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신장 오가노이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장 오가노이드는 신장과 유사한 구조를 갖도록 실험실에서 배양된 세포 덩어리이다. 대표적인 분화 방법에는 Little Method와 Taguchi Method가 있다. Little Method는 2D 상태의 만능 줄기 세포를 여러 성장 인자를 처리하여 원시선, 중간중배엽을 거쳐 3D 배양 환경에서 성숙시키는 방식이다. Taguchi Method는 요관 싹과 중간엽을 각각 분화시킨 후 공배양하여 신장의 집합관 구조와 유사하게 분화시키는 방법이다. 신장 오가노이드는 생체 내 이식을 통해 혈관화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시험관 내에서는 간접적인 관류 배양을 통해 혈관화를 유도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세포 - 체세포
    체세포는 다세포 생물의 몸을 이루는 세포로서 생식세포와 구별되며 불임성을 가지고, 종에 따라 생식세포계열과 분리되기도 하지만 체세포 배 발생 능력을 보이기도 하며, 유전 정보, 복제, 유전자 변형, 바이오뱅킹, 세포 노화 연구 등에 활용된다.
  • 세포 - 세포질
    세포질은 핵을 제외한 세포 내부를 채우는 물질로, 세포질 기질, 세포소기관, 세포질 내포물로 구성되어 세포 형태 유지, 항상성 유지, 세포소기관 지탱, 물질대사 관련 물질 저장 등의 기능을 수행하며 액체 또는 젤 형태를 띤다.
신장 오가노이드
기본 정보
시험관에서 자란 인간 신장 오가노이드
시험관에서 자란 인간 신장 오가노이드
정의생체 외에서 자가 조립된 3차원 세포 클러스터
연구 분야발달 생물학
신장학
유전학
약물 스크리닝
독성학
재생 의학
관련 세포유도 만능 줄기 세포
배아 줄기 세포
역사
최초 개발2013년
개발자요시지 사사키
앤드루 맥마흔
특징
구조적 특징사구체 유사 구조
세뇨관 유사 구조
혈관 유사 구조
기능적 특징여과 기능
흡수 기능
배설 기능
응용
질병 모델링낭포성 섬유증
다낭성 신장 질환
약물 개발신약 스크리닝
약물 독성 평가
재생 의학신장 재생 연구
신장 이식 대체

2. 대표적 분화 방법

신장 오가노이드를 제작하기 위한 다양한 분화 방법들이 개발되었다.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Little Method와 Taguchi Method가 있다. Little Method는 만능줄기세포(PSC)를 2차원(2D) 상태에서 배양하여 성장인자를 처리하고, 3차원 배양을 통해 신장 오가노이드로 분화시키는 방법이다.[2] Taguchi Method는 요관싹(UB)과 후신중배엽(MM)을 각각 분화시킨 후 함께 배양하여 실제 신장과 유사한 구조를 형성하도록 유도하는 방법이다.[3]

2. 1. Little Method

Little 사단의 분화 방법은 2D 상태의 PSC를 50-60% Confluency 정도로 준비한 후 CHIR을 4일간 처리하여 PS(Primitive Streak)로 분화하고, 성장인자인 FGF9과 Heparin을 3일간 처리하여 중간중배엽(IM ; intermediated mesoderm)으로 분화시킨다. 이후 CHIR shock을 주고 Air-Liquid 3D 배양 환경으로 옮겨 추가적으로 성숙시킨다.[2]

2. 2. Taguchi Method

Taguchi 사단의 분화 방법으로, UB와 MM을 각각 분화시킨 후 공배양하여 실제 신장의 집합관 구조와 유사하게 분화시키는 방법이다.[3]

3. 혈관화

신장 오가노이드의 기능성 향상을 위해 혈관화는 필수적인 과정이다. 현재까지 개발된 방법은 다음과 같다.


  • 이식: 쥐의 신장 캡슐 부위에 신장 오가노이드를 이식하여 추가적인 성숙을 유도하면, 쥐의 혈관과 오가노이드 내에 존재하던 혈관내피 전구세포가 결합하여 혈관화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추정된다.[4]
  • 관류 배양: 시험관 내(In vitro)에서는 아직 직접적인 관류 모델이 개발되지 않았다. 그러나 배양 틀에서 간접적인 관류를 형성하여 고도화 및 혈관화를 유도하는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5]

3. 1. 이식

쥐의 신장 캡슐 부위에 신장 오가노이드를 이식한 뒤 추가 성숙화를 시키면 쥐의 혈관과 오가노이드 내 존재하던 혈관내피 전구세포가 합쳐져 혈관화되는 것으로 추정된다.[4]

3. 2. 관류 배양

In vitro 상에서는 아직 직접적인 관류 모델이 없다. 다만 배양 틀에서 간접적인 관류를 형성하여 고도화, 혈관화하는 방법이 있다.[5]

참조

[1] 서적 발생생물학 (주)라이프사이언스 2018-09-01
[2] 논문 Kidney organoids from human iPS cells contain multiple lineages and model human nephrogenesis https://www.nature.c[...] 2015-10
[3] 논문 Higher-Order Kidney Organogenesis from Pluripotent Stem Cells https://www.cell.com[...] 2017-12-07
[4] 논문 Renal Subcapsular Transplantation of PSC-Derived Kidney Organoids Induces Neo-vasculogenesis and Significant Glomerular and Tubular Maturation In Vivo http://www.sciencedi[...] 2018-03-13
[5] 논문 Flow-enhanced vascularization and maturation of kidney organoids in vitro https://www.nature.c[...] 2019-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