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스테리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스테리온은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크레타 섬의 왕이다. 테크타모스와 크레테우스의 딸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아버지로부터 왕위를 물려받았다. 제우스가 에우로파를 납치해오자 그녀와 결혼하여 미노스, 라다만토스, 사르페돈을 의붓아들로 두었다. 아들 없이 죽은 후, 왕국은 미노스에게 넘어갔다. 아스테리온은 미노타우르스의 이름으로 언급되기도 하며, 아서 버나드 쿡, 카를 케레니 등의 연구 대상이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크레타의 왕 - 미노스
    미노스는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크레타의 왕으로 제우스와 에우로파의 아들이며, 크노소스 궁전을 중심으로 에게해를 지배했고, 미노타우로스 신화와 관련되어 잔혹한 면모와 함께 저승의 심판관으로도 묘사되며, 여러 신화적 인물들과 관련되어 문학과 예술 작품에 등장하고 소행성의 이름으로도 남아있다.
  • 크레타의 왕 - 이도메네우스
    이도메네우스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크레타 왕가의 인물로, 아게노르 가문, 에우로페 납치, 미노타우로스 퇴치 등 크레타 관련 신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직접적인 전승은 많이 남아있지 않다.
  • 크레타 신화 - 에우로페
    에우로페는 그리스 신화 속 인물로, 제우스의 사랑을 받아 미노스 등을 낳았으며, 유럽 대륙의 이름의 기원이 되었고, 예술 작품과 유럽 연합의 상징으로 묘사된다.
  • 크레타 신화 - 파시파에
    파시파에는 그리스 신화에서 태양신 헬리오스와 페르세의 딸이자 미노스 왕의 아내로, 흰 소에 대한 욕망으로 미노타우로스를 낳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달 또는 태양 여신으로 숭배받기도 하고 현대 문화에서 다양한 영감을 주는 존재로 재해석된다.
아스테리온
아스테리온 (크레타 왕)
에우로파를 납치하는 황소
에우로파를 납치하는 황소 그림.
별칭아스테리오스
그리스어Ἀστερίων
그리스어 (고대)아스테리온
그리스어 (고대) (소유격)Ἀστερίωνος
그리스어 (현대)아스테리오스
그리스어 (현대) (로마자 표기)Asterios
영어 (로마자 표기)Asterion
별의 군주별들의 군주
가계
아버지테게아테스 또는 코로노스 또는 디오스
어머니크레테
배우자에우로페
자녀미노스, 라다만티스, 사르페돈
신화
주요 내용에우로페를 미노스에게 양육

2. 그리스 신화 속 아스테리온

아스테리온은 테크타모스(도루스의 아들)와 크레테우스(Cres)의 딸 사이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 테크타모스는 일부 아이올리스인과 펠라스기인과 함께 크레타 섬으로 항해하여 이 섬의 지배자가 되었다. 아스테리온은 아버지로부터 왕위를 물려받았다.[1] 제우스가 에우로파를 납치하여 그의 왕국으로 데려왔을 때, 아스테리온은 크레타 섬의 왕이었다.[1]

그는 에우로파와 결혼하여 제우스의 아들들(미노스, 라다만토스, 사르페돈)의 의붓아버지가 되었다.[1] 제우스는 황소의 모습으로 에우로파와 관계를 가졌다. (미노타우르스의 아버지인 크레타의 황소와 혼동하지 말 것) 아스테리온은 남자 후계자 없이 죽었고, 그의 왕국은 미노스에게 넘어갔다. 미노스는 형제들과 다툰 후 그들을 추방했다.[2][3] 아스테리온의 딸 크레테는 미노스의 아내가 되었을 가능성이 있다.[2][3]

2. 1. 혈통과 왕위 계승

아스테리온은 테크타모스(도루스의 아들)와 크레테우스(Cres)의 딸 사이에서 태어났다.[1] 그의 아버지 테크타모스는 일부 아이올리스인과 펠라스기인과 함께 크레타 섬으로 항해하여 이 섬의 지배자가 되었다. 아스테리온은 아버지로부터 왕위를 물려받았다.[1]

2. 2. 에우로파와의 결혼과 제우스의 아들들

아스테리온은 테크타모스(도루스의 아들)와 크레테우스(Cres)의 딸 사이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일부 아이올리스인과 펠라스기인과 함께 크레타 섬으로 항해하여 이 섬의 지배자가 되었다. 아스테리온은 아버지로부터 왕위를 물려받았으며, 제우스가 에우로파를 납치하여 그의 왕국으로 데려왔을 때 크레타 섬의 왕이었다.[1] 그는 에우로파와 결혼하여 제우스의 아들들인 미노스, 라다만토스, 사르페돈의 의붓아버지가 되었다.[1] 제우스는 황소의 모습으로 에우로파와 관계를 가졌다. (미노타우르스의 아버지인 크레타의 황소와 혼동하지 말 것) 아스테리온은 의붓아들들을 키웠는데, 미노스는 크레타에서 정의로운 왕으로 저승을 심판했고, 라다만토스는 축복받은 섬 또는 저승을 관장했으며, 사르페돈은 리키아의 왕이었다.[1] 아스테리온에게는 남자 후계자가 없었기 때문에, 그가 죽자 그의 왕국을 미노스에게 넘겨주었고, 미노스는 형제들과 다툰 후 즉시 그들을 "추방"했다.[2][3]

2. 3. 미노스로의 왕위 계승과 형제들의 추방

아스테리온은 테크타모스(도루스의 아들)와 크레테우스(Cres)의 딸 사이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일부 아이올리스인과 펠라스기인과 함께 크레타 섬으로 항해하여 이 섬의 지배자가 되었다. 아스테리온은 아버지로부터 왕위를 물려받았으며, 제우스가 에우로파를 납치하여 그의 왕국으로 데려왔을 때 크레타 섬의 왕이었다.[1] 그는 에우로파와 결혼하여 제우스의 아들들(미노스, 라다만토스, 사르페돈)의 의붓아버지가 되었다. 제우스는 황소의 모습으로 (미노타우르스의 아버지인 크레타의 황소와 혼동하지 말 것) 그의 역할을 수행했다. 아스테리온이 사망하면서 그의 왕국을 물려받은 미노스는 형제들과의 다툼 끝에 그들을 추방했다. 아스테리온의 딸 크레테는 미노스의 아내가 되었을 가능성이 있었다.[2][3]

3. 관련 사료

아스테리온에 대한 기록은 주로 고대 그리스 사료에서 찾아볼 수 있다.

사료명저자번역 및 출판 정보온라인 버전
『도서관』아폴로도로스제임스 조지 프레이저 경 번역, 케임브리지, MA, 하버드 대학교 출판부; 런던, 윌리엄 헤이네만 주식회사, 1921.[http://www.perseus.tufts.edu/hopper/text?doc=Perseus:text:1999.01.0022 페르세우스 디지털 라이브러리] ([http://www.perseus.tufts.edu/hopper/text?doc=Perseus:text:1999.01.0021 그리스어 텍스트])
『역사 도서관』디오도로스 시켈로스찰스 헨리 올드파더 번역, 로브 고전 도서관, 케임브리지, 매사추세츠: 하버드 대학교 출판부; 런던: 윌리엄 헤이네만 주식회사, 1989. 제3권. 책 4.59–8.[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Diodorus_Siculus/home.html 빌 테이어의 웹 사이트]
『역사 도서관』 (제1-2권)디오도로스 시켈로스이매뉴얼 베커, 루드비히 딘도르프, 프리드리히 포겔 번역, B. G. 토이프너 출판사, 라이프치히, 1888-1890.[http://www.perseus.tufts.edu/hopper/text?doc=Perseus:text:2008.01.0540 페르세우스 디지털 라이브러리] (그리스어 텍스트)
『디오니시아카』논누스윌리엄 헨리 데넘 로우즈(1863-1950) 번역, 로브 고전 도서관, 케임브리지, MA, 하버드 대학교 출판부, 1940.[https://topostext.org/work/529 토포스 텍스트 프로젝트]
『디오니시아카』(제3권)논누스W.H.D. 로우즈 번역, 케임브리지, MA, 하버드 대학교 출판부; 런던, 윌리엄 헤이네만 주식회사, 1940-1942.[http://www.perseus.tufts.edu/hopper/text?doc=Perseus:text:2008.01.0485 페르세우스 디지털 라이브러리] (그리스어 텍스트)
『그리스 안내기』파우사니아스W.H.S. 존스, Litt.D., H.A. 오메로드, M.A. 번역, 4권, 케임브리지, MA, 하버드 대학교 출판부; 런던, 윌리엄 헤이네만 주식회사, 1918.[http://www.perseus.tufts.edu/hopper/text?doc=Perseus:text:1999.01.0160 페르세우스 디지털 라이브러리]
『그라이키에 데스크립티오』파우사니아스라이프치히, 토이프너, 1903.[http://www.perseus.tufts.edu/hopper/text?doc=Perseus:text:1999.01.0159 페르세우스 디지털 라이브러리] (그리스어 텍스트)


3. 1. 1차 사료


  • 아폴로도로스는 그의 저서 『도서관』에서 아스테리온에 대해 언급한다.[1]
  • 디오도로스 시켈로스는 『역사 도서관』에서 아스테리온에 대한 이야기를 다룬다.[2]
  • 논누스는 『디오니시아카』에서 아스테리온을 언급한다.[3]
  • 파우사니아스는 『그리스 안내기』에서 아스테리온에 대한 기록을 남겼다.

3. 2. 2차 사료


  • A. B. 쿡, ''제우스'', i.543ff.[1]
  • 카를 케레니, ''그리스의 신들''. 런던: 템스 & 허드슨, 1951.[2]
  • 카를 케레니, ''디오니소스: 파괴되지 않는 삶의 전형적인 이미지'', 1976.[3]
  • 사라 더글라스, 2002–6. ''트로이 게임'' 시리즈. (아스테리온은 미노타우르스의 이름으로 언급됨)

4. 현대적 해석 및 평가

아스테리온에 대한 현대적 해석은 여러 관점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아서 버나드 쿡과 카를 케레니 같은 학자들은 아스테리온과 미노타우로스의 관계 및 신화적 의미를 분석했다.[1][2][3]

아스테리온은 문학 작품에도 활용된다. 사라 더글라스의 ''트로이 게임'' 시리즈에서처럼 아스테리온이 미노타우로스의 이름으로 언급되기도 한다.

4. 1. 아스테리온과 미노타우로스

A. B. 쿡은 그의 저서 ''제우스''에서 아스테리온과 미노타우로스를 연관지어 설명한다.[1] 카를 케레니는 ''그리스의 신들''(1951)과 ''디오니소스: 파괴되지 않는 삶의 전형적인 이미지''(1976)에서 이 둘의 관계와 신화적 의미를 분석한다.[2][3]

사라 더글라스의 ''트로이 게임'' 시리즈(2002-6)에서는 아스테리온이 미노타우로스의 이름으로 언급된다.

참조

[1] 서적 Bibliotheca (Pseudo-Apollodorus) http://data.perseus.[...]
[2] 서적 Dionysiaca
[3] 서적 Diodorus Siculu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