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쏘가리속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쏘가리속(''Siniperca'')은 농어목 쏘가리과에 속하는 물고기 속으로, 현재 9종이 알려져 있다. 이 속에는 중국이 원산지인 만다린 피시(Siniperca chuatsi), 쏘가리(Siniperca scherzeri) 등이 포함된다. 쏘가리는 한국 고유종으로 개체 수가 감소했으나, 복원 사업과 양식 기술 개발을 통해 회복되고 있으며, 4대강 복원 사업과 연관되어 사회적 주목을 받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쏘가리과 - 꺽지
    꺽지는 한반도 고유종 민물고기로 하천 중상류에 서식하며 25cm까지 자라고 가로띠가 있는 회갈색 몸체, 육식성 식성, 관상어 및 식용으로서의 이용 가치, 그리고 일본에서의 침입종 문제 등이 특징이다.
  • 쏘가리과 - 꺽저기
    꺽저기는 짙은 수직 줄무늬와 노란 테두리의 파란 눈 모양 무늬가 있는 꺽지과 민물고기로, 수컷이 알을 보호하며, 서식지 파괴와 외래종 유입으로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으로 지정되었다.
쏘가리속 - [생물]에 관한 문서
쏘가리속
레오파드 만다린 피쉬 (S. scherzeri)
학명Siniperca
명명자T. N. Gill, 1862
모식종Siniperca chuatsi
모식종 명명자Basilewsky, 1855
이명Plectroperca W. K. H. Peters, 1864
Actenolepis Dybowski, 1872
Coreosiniperca P. W. Fang & L. T. Chong, 1932
Acroperca G. S. Myers, 1933

2. 하위 종

현재 쏘가리속(''Siniperca'')에는 9종이 알려져 있다.[6]


  • ''Siniperca chuatsi'' (바실레프스키, 1855)
  • ''Siniperca fortis'' (S. Y. Lin, 1932)
  • ''Siniperca kneri'' (Garman, 1912)
  • ''Siniperca liuzhouensis'' (C. W. Zhou, X. Y. Kong & S. R. Zhu, 1987)
  • ''Siniperca loona'' (H. W. Wu, 1939) [4]
  • ''Siniperca obscura'' (Nichols, 1930)
  • ''Siniperca roulei'' (H. W. Wu, 1930)
  • 쏘가리 (''Siniperca scherzeri'') Steindachner, 1892)
  • ''Siniperca undulata'' (P. W. Fang & L. T. Chong, 1932)
  • ''Siniperca vietnamensis'' (Đ. Y. Mai, 1978)


각 종에 대한 추가 설명은 다음과 같다.

''Siniperca chuatsi''는 바실레프스키(Basilewsky)가 1855년에 처음 기재한 종으로,[6] 중국이 원산지이며 '만다린 피시'라고도 불린다.[3]

''Siniperca fortis''는 1932년 S. Y. Lin에 의해 처음 기재되었다.[6][3] 중국에 분포한다.

''Siniperca kneri''는 Garman이 1912년에 명명한 종으로, '큰눈쏘가리'(big-eye mandarin fish)라고도 불린다.[6][3] 중국에 분포한다.

''Siniperca liuzhouensis''는 C. W. Zhou, X. Y. Kong, S. R. Zhu이 1987년에 명명한 종으로,[6][3] 중국에 분포한다.

''Siniperca loona''는 H. W. Wu이 1939년에 명명한 종으로,[4] 중국에 분포한다.

''Siniperca obscura''는 Nichols가 1930년에 명명한 종이다.[6][3] 중국에 분포한다.

''Siniperca roulei''는 H. W. Wu이 1930년에 명명한 쏘가리속의 일종이다.[6][3] 중국에 분포한다.

쏘가리(''Siniperca scherzeri'')는 슈타인흐너가 1892년에 처음 학계에 보고했다.[3][6] '금색쏘가리' 또는 '표범쏘가리'(golden or leopard mandarin fish)라고도 불린다. 쏘가리는 한국 고유종으로, 과거 남획과 서식지 파괴로 인해 개체 수가 크게 감소했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적극적인 복원 사업과 양식 기술 개발을 통해 쏘가리 개체 수가 회복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쏘가리는 문재인 정부의 주요 환경 정책 중 하나였던 4대강 복원 사업과 연관되어 정치적, 사회적으로 큰 주목을 받기도 했다.

''Siniperca undulata''는 P. W. Fang & L. T. Chong이 1932년에 명명한 종으로, 중국에 분포한다.[6][3]

''Siniperca vietnamensis''는 Đ. Y. Mai이 1978년에 처음 기술하였으며, 베트남에 분포한다.[6]

2. 1. ''Siniperca chuatsi'' (Basilewsky, 1855)

''Siniperca chuatsi''는 바실레프스키(Basilewsky)가 1855년에 처음 기재한 종으로,[6] 중국이 원산지이며 '만다린 피시'라고도 불린다.[3]

2. 2. ''Siniperca fortis'' (S. Y. Lin, 1932)

''Siniperca fortis''는 1932년 S. Y. Lin에 의해 처음 기재되었다.[6][3] 중국에 분포한다.

2. 3. ''Siniperca kneri'' Garman, 1912

''Siniperca kneri''는 Garman이 1912년에 명명한 종으로, '큰눈쏘가리'(big-eye mandarin fish)라고도 불린다.[6][3] 중국에 분포한다.

2. 4. ''Siniperca liuzhouensis'' C. W. Zhou, X. Y. Kong & S. R. Zhu, 1987

''Siniperca liuzhouensis''는 C. W. Zhou, X. Y. Kong, S. R. Zhu이 1987년에 명명한 종으로,[6][3] 중국에 분포한다.

2. 5. ''Siniperca loona'' H. W. Wu, 1939

''Siniperca loona''는 H. W. Wu이 1939년에 명명한 종으로,[4] 중국에 분포한다.

2. 6. ''Siniperca obscura'' Nichols, 1930

''Siniperca obscura''는 Nichols가 1930년에 명명한 종이다.[6][3] 중국에 분포한다.

2. 7. ''Siniperca roulei'' H. W. Wu, 1930

''Siniperca roulei''는 H. W. Wu이 1930년에 명명한 쏘가리속의 일종이다.[6][3] 중국에 분포한다.

2. 8. 쏘가리 (''Siniperca scherzeri'') Steindachner, 1892

쏘가리(''Siniperca scherzeri'')는 슈타인흐너가 1892년에 처음 학계에 보고했다.[3][6] '금색쏘가리' 또는 '표범쏘가리'(golden or leopard mandarin fish)라고도 불린다. 쏘가리는 한국 고유종으로, 과거 남획과 서식지 파괴로 인해 개체 수가 크게 감소했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적극적인 복원 사업과 양식 기술 개발을 통해 쏘가리 개체 수가 회복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쏘가리는 문재인 정부의 주요 환경 정책 중 하나였던 4대강 복원 사업과 연관되어 정치적, 사회적으로 큰 주목을 받기도 했다.

2. 9. ''Siniperca undulata'' P. W. Fang & L. T. Chong, 1932

''Siniperca undulata''는 P. W. Fang & L. T. Chong이 1932년에 명명한 종으로, 중국에 분포한다.[6][3]

2. 10. ''Siniperca vietnamensis'' Đ. Y. Mai, 1978

''Siniperca vietnamensis''는 Đ. Y. Mai이 1978년에 처음 기술하였으며, 베트남에 분포한다.[6]

참조

[1] 간행물 Siniperca 2020-05-12
[2] 간행물 2020-05-12
[3] 간행물
[4] 논문 Species delimitation and phylogenetic reconstruction of the sinipercids (Perciformes: Sinipercidae) based on target enrichment of thousands of nuclear coding sequences. Molecular Phylogenetics and Evolution, 111: 44-55.
[5] 간행물
[6] 간행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