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뎀 파타푸티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뎀 파타푸티언은 레바논 베이루트에서 태어난 레바논 아르메니아인으로, 현재 미국 시민권을 가진 생물학자이다. 그는 캘리포니아 대학교 로스앤젤레스에서 학사 학위를,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파타푸티언은 온도와 촉각 수용체를 발견한 공로로 2021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공동 수상했다. 그의 연구는 만성 통증을 포함한 다양한 질병 치료법 개발에 기여했으며, 기계적 감각 수용체 PIEZO1과 PIEZO2의 발견에도 중요한 역할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르메니아계 레바논인 - 누바르 아페얀
누바르 아페얀은 레바논 태생의 아르메니아계 미국인 기업가, 생명공학자, 발명가, 벤처 자본가로서, 플래그십 파이오니어링의 공동 설립자이자 CEO이며, 모더나 공동 설립자로서 코로나19 백신 개발에 기여했고, 50개 이상의 특허를 보유하고 아르메니아 발전을 위한 자선 활동에도 참여하고 있다. - 아르메니아계 레바논인 - 쥘리아 부트로스
레바논의 가수이자 배우인 쥘리아 부트로스는 12세에 데뷔하여 "비밀" 앨범으로 성공을 거둔 후, 사회적 메시지를 담은 "사랑하는 이여"와 "엄마, 바람이 왜 이래?" 등의 곡을 발표하며 활발한 활동을 이어가고 있으며 레바논 삼나무 훈장을 수훈하고 전 국방부 장관과 결혼했다. - 레바논에서 미국으로 이민간 사람 - 나심 니컬러스 탈레브
나심 니컬러스 탈레브는 레바논 출신의 수리 금융 전문가, 헤지 펀드 매니저, 파생 상품 트레이더이자 철학적 에세이 작가로, 금융 시장의 무작위성과 불확실성에 대한 연구, 특히 《행운에 속지 마라》, 《블랙 스완》, 《안티프래질》 등의 저서로 알려져 있으며, 뉴욕 대학교 탄돈 공과대학의 리스크 공학 석좌교수를 역임하며 금융 시장의 위험을 관리하고 예측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 레바논에서 미국으로 이민간 사람 - 존 돌마얀
레바논 베이루트에서 태어난 아르메니아계 미국인 드러머 존 돌마얀은 록 밴드 System of a Down의 드러머로 가장 잘 알려져 있으며, 밴드 활동 중단 후에는 Scars on Broadway를 결성하기도 했고, 현재는 만화책 사업을 운영하며 정치적 견해를 소셜 미디어에서 적극적으로 표현한다. - 베이루트 아메리칸 대학교 동문 - 주르지 하바시
팔레스타인 혁명가 주르지 하바시는 팔레스타인 해방 인민전선을 창립하고 아랍-이스라엘 전쟁으로 난민이 된 경험을 바탕으로 이스라엘 몰락과 세속 민주 국가 건설을 목표하며 무장투쟁을 벌였으나, 과격한 활동과 오슬로 협정 반대 등으로 논란의 중심에 섰다. - 베이루트 아메리칸 대학교 동문 - 자하 하디드
이라크 출신 영국 건축가 자하 하디드는 탈구축주의 건축의 대표적인 인물로서 유동적인 기하학적 형태의 미래지향적 건축물을 설계했으며, 여성 최초로 프리츠커상을 수상하고 동대문 디자인 플라자 등 세계적인 건축물을 남겼으나, 건설 비용과 디자인의 난해함으로 논란을 겪기도 했다.
아뎀 파타푸티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출생일 | 1967년 10월 1일 |
출생지 | 베이루트, 레바논 |
국적 | 아르메니아 레바논 미국 |
분야 | 분자생물학 신경과학 |
직장 | 스크립스 연구소 |
지도교수 | 바바라 볼드 |
학위 논문 제목 | 쥐 발생 동안 MyoD 패밀리 유전자의 역할 |
학위 논문 URL | 학위 논문 |
학위 논문 연도 | 1996년 |
알려진 업적 | PIEZO1 수용체 연구 PIEZO2 수용체 연구 TRPM8 수용체 연구 |
수상 | 노벨 생리학·의학상 (2021년) |
2. 생애
아뎀 파타푸티언은 레바논 내전으로 인해 1986년 미국으로 이민을 가,[4][11] 피자 체인점 배달원이나 아르메니아계 신문에 별자리를 집필하며 학비를 벌었고[51], 미국 시민권을 취득했다.
2. 1. 어린 시절과 교육
아뎀 파타푸티언(Արտեմ Փաթափութեան|아르뎀 파타푸티안hy)은 레바논 아르메니아 가정에서 베이루트에서 태어났다.[2][3][4] 아버지 사르기스 파타푸티언(필명 Սարգիս Վահագն|사르기스 바하근hy으로 더 잘 알려짐)은 시인이자 회계사였고,[5] 어머니 하이구히 아제미안은 베이루트의 아르메니아 학교 교장이었다.[6] 형 아라와 누이 호우리가 있다.[6] 조부모는 하지인에서 아르메니아인 학살에서 살아남은 후 레바논에 정착했다.[7][8][9]언론인이자 작가인 비켄 체테리안의 어린 시절 친구이다.[10] 베이루트의 데미르지안 및 호바기미안 아르메니아 학교를 다녔다.[10] 1986년 미국으로 이민 가기 전 베이루트 아메리카 대학교에 1년간 재학했다.[4][11] 1990년 캘리포니아 대학교 로스앤젤레스에서 이학사 학위를, 1996년 바바라 월드의 지도하에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에서 생물학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12][4][13]
2. 2. 연구 경력
파타푸티언은 캘리포니아 대학교 샌프란시스코에서 박사후 연구원으로 연구를 계속했다. 2000년 스크립스 연구소의 조교수가 되었고,[51] 2014년까지 노바티스 연구 재단의 연구원으로도 활동했다.[51] 2014년부터는 하워드 휴즈 의학 연구소(HHMI)의 연구원으로 소속되어 있다.[51]3. 연구 업적
아뎀 파타푸티언은 온도와 촉각 (통각)에 대한 생물학적 수용체를 발견하여, 만성 통증 등 다양한 질병 치료법 개발의 기반을 마련하였다.[39][20] 열, 냉기, 기계적 힘이 신경 자극으로 이어지는 과정을 규명함으로써, 센서 신호 전달 연구에 기여했다.[20]
파타푸티언과 공동 연구자들은 유전자 비활성화 기법을 통해 촉각에 관여하는 PIEZO1과 PIEZO2 유전자를 발견했다.[21][22] 이 이온 채널들은 촉각뿐만 아니라 혈압, 호흡, 방광 조절 등 생리적 과정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22][23]
또한 온도, 기계적 힘, 세포 부피 변화에 반응하는 새로운 이온 채널과 수용체를 발견하여, 온도 감각, 촉각, 고유수용성 감각, 통증 감각, 혈관 긴장 조절 메커니즘을 밝혀냈다.[24][25][26] 최근에는 기능 유전체학을 활용하여 기계 감각 이온 채널 (기계적 변환)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27][28][29][30]
3. 1. 기계적 감각 수용체 발견
파타푸티언의 연구는 온도 및 촉각 (통각)에 대한 생물학적 수용체에 관한 것이다.[39] 이 지식은 만성 통증을 포함한 다양한 질병 치료법 개발에 사용된다.[20] 이러한 발견으로 열, 냉기 및 기계적 힘이 어떻게 신경 자극을 유발하는지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20]파타푸티언은 센서의 신호 전달을 연구한다. 파타푸티언과 공동 연구자들은 유전자를 비활성화하는 방식으로, 촉각에 대해 세포를 무감각하게 만드는 유전자를 확인했다.[21] 촉각을 위한 채널은 PIEZO1 (pressure영어)이라고 불렸다.[21] PIEZO1과의 유사성을 통해 두 번째 유전자가 발견되었고 PIEZO2라고 명명되었다.[22] 이 이온 채널은 두 개의 기계 수용체 중 더 중요한 것으로 촉각에 필수적이다.[22][23] PIEZO1 및 PIEZO2 채널은 혈압, 호흡 및 방광 조절을 포함한 추가적인 중요한 생리적 과정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22]
파타푸티언은 또한 온도, 기계적 힘 또는 세포 부피 증가에 의해 활성화되는 새로운 이온 채널 및 수용체의 식별에 중요한 기여를 했다.[24][25] 파타푸티언과 그의 협력자들은 이러한 이온 채널이 온도 감각, 촉각 감각, 고유수용성 감각,[26] 통증 감각 및 혈관 긴장 조절에 뛰어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보여줄 수 있었다. 보다 최근의 연구에서는 기능 유전체학 기술을 사용하여 기계 감각 이온 채널 (기계적 변환)을 식별하고 특성화한다.[27][28][29][30]
3. 2. 추가 연구
파타푸티언의 연구는 온도 및 촉각 (통각)에 대한 생물학적 수용체에 관한 것이다.[39] 이 지식은 만성 통증을 포함한 다양한 질병 치료법 개발에 사용된다.[20] 이러한 발견으로 열, 냉기 및 기계적 힘이 어떻게 신경 자극을 유발하는지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20]파타푸티언은 센서의 신호 전달을 연구한다. 파타푸티언과 공동 연구자들은 유전자를 비활성화했다.[21] 이러한 방식으로, 그들은 촉각에 대해 세포를 무감각하게 만드는 유전자를 확인했다.[21] 촉각을 위한 채널은 PIEZO1 (pressure영어)이라고 불렸다.[21] PIEZO1과의 유사성을 통해 두 번째 유전자가 발견되었고 PIEZO2라고 명명되었다.[22] 이 이온 채널은 두 개의 기계 수용체 중 더 중요한 것으로 촉각에 필수적이다.[22][23] PIEZO1 및 PIEZO2 채널은 혈압, 호흡 및 방광 조절을 포함한 추가적인 중요한 생리적 과정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22]
파타푸티언은 또한 온도, 기계적 힘 또는 세포 부피 증가에 의해 활성화되는 새로운 이온 채널 및 수용체의 식별에 중요한 기여를 했다.[24][25] 파타푸티언과 그의 협력자들은 이러한 이온 채널이 온도 감각, 촉각 감각, 고유수용성 감각,[26] 통증 감각 및 혈관 긴장 조절에 뛰어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보여줄 수 있었다. 보다 최근의 연구에서는 기능 유전체학 기술을 사용하여 기계 감각 이온 채널 (기계적 변환)을 식별하고 특성화한다.[27][28][29][30]
4. 수상 경력
- 2017년: W. 앨든 스펜서 상[35]
- 2019년: 로젠스틸 상[36]
- 2020년: 신경과학 카블리상[37]
- 2020년: BBVA 재단 지식의 최전선 상 생물학/생물의학 부문[38]
- 2021년: 데이비드 줄리어스와 함께 온도와 촉각의 감각 수용체 발견으로 노벨 생리학·의학상 공동 수상[39][40][41]
- 2021년 10월: 레바논 대통령 미셸 아운으로부터 레바논 공로 훈장 수여[42]
- 2021년 12월: 프란시스 아놀드 시상 위원으로부터 아메리카 업적 아카데미의 골든 플레이트 상 수상[43]
- 2022년: 뉴욕 카네기 재단에 의해 위대한 이민자 상 수상자로 선정[44]
5. 사회적 활동 및 인정
파타푸티언은 구글 학술검색에 따르면 h-index가 68이고,[31] Scopus에 따르면 63이다(2020년 5월 기준). 그는 2016년부터 미국 과학 진흥 협회의 펠로우였으며, 2017년부터 미국 국립 과학원 회원,[33] 2020년부터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 회원이었다.[34]
2017년 파타푸티언은 W. 앨든 스펜서 상을 받았고,[35] 2019년에는 로젠스틸 상,[36] 2020년에는 신경과학 카블리상[37]과 BBVA 재단 지식의 최전선 상 생물학/생물의학 부문을 수상했다.[38]
2021년, 그는 데이비드 줄리어스와 함께 온도와 촉각의 감각 수용체 발견으로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공동 수상했다.[39][40][41]
2021년 10월, 레바논 대통령 미셸 아운은 파타푸티언에게 레바논 공로 훈장을 수여했다.[42]
2021년 12월, 파타푸티언은 아메리카 업적 아카데미의 골든 플레이트 상을 프란시스 아놀드 시상 위원으로부터 받았다.[43]
2022년, 파타푸티언은 뉴욕 카네기 재단에 의해 위대한 이민자 상 수상자로 선정되었다.[44] 파타푸티언은 아르메니아 최초의 노벨상 수상자로, 2022년 6월 아르메니아를 방문했을 때 영웅적인 환영을 받았다. 니콜 파쉬냔 총리는 그에게 성 메스로프 마슈토츠 훈장을 수여했고,[45] 아르메니아 국립 과학원은 그를 명예 회원으로 선출했으며,[46] 예레반 국립 의과대학교는 그에게 명예 박사 학위를 수여했다.[47] 파타푸티언은 노벨 메달의 복제품을 아르메니아 역사 박물관에 기증했다.[48][49] 하이포스트는 그를 기리는 우표를 발행했다.[50]
6. 주요 논문
연도 | 저널 | 제목 | 비고 |
---|---|---|---|
2010년 | 사이언스 | Piezo1과 Piezo2는 서로 다른 기계적 활성 양이온 채널의 필수 구성 요소이다[69][21][65] | PIEZO1 + PIEZO2 |
2012년 | 네이처 | Piezo 단백질은 기계적으로 활성화된 채널의 기공 형성 서브유닛이다 | PIEZO1 + PIEZO2 |
2012년 | 네이처 | 기계적 통각 수용에서의 초파리 Piezo의 역할 | PIEZO1 + PIEZO2 |
2014년 | 네이처 | Piezo2는 쥐의 촉각 감각에 대한 주요 기계적 힘 전달자이다[70] [23] [66] | PIEZO2 |
2014년 | 네이처 | Piezo2는 메르켈 세포의 기계적 변환에 필요하다 | PIEZO2 |
6. 1. PIEZO1 + PIEZO2
B. 코스테, J. 마투르, M. 슈미트, T. J. 얼리, S. 라나데, M. J. 페트루스, A. E. 두빈, 아뎀 파타푸티언은 2010년 9월 2일 《사이언스》에 발표한 논문에서 Piezo1과 Piezo2가 별개의 기계적 활성 양이온 채널의 필수 구성 요소라고 밝혔다.[69][21][65]베르트랑 코스테, 샤오 바이롱, 호세 S. 산토스, 루마 시에다, 외르그 그랜들, 캐스린 S. 스펜서, 김성은, 마누엘라 슈미트, 자얀티 마투르, 아드리엔 E. 두빈, 마우리시오 몬탈, 아뎀 파타푸티언은 2012년 2월 19일 《네이처》에 발표한 논문에서 Piezo 단백질이 기계적으로 활성화된 채널의 기공 형성 소단위체라고 밝혔다.
김성은, 베르트랑 코스테, 아비쉑 차다, 보아즈 쿡, 아뎀 파타푸티언은 2012년 2월 19일 《네이처》에 발표한 논문에서 기계적 통각 수용에서 초파리 Piezo의 역할을 설명했다.
6. 2. PIEZO2
2014년, 아뎀 파타푸티언 연구팀은 쥐의 촉각 감각에 대한 주요 기계적 힘 전달자가 Piezo2라는 것을 밝혀냈다.[70] [23] [66] 또한, 이 연구팀은 Piezo2가 메르켈 세포의 기계적 변환에 필요하다는 것도 발견했다.참조
[1]
웹사이트
The Nobel Prize in Physiology or Medicine 2021
https://www.nobelpri[...]
2022-01-10
[2]
웹사이트
Two Americans win Medicine Nobel for work on heat and touch
https://www.reuters.[...]
2021-10-04
[3]
웹사이트
Americans Julius and Patapoutian win 2021 Nobel Prize in Medicine
https://indianexpres[...]
2021-10-04
[4]
웹사이트
Scripps Research neurobiologist Ardem Patapoutian elected to American Academy of Arts and Sciences
https://www.scripps.[...]
2020-04-30
[5]
뉴스
Ardem Patapoutian: The journey of a boy from Beirut who won the Nobel Prize
https://today.lorien[...]
2021-10-12
[6]
웹사이트
Նոբելյան մրցանակ է շնորհվել հայազգի գիտնական Արտեմ Փաթափությանին
https://www.sci.am/m[...]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Armenia
2021-10-06
[7]
웹사이트
The Armenian Genocide is still denied and ignored by many but is commemorated by Armenians around the globe on April 24 (107th anniversary this year). Today I am thinking of my ancestors who perished and those who survived and started a new life in Lebanon.
https://twitter.com/[...]
Twitter
2022-04-24
[8]
뉴스
'My family's history is represented here' – Ardem Patapoutian visits Armenian Genocide Memorial
https://armenpress.a[...]
2022-06-16
[9]
웹사이트
ARDEM PATAPOUTIAN WINS NOBEL PRIZE IN MEDICINE
https://armenianprel[...]
[10]
웹사이트
Արտեմ Փաթափությանի մանկությունը՝ բասկետբոլի եւ պատերազմի արանքում
https://mediamax.am/[...]
2021-10-05
[11]
웹사이트
Nobel Prize for AUB alumnus and former student Ardem Patapoutian
https://www.aub.edu.[...]
2021-10-05
[12]
간행물
The Role of the MyoD Family Genes During Mouse Development
1996
[13]
웹사이트
Ardem Patapoutian
https://kavliprize.o[...]
2021-03-12
[14]
웹사이트
Scripps Research neuroscientist Ardem Patapoutian receives 2021 Nobel Prize in Physiology
https://www.scripps.[...]
2021-10-04
[15]
웹사이트
Medizin-Nobelpreis für Entschlüsselung des Taststinns
https://www.tagessch[...]
2021-10-04
[16]
뉴스
Del Mar's Ardem Patapoutian receives Nobel Prize during special ceremony in Irvine
https://www.delmarti[...]
2021-12-09
[17]
뉴스
San Diego's Ardem Patapoutian experiences the dizzying, fragile joy of winning the Nobel Prize
https://www.sandiego[...]
2021-11-07
[18]
뉴스
Nobel Prize Laureate Finds Out He Won While in Bed, Check Out Viral Picture Here
https://www.thequint[...]
2021-10-05
[19]
웹사이트
New medicine laureate Ardem Patapoutian and his son Luca, watching the #NobelPrize press conference shortly after finding out the happy news
https://twitter.com/[...]
The Nobel Prize
2021-10-04
[20]
웹사이트
Medizin-Nobelpreis – US-Forscher David Julius und Ardem Patapoutian ausgezeichnet
https://www.deutschl[...]
2019-04-15
[21]
웹사이트
Nobel Prize in Medicine Awarded to David Julius and Ardem Patapoutian
https://www.nytimes.[...]
2021-10-04
[22]
웹사이트
The Nobel Prize in Physiology or Medicine 2021
https://www.nobelpri[...]
2021-10-04
[23]
웹사이트
Medizin-Nobelpreis: Wie Nervenzellen Temperaturen und Berührungen erkennen
https://www.aerztebl[...]
2021-10-04
[24]
논문
LRRC8 Proteins Form Volume-Regulated Anion Channels that Sense Ionic Strength
2016-01-28
[25]
논문
SWELL1, a Plasma Membrane Protein, Is an Essential Component of Volume-Regulated Anion Channel
Elsevier BV
[26]
논문
Piezo2 is the principal mechanotransduction channel for proprioception
Springer Science and Business Media LLC
2015-11-09
[27]
웹사이트
Ardem Patapoutian
https://www.scripps.[...]
[28]
웹사이트
Piezo channels in mechanotransduction: Sensory biology to disease – Ardem Patapoutian
https://neuroscience[...]
2019-12-17
[29]
논문
Chemical activation of the mechanotransduction channel Piezo1
eLife Sciences Publications, Ltd
2015-05-22
[30]
논문
Piezos thrive under pressure: mechanically activated ion channels in health and disease
Springer Science and Business Media LLC
2017-10-04
[31]
문서
'#REDIRECT '
[32]
문서
"{{Scopus id|7003979978}}"
[33]
웹사이트
Ardem Patapoutian
http://www.nasonline[...]
[34]
웹사이트
Members Elected in 2020
https://www.amacad.o[...]
2020-12-09
[35]
뉴스
The Thirty-Ninth Annual W. Alden Spencer Award and Lecture
https://www.kavli.cu[...]
2020-06-04
[36]
웹사이트
Lewis S. Rosenstiel Award for Distinguished Work in Basic Medical Research
https://www.brandeis[...]
2021-01-30
[37]
웹사이트
2020 Kavli Prize in Neuroscience
https://kavliprize.o[...]
2021-03-12
[38]
웹사이트
Fundación BBVA
https://www.fbbva.es[...]
2021-01-30
[39]
웹사이트
The Nobel Prize in Physiology or Medicine 2021
https://www.nobelpri[...]
2021-10-04
[40]
웹사이트
Armenian President congratulates Ardem Patapoutian on winning the Nobel Prize in Medicine
https://en.armradio.[...]
2021-10-05
[41]
웹사이트
Armenian President congratulates Ardem Patapoutian on winning the Nobel Prize in Medicine
https://en.armradio.[...]
2021-10-15
[42]
뉴스
Nobel prize winner Ardem Patapoutian awarded Lebanese Order of Merit
https://www.thenatio[...]
2021-10-06
[43]
웹사이트
Golden Plate Awardees of the American Academy of Achievement
https://achievement.[...]
American Academy of Achievement
[44]
웹사이트
Ardem Patapoutian
https://www.carnegie[...]
2024-06-10
[45]
웹사이트
PM Pashinyan hosts Nobel Laureate Ardem Patapoutian, awards him with the Order of St. Mesrop Mashtots
https://www.primemin[...]
The Office to the Prime Minister of the Republic of Armenia
2022-06-16
[46]
웹사이트
Նոբելյան մրցանակի դափնեկիր Արտեմ Փաթափությանն ընտրվել է ՀՀ ԳԱԱ պատվավոր անդամ [Nobel Laureate Artem Pataputyan was elected an honorary member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Republic of Armenia]
https://www.sci.am/n[...]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Armenia
2022-06-14
[47]
웹사이트
First Armenian Nobel Prize winner Ardem Patapoutian is YSMU Honorary Doctor
https://ysmu.am/en/c[...]
Yerevan State Medical University
2022-06-14
[48]
웹사이트
The 2nd (out of 3) replica medals has found a home at the History Museum of Armenia in Yerevan!
https://twitter.com/[...]
2022-06-15
[49]
뉴스
Replica of Ardem Patapoutian's Nobel medal to be on display at History Museum of Armenia
https://en.armradio.[...]
2022-06-16
[50]
웹사이트
World famous Armenians. Ardem Patapoutian
https://www.stamps.a[...]
HayPost
2022-06-14
[51]
문서
「https://courrier.jp/news/archives/369397/ 貧しい難民がノーベル学者になるまで アーデム・パタプティアンの「人生」
2024-08-05
[52]
웹사이트
The Nobel Prize in Physiology or Medicine 2021
https://www.nobelpri[...]
2021-10-04
[53]
웹사이트
Medizin-Nobelpreis – US-Forscher David Julius und Ardem Patapoutian ausgezeichnet
https://www.deutschl[...]
2019-04-15
[54]
웹사이트
Nobel Prize in Medicine Awarded to David Julius and Ardem Patapoutian
https://www.nytimes.[...]
2021-10-04
[55]
웹사이트
The Nobel Prize in Physiology or Medicine 2021
https://www.nobelpri[...]
2021-10-04
[56]
웹사이트
Medizin-Nobelpreis: Wie Nervenzellen Temperaturen und Berührungen erkennen
https://www.aerztebl[...]
2021-10-04
[57]
웹사이트
ビッグサンダーマウンテンに乗って尿管結石が出た人続出
https://president.jp[...]
2024-01-22
[58]
간행물
LRRC8 Proteins Form Volume-Regulated Anion Channels that Sense Ionic Strength
2016-01-28
[59]
간행물
SWELL1, a Plasma Membrane Protein, Is an Essential Component of Volume-Regulated Anion Channel
Elsevier BV
[60]
간행물
Piezo2 is the principal mechanotransduction channel for proprioception
Springer Science and Business Media LLC
2015-11-09
[61]
웹사이트
Ardem Patapoutian
https://www.scripps.[...]
2021-10-04
[62]
웹사이트
Piezo channels in mechanotransduction: Sensory biology to disease – Ardem Patapoutian
https://neuroscience[...]
2019-12-17
[63]
간행물
Chemical activation of the mechanotransduction channel Piezo1
eLife Sciences Publications, Ltd
2015-05-22
[64]
간행물
Piezos thrive under pressure: mechanically activated ion channels in health and disease
Springer Science and Business Media LLC
2017-10-04
[65]
간행물
Nobel Prize in Medicine Awarded to David Julius and Ardem Patapoutian
https://www.nytimes.[...]
2021-10-04
[66]
간행물
Medizin-Nobelpreis: Wie Nervenzellen Temperaturen und Berührungen erkennen
https://www.aerztebl[...]
2021-10-05
[67]
웹인용
The Nobel Prize in Physiology or Medicine 2021
https://www.nobelpri[...]
2021-10-04
[68]
웹인용
Armenian President congratulates Ardem Patapoutian on winning the Nobel Prize in Medicine
https://en.armradio.[...]
2021-10-05
[69]
웹인용
Nobel Prize in Medicine Awarded to David Julius and Ardem Patapoutian
https://www.nytimes.[...]
2021-10-04
[70]
웹인용
Medizin-Nobelpreis: Wie Nervenzellen Temperaturen und Berührungen erkennen
https://www.aerztebl[...]
2021-10-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