선 배 모양 주철 레일


페니다렌 램로드는 아마도 1804년 최초의 증기 기관차 여정을 수행했을 것이며, 기관차에는 성공적이었지만 선로에는 실패했다. 판이 기관차의 무게를 지탱할 만큼 강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주철 에지 레일이 처음 사용되면서 상당한 진전이 이루어졌다. 이 레일은 레일 단면의 주축이 수직으로 구성되어 굽힘력에 대한 저항이 훨씬 강한 단면을 제공했으며, 생선 배 모양 레일이 도입되면서 더욱 개선되었다.[6]

에지 레일은 레일 간격과 차륜 구성 사이의 정확한 일치를 필요로 했고, 궤간의 중요성이 강조되었다. 철도는 여전히 지역적인 문제로 여겨졌다. 다른 노선과의 미래 연결에 대한 인식이 없었고, 궤간의 선택은 여전히 지역적 요구 사항과 편견에 근거한 실용적인 결정이었으며, 아마도 기존 지역 차량(도로 차량) 설계에 의해 결정되었을 것이다.

따라서 스코틀랜드 서부의 몽클랜드 앤 커킨틸로크 철도(Monkland and Kirkintilloch Railway)(1826)는 1372mm을 사용했고,[7] 스코틀랜드 북동부의 던디 앤 뉴타일 철도(Dundee and Newtyle Railway)(1831)는 1384mm을 채택했으며,[8] 콘월의 레드루스 앤 체이스워터 철도(Redruth and Chasewater Railway)(1825)는 1219mm를 선택했다.[9]

아브로스 앤 포파 철도(Arbroath and Forfar Railway)는 1838년에 1676mm의 궤간으로 개통되었고,[10] 1839년의 얼스터 철도(Ulster Railway)는 1880mm을 사용했다.[1]

궤간날짜선정자
1825조지 스티븐슨(George Stephenson)
1524mm1827사우스캐롤라이나 운하 및 철도 회사(South Carolina Canal and Rail Road Company)의 호레이쇼 앨런(Horatio Allen)
597mm1836산악 지형을 쉽게 통과하기 위해 페스티니오그 철도(Festiniog Railway)의 헨리 아처(Henry Archer) 선정
(1865년 영국 최초의 증기 기관차 협궤 여객 운행 (원래는 말이 끄는 방식))
2140mm1838아이작 킹덤 브루넬(I. K. Brunel)
1524mm1842미국 남부 관행에 따라 모스크바-상트페테르부르크 철도(Moscow – Saint Petersburg Railway)의 조지 워싱턴 위슬러(George Washington Whistler) 선정
1600mm1846아일랜드에서 타협으로 선정
1676mm1853자문 엔지니어 W. 심스 씨의 권고에 따라 달호지 후작(Lord Dalhousie)이 영국령 인도에서 선정[40][41]
1067mm1862비용 절감을 위해 노르웨이 뢰로스선(Røros Line)의 칼 필(Carl Pihl) 선정
1067mm1865비용 절감을 위해 퀸즐랜드 철도(Queensland Railways)의 아브라함 피츠기번(Abraham Fitzgibbon) 선정
914mm1870비용 절감을 위해 덴버 앤 리오 그란데 웨스턴 철도(Denver & Rio Grande Railway)의 윌리엄 잭슨 팔머(William Jackson Palmer) 선정 (페스티니오그 철도에서 영감을 얻음)
610mm1877비용 절감을 위해 빌레리카 앤 베드퍼드 철도(Billerica and Bedford Railroad)의 조지 이. 맨스필드(George E. Mansfield) 선정 (페스티니오그 철도에서 영감을 얻음)
762mm1887비용 절감을 위해 에버러드 캘쓰롭(Everard Calthrop) 선정; 일치하는 차량 세트 설계 보유



러시아 제국스페인의 철도가 유럽의 다른 지역과 달리 광궤를 선택한 이유에 대해, 나폴레옹 전쟁의 기억으로부터 타국에 침략당했을 경우 철도가 이용되는 것을 우려했기 때문이라고 설명되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두 국가가 군사적 이유로 궤간을 선택했다는 기록은 존재하지 않는다. 두 국가 모두 철도가 개통된 것은 1830년대부터 40년대 광궤 우위론이 성행하던 시대였으며, 궤간을 검토한 기술자들은 1435mm보다 넓은 궤간이 더 우수하다고 주장했다. 또한, 장래 타국의 1435mm 궤간 철도와 연결될 가능성에 대해서는 경시하고 있다.

러시아가 침략에 대비하여 이궤간을 선택했다는 설의 초출은 1866년에 영국의 타임스지에 게재된 특파원 보고[60]로, 전문 형태로 전하고 있다. 또한, 러시아 교통성은 1841년의 보고서에서 철도가 적에게 이용될 가능성에 대해, 군이 후퇴할 때 선로를 파괴하면 된다고 기록하고 있지만, 궤간의 차이에는 언급하고 있지 않다.

또한, 타국의 침입 방지 목적설의 최대 문제점으로서 이들 국가가 광궤를 채용하고 있다는 점이 있으며, 궤간은 좁히는 쪽이 더 쉽다.[61] 실제로 일본이 러일 전쟁 중 만주에 있던 1524mm 궤간의 러시아 철도(후의 만철 등)를 개궤하여 1067mm로 하고 잠시 사용했던 사례가 있으므로, 가상 적국보다 궤간을 좁히지 않으면 이 목적에는 사용할 수 없다.[46]

스페인에서는 1856년에 프랑스 국경 근처의 철도에 프랑스인이 출자하려고 하고 있는 것이 국방상 문제시되었을 때, 경영자가 궤간이 다르기 때문에 침략에 사용될 일은 없다고 답변한 것이 아마도 처음일 것이다.

또한, 이웃 국가와 다른 궤간을 사용하는 것은 적에게 공격받았을 경우에는 유리하지만, 반대로 공격할 경우에는 불리해진다. 실제 러시아는 러일 전쟁 당시 루마니아 공국을 경유하여 오스만 제국에 공격했지만, 루마니아의 철도는 표준궤였기 때문에, 국경에서 화물을 옮겨 실을 필요가 생겨 병참상 큰 문제가 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초반에도, 독일령 동프로이센에 침공한 이후로는 철도를 사용할 수 없었다. 이것이 탄넨베르크 전투의 패인 중 하나가 되었다.

참고로, 프로이센 왕국에서는 프랑스나 벨기에와 같은 궤간을 사용하는 것에 대해 일부 고관이 침략에 이용될 가능성이 있다고 반대했지만, 기각되었다.

철도회사의 경영상 이유로 인해, 다른 철도와 다른 궤간을 의도적으로 채택한 것으로 생각되는 사례가 있다.

1841년에 개업한 미국의 뉴욕 앤드 에리 철도(후의 에리 철도)는 미국 북동부에서 일반적이었던 1435mm 궤간이 아닌, 1829mm 궤간을 채택했다. 이는 엘리자이저 로드 사장의 의향이 크게 작용했다. 로드는 뉴욕 앤드 에리 철도 설립에 있어 고객이 다른 철도로 옮겨가지 않도록, 동 철도를 다른 철도와 연결하지 않는다는 허가를 받았다. 하지만 허가 조건은 장래 변경될 가능성이 있지만, 궤간은 쉽게 변경할 수 없다는 이유로 다른 철도와 다른 궤간을 채택했다. 다만, 1845년 로드 사장의 퇴임 후에는, 궤간의 차이는 오히려 경영상 불리하다는 이유로 주주들로부터 자주 비판을 받았다.

또한, 1853년에 개업한 미국 메인주 포틀랜드와 캐나다 몬트리올을 잇는 철도[62]는 1676mm 궤간을 선택했다. 그 이유 중 하나가 포틀랜드 측 출자자의 의향 때문이다. 포틀랜드 항은 보스턴 항과 경쟁 관계에 있었기 때문에, 이 철도를 이용한 캐나다에서 온 화물이 보스턴으로 빼앗기지 않도록 보스턴 주변의 철도와 다른 궤간으로 한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사정은 몬트리올 측 출자자에게는 무관한 일이며, 광궤가 기술적으로 우수하다는 당시의 풍조가 더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

4. 1. 표준궤의 기원과 궤간 전쟁

현대 표준궤로 여겨지는 4피트 8.5인치(1435mm) 궤간의 기원은 잉글랜드 북동부 킬링워스 탄광의 마차 철도에서 사용되던 4피트 8인치(1422mm) 궤간이다. 킬링워스 차륜 간격의 기원을 고대 로마의 마차까지 거론하는 설[43]도 있었으나, 이후 부정되었다.[44] 가장 초기의 철도 형태는 나무로 만든 궤도로, 그 위를 단일 차량이 광산이나 채석장에서 사람의 힘에 의해 운반되었다. 목재 레일은 마모가 빨라 평평한 주철판으로 보강되었고, 이후 L자형 판을 사용한 "플레이트웨이"가 등장했다. 플랜지가 있는 바퀴가 보편화되면서 레일 간 간격이 중요해졌다.[4]

차량 안내가 개선되면서 짧은 차량 열을 연결하여 말을 통해 운반하였고, 선로는 수운이 가능한 수로까지 연장되었다. 1802년 남웨일스의 페니다렌 램로드는 플레이트웨이를 사용했으며, 궤간은 4피트 4인치였다.[5] 1804년에는 증기 기관차가 페니다렌 램로드에서 최초로 운행되었으나, 기관차의 무게를 선로가 견디지 못했다.[6] 이후 주철 에지 레일이 사용되면서 궤간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었다. 철도는 여전히 지역적인 문제였고, 궤간 선택은 지역적 요구 사항에 따라 결정되었다. 스코틀랜드 서부의 몽클랜드 앤 커킨틸로크 철도(Monkland and Kirkintilloch Railway)(1826)는 4피트 6인치를,[7] 스코틀랜드 북동부의 던디 앤 뉴타일 철도(Dundee and Newtyle Railway)(1831)는 4피트 6 1/2인치를,[8] 콘월의 레드루스 앤 체이스워터 철도(Redruth and Chasewater Railway)(1825)는 4피트를[9] 채택했다. 아브로스 앤 포파 철도(Arbroath and Forfar Railway)는 1838년에 5피트 6인치 궤간으로 개통되었고,[10] 1839년의 얼스터 철도(Ulster Railway)는 6피트 2인치를 사용했다.[1]

킬링워스의 기관차


1814년, 조지 스티븐슨이 킬링워스 탄광 철도를 위해 증기 기관차를 제작했다. 1823년에는 로버트 스티븐슨 앤드 컴퍼니를 설립했는데, 여기서 제작된 기관차도 같은 궤간으로 설계되었다. 스티븐슨은 각지의 철도에서 같은 궤간을 사용하는 것이 기관차 및 여러 설비의 대량 생산에 편리하고, 장래 이들 철도가 상호 연결될 때에도 편리하다고 생각했다. 1825년 스톡턴 앤 더링턴 철도에서 공공용 철도로 최초로 증기 기관차가 사용되었고, 1830년에는 세계 최초의 증기 기관차에 의한 여객용 철도인 리버풀 앤 맨체스터 철도가 개업했다. 이들 철도에서도 스티븐슨의 기관차가 사용되었다. 다만, 궤간은 이 과정 중 어느 단계에서 반 인치 확대되어 4피트 8.5인치가 되었다.

이후에도 스티븐슨 등이 참여한 철도에서는 4피트 8 1/2인치 궤간이 채택되었지만, 이잠바드 킹덤 브루넬은 그레이트 웨스턴 철도에서 7피트 1/4인치(2140mm)라는 광궤를 채택했다. 브루넬은 그레이트 웨스턴 철도가 스티븐슨의 4피트 8 1/2인치 궤간 철도와 연결될 필요가 없다고 생각하여 다른 궤간이라도 특별히 문제가 없다고 생각했다. 1830년대부터 1840년대에는 5피트에서 6피트 정도의 다양한 광궤 철도가 나타났고, 잉글랜드에서도 그레이트 웨스턴 철도를 따라 1836년에 이스턴 카운티 철도가 7피트 1/4인치 궤간을 사용하려고 시도했지만, 기술 책임자인 브레이스웨스트[45]에 의해 5피트 궤간을 권유받아 결국에는 다른궤간으로 시작했다(후에 표준궤로 개궤).[46]

글로스터에서의 환승을 풍자한 그림


하지만, 1844년 글로스터에서 4피트 8 1/2인치 궤간과 7피트 1/4인치 궤간의 철도가 처음으로 만나게 되었고, 이로 인해 궤간이 다르면 직통 운전이 불가능하다는 폐해가 명백해졌다. 궤간을 어느 쪽으로 통일해야 하는가는 "궤간 전쟁"이라고 불리는 격렬한 논쟁이 되었다. 1845년, 왕립 위원회는 광궤의 기술적 우위를 인정하면서도, 그 차이는 미미하고, 노선 길이가 긴 4피트 8 1/2인치 궤간으로 통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권고했다. 다음 해 1846년에 제정된 궤간법에 따라 그레이트브리튼섬의 신규 노선은 원칙적으로 4피트 8 1/2인치의 궤간으로 건설되게 되었다.

이 규정은 스코틀랜드에도 적용되었지만, 아일랜드의 철도는 5피트 3인치(1600mm)가 표준으로 되었다.

4. 2. 표준궤와 광궤의 확산

유럽 대륙에서는 철도 건설 및 운영에 정부 개입이 강했으며, 궤간 선택 또한 정부가 최초로 결정한 사례가 많았다. 초기에는 스티븐슨의 1,435mm 표준궤가 주로 채택되었으나, 네덜란드, 바덴 대공국, 러시아 제국, 스페인, 포르투갈 등에서는 기술적 우수성을 이유로 5~6피트 전후의 광궤가 채택되었다.[46] 네덜란드와 바덴은 이후 주변 국가에 맞춰 표준궤로 개궤했지만, 러시아와 이베리아 반도의 광궤는 현재까지 유지되고 있다.[46]

미국에서는 1830년대부터 1840년대에 걸쳐 민간 철도회사에 의해 많은 철도가 개통되었다. 항구와 내륙 연결이 주 목적이었고 상호 연결은 간과되었기 때문에, 4피트 8 1/2인치 외에도 다양한 광궤가 채택되었다. 1860년대 무렵에는 북동부에서는 4피트 8.5인치, 남부에서는 5피트, 뉴저지주오하이오주에서는 4피트 10인치 등 지역적으로 통합되었고, 1863년 대륙횡단철도의 궤간이 4피트 8 1/2인치로 결정된 것을 계기로 전국적으로 표준궤 통일이 진행되었다.

캐나다에서는 1851년에 5피트 6인치를 표준으로 하는 법률이 제정되었지만, 1870년에 폐지되었고, 미국과의 직통 연결 필요성으로 인해 표준궤로 개궤되었다.

영국령 인도에서는 캘커타 주변은 초기 표준궤로 시작되었지만, 1851년 이후 제임스 램지 총독에 의해 5피트 6인치 광궤가 표준으로 설정되었다. 달호지는 영국 본토와 직통하지 않으므로 독자적인 판단이 필요하며, 표준궤는 "단지 한 지역의 상황에서 우연히 생겨난 것"이라며, 6피트를 주장했지만, 최종적으로 5피트 6인치로 결정되었다.[46]

오스트레일리아에서는 각 주에 해당하는 각 식민지가 독자적으로 철도를 건설하면서 혼란이 있었다. 처음에는 남호주가 표준궤, 뉴사우스웨일스주는 아일랜드식 5피트 3인치였으나, 빅토리아주와 남호주도 이에 맞춰 개궤했다. 그러나 뉴사우스웨일스주의 기술 책임자가 변경되면서 다시 표준궤가 되었고, 1870년대 협궤 붐 시대에는 1,067mm 궤간의 주도 생겨나면서 주마다 궤간이 분단된 채 발전하였다.[46]

라틴 아메리카 각지의 철도 궤간은 건설 시작 시기에 따라 다르다. 1837년부터 1851년까지는 모두 표준궤, 1854년부터 1863년까지는 모두 광궤가 채택되었다. 1865년 우루과이가 표준궤를 채택한 이후로는 대부분 협궤가 채택되었다.

전 세계 철도의 여러 궤간을 보여주는 지도.

4. 3. 협궤 철도의 유행

19세기 후반, 협궤 철도는 경제적인 대안으로 주목받아 아시아, 아프리카, 남아메리카 등지에 널리 건설되었다. 초기 협궤 철도의 예로는 1836년 개업한 웨일스의 페스테니오그 철도(Ffestiniog Railway)가 있으며, 1피트 11 1/2인치(597mm) 궤간을 사용했다. 1860년경부터 협궤에서도 실용적인 증기기관차 제작이 가능해졌고, 노르웨이의 카를 아브라함 피르(Carl Abraham Pihl)는 3피트 6인치(1067mm) 궤간이 비용과 능력 균형이 잡힌 이상적인 궤간이라고 주장했다. 찰스 폭스를 비롯한 영국의 기술자들도 이 견해를 지지했다. 1865년경부터는 찰스 이스턴 스푸너와 영국 상무성의 헨리 타일러 등이 3피트(914mm)나 2피트 6인치(762mm)의 경편철도 아이디어를 제창하며, 표준궤나 광궤 철도보다 협궤의 경편철도가 미래 철도에 적합하다고 주장했다.

페스테니오그 철도(1900년경)


1860년대 후반부터 1880년대에 걸쳐, 폭스와 그 영향을 받은 영국 기술자들의 지도로 아시아, 아프리카, 라틴 아메리카 등 철도 미개척 지역에 1067mm, 1000mm, 914mm 등 궤간의 철도가 건설되었다. 1872년 개업한 일본의 철도가 1067mm 궤간을 채택한 것도 이 때문이다. 남아프리카 공화국과 뉴질랜드에서는 표준궤로 시작된 철도 건설이 협궤로 전환되었고, 태국과 인도네시아에서는 표준궤 철도와 별도로 협궤 철도가 건설되어 장시간에 걸쳐 협궤로 통일되었다. 인도와 오스트레일리아에서는 광궤나 표준궤 철도망이 발달했음에도 협궤 철도가 병행 건설되어 복수 궤간이 혼재하는 상황이 발생했다.

덴버 앤 리오그란데 철도의 협궤 차량


표준궤가 보급된 유럽과 북아메리카에서도 수요가 적은 지역의 경편철도 규격으로 협궤가 널리 사용되었다. 미국에서는 1871년 3피트 궤간의 덴버 앤 리오그란데 웨스턴 철도 첫 구간이 개통되었고, 1872년 제1회 전미 협궤철도 회의에서 3피트 궤간이 미국 협궤 통일 규격으로 합의되었으며, 표준궤 대신 협궤 간선 철도망을 구축하는 계획도 제시되었다.

그러나 협궤 보급 후, 경제성이 떨어진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오스트레일리아 퀸즐랜드 주의 철도 건설비는 예산을 40% 초과했고, 1880년대 미국 협궤철도 회사들은 표준궤 철도와의 환적을 피하기 위해 개궤를 진행했다. 아서 M. 웰링턴은 1887년 저서에서 협궤철도의 이점으로 여겨지던 건설비 절감, 곡선 통과 성능은 궤간에 의존하지 않고, 운영비는 오히려 높아진다고 주장하며, 저규격 경편철도에만 협궤 사용 의미가 있다고 했다. 또한, 건설 단계에서 수요가 적더라도 표준궤로 건설하는 것이 장래 본선 철도망 편입에 유리하다고 주장했다.

미국과 영국은 이 주장을 빠르게 수용했지만, 대륙 유럽에서는 20세기 전반에도 협궤 경편철도 건설이 계속되었다. 그러나 자동차 보급으로 속도와 수송력이 떨어지는 경편철도는 경쟁력을 잃고 폐지되었다. 결국 협궤 철도는 수송 능력 한계로 20세기 이후 표준궤로 개궤되거나 새로운 표준궤 철도가 건설되는 경우가 많아졌다.

5. 이종 궤간의 호환 방법

## 이종 궤간의 호환 방법

궤간이 다를 경우 열차의 운행이 곤란하다. 대개 이러한 경우, 궤간이 다른 두 노선의 접속역에서 환승 내지는 환적을 하는데, 이것은 여러모로 시간과 처리량 면에서 부적절한 경우가 많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시설 또는 차량의 개조가 필요하게 된다.

### 시설에 의한 방법

시설에 의한 방법으로는 3선 궤조, 4선 궤조 방식이 존재한다. 이 방법은 기존의 궤간 안쪽 또는 바깥쪽에 추가적인 레일을 설치하여, 다른 궤간의 차량이 운행할 수 있도록 조처하는 방식이다. 세 개의 레일을 설치하여 한 레일은 두 궤간의 차량이 공유하는 방법을 3선 궤조 방식이라고 하며, 같은 구간에서 서로 별개의 레일을 사용하는 방식을 4선 궤조 방식이라고 한다.

4레일 복합궤간(표준궤 및 미터궤/협궤) 단면도


호주 복합궤간 선로 단면도 – 1600mm 및 1435mm 궤간


사르데냐 사사리의 복합궤간: 1435mm 및 950mm


영국 디드콧 철도 박물관의 복원된 혼합궤간, 1435mm / 2140mm 궤간


개별 철도 회사들이 서로 다른 궤간을 선택하고 지상 공간이 제한된 노선을 공유해야 할 필요가 있을 때, 세 개(때로는 네 개)의 레일이 동일한 선로 구조물에서 지지되는 혼합궤간(또는 복합궤간)이 필요할 수 있다. 이러한 선로가 가장 많이 필요했던 곳은 도시 터미널 접근로 또는 궤간 변경역이었다. 다중 궤간 선로는 건설(신호 작업 포함) 비용이 상당하고 선로 유지보수가 복잡하며 일부 속도 제한이 필요할 수 있다. 따라서 절대적으로 필요한 경우에만 건설된다.

궤간의 차이가 200mm 이하인 경우에는 레일이 간섭하기 때문에 삼선궤도를 사용할 수 없다.

19세기 중반부터 영국과 북미에서 표준궤 철도와 각종 광궤 철도 간의 직통을 위해 사용되기 시작했다. 현대에도 전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차량 측에는 특별히 대응할 필요가 없지만, 건설 및 유지보수에는 추가 비용이 발생한다. 차량 측 대응에 따른 이궤간 직통의 비용은 직통하는 차량 수에 의존하는 반면, 혼합궤간에 의한 직통의 경우는 직통하는 거리에 의존한다. 따라서, 수송량이 많고 직통 거리가 비교적 짧은 경우에는 혼합궤간에 의한 대응이 적합하다.

### 차량에 의한 방법

차량에 의한 방법은 크게 대차를 교환하는 방법과, 궤간 가변 열차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대차 교환은 차량의 객실 내지 적재실 부분만을 들어올려 대차를 철거하고, 새 궤간에 맞는 대차를 설치하여 다른 궤간 구간에서 운행하는 방식이다.[17] 궤간 가변 열차는 차량의 대차 및 차륜을 특수하게 설계하여, 차량 자체의 궤간을 변경 가능하게 만든다.[18][19]

횡단몽골 철도의 경우 러시아와 몽골은 1,520mm 궤간을[17], 중국은 1,435mm 표준궤를 사용한다. 국경에서는 각 차량을 들어 올리고 대차를 교체하는데, 열차 전체 작업에는 몇 시간이 걸릴 수 있다.[17] 구소련 통과 지점, 브라티슬라바–리비우 열차(우크라이나/슬로바키아 국경), 키시너우–부쿠레슈티 열차(루마니아/몰도바 국경) 등도 같은 방식을 사용한다.[17]

러시아-중국 국경에서의 대차 교환 작업


1870년대 북아메리카에서 대차교환이 실용화되었다. 현재 구 소비에트 연방 광궤철도와 동유럽, 중국 등의 표준궤철도 간 직통 등에 사용된다. 일본에서도 1,067mm 궤간이 아닌 차량을 JR 재래선 경유 수송 시 대차 교체가 이루어진다(차량 수송 참조). 긴키 닛폰 철도는 가시하라진구마에 역에서 임시 대차로 교체한다. 대차 자체가 아닌 차축만 교체하는 차량도 존재한다.

협궤선에서는 롤복이나 운반대차를 사용하여 더 넓은 궤간의 레일을 통해 표준궤 차량을 협궤선 위에서 운반한다. 롤바겐(Rollwagen)은 궤간이 다른 철도 차량을 탑재하기 위한 화차이고, 롤복스(Rollbock)는 차축 부분만을 싣는 작은 차량이다. 20세기 초까지 유럽에서 표준궤 화차를 협궤 노선에 직통 운행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그러나 롤바겐이나 롤복스는 차량 중심이 높아져 불안정하고 저속 운행만 가능했다.

스페인의 탈고와 Construcciones y Auxiliar de Ferrocarriles(CAF)는 가변 궤간 차륜을 사용한다. 프랑스와 스페인 국경에서 직통 여객 열차가 차륜 궤간 변경 장치를 통해 차륜을 차축에서 옆으로 미끄러지게 하여 궤간을 변경한다.[18] SUW 2000과 INTERGAUGE 가변 차축 시스템은 중국, 중앙아시아, 폴란드, 우크라이나 사이에서 사용된다.[19]

원시적인 궤간가변차량은 1860년대 캐나다에서 등장했으나 신뢰성 부족으로 사라졌다. 근대적인 궤간가변차량은 1968년 스페인 탈고(Talgo)사 TalgoIII-RD 여객차가 처음이며, TEE 카탈란 탈고로서 광궤의 스페인과 표준궤의 프랑스 사이를 직통 운행했다. 이후 폴란드, 일본, 독일에서 다양한 방식이 개발되어 일부 실용화되었다.

5. 1. 시설에 의한 방법

시설에 의한 방법으로는 3선 궤조, 4선 궤조 방식이 존재한다. 이 방법은 기존의 궤간 안쪽 또는 바깥쪽에 추가적인 레일을 설치하여, 다른 궤간의 차량이 운행할 수 있도록 조처하는 방식이다. 세 개의 레일을 설치하여 한 레일은 두 궤간의 차량이 공유하는 방법을 3선 궤조 방식이라고 하며, 같은 구간에서 서로 별개의 레일을 사용하는 방식을 4선 궤조 방식이라고 한다.

개별 철도 회사들이 서로 다른 궤간을 선택하고 지상 공간이 제한된 노선을 공유해야 할 필요가 있을 때, 세 개(때로는 네 개)의 레일이 동일한 선로 구조물에서 지지되는 혼합궤간(또는 복합궤간)이 필요할 수 있다. 이러한 선로가 가장 많이 필요했던 곳은 도시 터미널 접근로 또는 궤간 변경역이었다. 다중 궤간 선로는 건설(신호 작업 포함) 비용이 상당하고 선로 유지보수가 복잡하며 일부 속도 제한이 필요할 수 있다. 따라서 절대적으로 필요한 경우에만 건설된다. 두 궤간의 차이가 충분히 클 경우 3레일 복합궤간이 가능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 4레일을 사용해야 한다. 복합궤간 철도는 아르헨티나, 호주, 브라질, 일본, 북한, 스페인, 스위스, 튀니지, 베트남에서 운영되거나 운영된 적이 있다.

궤간의 차이가 200mm 이하인 경우에는 레일이 간섭하기 때문에 삼선궤도를 사용할 수 없다.

19세기 중반부터 영국과 북미에서 표준궤 철도와 각종 광궤 철도 간의 직통을 위해 사용되기 시작했다. 현대에도 전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차량 측에는 특별히 대응할 필요가 없지만, 건설 및 유지보수에는 추가 비용이 발생한다. 차량 측 대응에 따른 이궤간 직통의 비용은 직통하는 차량 수에 의존하는 반면, 혼합궤간에 의한 직통의 경우는 직통하는 거리에 의존한다. 따라서, 수송량이 많고 직통 거리가 비교적 짧은 경우에는 혼합궤간에 의한 대응이 적합하다.

5. 2. 차량에 의한 방법

차량에 의한 방법은 크게 대차를 교환하는 방법과, 궤간 가변 열차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대차 교환은 차량의 객실 내지 적재실 부분만을 들어올려 대차를 철거하고, 새 궤간에 맞는 대차를 설치하여 다른 궤간 구간에서 운행하는 방식이다.[17] 궤간 가변 열차는 차량의 대차 및 차륜을 특수하게 설계하여, 차량 자체의 궤간을 변경 가능하게 만든다.[18][19]

횡단몽골 철도의 경우 러시아와 몽골은 1,520mm 궤간을[17], 중국은 1,435mm 표준궤를 사용한다. 국경에서는 각 차량을 들어 올리고 대차를 교체하는데, 열차 전체 작업에는 몇 시간이 걸릴 수 있다.[17] 구소련 통과 지점, 브라티슬라바–리비우 열차(우크라이나/슬로바키아 국경), 키시너우–부쿠레슈티 열차(루마니아/몰도바 국경) 등도 같은 방식을 사용한다.[17]

1870년대 북아메리카에서 대차교환이 실용화되었다. 현재 구 소비에트 연방 광궤철도와 동유럽, 중국 등의 표준궤철도 간 직통 등에 사용된다. 일본에서도 1,067mm 궤간이 아닌 차량을 JR 재래선 경유 수송 시 대차 교체가 이루어진다(차량 수송 참조). 긴키 닛폰 철도는 가시하라진구마에 역에서 임시 대차로 교체한다. 대차 자체가 아닌 차축만 교체하는 차량도 존재한다.

협궤선에서는 롤복이나 운반대차를 사용하여 더 넓은 궤간의 레일을 통해 표준궤 차량을 협궤선 위에서 운반한다. 롤바겐(Rollwagen)은 궤간이 다른 철도 차량을 탑재하기 위한 화차이고, 롤복스(Rollbock)는 차축 부분만을 싣는 작은 차량이다. 20세기 초까지 유럽에서 표준궤 화차를 협궤 노선에 직통 운행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그러나 롤바겐이나 롤복스는 차량 중심이 높아져 불안정하고 저속 운행만 가능했다.

스페인의 탈고와 Construcciones y Auxiliar de Ferrocarriles(CAF)는 가변 궤간 차륜을 사용한다. 프랑스와 스페인 국경에서 직통 여객 열차가 차륜 궤간 변경 장치를 통해 차륜을 차축에서 옆으로 미끄러지게 하여 궤간을 변경한다.[18] SUW 2000과 INTERGAUGE 가변 차축 시스템은 중국, 중앙아시아, 폴란드, 우크라이나 사이에서 사용된다.[19]

원시적인 궤간가변차량은 1860년대 캐나다에서 등장했으나 신뢰성 부족으로 사라졌다. 근대적인 궤간가변차량은 1968년 스페인 탈고(Talgo)사 TalgoIII-RD 여객차가 처음이며, TEE 카탈란 탈고로서 광궤의 스페인과 표준궤의 프랑스 사이를 직통 운행했다. 이후 폴란드, 일본, 독일에서 다양한 방식이 개발되어 일부 실용화되었다.

6. 궤간과 캔트

곡선 구간에서 열차가 안전하게 운행할 수 있도록 바깥쪽 레일을 안쪽 레일보다 높게 설치하는데, 이를 캔트라고 한다. 캔트는 열차가 곡선 구간을 통과할 때 발생하는 원심력을 상쇄하여 열차의 탈선을 방지하고 승차감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캔트는 궤간, 곡선반경, 열차 속도 등 여러 요인에 따라 결정된다.

궤간 거리가 1067mm일 때 캔트(C)는 C = 8.87 \frac{V^2}{R} 공식으로 계산된다. 궤간 거리가 1435mm일 때는 C = 11.8 \frac{V^2}{R} 공식을 사용한다. 여기서 R은 곡선반경, V는 열차의 계획 최고 속도를 의미한다.

7. 궤간의 장단점

일반적으로 궤간이 넓을수록 고속 운행과 대량 수송에 유리하지만, 건설 및 유지보수 비용이 높다. 반면 궤간이 좁을수록 건설 및 유지보수 비용이 저렴하지만, 고속 운행과 대량 수송에는 불리하다. 궤간과 곡선 통과 성능 사이에는 직접적인 관계가 없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철도 차량에는 수직 방향의 중력 외에도 측풍이나 주행 시 차량의 요동, 곡선 통과 시 원심력 등에 의해 횡방향의 힘이 작용한다. 중심 높이가 같다면 광궤(넓은 궤간)가 횡방향 힘에 대해 더 안전하며, 특히 고속 운전에는 궤간이 넓은 쪽이 적합하다. 협궤(좁은 궤간)의 경우, 횡방향 힘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더욱 정밀한 보선 작업이 필요하다. 1850년대 인도의 철도에서 광궤(1676 mm)가 채택된 이유 중 하나는 사이클론과 같은 강풍에 대한 안전성이었다.[46] 1973년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 베이 지역에서 개업한 BART에서도 측풍에 대한 안정성을 고려하여 1676 mm 궤간과 콘크리트 도상의 조합을 채택했다.

BART


증기기관차 시대에는 궤간이 넓을수록 기관차의 성능이 높다고 여겨졌다. 초기에는 실린더가 차륜 안쪽에 설치되어 궤간의 영향을 크게 받았으나, 1840년대 중반 이후 외측 실린더 증기기관차 제작이 가능해지면서 이러한 제약은 사라졌다. 영국의 왕립 조사 위원회는 1845년 보고서에서 7피트 궤간이 4피트 8 1/2인치 궤간보다 기관차 성능이 우수하지만 그 차이는 미미하다고 지적했다. 궤간이 넓을수록 화실과 보일러를 대형화하여 출력을 향상시킬 수 있지만, 가라트식 기관차처럼 보일러 전후에 주행 장치를 붙여 지지하는 방식을 사용하면 협궤에서도 두꺼운 보일러를 사용할 수 있다.[53]

그레이트 웨스턴 철도의 광궤 증기기관차


전동기(모터)를 사용하는 전철이나 전기기관차의 경우, 모터 배치에 궤간과 차륜 직경의 제약이 발생한다.[54] 일본의 경우, 야마노테선 전철 운행 초기에는 문제가 없었으나, 대형 모터 전차 도입 시 차륜 직경을 크게 해야 했다.[55] 오다큐 하코네는 급경사를 이유로 표준궤를 채택했다.[56] 노면전차에서는 차륜이 작아 협궤에서 모터 수납 공간 확보를 위해 직각 칼단 구동 방식 등을 채택하거나, 표준궤를 선택하기도 한다.

화차에 화물을 탑재할 경우 효율에 대해서는 광궤와 협궤에 대한 주장이 모두 존재한다. 광궤는 차체를 수직, 횡방향으로 대형화하여 효율을 높일 수 있지만, 협궤는 화차 자체 무게를 줄여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농산물처럼 비중이 작은 화물은 광궤, 광석처럼 비중이 큰 화물은 협궤가 유리하다. 후고우 신페이는 독일 철도의 유개 화차가 협궤이며, 보기 화차를 사용하면 광협에 관계없이 대형 화차를 운전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57]

곡선 구간에서는 궤간이 좁을수록 바깥쪽 레일과 안쪽 레일 길이 차이가 작아져 작은 반경의 곡선을 만들기 쉽다고 여겨진다. 이삼바드 킹덤 브루넬도 광궤의 단점으로 이 점을 인정했다. 스페인에서는 곡선 통과를 위해 탈고(Talgo) 차량이 개발되었다. 철도 차량의 곡선 통과 능력에 궤간 차이는 본질적이지 않다는 견해도 있다. 공격각은 차축 간 간격에 의존하며, 보기대차를 사용하면 공격각을 작게 할 수 있다.[58] 아서 M. 웰링턴은 궤간만 좁혀도 곡선 통과 저항에 영향이 없고, 대차 중심 간 간격을 줄여야 효과가 있다고 주장했다.

침목 길이와 자갈도상 양은 궤간 크기에 영향을 받는다. 협궤 철도일수록 궤도가 차지하는 폭은 좁아진다. 2001년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1km당 건설비는 표준궤가 180만 랜드, 케이프궤간이 160만 랜드로 추산되었으며, 이는 침목과 자갈 때문이었다.

8. 현대의 궤간 통일 노력과 미래

국가 간, 대륙 간 철도 운송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궤간 통일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30][31][32] 유럽연합(EU)은 유럽 내 철도망의 상호 운용성을 높이기 위해 궤간, 신호 시스템, 전력 시스템 표준화를 추진하고 있다. EU 자금은 리투아니아, 라트비아, 에스토니아의 주요 철도 노선(Rail Baltica) 건설, 특히 표준궤 건설을 지원하고, 스페인과 포르투갈의 고속철도 건설을 지원하여 이베리아 반도 도시들을 서로 연결하고 프랑스 고속철도망과 연결하는 데 사용되었다.

유엔 아시아태평양경제사회위원회(UNESCAP)는 유럽아시아를 연결하는 범아시아 철도(Trans-Asian Railway) 건설을 계획하고 있으며, 궤간 변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현재 계획은 광범위한 궤간 변경 대신 궤간이 다른 구간에서 컨테이너를 기차에서 기차로 옮기는 기계화 시설을 설치하는 것이다.

대한민국은 KTX를 비롯한 고속철도와 일반 철도 모두 표준궤를 사용하고 있다. 앞으로도 국제적인 궤간 통일 추세에 발맞춰, 유라시아 대륙 철도와의 연계 등을 고려하여 표준궤를 유지하고 발전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20세기 이후에는 새로운 철도의 궤간을 선택할 기회 자체가 드물어짐에 따라 궤간의 우열에 관한 논의는 저조해졌다. 20세기 초에는 일본 등에서 협궤 철도를 표준궤로 개궤해야 한다는 논의가 있었지만, 실현되지 못했다.

20세기 후반 이후에 새로 건설된 철도에서는 표준궤가 채택되는 경우가 많다. 일본신칸센이 협궤의 재래선망과는 독립적인 형태로 표준궤를 선택한 것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 반대로 스페인 등은 재래선은 광궤이지만 고속열차 AVE는 프랑스 등과의 연결을 고려하여 표준궤로 시설되어 있다.

9. 각주

참조

[1] 서적 Railway track and track work The Engineering News Publishing Co. 1908
[2] 서적 The train to Oodna-Woop-Woop: a social history of the Afghan Express Sarlines Railway Books 2021
[3] 서적 Track Maintenance Guide Australian National [Railways Commission] 1988
[4] 서적 Early Wooden Railways Routledge Keegan Paul 1970
[5] 서적 Civil Engineering Heritage – Wales and West Central Thomas Telford Publishing 1997
[6] 서적 Early Railways 1569–1830 Shire Publications in association with the National Railway Museum 2011
[7] 서적 The Monkland and Kirkintilloch and Associated Railways Strathkelvin Public Libraries 1995
[8] 서적 The Dundee and Newtyle Railway including the Alyth and Blairgowrie Branches The Oakwood Press 1995
[9] 서적 The Redruth and Chasewater Railway, 1824–1915 D. Bradford Barton Ltd 1966
[10] 서적 The Railways of Great Britain and Ireland Practically Described and Illustrated David & Charles (Publishers) Limited 1842
[11] 서적 The North Eastern Railway, its Rise and Development Andrew Reid & Co 1915
[12] 서적 A Practical Treatise on Rail-Roads Longman, Orme, Brown, Green and Longmans 1838
[13] 웹사이트 An Act for regulating the Gauge of Railways http://www.railwaysa[...] 1846-10-18
[14] 논문 The Russian Railways and Imperial Intersections in the Russian Empire https://digital.lib.[...] University of Washington 2012
[15] 웹사이트 The beginning of the Great Southern and Western Railway http://keepontrack.s[...]
[16] 서적 Minimum Gauge Railways https://www.gutenber[...] Turntable Enterprises
[17] 웹사이트 Beyond Thunderdome: Iron Curtain 2k6 https://web.archive.[...] 2007-10-10
[18] 문서 Automatic Gauge Changeover for Trains in Spain http://www.vialibre-[...] Fundación de los Ferrocarrilos Españoles 2010
[19] 웹사이트 Experience and results of operation the SUW 2000 system in traffic corridors https://web.archive.[...] 2008-12-07
[20] 문서 The Act of Parliament did not prohibit expansion of the existing broad gauge system, but it had the indirect and delayed effect of forcing conformity with the "standard" gauge eventually.
[21] 서적 The West Cornwall Railway The Oakwood Press
[22] 서적 History of the Great Western Railway Great Western Railway 1931
[23] 서적 Making tracks: 46 years in Australian railways Kangaroo Press 1989
[24] 서적 Engines of War: How Wars Were Won & Lost on the Railways Atlantic Books 2010
[25] 뉴스 TOY RAILWAY. http://nla.gov.au/nl[...] National Library of Australia 1939-12-08
[26] 웹사이트 Track Safety Standards Compliance Manual Chapter 5 Track Safety Standards Classes 1 through 5 https://web.archive.[...] Federal Railroad Administration
[27] 서적 The Economic Theory of the Location of Railways John Wiley & Sons 1910
[28] 학술지 Railroad Gauges and Spatial Interaction American Geographical Society 1969-01
[29] 서적 Narrow Gauge Railways https://books.google[...] 1879
[30] 서적 Information rules : a strategic guide to the network economy https://www.worldcat[...]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1999
[31] 서적 Encyclopedia of Law and Economics E. Elgar
[32] 서적 Irish Railways including Light Railways (Vice-Regal Commission https://books.google[...] House of Commons 1908
[33] 웹사이트 Indian Railways: Battle of the Gauges https://www.livehist[...] 2021-04-22
[34] 문서 Estonian railways today http://www.rrdc.com/[...]
[35] 서적 Europäische Bahnen '11 Eurailpress 2010
[36] 웹사이트 Colombia and Venezuela to build railroad https://web.archive.[...] 2011-05-27
[37] 뉴스 Venezuela, Argentina begin construction of railway linking their capitals https://web.archive.[...] 2008-08-21
[38] 웹사이트 East Africa: Countries Move to Upgrade Railway Network https://web.archive.[...] Business Daily (South Africa) 2008-04-29
[39] 웹사이트 East Africa: EAC Railway Master Plan to Be Redesigned http://allafrica.com[...] New Times (Rwanda) 2009-04-20
[40] 서적 Railway Engineering, Second Edi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13
[41] 웹사이트 Broad and Standard https://www.business[...] Business Standard 2024-01-09
[42] 문서 1フィートの長さについて
[43] 서적 鉄道の地理学 WAVE出版
[44] 간행물 Standard gauge originated with a roman chariot https://d18je8rbmgt7[...] 2009-07
[45] 문서 レインヒル・トライアル出場者
[46] 문서 齋藤2007, p.72-73
[47] 문서 日本、南アフリカ、オーストラリアなど
[48] 문서 アメリカ合衆国、カナダなど
[49] 문서 齋藤(2007) p.65
[50] 문서 齋藤(2007) p.307
[51] 문서 朝倉1979/11, p.103
[52] 문서 6フィート以外の軌間案
[53] 문서 東アフリカ鉄道59形機関車
[54] 문서 軌間とモーター幅スペースの比率
[55] 문서 朝倉1979/6, p.81
[56] 문서 小田急箱根鉄道線
[57] 서적 幻の広軌化計画に登場する蒸気機関車 JTBパブリッシング 2007
[58] 문서 鉄道車両の台車と輪軸操舵機構
[59] 서적 続 イギリスの鉄道の話 株式会社成山堂書店 2005
[60] 문서 ロシアの軌間に関する報告
[61] 문서 軌間変更に関する記述
[62] 문서 アトランティック・アンド・セントローレンス鉄道とセントローレンス・アンド・アトランティック鉄道
[63] 웹사이트 軌間拡大による列車脱線事故の防止に係る意見について http://www.mlit.go.j[...] 運輸安全委員会 2018-06-28
[64] 서적 週刊 歴史でめぐる鉄道全路線 大手私鉄 朝日新聞出版 2010-08-22
[65] 웹인용 철도건설규칙 https://www.law.go.k[...] 국가법령정보센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