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심장가로막동맥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심장가로막동맥은 속가슴동맥에서 분지되어 가슴막과 심장막 사이를 가로막신경과 함께 주행하며 가로막에 이르는 동맥이다. 섬유심막과 가로막에 동맥혈을 공급하며, 근가로막동맥 및 위가로막동맥과 문합을 이룬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가슴의 동맥 - 맨아래갑상동맥
    맨아래갑상동맥은 갑상샘, 기관, 부갑상샘에 혈액을 공급하는 드문 동맥으로, 팔머리동맥에서 주로 시작되며 크기, 기능, 시작 지점 등에서 변이가 많고 수술 시 출혈 위험에 주의해야 한다.
  • 가슴의 동맥 - 대동맥
    대동맥은 좌심실에서 시작하여 전신에 혈액을 공급하는 가장 큰 동맥으로, 상행대동맥, 대동맥궁, 흉부 및 복부 대동맥으로 이어지며, 혈관벽은 세 층으로 구성되어 혈압 유지와 맥파 전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그레이 해부학 20판 (1918)의 본문을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목동맥고랑
  • 그레이 해부학 20판 (1918)의 본문을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의학 용어집
    의학 용어집은 의학 분야의 다양한 용어와 정의를 모아놓은 목록으로, 인체 해부학적 용어인 '복부'와 희귀 유전 질환인 '아르스코그-스콧 증후군' 등이 포함된다.
심장가로막동맥
일반 정보
가로막신경과 미주신경
가로막신경과 미주신경. 심장가로막동맥은 표시되어 있지 않지만 그림에서 볼 수 있다.
내림가슴대동맥
왼쪽에서 본 내림가슴대동맥. 심장가로막동맥은 왼쪽 중간에 표시되어 있다.
라틴어 이름arteria pericardiacophrenica
영어 이름pericardiacophrenic artery
정맥심장가로막정맥
기원속가슴동맥
분포심장막, 가로막
참고 문헌

2. 해부학적 구조

심장가로막동맥은 속가슴동맥에서 갈라져 나와 가슴막과 심장막 사이에서 가로막신경과 함께 주행하여 가로막에 이른다.[6][8] 가로막신경과 심장가로막동맥은 모두 가로막에 분포하며, 근가로막동맥 및 위가로막동맥과 문합을 통해 연결된다.[5]

2. 1. 기원

심장가로막동맥은 속가슴동맥에서 갈라져 나온다.[1]

2. 2. 경로

심장가로막동맥은 속가슴동맥에서 갈라져 나와 가슴막과 심장막 사이에서 가로막신경과 함께 주행하여 가로막에 이른다.[6][8] 가로막신경과 심장가로막동맥은 모두 가로막에 분포한다.

심장가로막동맥은 흉강을 통과하며, 섬유심막을 통과한다.[3] 가로막신경과 함께 흉막과 심막 사이를 지나 가로막으로 이동하여 동맥과 가로막신경이 분포한다.[2]

2. 3. 분포

심장가로막동맥은 속가슴동맥에서 갈라져 나와 가슴막과 심장막 사이에서 가로막신경과 함께 주행하여 가로막에 이른다.[6][8] 가로막신경과 심장가로막동맥은 모두 가로막에 분포한다.

심장가로막동맥은 가슴안을 주행하여 심장막의 바깥쪽 층인 섬유심장막과,[9][3] 근육가로막동맥과 함께 가로막에도 혈액을 공급한다.[9][4]

2. 4. 문합

심장가로막동맥은 문합을 통해 근가로막동맥 및 위가로막동맥과 연결된다.[5]

3. 기능

심장가로막동맥은 가슴안을 주행하여 심장막의 바깥쪽 층인 섬유심장막에 혈액을 공급한다.[9] 또한 근육가로막동맥과 함께 가로막에도 혈액을 공급한다.[9]

참조

[1] 논문 Locating the right phrenic nerve by imaging the right pericardiophrenic artery with computerized tomographic angiography: Implications for balloon-based procedures https://doi.org/10.1[...] 2010-07
[2] 논문 Unilateral Diaphragmatic Paralysis Following Bronchial Artery Embolization for Hemoptysis http://www.sciencedi[...] 2000-07-01
[3] 서적 Gray's Anatomy for Students, 3rd Edition Saunders
[4] 서적 Gray's Anatomy for Students, 3rd Edition Saunders
[5] 논문 Reduction of sternal wound infections in diabetic patients undergoing off-pump coronary artery bypass surgery and using modified pedicle bilateral internal thoracic artery harvest technique 2012-08-01
[6] 논문 Locating the right phrenic nerve by imaging the right pericardiophrenic artery with computerized tomographic angiography: Implications for balloon-based procedures https://doi.org/10.1[...] 2010-07
[7] 논문 Reduction of sternal wound infections in diabetic patients undergoing off-pump coronary artery bypass surgery and using modified pedicle bilateral internal thoracic artery harvest technique https://www.scienced[...] 2012-08-01
[8] 논문 Unilateral Diaphragmatic Paralysis Following Bronchial Artery Embolization for Hemoptysis http://www.sciencedi[...] 2000-07-01
[9] 서적 Gray's Anatomy for Students, 3rd Edition Saunder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