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가로막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로막은 흉강과 복강을 분리하는 근육과 섬유 조직으로 이루어진 C자형 구조이다. 호흡의 주된 역할을 담당하며, 흉강의 부피를 조절하여 폐의 팽창과 수축을 돕는다. 가로막이 수축하면 흉강이 확장되어 흡기가 이루어지고, 이완하면 호기가 이루어지는 복식호흡을 가능하게 한다. 가로막신경의 지배를 받으며, 호흡 외에도 구토, 배변, 출산 등에도 기여한다. 가로막의 이상은 탈장, 마비, 딸꾹질 등을 유발할 수 있으며, X-선 촬영을 통해 진단할 수 있다. 쇠고기의 특정 부위는 식재료로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가로막 - 식도구멍
    식도구멍은 가로막에 있는 타원형 구멍으로, 식도, 미주신경, 혈관, 림프관 등이 지나가며, 가로막 오른쪽 다리가 조임근 역할을 하여 위 내용물의 역류를 방지하고, 식도틈새탈장과 같은 질병과 관련된다.
  • 가로막 - 대동맥구멍
    가로막 뒤쪽에 위치한 대동맥구멍은 대동맥, 홀정맥, 가슴림프관이 지나가는 첫째 허리뼈 몸통과 대동맥다리로 경계지어진 골성건막성 개구부이다.
  • 호흡계 - 아가미
    아가미는 수생 동물이 물속에서 산소를 흡수하도록 돕는 다양한 형태의 호흡 기관이며, 얇은 구조와 역류 교환 메커니즘을 통해 효율적인 기체 교환을 가능하게 한다.
  • 호흡계 - 알레르기
    알레르기는 면역 체계가 무해한 물질에 과도하게 반응하여 아토피 피부염, 비염, 천식, 두드러기 등 다양한 증상을 일으키는 질환으로, Gell과 Coombs 분류법에 따라 여러 유형으로 나뉘며, 심각한 경우 아나필락시스를 유발할 수 있고, 유전적,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며, 알레르겐 회피, 약물, 면역요법 등으로 치료한다.
  • 가슴 - 식도
    식도는 소화계의 상부 기관으로, 입 뒤에서 시작하여 위까지 연결되며, 음식물 역류를 막고 삼키는 기능을 수행하며 다양한 질환이 발생할 수 있다.
  • 가슴 - 미주신경
    미주신경은 뇌에서 시작하여 내장을 지배하며 심박수 조절, 위장관 운동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미주신경 자극술은 치료에 사용되며 기능 장애는 다양한 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
가로막
개요
호흡계
호흡계
라틴어diaphragma
그리스어διάφραγμα
영어thoracic diaphragm
일본어横隔膜 (ōkakumaku)
구조 및 기능
기원L1-L3, 검상돌기, 6-12번 늑골 및 그 늑연골
작용흡기 보조, 늑연골 하강
삽입점중심 힘줄
역할호흡을 돕고, 늑연골을 하강시킴.
혈액 공급
동맥심장가로막동맥, 근육가로막동맥, 아래가로막동맥, 위가로막동맥
정맥위가로막정맥, 아래가로막정맥
신경 분포
신경가로막신경, 아래쪽 갈비사이신경
림프
림프해당 정보 없음
계통
계통해당 정보 없음
발생
발생기 구조가로사이막, 가슴막복막주름, 체벽
기타
관련 용어가로막 (피임기구)

2. 구조

횡격막 가슴막 근막은 횡격막과 흉곽의 가슴막 사이에 있는 성긴 결합 조직층이다.

블런트(Blount)의 1707년 ''Glossographia Anglicana Nova''에서 정의된 ''가로막''


가로막은 수정 후 3주차에 횡 방향 접힘과 종 방향 접힘이라는 두 가지 과정을 거쳐 발생하기 시작한다. 가로막 건막은 횡격막의 원시 중심 힘줄이며, 배아의 머리쪽 극에서 시작하여 종 방향 접힘 동안 흉부 복부 영역으로 재배치된다. 횡 방향 접힘은 신체 벽을 앞쪽으로 가져와 창자 및 신체 강을 둘러싼다. 흉막복막 막과 신체 벽의 근모세포는 체성 측판 중배엽에서 유래하여 가로막 건막과 만나 잠정적인 식도의 양쪽에 있는 심낭복막관을 막아 복막과 흉막심낭강을 분리하는 장벽을 형성한다. 또한, 잠정적인 식도를 둘러싼 등쪽 간충직은 횡격막의 근육각을 형성한다.

배아 횡격막의 가장 초창기 요소인 가로막 건막이 경추 부위에서 형성되기 때문에 횡격막을 지배하는 가로막 신경은 경추 척수(C3, 4, 5)에서 기원한다. 가로막 건막이 아래쪽으로 내려감에 따라 가로막 신경도 따라가며, 위쪽 경추에서 심낭 주위를 지나 마침내 횡격막을 지배하는 우회적인 경로를 거치게 된다.

2. 1. 구성

가로막은 근육과 섬유 조직으로 이루어진 위쪽으로 구부러진 C자형 구조로, 흉강과 복강을 분리한다.[6] 돔의 위쪽 표면은 흉강의 바닥을 형성하고, 아래쪽 표면은 복강의 천장을 형성한다.[14]

돔 형태인 가로막은 복부와 흉벽을 구성하는 구조물에 말초 부착 부위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부착 부위에서 뻗어 나온 근육 섬유는 돔의 정점을 형성하는 중심건으로 모인다.[14] 가로막의 말초 부분은 아래 가슴 구멍의 둘레에서 시작하여 중심건에 삽입되는 근육 섬유로 구성된다.

가로막의 근육 섬유는 중심건에서 바깥쪽으로 방사형으로 뻗어 나간다. 가로막은 하나의 근육이지만, 호흡 작용의 주 동력 역할을 하는 늑골 부위와, 근육을 하부 갈비뼈와 허리 척추에 고정하는 "앵커" 역할을 하는 다리 부위, 이렇게 두 개의 뚜렷한 근육 부위로 구성된다. 늑골 가로막은 다시 복부, 내측 및 등쪽 늑골 부분으로 나뉜다.[8][7]

가로막의 척추 부위는 다리와 궁상 인대에서 시작된다. 오른쪽 다리는 L1-L3 척추체와 그 사이의 추간판에서 시작된다. 더 작은 왼쪽 다리는 L1, L2 척추체와 그 사이의 추간판에서 시작된다.[8][14][9] 내측 궁상 인대는 L2 척추체에서 L1 척추의 횡돌기에 이르기까지의 근막 두꺼워짐에서 시작하여 큰허리근 위로 교차한다. 가쪽 궁상 인대는 L1 척추의 횡돌기에서 시작하여 가쪽으로 12번째 갈비뼈에 부착된다. 가쪽 궁상 인대는 또한 허리네모근을 덮는 근막 두꺼워짐에서 시작된다. 정중 궁상 인대는 하행 흉부 대동맥이 뒤로 지나가는 오른쪽 다리와 왼쪽 다리의 섬유 부분에서 시작된다. 정중 궁상 인대에서 시작되는 가로막 근육은 없다.[8] 양쪽 부신은 가로막 다리와 궁상 인대 근처에 위치한다.[10]

가로막의 늑골 부위는 아래쪽 네 개의 갈비뼈(7~10번째) 늑연골에서 시작된다.[8]

중심건은 가로막이 형성하는 돔의 중심 근처, 흉부의 뒤쪽보다는 앞쪽에 위치하는 얇지만 강력한 널힘줄이다. 건의 중심 부분은 위쪽에서 심낭에 부착된다. 뒤쪽 섬유의 양쪽은 결장 옆 고랑(척추체 양쪽에 부착되기 전 갈비뼈의 굽음)에 부착된다.[8]

포유류의 흉강과 복강 경계에 있는 판 모양의 근육으로, 흉곽 하구 주변에서 시작하며, 혈관, 식도가 가로막을 관통하기 위한 대동맥열공, 식도열공, 대정맥공의 3개 구멍이 있다. 가로막 위에는 양쪽 폐 및 종격동이 있고, 오른쪽 아래에는 이, 왼쪽 아래에는 가 접해 있다.

가로막의 기시부는 요추부, 흉골부, 늑골부의 3부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돔 모양(원개상)으로 흉강에 모여든다. 정지부는 가로막 중앙부의 건막(힘줄 중심)이다.

가로막이 수축하면 원개가 내려가 흉강이 확장되고, 흉강 내압이 저하되어 폐가 확장되어 흡기된다. 그리고 가로막이 이완함으로써 폐가 수축하고 숨이 내쉬어진다. 즉, 복식호흡이 이루어진다. 지배 신경은 제4경추신경에서 나오는 가로막신경이다. 가로막은 골격근이자 수의근이며, 폐호흡 빈도를 어느 정도 의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수면 중에는 뇌간으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자동으로 운동하여 수면 중의 폐호흡을 돕는다. 또한, 이 운동은 의식 불명 상태에 빠져도 일어날 수 있다.[28]

가로막은 복직근, 골반바닥근 등의 복부 골격근과 함께 복압 형성에 기여하며, 포유류에서 발달한 배변이나 출산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2. 2. 구멍

가로막에는 흉강과 복강 사이를 통과하는 구조물이 지나가는 여러 개의 구멍이 있다. 세 개의 큰 구멍이 있는데, 하나는 대동맥(대동맥열공)[2], 하나는 식도(식도열공), 그리고 하나는 하대정맥(정맥공)[8]을 위한 것이며, 일련의 작은 구멍들도 있다.[11][12]

하대정맥은 가로막의 오른쪽과 중간 잎의 접합부에 있는 사각형 구멍인 정맥공을 통과하므로 그 가장자리는 힘줄로 되어 있다. 힘줄에 둘러싸인 이 구멍은 흡기가 일어날 때마다 열린다. 그러나 정맥공이 실제로 흡기 시 수축한다는 주장이 있어 왔다. 흡기 시 흉강 내 압력이 감소하여 정맥혈을 오른쪽 심방으로 끌어올리므로 구멍의 크기를 늘리면 더 많은 혈액이 심장으로 돌아갈 수 있어, 흉강 내 압력이 낮아져 혈액이 심장으로 돌아가는 효율을 극대화한다. 대동맥은 가로막을 관통하지 않고, 왼쪽과 오른쪽 다리 사이에서 가로막 뒤로 지나간다.

왼쪽 가로막 신경은 중심 힘줄을 관통하고, 큰, 작은, 그리고 가장 작은 흉부 내장 신경은 양쪽 다리를 관통하며, 림프관은 특히 가로막 뒤에서 가로막 전체를 관통하는 등, 가로막을 관통하는 여러 구조물이 있다.[8]

가로막을 통과하는 구멍과 그 내용물[14]
설명척추 레벨내용물
정맥공T8정맥공은 가로막의 중심 힘줄을 통과한다. 여기에는 하대정맥,[14] 그리고 오른쪽 가로막 신경의 일부 가지가 포함된다.[13] 하대정맥의 가장 바깥쪽 벽은 중심 힘줄과 융합되어 있다.[8]
식도열공T10식도열공은 가로막의 뒤쪽 부분, 가로막의 오른쪽 다리 근육 고리에서 중심 힘줄의 서쪽 약간 왼쪽에 위치해 있다.
여기에는 식도, 앞쪽 및 뒤쪽 미주 신경 줄기,[14] 왼쪽 위동맥과 정맥, 그리고 림프관이 포함된다.[8]
대동맥열공T12대동맥열공은 가로막의 뒤쪽 부분, 왼쪽과 오른쪽 다리 사이에 있다.
여기에는 대동맥, 가슴관 및 무명정맥이 포함된다.[13]
내측 요늑궁 아래교감 신경간,[8] 및 최소 내장 신경[12]
외측 요늑궁 아래늑간하 신경 및 혈관[8]
복장뼈와 늑골 부분 사이의 섬유성 조직 (참고 모르가니 구멍)내흉동맥의 상위 위분지[8]와 복벽 및 의 볼록면에서 나온 일부 림프관
내측 및 외측 요늑궁에서 뻗어 나온 섬유 사이의 섬유성 조직이 간격은 덜 일정하다. 이 간격이 있을 경우, 신장의 위쪽과 뒤쪽 부분은 흉막에서 섬유성 조직만으로 분리된다.



가로막의 단면도


포유류의 흉강과 복강의 경계에 있는 판 모양의 근육으로, 흉곽 하구의 주변에서 시작하여, 혈관, 식도가 가로막을 관통하기 위한 3개의 구멍(대동맥열공, 식도열공, 대정맥공)이 있다.

2. 3. 신경 분포

가로막은 주로 C3, C4, C5 경신경에서 형성되는 가로막신경에 의해 지배된다.[14] 가로막의 중심부는 감각 구심성 신경을 가로막 신경을 통해 보내는 반면, 가로막의 주변부는 늑간 신경 (T5–T11)[8]과 늑하 신경 (T12)을 통해 감각 구심성 신경을 보낸다.

지배 신경은 제4경추신경에서 나오는 가로막신경이다. 가로막은 골격근이자 수의근이며, 폐호흡의 빈도를 어느 정도 의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수면 중에는 뇌간으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자동으로 운동하여 수면 중의 폐호흡을 돕는다. 또한, 이 운동은 의식 불명 상태에 빠져도 일어날 수 있다.[28]

2. 4. 혈액 공급

가로막은 위와 아래에서 동맥정맥을 통해 혈액을 공급받고 배출한다.[14]

위쪽에서는 가로막이 내흉동맥의 가지, 즉 심장가로막동맥과 근육가로막동맥으로부터 혈액을 공급받고, 흉부 대동맥에서 직접 기원하는 상가로막동맥과 하부 내늑간동맥에서 혈액을 공급받는다. 아래쪽에서는 하가로막동맥이 가로막에 혈액을 공급한다.[14]

가로막은 상완두정맥, 무명정맥, 하대정맥 및 좌신장위정맥으로 배출되는 정맥으로 혈액을 배출한다.[14]

3. 기능

가로막은 호흡 기능을 담당하는 주요 호흡 근육이다. 흡기 시 가로막이 수축하여 아래로 움직이면 흉강의 부피가 늘어나고 압력이 줄어들어 폐가 팽창하게 된다. 이때 바깥 갈비사이 근육도 함께 작용한다.[15] 가로막이 아래로 움직이면 흉강에 부분적인 진공 상태가 만들어져 폐가 팽창하고, 이 과정에서 공기가 들어온다.

흉강 확장은 두 가지 형태로 나타난다. 하부 늑골이 안정된 상태에서 가로막 중심 건이 움직이면 중심 건이 늑골 쪽으로 이동하면서 하부 흉강을 골반 쪽으로 밀어 흉강이 아래로 확장된다. 이를 복식 호흡이라고 한다. 반대로 중심 건이 안정되고 하부 늑골이 움직이면 늑골이 중심 건 쪽으로 올라가면서 흉강이 옆과 위로 확장된다.

가로막이 이완될 때는 폐와 흉강을 덮고 있는 조직의 탄성 반동에 의해 공기가 배출된다. 배 안쪽 갈비사이 근육과 복근은 강제적 호기를 도와 가로막 수축에 대한 길항근 역할을 한다.

가로막은 흉곽 용적을 늘려 흡기의 70~80%를 수행하고, 복부 내압을 형성하여 내부 장기에도 영향을 준다. 가로막 기능 부전은 호흡 부전, 기계적 환기 중단 어려움, 장기간 입원, 사망률 증가 등 다양한 합병증과 관련이 있다.[15] 가로막이 얇아지면 폐 순응도가 높아져 호흡 부전의 원인이 될 수 있으며, 질병 초기 가로막 두께 감소는 패혈증 및 COVID-19 환자의 예후 지표가 될 수 있다.[16][17]

가로막은 호흡 외에도 복강 내 압력을 높여 구토, 대변, 소변 배출, 출산을 돕고,[18] 식도 열공을 통과하는 식도에 압력을 가해 위산 역류를 막는다. 또한, 복직근, 골반바닥근 등과 함께 복압 형성에 기여하여 배변이나 출산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일부 동물은 가로막이 호흡에 필수적이지 않다. 소는 횡격막 마비가 있어도 큰 유산소 대사 요구가 없으면 비교적 증상 없이 생존할 수 있다.

3. 1. 호흡

가로막은 주요 호흡 근육이며 호흡 기능을 담당한다. 흡입 시 가로막이 수축하여 아래 방향으로 움직여 흉강의 부피를 늘리고 흉강 내 압력을 줄여(이 팽창에는 바깥 갈비사이 근육도 관여한다), 폐가 팽창하도록 한다. 즉, 가로막이 아래로 움직이면 흉강에 부분적인 진공이 생성되어 폐가 그 빈 공간을 채우기 위해 팽창하고, 이 과정에서 공기가 들어오게 된다.[15]

흉강 확장 현상은 두 가지 극단적인 형태로 발생하며, 그 중간 형태도 존재한다. 하부 늑골이 안정되고 가로막의 중심 건이 움직일 때 수축하면 삽입부(중심 건)가 기시부를 향해 이동하고 하부 흉강을 골반 쪽으로 밀어 흉강이 아래로 확장된다. 이것을 흔히 복식 호흡이라고 한다. 중심 건이 안정되고 하부 늑골이 움직일 때 수축하면 기시부(늑골)가 삽입부(중심 건)를 향해 위로 올라가, 다른 근육과 함께 작용하여 늑골이 미끄러지면서 흉강이 옆으로 및 위로 확장된다.

가로막이 이완될 때(위 방향으로 움직일 때) 폐와 흉강을 덮고 있는 조직의 탄성 반동 과정을 통해 공기가 배출된다. 근육의 노력을 통해 이 기능을 돕는 것(강제적 호기라고 함)에는 배 안쪽 갈비사이 근육과 복근이 관여하며, 이는 가로막 수축에 대한 길항근 역할을 한다.

가로막은 호흡 중 흉곽의 용적을 증가시킴으로써 70~80%의 흡기 수행 역할을 해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시에 복부의 내압을 형성함으로써 내부 장기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점에서 중요하다.

호흡 중 횡격막 움직임의 영향을 보여주는 실시간 자기 공명 영상
호흡 중 횡격막 움직임의 영향을 보여주는 실시간 자기 공명 영상


가로막 기능 부전은 연장된 호흡 부전, 기계적 환기 중단 어려움, 장기간 입원, 이환율 및 사망률 증가와 같은 다양한 환자 합병증과 관련된 잘 알려진 요인이다.[15] 연구에 따르면 가로막이 얇아지면 폐의 순응도가 높아져 호흡 부전의 원인이 될 수 있다고 한다. 또한, 질병 초기 단계에서 가로막 두께가 감소하는 것은 패혈증 환자 및 COVID-19 환자의 예후 지표가 될 수 있다.[16][17]

가로막은 호흡 이외의 기능에도 관여한다. 복강 내 압력을 증가시켜 구토, 대변, 소변을 몸 밖으로 배출하는 데 도움을 주며, 출산에도 기여하고,[18] 식도 열공을 통과하는 동안 식도에 압력을 가하여 위산 역류를 예방한다.

일부 비인간 동물에게서 가로막은 호흡에 필수적이지 않다. 예를 들어, 소는 횡격막 마비가 있어도 대규모 유산소 대사 요구가 없는 한 비교적 증상 없이 생존할 수 있다.

3. 2. 기타 기능

가로막은 주요 호흡 근육이며 호흡 기능을 담당한다. 흡입 시 가로막이 수축하여 아래 방향으로 움직여 흉강의 부피를 늘리고 흉강 내 압력을 줄인다(이 팽창에는 바깥 갈비사이 근육도 관여한다). 이렇게 폐가 팽창하면서 공기가 들어오게 된다. 즉, 가로막이 아래로 움직이면 흉강에 부분적인 진공이 생성되어 폐가 그 빈 공간을 채우기 위해 팽창한다.[15]

흉강 확장 현상은 두 가지 극단적인 형태로 발생하며, 그 중간 형태도 존재한다. 하부 늑골이 안정되고 가로막의 중심 건이 움직일 때 수축하면 삽입부(중심 건)가 기시부를 향해 이동하고 하부 흉강을 골반 쪽으로 밀어 흉강이 아래로 확장된다. 이것을 흔히 복식 호흡이라고 한다. 중심 건이 안정되고 하부 늑골이 움직일 때 수축하면 기시부(늑골)가 삽입부(중심 건)를 향해 위로 올라가, 다른 근육과 함께 작용하여 늑골이 미끄러지면서 흉강이 옆으로 및 위로 확장된다.

가로막이 이완될 때(위 방향으로 움직일 때) 폐와 흉강을 덮고 있는 조직의 탄성 반동 과정을 통해 공기가 배출된다. 배 안쪽 갈비사이 근육과 복근은 근육의 노력을 통해 이 기능을 돕는데(강제적 호기), 이는 가로막 수축에 대한 길항근 역할을 한다.

가로막은 호흡 이외에 복강 내 압력을 증가시켜 구토, 대변, 소변을 몸 밖으로 배출하는 데 도움을 주며, 출산에도 기여하고,[18] 식도 열공을 통과하는 동안 식도에 압력을 가하여 위산 역류를 예방하는 기능도 한다. 또한, 가로막은 복직근, 골반바닥근 등의 복부 골격근과 함께 복압 형성에 기여하며, 포유류에서 발달한 배변이나 출산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4. 임상적 의의

가로막에는 흉강과 복강 사이를 통과하는 구조물이 지나가는 여러 개의 구멍이 있다. 세 개의 큰 구멍은 대동맥 (대동맥열공), 식도 (식도열공), 하대정맥 (정맥공)을 위한 것이며,[2][8][11][12] 작은 구멍들도 있다.

하대정맥은 가로막의 오른쪽과 중간 잎의 접합부에 있는 정맥공을 통과하며, 그 가장자리는 힘줄로 되어 있다. 이 구멍은 흡기 시 열려 더 많은 혈액이 심장으로 돌아가도록 돕는다.[8] 대동맥은 가로막을 직접 관통하지 않고, 왼쪽과 오른쪽 다리 사이로 가로막 뒤를 지나간다. 왼쪽 가로막 신경은 중심 힘줄을 관통하고, 큰, 작은, 그리고 가장 작은 흉부 내장 신경은 양쪽 다리를 관통하며, 림프관은 가로막 전체를 관통한다.[8]

가로막을 통과하는 구멍과 그 내용물[14]
설명척추 레벨내용물
정맥공T8하대정맥,[14] 오른쪽 가로막 신경의 일부 가지[13]
식도열공T10식도, 앞쪽 및 뒤쪽 미주 신경 줄기,[14] 왼쪽 위동맥과 정맥, 림프관[8]
대동맥열공T12대동맥, 가슴관, 무명정맥[13]
내측 요늑궁 아래교감 신경간,[8] 최소 내장 신경[12]
외측 요늑궁 아래늑간하 신경 및 혈관[8]
복장뼈와 늑골 부분 사이 (참고 모르가니 구멍)내흉동맥의 상위 위분지[8]와 복벽 및 의 볼록면에서 나온 일부 림프관
내측 및 외측 요늑궁에서 뻗어 나온 섬유 사이신장의 위쪽과 뒤쪽 부분은 흉막에서 섬유성 조직만으로 분리



가로막의 경련은 딸꾹질을 일으킨다.

4. 1. 가로막 마비

횡격막은 주로 C3, C4, C5 경신경에서 형성되는 횡격 신경에 의해 지배된다.[14] 횡격막의 중심부는 감각 구심성 신경을 횡격 신경을 통해 보내는 반면, 횡격막의 주변부는 늑간 신경 (T5–T11)[8]과 늑하 신경 (T12)을 통해 감각 구심성 신경을 보낸다.

가로막신경이나 경추, 또는 뇌간에 손상이 발생하면 가로막으로 가는 신경 공급이 끊어진다. 가로막신경 손상의 가장 흔한 원인은 폐암으로, 이는 보통 가로막의 한쪽에만 영향을 미친다. 다른 원인으로는 길랭-바레 증후군과 전신성 홍반 루푸스가 있다.[19]

4. 2. 탈장

열공허 탈장은 성인에게 흔한 탈장의 일종으로, 정상적으로 복부에 위치해야 할 하부 식도 또는 위장의 일부가 횡격막을 통해 비정상적으로 통과/돌출하여 흉부에 나타나는 질환이다. 탈장은 식도 옆에 탈장이 있는 경우를 '활주형', 식도를 직접 포함하는 경우를 '미끄럼형'으로 묘사한다. 이러한 탈장은 흉부와 복부 사이의 서로 다른 압력이 정상적으로 식도열공에 압력을 유지하는 데 작용하므로 역류성 질환 발생과 관련이 있다. 탈장으로 인해 이러한 압력이 더 이상 존재하지 않게 되고, 위의 분문과 식도 사이의 각도가 사라진다. 모든 열공허 탈장이 증상을 유발하는 것은 아니지만, 바렛 식도 또는 식도염 환자는 거의 모두 열공허 탈장을 가지고 있다.[19]

탈장은 선천성 횡격막 탈장과 같은 선천성 기형의 결과로 발생할 수도 있다. 흉막복막이 융합되지 않으면 횡격막은 복부와 흉부 사이의 효과적인 장벽 역할을 하지 못한다. 탈장은 대개 왼쪽에서 발생하며, 일반적으로 후부의 요늑골 삼각을 통해 발생하지만, 드물게 전방의 모르가니 구멍을 통해서도 발생한다. 내장을 포함한 복부 내용물이 흉부에 존재할 수 있으며, 이는 성장하는 폐의 발달에 영향을 미쳐 폐 형성 부전을 유발할 수 있다.[20] 이 상태는 10,000명당 0.8~5명의 출생에서 나타난다.[21] 대규모 탈장은 높은 사망률을 보이므로, 즉각적인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다.[22]

횡격막의 일부가 파열되어 복부 장기가 흉강 내로 유입되어 탈장을 형성하는 경우가 있는데, 특히 식도 열공으로부터 위가 활탈하는 병태는 빈도가 높으며, 식도 열공 탈장이라고 불린다. 자궁 내막증이 횡격막에 발생한 경우, 월경기에 횡격막이 관통되어 복강과 흉강이 교통하게 되어, 기흉을 일으키는 경우가 있다. 횡격막의 경련으로 일어나는 현상이 딸꾹질이라고 여겨진다.

4. 3. 영상의학적 진단



가로막은 가슴과 복부를 분리하는 위치에 있어, 흉부에 비정상적으로 존재하는 체액이나 복부에 비정상적으로 존재하는 공기가 가로막의 한쪽에 모일 수 있다. X-선으로 이를 확인할 수 있다. 흉막 삼출은 폐의 두 흉막 사이에 체액이 비정상적으로 존재하는 경우로, 흉부 X-선 촬영 시 늑골과 가로막 사이의 각도에 체액이 모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19] X-선은 복부에 가스가 있는 기복증을 확인하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다.

X-선은 탈장 여부를 확인하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다.

5. 다른 동물

인두와 위를 분리하는 막은 척삭동물에서 널리 발견된다. 모델 생물체인 해양 척삭동물 창고기는 인두에서 물이 빠져나가는 아토리포어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멍게먹장어의 구조와 상동성을 띤다고 주장(및 반박)되어 왔다.[25] 피낭류 심외막은 소화 기관을 인두와 심장으로부터 분리하지만, 항문은 상부 구획으로 돌아가 배출 사이펀을 통해 노폐물을 배출한다.

가로막은 상부 섭식 구획을 하부 소화관과 분리하는 체계 내에서 나타나지만, 그 기원은 정의에 따라 다르다. 어류, 양서류, 파충류, 조류의 구조를 가로막이라고 부르지만, 이러한 구조가 상동성을 띠지 않는다고 주장되어 왔다. 예를 들어, 앨리게이터의 가로막근은 식도에 삽입되지 않으며 하부 식도 괄약근의 압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26] 양서류와 파충류는 폐가 복부 구획에 위치해 있어 가로막이 수축하면 공기를 폐로 들이마시는 것이 아니라 폐에서 내보낸다. 조류와 포유류의 경우, 폐는 가로막 위에 있다. 잘 보존된 ''시노사우롭테릭스'' 화석에서 폐가 악어처럼 가로막 아래에 위치해 있다는 점을 들어, 공룡이 활동적인 온혈 생리를 유지할 수 없었거나, 조류가 공룡에서 진화할 수 없었다고 주장한다. 이에 대한 설명(1905년에 제시됨)은 폐가 가로막 아래에서 시작되었지만, 온혈 조류와 포유류에서 호흡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자연 선택이 두 계통 모두에서 폐가 복강에서 탈출하는 평행 진화를 선호하게 되었다는 것이다.[24]

조류는 가로막이 없다. 조류는 포유류와 같은 방식으로 호흡하지 않으며, 흉강 내에 음압을 생성하는 데 의존하지 않는다. 조류는 고정된 부피의 비팽창성 폐의 머리쪽과 꼬리쪽에 얇고 막으로 된 기낭을 공급하기 위해 흉골의 용골의 흔들리는 운동에 의존하여 국소적인 감압 영역을 생성한다. 복잡한 밸브와 기낭 시스템은 공기를 폐의 흡수 표면 위로 끊임없이 순환시켜 기체 교환의 최대 효율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조류는 포유류의 왕복성 조석 호흡 흐름을 가지고 있지 않다. 약 8개의 기낭을 명확하게 볼 수 있으며, 복부의 꼬리쪽으로 상당히 멀리 뻗어 있다.[27]

6. 한국 문화 속 가로막

한국 문화에서 소의 가로막은 식재료로 쓰인다. 복부 쪽 갈비뼈에 붙어 있는 부분은 안창살이라 하고, 등 쪽 허리뼈에 붙어 있는 부분은 토시살이라고 한다.[29]

6. 1. 식재료

소의 가로막은 식재료로 사용되며, 복부 쪽 갈비뼈에 붙어 있는 부분을 안창살(아웃사이드 스커트), 등 쪽 허리뼈에 붙어 있는 부분을 토시살(행잉 텐더)이라고 한다.[29]

참조

[1] 웹사이트 Definition of 'diaphragm' https://www.collinsd[...]
[2] 서적 Biology: Australian Version Pearson/Benjamin Cumings
[3] 서적 Spencer's pathology of the lung McGraw-Hill 1996
[4] 웹사이트 Medical Illustrations and Animations, Health and Science Stock Images and Videos, Royalty Free Licensing at Alila Medical Media https://www.alilamed[...]
[5] 논문 Toledo School of Translators and their influence on anatomical terminology 2015-03
[6] 간행물 Anatomy, Thorax, Phrenic Nerves https://pubmed.ncbi.[...] StatPearls Publishing 2024
[7] 논문 Diaphragm structure and function in health and disease https://journals.lww[...] 2023-11-29
[8] 서적 Anatomy for diagnostic imaging Elsevier Ltd 2011
[9] 서적 Clinically Oriented Anatomy Walters Kluwer 2014
[10] 서적 Adrenal Glands: Diagnostic Aspects and Surgical Therapy http://eknygos.lsmun[...]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22-03-03
[11] 서적 Last's Anatomy Elsevier Australia
[12] 서적 Essential Clinical Anatomy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13] 논문 Imaging of the diaphragm: anatomy and function 2012-03
[14] 서적 Gray's anatomy for students Elsevier/Churchill Livingstone
[15] 논문 Diaphragm Dysfunction in Critical Illness 2018-04
[16] 논문 Low diaphragm muscle mass predicts adverse outcome in patients hospitalized for COVID-19 pneumonia: an exploratory pilot study 2021-04
[17] 논문 Prognostic Value of Diaphragm Diameter, Muscle Volume, and Bone Mineral Density in Critically Ill COVID-19 Patients 2023-04
[18] 웹사이트 Stage II Of Normal Labour http://gynaeonline.c[...] 2018-06-12
[19] 서적 Davidson's principles and practice of medicine Churchill Livingstone/Elsevier
[20] 서적 Current diagnosis & treatment : pediatrics https://archive.org/[...] McGraw-Hill Medical
[21] 논문 Congenital Diaphragmatic hernia - a review 2017-03-11
[22] 논문 The mortality of congenital diaphragmatic hernia. Is total pulmonary mass inadequate, no matter what? 1983-12
[23] 웹사이트 Diaphragm function for core stability » Hans Lindgren DC http://hanslindgren.[...]
[24] 논문 The nature of the mammalian diaphragm and pleural cavities https://books.google[...]
[25] 논문 Characterization of an amphioxus paired box gene, AmphiPax2/5/8: developmental expression patterns in optic support cells, nephridium, thyroid-like structures and pharyngeal gill slits, but not in the midbrain-hindbrain boundary region 1999-03
[26] 논문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esophagus of the American alligator (Alligator mississippiensis) 2005-08
[27] 서적 Textbook of Veterinary Anatomy Saunders 2002
[28] 웹사이트 呼吸の制御 - 07. 肺と気道の病気 - MSDマニュアル家庭版 https://www.msdmanua[...]
[29] 문서 牛内蔵の部位図鑑 https://www.maff.go.[...]
[30] EmbryologyUNC mslimb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