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우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우스는 고대 그리스 신화에서 하늘과 천둥, 번개를 다스리는 신들의 왕이다. 아버지 크로노스를 물리치고 올림포스 신들의 지배자가 되었으며, 헤라를 아내로 두고 레토, 데메테르 등 여러 여신 및 인간 여성들과 관계를 맺어 많은 자녀를 두었다. 제우스는 하늘의 신이자 정의와 자비의 신으로 숭배받았으며, 다양한 별칭과 숭배 방식을 가졌다. 로마 신화의 유피테르, 이집트 신화의 아문, 힌두교의 인드라 등 다른 신들과 동일시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목성의 신 - 브리하스파티
브리하스파티는 힌두교 신화에서 지혜를 상징하는 신이자 데바들의 스승으로, 천문학에서는 목성을 지칭하며, 힌두교 점성술에서 목요일에 숭배된다. - 목성의 신 - 마르두크
마르두크는 메소포타미아의 주요 신이자 바빌론의 도시신으로, 창조 신화에서 최고신으로 묘사되며, 태양신, 주술신, 영웅신 등 다면적인 신격을 가지고 바빌론 신년 축제 등 다양한 제의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 크로노스의 자식 - 헤라
헤라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결혼, 여성, 출산의 여신으로, 제우스의 아내이자 자매이며, 질투심 많은 모습으로 묘사되고, 트로이 전쟁에서 그리스 편을 지원하며, 공작새 등을 상징한다. - 크로노스의 자식 - 포세이돈
포세이돈은 그리스 신화에서 바다, 지진, 말을 다스리는 중요한 신으로, 다양한 칭호를 가지고 있으며 그리스 전역과 이탈리아에서 숭배받았지만, 신화 속에서 여성에 대한 폭력적인 행위도 나타난다. - 아프로디테의 배우자 - 포세이돈
포세이돈은 그리스 신화에서 바다, 지진, 말을 다스리는 중요한 신으로, 다양한 칭호를 가지고 있으며 그리스 전역과 이탈리아에서 숭배받았지만, 신화 속에서 여성에 대한 폭력적인 행위도 나타난다. - 아프로디테의 배우자 - 헤파이스토스
헤파이스토스는 그리스 신화에서 불과 대장장이, 장인의 신으로, 뛰어난 손재주로 신들의 무기와 도구를 만들며 절름발이 또는 불구로 묘사되는 특징을 지닌다.
제우스 | |
---|---|
신 정보 | |
분류 | 그리스 |
이름 | 제우스 |
![]() | |
유형 | 신들의 왕 하늘, 번개, 천둥, 법, 질서, 정의의 남신 |
그룹 | 남신, 올림포스 12신(도데카테온) |
멤버 | 올림포스 12신 |
거주처 | 올림포스 산 |
신앙 중심지 | 올림피아 도도나 |
무기 | 케라우노스 금강의 낫 아이기스 |
상징 | 벼락, 독수리, 황소, 떡갈나무 |
배우자 | 가이아 헤라 외 다수 |
부모 | 크로노스와 레아 |
형제자매 | 헤스티아 하데스 헤라 포세이돈 데메테르 케이론 |
자녀 | 마네스 아레스 아테나 아폴론 아르테미스 디오니소스 헤베 헤르메스 헤라클레스 헬레네 헤파이스토스 페르세우스 미노스 무사 카리테스 페르세포네 에일레이티이아 호라이 모이라이 트리아이 안겔로스 |
로마 동등신 | 유피테르 |
원시 인도 유럽 동등신 | 디에우스 페르쿠노스 |
인도 동등신 | 디아우스 인드라 |
슬라브 동등신 | 데이보스 |
노르드 동등신 | 튀르 |
이집트 동등신 | 아문 |
축제 | 올림피아 경기 축제 |
그리스 신화 | |
주요 원전 | 일리아스 오디세이아 신통기 일과 날 이솝 우화 그리스 비극 비블리오테케 변신 이야기 |
주요 내용 | 티타노마키아 기간토마키아 아르고나우타이 테바이 권 트로이아 권 |
올림포스 12신 | 제우스 헤라 아테나 아폴론 아프로디테 아레스 아르테미스 데메테르 헤파이스토스 헤르메스 포세이돈 헤스티아 디오니소스 |
기타 신들 | 카오스 가이아 에로스 우라노스 티탄 헤카톤케이레스 키클롭스 기간테스 타르타로스 하데스 페르세포네 헤라클레스 프로메테우스 무사 아킬레우스 |
주요 신전 및 사적지 | 파르테논 신전 디오니소스 극장 에피다우로스 고대 극장 아폴로 에피쿠리오스 신전 |
언어별 표기 | |
그리스어 | Ζεύς Διός (속격) Δεύς (도리스 방언) Δέος (도리스 방언 속격) Δίας |
라틴어 | Iuppiter, Iupiter |
영어 | Jupiter |
2. 신화
헤시오도스의 『신통기』에 따르면, 제우스는 아버지 크로노스를 몰아내고 형제들을 구출한 후, 티탄 신들과 티타노마키아라는 전쟁을 벌였다. 이 전쟁에서 승리한 제우스는 형제들과 세상을 나누어 다스리게 되었고, 이후에도 그의 권위에 도전하는 거인족, 티폰 등과의 싸움에서 승리하며 신들의 왕으로서의 지위를 확고히 했다.[57][58][59][60][64]
제우스는 메티스와의 사이에서 태어날 아들이 자신을 몰아낼 것이라는 예언을 듣고 메티스를 삼켰지만, 결국 제우스의 머리에서 아테나가 태어났다.[89] 이후 제우스는 헤라를 비롯한 여러 여신들과 인간 여성들과 관계를 맺고 많은 자식을 낳았다.[96][98][99][100][101][102]
제우스는 프로메테우스가 인간에게 불을 준 것에 분노하여 판도라를 통해 인간에게 재앙을 내렸고, 인간의 타락에 실망하여 대홍수를 일으키기도 했다.[254][255][256]
티타노마키아 이후에도 제우스는 기간토마키아, 튀폰과의 전투 등 여러 도전에 직면했다. 기간토마키아에서는 헤라클레스의 도움을 받아 거인족을 물리쳤고,[71][72][73][388] 튀폰과의 싸움에서는 헤르메스와 판의 도움으로 힘줄을 되찾고 튀폰을 에트나 화산 아래에 봉인했다.[81][82][83][84][85][86][389]
가이아가 권위를 가지고 있던 우주의 원초 시대에는, 만물이 올림포스의 신들에게 반항적이었고, 모든 물질이 지배에서 벗어나려고 폭주했다. 그러나 제우스는 우주를 통제하고, 만물을 억누르고 혼돈에 찬 세계를 그 뜻에 따르게 했다.[390]
2. 1. 탄생
제우스가 태어나기 전, 아버지 크로노스는 자신의 아들에게 쫓겨난다는 불길한 예언을 들었다. 이 운명을 피하기 위해 크로노스는 아내 레아에게서 자식들이 태어나는 즉시 삼켜버렸다. 레아는 여섯 번째 아이를 출산할 때 아이 대신 돌덩이를 강보에 싸서 남편에게 건넸다. 이 돌덩이가 옴팔로스이다. 그리고 진짜 제우스는 아말테이아에게 맡겨졌다. 그렇게 제우스는 남매 중 유일하게 살아남았다.[29][30][31][32][33][34][35]
헤시오도스의 『신통기』에 따르면, 제우스의 탄생지는 크레타의 리크토스이지만, 리디아의 시인 코린토스의 에우멜로스는 리디아를, 알렉산드리아의 시인 칼리마코스는 아르카디아를, 디오도로스 시켈로스와 아폴로도로스는 딕테의 동굴을 제우스의 탄생지로 언급한다.[36][37][38][39][40]
아폴로도로스에 따르면, 레아는 딕테의 동굴에서 제우스를 낳은 후, 멜리세우스의 딸인 님프 아드라스테이아와 이다에게 맡겨 아말테이아의 젖을 먹여 키우게 했다. 쿠레테스는 동굴을 지키며 방패에 창을 쳐서 크로노스가 아기의 울음소리를 듣지 못하게 했다.[43][44][45]
디오도로스 시쿨루스는 레아가 출산 후 이다 산으로 가서 제우스를 쿠레테스에게 맡겼고, 쿠레테스는 그를 님프에게 데려가 꿀과 아말테이아 염소의 젖을 섞어 키웠다고 전한다.[46][47]
히기누스는 헤라가 제우스를 아말테이아에게 주었고, 아말테이아는 요람을 나무에 매달아 하늘에도, 땅에도, 바다에도 없는 곳에 두어 크로노스가 찾을 수 없게 했다고 전한다.[50][51]
에피메니데스의 단편에 따르면, 헬리케와 키노수라 님프가 어린 제우스의 유모였다.[53] 무사이오스에 따르면, 제우스가 태어난 후 레아는 그를 테미스에게, 테미스는 다시 아말테이아에게 맡겼다.[54]
안토니누스 리베랄리스는 레아가 크레타의 신성한 동굴에서 제우스를 낳았고, 이 동굴의 신성한 벌들이 아기의 유모가 되었다고 전한다.[55]
2. 2. 유년기
레아는 제우스를 숨기기 위해 가이아의 조언에 따라 아무도 찾을 수 없는 크레타섬의 깊은 숲 속으로 데리고 갔다. 그리고 쿠레테스라 불리는 정령들이 아기를 안전하게 지키게 했다. 정령들은 칼을 부딪치고 청동 방패들을 요란하게 두드리면서 아기의 울음소리를 감추었다. 이런 식으로 레아는 제우스가 성장해 어른이 될 때까지 무사히 지켜낼 수 있었다. 그리고 제우스는 아말테이아라는 염소(또는 님프)의 젖을 먹고 자랐는데, 하루는 아말테이아의 뿔을 가지고 놀다가 부러뜨렸다고 전해진다. 이에 미안해진 제우스는 아말테이아의 부러진 뿔을 풍요의 뿔로 만들어 주었다. 나중에 제우스는 아말테이아가 죽자 고마움을 표하기 위해 그녀를 하늘로 올려보내 염소자리로 만들어 주었다.[29]헤시오도스의 『신통기』(기원전 약 730년~700년)에 따르면, 크로노스는 아버지 우라노스를 거세하고 우주 최고의 지배자가 되어 자매인 레아와 결혼하여 세 딸과 세 아들을 낳았다. 그들은 헤스티아, 데메테르, 헤라, 하데스, 포세이돈, 그리고 마지막으로 여섯째이자 "현명한" 제우스이다.[30] 크로노스는 부모인 가이아와 우라노스로부터 자신의 자식 중 하나가 언젠가 자신을 전복할 운명이라는 예언을 듣고, 자식들이 태어나자마자 삼켜 버렸다.[31] 이로 인해 레아는 "끊임없는 슬픔"을 겪었고,[32] 여섯 번째 아이 제우스를 임신하자 부모인 가이아와 우라노스에게 찾아가 아이를 구하고 크로노스에게 응징할 계획을 세웠다.[33] 부모의 지시에 따라 레아는 크레타의 리크토스로 가서 제우스를 낳았고,[34] 신생아를 가이아에게 맡겨 키우게 했다. 가이아는 그를 아이가온 산(아이게움)의 동굴로 데려갔다.[35] 레아는 아이 대신 헝겊으로 감싼 돌을 크로노스에게 주었고, 크로노스는 그것이 자신의 아들이 아니라는 것을 모른 채 곧바로 삼켰다.[36]
헤시오도스는 제우스의 탄생지를 리크토스라고 밝히지만, 이는 헤시오도스만의 주장이다.[37] 다른 저술가들은 다른 장소들을 제시한다. 리디아의 시인 코린토스의 에우멜로스(기원전 8세기)는 리디아에서 제우스가 태어났다고 생각했다고 리디아의 요한은 전한다.[38] 알렉산드리아의 시인 칼리마코스(기원전 약 310년~약 240년)는 그의 『제우스 찬가』에서 제우스가 아르카디아에서 태어났다고 말한다.[39] 디오도로스 시켈로스(기원전 1세기 활동)는 한때 이다 산을 그의 탄생지로 언급하지만, 나중에는 딕테에서 태어났다고 말하며,[40] 신화학자 아폴로도로스(1세기 또는 2세기) 역시 딕테의 동굴에서 태어났다고 말한다.[41]
『신통기』는 제우스가 빨리 성장했다는 것 외에는 그의 성장 과정에 대해 전혀 언급하지 않지만, 다른 자료들은 더 자세한 이야기를 제공한다. 아폴로도로스에 따르면, 레아는 딕테의 동굴에서 제우스를 낳은 후, 멜리세우스의 딸인 님프 아드라스테이아와 이다에게 맡겨 키우게 한다.[42] 그들은 암염소 아말테이아의 젖을 먹여 제우스를 키우고,[43] 쿠레테스는 동굴을 지키며 방패에 창을 쳐서 크로노스가 아기의 울음소리를 듣지 못하게 한다.[44] 디오도로스 시쿨루스는 비슷한 이야기를 전하며, 레아가 출산 후 이다 산으로 가서 신생아 제우스를 쿠레테스에게 맡겼다고 말한다.[45] 쿠레테스는 그를 어떤 님프(이름은 언급되지 않음)에게 데려가고, 님프들은 꿀과 아말테이아 염소의 젖을 섞어 제우스를 키웠다.[46] 그는 또한 쿠레테스가 "큰 소란을 일으켰다"고 언급하며, 그렇게 함으로써 크로노스를 속였다고 말하며,[47] 쿠레테스가 신생아 제우스를 안고 있을 때 탯줄이 트리톤 강에서 떨어져 나갔다고 전한다.[48]
히기누스는 그의 『파불라에』에서 크로노스가 포세이돈을 바다로, 하데스를 저승으로 내던졌다는 이야기를 전한다. 제우스가 태어나자, (역시 삼켜지지 않은) 헤라가 레아에게 어린 제우스를 달라고 요청하고, 레아는 크로노스에게 돌을 주어 삼키게 한다.[49] 헤라는 제우스를 아말테이아에게 주고, 아말테이아는 그의 요람을 나무에 매달아 하늘에도, 땅에도, 바다에도 없는 곳에 두는데, 이는 나중에 크로노스가 제우스를 찾으러 왔을 때 찾을 수 없게 하기 위함이다.[50] 히기누스는 또한 이다, 알타이아, 아드라스테이아가 보통 오케아노스의 자녀로 여겨지지만, 때때로 멜리세우스의 딸이자 제우스의 유모로 불린다고 말한다.[51]
에피메니데스의 단편에 따르면, 헬리케와 키노수라 님프가 어린 제우스의 유모였다. 크로노스는 제우스를 찾아 크레타로 가는데, 제우스는 자신의 존재를 숨기기 위해 자신을 뱀으로, 두 유모를 곰으로 변신시킨다.[52] 무사이오스에 따르면, 제우스가 태어난 후 레아는 그를 테미스에게 맡긴다. 테미스는 다시 그를 암염소를 소유한 아말테이아에게 맡기고, 아말테이아는 어린 제우스에게 젖을 먹인다.[53]
안토니누스 리베랄리스는 그의 『변신 이야기』에서 레아가 크레타의 신성한 동굴에서 제우스를 낳았다고 말하는데, 이 동굴에는 신성한 벌들이 가득 차 있었고, 벌들이 아기의 유모가 된다. 이 동굴은 신과 인간 모두에게 금단의 장소로 여겨지지만, 한 무리의 도둑들이 꿀을 훔치려 한다. 그들은 제우스의 포대기를 보고 그들의 청동 갑옷이 "몸에서 떨어져 나가고", 제우스가 그들을 죽였을 것이지만 모이라이와 테미스의 개입으로 살아남았으며, 대신 다양한 종류의 새로 변신한다.[54]
2. 3. 티탄족과의 싸움(티타노마키아)
제우스는 어른이 되어 신탁의 예언대로 아버지 크로노스를 몰아내고 신들의 왕이 될 결심을 한다. 그는 우선 동료를 모으기 위해 아버지가 삼킨 형제들과 누이들을 되찾고자 했다. 오케아노스의 딸 메티스에게서 구토제를 구해 어머니 레아에게 건넸고, 레아는 남편 크로노스에게 자신이 직접 담근 술이라 속여 구토제를 먹였다. 크로노스는 이전에 삼킨 헤스티아, 데메테르, 헤라, 하데스, 포세이돈과 돌을 모두 토해냈다.[57] 구출된 그들은 제우스와 힘을 합쳐 크로노스를 포함한 티탄 신들과 전쟁을 벌였다.가이아와 우라노스의 자식들인 키클롭스 형제와 헤카톤케이레스 형제의 도움을 받고, 헤파이스토스가 키클롭스들과 함께 발명한 벼락이라는 무기까지 얻게 된 올림포스 신들은 마침내 승리하여 티탄 12신들을 타르타로스에 가두었다.[64]
헤시오도스의 『신통기』에 따르면, 이 전쟁은 티타노마키아라고 불리며, 제우스와 올림포스 신들은 올림포스 산에서, 티탄 신들은 오트리스 산에서 싸웠다.[60] 10년 동안 계속된 전투는 가이아의 조언에 따라 제우스가 지하에 갇혀 있던 헤카톤케이레스들을 풀어주면서[61] 전세가 역전되었다. 제우스는 번개를 던져 티탄들을 공격하고, 헤카톤케이레스들은 돌을 퍼부어 공격하여 마침내 티탄들을 패배시켰다.[64]

일리아드에 따르면, 티탄들과의 전투 후 제우스는 제비뽑기를 통해 세상을 그의 형제들인 포세이돈과 하데스와 나누었다. 제우스는 하늘을, 포세이돈은 바다를, 하데스는 저승을 얻고, 땅과 올림포스는 공동의 영역으로 남았다.[68]
2. 4. 권력에 대한 도전
《신통기》에 따르면, 제우스가 성인이 된 후, 가이아의 계략과 제우스 자신의 기술과 힘으로 크로노스는 다섯 아이들과 돌을 토해낸다. 제우스는 그 돌을 델포이에 세워 “그 이후로 인간들에게 표징이자 경이로움이 되게” 한다.[58] 다음으로 제우스는 키클롭스들을 해방시키는데, 그들은 감사의 표시로 이전에 가이아가 숨겨두었던 번개를 제우스에게 준다.[59] 그 후, 제우스가 이끄는 올림포스 신들과 크로노스가 이끄는 티탄 신들 사이의 우주 지배권을 놓고 벌어지는 티타노마키아가 시작된다. 제우스와 올림포스 신들은 올림포스 산에서, 티탄 신들은 오트리스 산에서 싸운다.[60] 이 전투는 10년 동안 지속되지만 승부가 나지 않다가, 가이아의 조언에 따라 제우스는 지하에 갇혀 있던 헤카톤케이레스들을 풀어준다.[61] 그는 그들에게 넥타르와 암브로시아를 주어 기운을 북돋아 주고,[62] 그들은 전쟁에서 제우스를 돕기로 한다.[63] 제우스는 번개를 던져 티탄들을 공격하고, 헤카톤케이레스들은 돌을 퍼부어 공격하며, 마침내 티탄들을 패배시킨다. 제우스는 티탄들을 타르타로스에 가두고 헤카톤케이레스들에게 그들의 간수 역할을 맡긴다.[64]아폴로도로스는 비슷한 이야기를 전하는데, 제우스가 성인이 되었을 때, 그는 오케아니드인 메티스의 도움을 받아 크로노스에게 구토제를 먹여 돌과 제우스의 다섯 형제자매를 토하게 한다.[65] 제우스는 10년 동안 티탄들과 싸우다가, 가이아의 예언에 따라 타르타로스에서 키클롭스와 헤카톤케이레스들을 풀어준다. 먼저 그들의 간수인 캄페를 죽인다.[66] 키클롭스들은 그에게 번개를, 포세이돈에게는 삼지창을, 하데스에게는 투명 헬멧을 준다. 그리고 티탄들은 패배하고 헤카톤케이레스들은 그들의 간수가 된다.[67]
《일리아드》에 따르면, 티탄들과의 전투 후, 제우스는 제비뽑기를 통해 세상을 그의 형제들인 포세이돈과 하데스와 나눈다. 제우스는 하늘을, 포세이돈은 바다를, 하데스는 저승을 얻고, 땅과 올림포스는 공동의 영역으로 남는다.[68]
우주를 지배하는 왕이 된 제우스의 통치는 곧 도전을 받게 된다. 그의 권력에 대한 첫 번째 도전은 거인족(Gigantomachy)으로 알려진 전투에서 올림포스 신들과 싸운 거인들로부터 왔다. 헤시오도스에 따르면, 거인들은 크로노스가 아버지 우라노스의 거세를 할 때 떨어진 피에서 땅에 떨어진 핏방울에서 태어난 가이아의 자식들이다.[69] 그러나, 《신통기》에는 신들과 거인들 사이의 전투에 대한 언급이 없다.[70] 거인족 전투에 대한 가장 완전한 기록은 아폴로도로스가 제공한다. 그는 가이아가 제우스가 자신의 자식인 티탄들을 감금한 것에 분노하여 우라노스에게서 거인들을 낳았다고 말한다.[71] 신들에게는 신들만으로는 거인들을 물리칠 수 없고, 필멸자의 도움을 받아야만 물리칠 수 있다는 예언이 내려온다. 가이아는 이 소식을 듣고 거인들이 죽는 것을 막을 특별한 약초를 찾는다. 그러나 제우스는 에오스(새벽), 셀레네(달) 그리고 헬리오스(태양)에게 빛을 내지 말라고 명령하고, 아테나가 헤라클레스를 소환하기 전에 모든 약초를 스스로 거둔다.[72] 이 갈등에서 거인들 중 가장 강력한 자 중 하나인 포르피리온은 헤라클레스와 헤라를 공격한다. 그러나 제우스는 포르피리온이 헤라를 탐하게 만들고, 그가 헤라를 범하려는 순간 제우스는 번개로 그를 치고, 헤라클레스는 화살로 치명타를 가한다.[73]
《신통기》에서 제우스가 티탄들을 물리치고 타르타로스에 가두고 나서, 그의 통치는 괴물 티폰에게 도전받는다. 티폰은 우주를 지배하기 위해 제우스와 싸운 거대한 뱀 모양의 생물이다. 헤시오도스에 따르면 티폰은 가이아와 타르타로스의 자식이며,[74] 백 개의 뱀 모양의 불을 뿜는 머리를 가진 것으로 묘사된다.[75] 헤시오도스는 제우스가 괴물을 알아차리고 재빨리 처리하지 않았더라면 "필멸자와 불멸자를 지배하게 되었을 것"이라고 말한다.[76] 두 존재는 대격변적인 전투를 벌이고, 제우스는 번개로 그를 쉽게 물리치고, 그 생물은 타르타로스로 던져진다.[77] 에피메니데스는 다른 버전을 제시하는데, 티폰은 제우스가 자고 있을 때 그의 궁전에 들어가지만, 제우스가 깨어나 번개로 괴물을 죽인다는 것이다.[78] 아이스킬로스와 핀다로스는 제우스가 번개로 티폰을 비교적 쉽게 극복했다는 점에서 헤시오도스와 비슷한 설명을 제공한다.[79] 반면 아폴로도로스는 더 복잡한 이야기를 제공한다.[80] 티폰은 헤시오도스와 마찬가지로 가이아와 타르타로스의 자식이며, 제우스가 거인들을 물리친 것에 대한 분노에서 태어났다.[81] 괴물은 하늘을 공격하고, 모든 신들은 두려움에 떨며 동물로 변신하여 이집트로 도망친다. 제우스만 제외하고, 그는 번개와 낫으로 괴물을 공격한다.[82] 티폰은 부상을 입고 시리아의 카시오스 산으로 후퇴하고, 제우스는 그와 싸우며 괴물에게 그를 감쌀 기회를 주고 손과 발의 힘줄을 찢어낸다.[83] 장애를 입은 제우스는 티폰에 의해 킬리키아의 코리키아 동굴로 옮겨지고, 거기서 "암룡" 델피네에게 감시당한다.[84] 그러나 헤르메스와 아이기판은 제우스의 힘줄을 훔쳐 다시 붙여 그를 소생시키고 전투로 돌아가게 하며, 티폰을 추격한다. 티폰은 뉘사 산으로 도망치고, 거기서 티폰은 모이라이에게서 "덧없는 과일"을 받아 그의 힘을 약화시킨다.[85] 그 후 괴물은 트라키아로 도망치고 제우스에게 산을 던지지만, 신의 번개에 의해 다시 그에게 돌아온다. 그리고 시칠리아로 도망치는 동안 제우스는 에트나 산을 그에게 던져 마침내 그를 끝낸다.[86] 가장 길고 자세한 설명을 제공하는 논누스는 아폴로도로스와 유사한 이야기를 제시하지만, 제우스의 힘줄을 회복하는 사람이 카드모스와 판이며, 음악으로 티폰을 유인한 다음 속여서 회복한다는 점이 다르다.[87]
《일리아스》에서 호메로스는 헤라, 포세이돈, 아테나가 제우스를 압도하고 그를 묶으려고 음모를 꾸민 또 다른 전복 시도에 대해 이야기한다. 다른 올림포스 신들이 계획을 포기하게 된 것은 오직 테티스가 올림포스로 헤카톤케이레스 중 하나인 브리아레오스를 소환했기 때문이다(브리아레오스를 두려워해서).[88]

신들이 메코네에서 모여 희생 제물을 나누는 방법을 논의하던 중, 티탄 프로메테우스는 인간에게 더 나은 부분이 돌아가도록 제우스를 속이기로 결정했다. 그는 큰 황소를 잡아 두 무더기로 나누었다. 한 무더기에는 고기와 기름 대부분을 넣고, 소의 역겨운 위장으로 덮었다. 다른 무더기에는 뼈에 기름을 칠했다. 프로메테우스는 제우스에게 선택하라고 했고, 제우스는 뼈가 있는 무더기를 선택했다. 이는 인간이 기름을 자신들이 가지고 뼈를 신들에게 태우는 희생 제물의 전례를 만들었다.
제우스는 프로메테우스의 속임수에 격분하여 인간이 불을 사용하는 것을 금했다. 그러나 프로메테우스는 올림푸스에서 불을 훔쳐 인간에게 주었다. 이는 제우스를 더욱 격노하게 만들었고, 그는 프로메테우스를 절벽에 묶어 매일 밤 재생되는 그의 간을 독수리가 끊임없이 먹게 하는 벌을 내렸다. 프로메테우스는 결국 헤라클레스에 의해 고통에서 해방되었다.[254]
이제 인간들에게 화가 난 제우스는 인간에게 주어진 은혜에 대한 보상으로 인류에게 벌을 주는 선물을 주기로 결정한다. 그는 헤파이스토스에게 흙으로 첫 번째 여자, 인류를 괴롭힐 "아름다운 악"을 만들라고 명령한다. 헤파이스토스가 그렇게 한 후, 다른 여러 신들이 그녀의 창조에 기여한다. 헤르메스는 그 여자의 이름을 '판도라'라고 짓는다.
판도라는 프로메테우스의 형제 에피메테우스와 결혼했다. 제우스는 그녀에게 많은 악을 담은 항아리를 주었다. 판도라는 항아리를 열고 모든 악을 풀어놓았고, 그로 인해 인류는 비참해졌습니다. 항아리 안에는 희망만 남았다.[255]
제우스가 올림푸스 산 정상에 있을 때 그는 인신 공양과 인간의 타락의 다른 징후에 경악했다. 그는 인류를 멸망시키기로 결정하고 그의 형제 포세이돈의 도움으로 세상을 물에 잠겼습니다. 홍수 후, 데우칼리온과 피라만 남았다.[256] 이 홍수 이야기는 신화에서 흔한 모티프이다.[257]
전 우주의 지배권이 확립된 티타노마키아 이후에도 제우스의 지배를 위협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제우스는 전 우주의 지배를 수호하기 위해 방어전을 펼쳐야만 했다. 그중 하나가 거인족(기간테스)과 올림포스 신들의 전쟁인 기간토마키아이다. 이는 타르타로스에 자신의 자식인 티탄 신족을 감금당한 것에 분노한 가이아가 일으킨 대전이라고 전해진다. 기간테스는 산을 가볍게 들어 올릴 정도의 엄청난 힘을 가지고 있었고, 신들에 대해서는 불멸의 존재였지만, 인간이라면 죽일 수 있었다. 제우스는 반신인 자신의 아들 헤라클레스를 올림포스로 초대하여 자신의 편으로 만들었다.
기간테스들은 섬이나 산맥과 같은 온갖 지형을 갈라 헤치며 대군으로 쳐들어왔지만, 반격을 시작한 신들과 헤라클레스에 의해 모두 쓰러졌다. 헤라를 탐내 범하려 했던 기간테스 포르피리온은 헤라를 범하기 전에 제우스의 번개에 의해 전투 불능이 되었고, 마지막에는 헤라클레스의 독화살에 의해 목숨을 잃었다. 기간테스들은 신들에 의해 섬이나 산맥에 짓눌려 봉인되었고, 헤라클레스의 강궁에 의해 살해당했다. 기간토마키아는 제우스의 압승으로 끝났다.[388]
기간토마키아에서 제우스를 비롯한 신들을 벌하지 못한 가이아는 타르타로스와 관계를 맺어 그리스 신화 최대 최강의 괴물 튀폰을 낳아 올림포스를 공격하게 했다. 튀폰은 머리가 별들과 부딪힐 정도로 거대한 몸집을 가지고 있으며, 양팔을 뻗으면 동서양의 끝에도 도달했다. 신들과 마찬가지로 불멸의 존재였으며, 어깨에서는 백 개의 뱀의 머리가 나고, 불꽃을 뿜는 눈을 가지고 있었다. 허벅지 위쪽은 인간과 같았지만, 허벅지 아래쪽은 거대한 독사가 몸을 칭칭 감은 모습이었다. 튀폰은 세상을 대화재로 만들고, 하늘로 돌진하여 우주 전체를 난폭하게 날뛰었다. 이에 신들은 놀라 동물로 변신하여 이집트 쪽으로 도망쳤다. 그러나 제우스만은 그 자리에 남아 궁극의 괴물이자 괴물의 왕 튀폰과 격렬한 결투를 시작했다.[388]
제우스는 벼락과 아다만트 낫으로 튀폰을 맹렬하게 공격했고, 튀폰은 모든 것을 태워 없애는 화염탄과 분출로 그것을 막아냈다. 이 결전은 천상의 우주에서 벌어졌고, 이로 인해 모든 질서는 혼돈으로 변하고, 전 우주는 불타서 붕괴되었다.[389] 양자의 힘은 호각이었지만, 근접전으로 몰고 간 제우스가 튀폰의 괴력에 패하여 그 몸에 휘감겨 압박당했다. 튀폰은 제우스의 벼락과 아다만트 낫을 빼앗고, 팔다리의 건을 잘라내어 델포이 근처 코리키아 동굴에 가두었다. 그리고 튀폰은 제우스의 건을 곰 가죽에 숨기고, 감시자로 반수의 용녀 델피네를 두고, 자신은 상처 치료를 위해 어머니 가이아에게로 향했다.
제우스가 감금된 것을 알게 된 헤르메스와 판은 제우스를 구출하기 위해 나서서, 델피네를 속여 팔다리의 건을 훔쳐내고 제우스를 치료했다. 힘을 되찾은 제우스는 다시 튀폰과 격렬한 싸움을 벌여, 중상을 입히고 몰아붙였다. 튀폰은 제우스를 이기기 위해 운명의 여신 모이라이들을 위협하여, 어떤 소원이든 이루어진다는 "승리의 열매"를 얻었지만, 그 열매를 먹는 순간 힘을 잃었다. 사실 여신들이 튀폰에게 준 것은 결코 소원이 이루어지지 않는 "무상의 열매"였던 것이다.
패주를 계속한 튀폰은 최후의 발악으로 모든 산맥을 제우스에게 던지려 했지만, 벼락에 의해 간단히 튕겨져 나가, 오히려 모든 산맥 아래에 깔리게 되었다. 마지막에는 시칠리아 섬까지 몰리고, 에트나 화산에 깔리거나(시칠리아 섬 자체를 깔았다는 설도 있다), 그 아래에 봉인되었다. 그 이후로 튀폰이 에트나 산의 압력에서 벗어나려고 발버둥칠 때마다 화산 폭발이 일어난다고 한다. 이렇게 제우스는 튀폰과의 사투에서 승리하고, 더 이상 그의 왕권에 반항하는 자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신통기》에 따르면, 제우스는 튀폰과 전 우주를 뒤흔드는 격렬한 싸움 끝에, 벼락 한 방으로 세상을 완전히 녹여 버리고, 그대로 튀폰을 타르타로스에 던져 넣었다고 한다.
가이아가 아직 권위를 가지고 있던 우주의 원초 시대에는, 만물이 올림포스의 신들에게 반항적이었고, 모든 물질이 지배에서 벗어나려고 폭주했다. 가이아는 대지의 어머니라고 불리지만, 그 지배 영역은 대지뿐만 아니라 하늘까지 포함하는 세계 전체에 미치고 있었기 때문이다. 만물의 반항은 모든 것을 뒤덮어 버릴 듯한 대변동으로 이어졌다. 대륙은 비틀리고 흔들렸고, 산들은 산산이 갈라져 암석과 화쇄류를 토해냈다. 강은 흐름을 바꾸었고, 바다는 융기하여 모든 대륙은 바닷속으로 가라앉았다. 모든 물질의 공격에 의해 세계는 혼돈으로 변했다.
그러나 제우스는 우주를 통제하고, 만물을 억누르고 혼돈에 찬 세계를 그 뜻에 따르게 했다. 대지는 더 이상 흔들리지 않게 되었고, 산들도 평온해졌다. 대륙은 바닷속에서 모습을 드러냈고, 더 이상 바다가 폭풍치는 일도 없어졌다. 제우스는 세계를 평정했고, 다시 우주에 조화가 찾아왔다.[390]
3. 가족
제우스는 티탄 신족의 크로노스와 레아 사이에서 태어난 막내아들이다. 하데스와 포세이돈은 그의 형제이며, 정실 부인은 누이인 헤라이다. 그러나 헤라 외에도 레토, 데메테르 등 여러 여신 및 수많은 인간 여성들과 관계를 맺고 자식을 낳았다.
제우스는 호색한으로 알려져 있으며, 헤라의 눈을 피해 자주 바람을 피웠다. 이는 강력한 신들과 반신을 낳고, 전 우주와 인간계의 기반을 다지기 위한 것이기도 했다. 또한 고대 그리스뿐 아니라 지중해 세계의 왕가들이 자신의 조상을 제우스로 주장했기 때문에, 제우스와 관련된 여러 신화가 생겨났다.
다음은 제우스가 관계를 맺은 여신과 인간 여성, 그리고 그 사이에서 태어난 자식들이다.
상대 | 자식 | 비고 |
---|---|---|
헤라 | 헤라는 제우스의 7번째 부인이자 정실부인이다. | |
메티스 | 아테나 | 제우스는 메티스를 삼켰고, 이후 아테나는 제우스의 머리에서 태어났다. |
데메테르 | 페르세포네 | 페르세포네는 하데스에게 납치되어 그의 아내가 되었다. |
디오네 | 아프로디테 | 아프로디테는 우라노스의 잘린 남근에서 태어났다는 설도 있다. |
레토 | 레토는 헤라 다음 가는 여신이었다. | |
마이아 | 헤르메스 | 헤르메스는 신들의 전령이다. |
테미스 | 테미스는 법과 질서, 율법의 여신이다. | |
므네모쉬네 | 무사이 | 무사이는 문학과 예술, 음악의 여신들이다. |
에우리노메 | 카리테스 | 카리테스는 우아함과 미의 여신들이다. |
다나에 | 페르세우스 | |
아이기나 | 아이아코스 | |
알크메네 | 헤라클레스 | |
에우로페 | ||
라오다미아 | 사르페돈 | |
이오 | 에파푸스 | |
라미아 | ||
레다 | ||
세멜레 | 디오니소스 | |
니오베 | ||
올림피아스 | 알렉산드로스 대왕 | |
칼리스토 | 아르카스 |
헤시오도스의 『신통기』에 따르면, 크로노스는 우라노스를 거세하고 최고의 지배자가 되어 레아와 결혼하여 자식들을 낳았다.[29] 그러나 자신의 자식 중 하나가 자신을 전복할 것이라는 예언을 듣고, 자식들이 태어나자마자 삼켜 버렸다.[30] 레아는 제우스를 임신하고 크레타의 리크토스로 가서 제우스를 낳았고,[33] 가이아에게 맡겨 키우게 했다. 가이아는 그를 아이가온 산(아이게움)의 동굴로 데려갔다.[34] 레아는 아이 대신 헝겊으로 감싼 돌을 크로노스에게 주었고, 크로노스는 그것을 삼켰다.[35]
3. 1. 부인 및 연인
제우스는 그의 첫 번째 아내로 오케아노스와 테티스의 딸인 메티스를 맞이하였다. 그러나 그녀가 딸 아테나를 낳으려 할 때, 가이아와 우라노스의 조언에 따라 제우스는 그녀를 통째로 삼켜 버렸다. 딸을 낳은 후 아들을 낳을 것이며, 그 아들이 신들과 인간의 왕으로서 그를 전복할 것이라는 예언이 있었기 때문이다.[89] 시간이 지나 아테나는 제우스의 머리에서 태어났지만, 예언되었던 아들은 결코 나타나지 않았다.[89]제우스의 두 번째 아내는 테미스이며, 그녀와 사이에 에우노미아, 디케, 에이레네)로 구성된 호라이와 세 명의 모이라이인 클로토, 라케시스, 아트로포스를 낳았다.[96]
그는 다음으로 에우리노메와 결혼하여 아글라이아, 에우프로시네, 탈리아 세 명의 카리테스를 낳았다.[98] 제우스의 네 번째 아내는 그의 누이인 데메테르이며, 그녀와 사이에 페르세포네를 낳았다.[99]
제우스의 다음 배우자는 므네모시네이며, 제우스는 피에리아에서 매일 밤 9일 동안 므네모시네와 동침하여 9명의 뮤즈를 낳았다.[100] 그의 여섯 번째 아내는 레토이며, 그녀는 쌍둥이 아폴론과 아르테미스를 낳았는데, ''호메로스 찬가''에 따르면 델로스 섬에서 태어났다고 한다.[101] 제우스의 일곱 번째이자 마지막 아내는 그의 누이인 헤라이다.[102]

헤라는 제우스의 일곱 번째 아내이지만 다른 기록에서는 첫 번째이자 유일한 아내로 나온다.[108] ''신통기''에서는 이 부부에게 아레스, 헤베, 에일레이티이아 세 명의 자녀가 있다.[109] 헤시오도스는 아테나가 제우스의 머리에서 태어난 후 헤라가 혼자서 헤파이스토스를 낳았다고 말하지만,[110] 호메로스를 포함한 다른 이야기에서는 헤파이스토스를 제우스와 헤라의 자식으로 묘사한다.[111]

헤라와의 결혼 이후, 제우스는 여러 필멸의 여성들과의 수많은 불륜을 저질렀다고 묘사된다.[131] 유로파가 페니키아 초원에서 여인들과 꽃을 따고 있을 때, 제우스는 자신을 황소로 변신하여 다른 여인들로부터 그녀를 유혹한 다음 바다를 건너 크레타 섬으로 데려가 평소 모습으로 돌아와 그녀와 함께 잠자리에 들었다.[132] 에우리피데스의 ''헬레네''에서 제우스는 백조의 형상을 취하고 독수리에게 쫓기다 레다의 무릎에 피난처를 찾아 그녀를 유혹한다.[133] 에우리피데스의 분실된 희곡 ''안티오페''에서는 제우스가 사티로스의 모습으로 안티오페와 함께 잠자리에 들었다고 한다.[134] 제우스가 아르테미스의 동반자인 칼리스토를 강간했는데, 오비디우스에 따르면 아르테미스 자신(또는 아폴로도로스가 언급했듯이 아폴론의 형상)으로 변신하여 그랬다고 한다.[135] 제우스는 암피트리온의 아내인 알크메네와 남편의 모습으로 함께 잠자리에 들었다.[136] 몇몇 기록에 따르면 제우스는 금빛 비의 형태로 아르고스 공주 다나에에게 접근했고,[137] 오비디우스에 따르면 그는 불꽃의 형태로 아이기나를 납치한다.[138]
제우스의 불륜 이야기에서 헤라는 종종 질투심 많은 아내로 묘사되며, 제우스와 함께 잠자리에 든 여성이나 그들의 자녀들을 박해하는 여러 이야기들이 있다.[139] 제우스가 헤라의 여사제인 이오와 함께 잠자리에 들었는데, 이오는 이후 암소로 변신하여 헤라의 손에 고통을 겪는다.[140] 제우스와 카드모스와 하르모니아의 딸인 세멜레의 불륜에 대한 후대의 이야기에서, 헤라는 세멜레를 속여 제우스에게 어떤 약속이든 지키도록 설득하게 한다. 세멜레는 제우스에게 자신의 아내 헤라에게 다가가는 것처럼 자신에게 다가오라고 요구하고, 제우스가 이 약속을 지키자 그녀는 공포에 질려 죽어 재로 변한다.[141] 칼리마쿠스에 따르면, 제우스가 칼리스토와 함께 잠자리에 든 후, 헤라는 그녀를 곰으로 변신시키고 아르테미스에게 그녀를 사살하라고 지시한다.[142] 또한 알크메네의 아들인 영웅 헤라클레스는 신격화될 때까지 헤라에게 평생 박해를 받는다.[143]
디오도로스 시켈로스에 따르면 헤라클레스의 어머니인 알크메네는 제우스가 마지막으로 함께 잠자리에 든 필멸의 여성이었다. 헤라클레스가 태어난 후 그는 인간을 낳는 것을 완전히 중단하고 더 이상 자녀를 낳지 않았다.[144]
변장 | 유혹 대상 | |
---|---|---|
독수리 또는 불꽃 | 아이기나 | [145] |
암피트리온 | 알크메네 | [146] |
사티로스 | 안티오페 | [147] |
아르테미스 또는 아폴론 | 칼리스토 | [148] |
황금비 | 다나에 | [149] |
황소 | 유로파 | [150] |
독수리 | 가니메데 | [151] |
뻐꾸기 | 헤라 | [152] |
백조 | 레다 | [153] |
거위 | 네메시스 | [154] |
3. 2. 제우스의 변신
제우스는 여러 신화 속에서 다양한 모습으로 변신하여 필멸의 여성들과 관계를 맺었다. 이러한 변신은 그의 호색적인 면모를 보여주는 동시에, 여러 영웅과 신들의 탄생 배경을 설명하는 역할을 한다.변신 형태 | 유혹 대상 | 출처 |
---|---|---|
독수리 또는 불꽃 | 아이기나 | [145] |
암피트리온 | 알크메네 | [146] |
사티로스 | 안티오페 | [147] |
아르테미스 또는 아폴론 | 칼리스토 | [148] |
황금비 | 다나에 | [149] |
황소 | 유로파 | [150] |
독수리 | 가니메데 | [151] |
뻐꾸기 | 헤라 | [152] |
백조 | 레다 | [153] |
거위 | 네메시스 | [154] |
- 헤라: 제우스는 뻐꾸기로 변신하여 헤라를 유혹했다.[115] 테오크리토스(테오크리토스)의 ''전원시(Idylls)'' 주석에 따르면, 어느 날 제우스는 헤라와 관계를 맺기 위해 뻐꾸기로 변신하여 토르낙스 산(Mount Thornax)에 내려앉았다. 끔찍한 폭풍을 일으킨 후, 헤라가 산에 도착하여 무릎에 앉아 있는 새를 불쌍히 여겨 옷을 덮어주자, 제우스는 원래 모습으로 돌아와 그녀를 붙잡았다. 헤라가 거부하자 그는 그녀와 결혼을 약속했다.
- 아이기나: 제우스는 독수리 혹은 불꽃으로 변신하여 아이기나를 유혹했다.
- 알크메네: 제우스는 암피트리온으로 변신하여 그의 아내 알크메네와 관계를 맺었다.
- 안티오페: 제우스는 사티로스로 변신하여 안티오페와 관계를 맺었다.
- 칼리스토: 제우스는 아르테미스 또는 아폴론으로 변신하여 칼리스토를 범했다.
- 다나에: 제우스는 황금비로 변신하여 다나에에게 접근했다.
- 유로파: 제우스는 황소로 변신하여 유로파를 유혹하고 크레타 섬으로 데려갔다.
- 가니메데: 제우스는 독수리로 변신하여 미소년 가니메데를 납치했다. 이는 신들의 시중을 들게 하기 위함이었다.
- 레다: 제우스는 백조로 변신하여 레다와 관계를 맺었다.
- 네메시스: 제우스는 거위로 변신하여 네메시스와 관계를 맺었다.
4. 역할 및 별칭
제우스는 고대 그리스 올림포스 신화에서 최고의 신으로, 많은 영웅들의 아버지이자 지역 의례에도 등장한다. 호메로스의 서사시에서 "구름을 모으는 자"로 묘사되는 제우스는 하늘과 천둥의 신이자 최고의 문화적 상징이었다. 어떤 의미에서는 그리스 종교적 신념의 구현이자 전형적인 그리스 신이었다.
제우스에 대한 인식은 지역에 따라 달랐는데, 지역적인 제우스의 모습은 이름만 같을 뿐 서로 다른 권한을 행사하고, 다른 방식으로 숭배되었다. 예를 들어, 일부 지역 의례에서는 제우스를 하늘의 신이 아니라 지저의 지신으로 여겼다. 이러한 지역 신들은 정복과 종교적 혼합을 통해 호메로스가 묘사한 제우스의 개념과 점차 통합되었다. 지역적이거나 독특한 제우스의 모습에는 별칭이 붙었는데, 이는 신에 대한 다양한 개념을 구분하는 역할을 했다.[273]
제우스에게 적용된 이러한 별칭이나 칭호는 그의 광범위한 권위의 다양한 측면을 강조했다.
별칭 | 설명 |
---|---|
제우스 아이기두코스 (또는 아이기오코스) | 아이기스를 지닌 제우스. 아이기스는 메두사의 머리가 박힌 신성한 방패이다.[274] 또는 제우스의 유모인 신성한 염소 아말테이아를 가리키는 "염소"(αἴξgrc)와 오케(οχήgrc)에서 유래.[275][276] |
제우스 아고라이오스 (Ἀγοραῖος) | 시장(아고라)의 수호신이자 부정직한 상인들을 처벌하는 신. |
제우스 아레이오스 (Αρειος) | "전쟁의 신" 또는 "속죄하는 자". |
제우스 엘레우테리오스 (Ἐλευθέριος) | "자유를 주는 자"로, 아테네에서 숭배.[277] |
제우스 호르키오스 | 맹세의 수호자. 거짓말을 한 자는 올림피아의 신전에 제우스에게 봉납물 조각상을 바쳐야 했다. |
제우스 올림피오스 (Ολύμπιος) | 신들의 왕이자 올림피아의 판헬레니아 경기의 수호신. |
제우스 판헬레니오스 | "모든 그리스인의 제우스". 아이기나의 아이아코스 신전에서 숭배. |
제우스 크세니오스 (Ξένιος), 필록세논, 또는 호스피테스 | 환대(크세니아)와 손님의 수호신이자, 낯선 이에게 가해진 억울함을 벌하는 자. |
아브레테누스 (Ἀβρεττηνός) 또는 아브레타누스 | 미시아 지방에서 제우스에게 붙여진 별칭.[278] |
아카드 | 시리아에서 사용된 제우스의 이름 중 하나. |
아크라이오스 (Ακραίος) | 스미르나에서 사용. 아크라이아와 아크라이오스는 언덕 위에 신전이 있는 여러 여신과 신들에게 붙여진 칭호. 제우스, 헤라, 아프로디테, 팔라스, 아르테미스 등. |
아크레테누스 | 미시아에서 사용된 제우스의 이름. |
아다드 | 시리아에서 사용된 제우스의 이름 중 하나. |
제우스 아다도스 | 가나안의 하닷과 아시리아의 아다드를 헬레니즘화한 것. 특히 헬리오폴리스의 태양 숭배와 관련.[279] |
아둘투스 | 결혼식에서 성인들이 제우스를 부르는 것에서 유래. |
아이네이오스 (Αἰνήιος) 또는 아이네시우스 (Αἰνήσιος) | 케팔로니아에서 숭배되었으며, 아이노스 산에 신전이 있었다.[280] |
아이티옵스 (Αἰθίοψ) | "빛나는" 또는 "검은"이라는 뜻. 키오스에서 숭배.[281] |
아이트나이오스 (Αἰτναῖος) | 에트나 산에서 유래. 제우스의 조각상이 있었고, 축제가 거행.[282] |
아가멤논 (Ἀγαμέμνων) | 스파르타에서 숭배. 에우스타티우스는 제우스와 아가멤논의 유사성 때문에 이 별칭이 붙었다고 생각. 다른 학자들은 ἀγὰν과 μένων에서 유래한 "영원한"이라는 의미라고 생각.[283] |
아게토르 (Ἀγήτωρ) | 인간의 지도자이자 통치자.[284] |
아고니오스 (Ἀγώνιος) | 투쟁과 경쟁에서 도움을 주는 자.[285] |
알레이오스 (Ἄλειος) | "헬리오스"에서 유래했으며, 물과도 관련이 있을 가능성.[286] |
알렉시카코스 (Ἀλεξίκακος) | 악을 막는 자.[287] |
암불리오스 (Αμβουλιος, "고문") 또는 라틴어화된 암불리우스[288] | |
아페미우스 (아페미오스, Απημιος) | 재앙을 막는 제우스. |
아페산티우스 (Ἀπεσάντιος) | 아페사스 산에서 유래.[289] |
아포미우스 (Απομυιος) | 파리를 쫓는 제우스. |
아페시오스 (Αφεσιος) | "비를 내리는" |
아르기케라우누스 (ἀργικέραυνος) | "번개를 쏘는".[330] |
아스바마이오스 (Ἀσβαμαῖος) | 맹세의 신으로서의 제우스. |
아스트라피오스 (ἀστραπαῖός) | "번개의". 날씨의 신으로서의 제우스. |
아타뷔리오스 (Ἀταβύριος) | 로도스 섬에서 숭배. 섬의 아타뷔로스 산에서 이름을 따왔다.[290] |
아토스 (Αθώος) | 아토스 산에서 유래. 제우스의 신전이 있었다.[291] |
아이트리오스 (Αἴθριος) | "맑은 하늘의".[330] |
아이테리오스 (Αἰθέριος) | "에테르의".[330] |
5. 숭배
제우스는 고대 그리스 올림포스 신화에서 최고의 신으로 군림했으며, 많은 영웅들의 아버지이자 그들의 지역 의례에도 등장한다. 호메로스의 서사시에서 "구름을 모으는 자"로 묘사되는 제우스는 하늘과 천둥의 신이자, 그리스 종교적 신념의 구현이었다.[273]
제우스에 대한 인식은 지역에 따라 달랐으며, 지역적인 제우스는 이름 외에는 공통점이 거의 없었다. 이들은 서로 다른 권한을 행사하고 다른 방식으로 숭배되었는데, 일부 지역에서는 제우스를 하늘의 신이 아닌 지저의 지신으로 여기기도 했다. 이러한 지역 신들은 정복과 종교적 혼합을 통해 호메로스가 묘사한 제우스와 통합되었고, 독특한 제우스는 신에 대한 다양한 개념을 구분하는 별칭을 가지게 되었다.[273]
제우스의 별칭들은 그의 광범위한 권위를 강조했다.
- '''제우스 아이기두코스''' 또는 '''아이기오코스''': 아이기스를 지닌 제우스. 아이기스는 메두사의 머리가 박힌 신성한 방패이다.[274] 다른 해석으로는 제우스의 유모인 신성한 염소 아말테이아를 가리킨다.[275][276]
- '''제우스 아고라이오스''' (Ἀγοραῖος): 시장의 수호신이자 부정직한 상인들을 처벌하는 신.
- '''제우스 아레이오스''' (Αρειος): "전쟁의 신" 또는 "속죄하는 자".
- '''제우스 엘레우테리오스''' (Ἐλευθέριος): "자유를 주는 자"로, 아테네에서 숭배되었다.[277]
- '''제우스 호르키오스''': 맹세의 수호자. 거짓말을 한 자는 올림피아의 신전에 봉납물 조각상을 바쳐야 했다.
- '''제우스 올림피오스''' (Ολύμπιος): 신들의 왕이자 올림피아의 판헬레니아 경기의 수호신.
- '''제우스 판헬레니오스''' ("모든 그리스인의 제우스"): 아이기나의 아이아코스 신전에서 숭배됨.
- '''제우스 크세니오스''' (Ξένιος), '''필록세논''', 또는 '''호스피테스''': 환대 (''크세니아'')와 손님의 수호신이자, 낯선 이에게 가해진 억울함을 벌하는 자.
제우스 신앙은 그리스 전역에서 행해졌으며, 최고의 원리로 받들어졌다. 고대 그리스인들은 제우스에게 일신교에 가까운 헌신과 경건함을 바쳤고, 다른 신들과 구분되었다. 제우스는 운명조차 초월했으며[386], 전지전능한 신에 걸맞는 위엄을 갖추고 있었다.
5. 1. 올림피아
올림피아는 제우스의 주요 신전이었으며, 그곳에서 4년마다 개최되는 고대 올림픽은 제우스를 찬양하는 전 그리스적인 큰 축제였다. 이 기간 동안 그리스인들은 모두 전쟁을 멈추고 고대 올림픽에 참가하기 위해 올림피아로 향했다. 이 여정은 제우스에 의해 보호받는다고 여겨졌다. 부정을 결코 저지르지 않겠다는 맹세를 제우스 호르키오스(맹세의 제우스)에게 바치고, 선수들은 여러 종목으로 나뉘어 경쟁했다. 고대 올림픽에서 우승한 자는 신들로부터 총애받는 자, 또는 신들의 피를 이은 자로 여겨졌고, 조국에서는 크게 칭찬받았다. 현재는 폐허가 되었지만, 당시 올림피아에 있는 제우스 신전 내부에는 12m가 넘는 금과 상아로 만들어진 거대한 제우스상이 우뚝 서 있었다고 한다. 이 거대한 제우스상은 세계 7대 불가사의 중 하나로도 유명하다.
또한, 마케도니아 왕국에 있는 제우스의 신전인 디온에서도 올림피아 축제가 개최되었다. 주최자는 헤라클레스의 혈통을 이었다고 여겨지는 마케도니아 왕가였으며, 이는 올림피아의 고대 올림픽에 이어 성황을 이루었다.
5. 2. 도도나
에페이로스에 있는 도도나는 그리스에서 가장 오래된 신탁소가 있었으며, 이곳의 신탁은 델포이에 이어 유명했다. 도도나 신탁소에는 제우스(Zeus)가 모셔져 있었고, 사제들은 제우스의 신성한 나무인 떡갈나무를 이용하여 신탁을 내렸다. 떡갈나무 잎의 바스락거리는 소리를 듣고 제우스의 신탁을 해석한 것이다. 도도나 신탁소는 산 속 깊이 위치해 교통이 불편했지만, 그 명성을 듣고 찾아오는 참배객이 끊이지 않았다.5. 3. 기타 숭배
제우스는 고대 그리스 올림포스 신화에서 최고의 신으로, 많은 영웅들의 아버지이자 여러 지역 의례에 등장한다. 호메로스의 서사시에서 "구름을 모으는 자"로 묘사되는 제우스는 하늘과 천둥의 신이자, 그리스 종교적 신념의 구현이었다.[273]제우스에 대한 인식은 지역에 따라 달랐으며, 지역적인 제우스는 이름 외에는 공통점이 거의 없었다. 이들은 서로 다른 권한을 행사하고 다른 방식으로 숭배되었는데, 일부 지역에서는 제우스를 하늘의 신이 아닌 지저의 지신으로 여기기도 했다. 이러한 지역 신들은 정복과 종교적 혼합을 통해 호메로스가 묘사한 제우스의 개념과 통합되었고, 지역적이거나 독특한 제우스는 신에 대한 다양한 개념을 구분하는 별칭을 가지게 되었다.[273]
제우스의 별칭들은 그의 광범위한 권위의 다양한 측면을 강조했다.
- '''제우스 아이기두코스''' 또는 '''아이기오코스''': 아이기스를 지닌 제우스로 해석되는데, 아이기스는 메두사의 머리가 박힌 신성한 방패이다.[274] 다른 해석으로는 제우스의 유모인 신성한 염소 아말테이아를 가리킨다고도 한다.[275][276]
- '''제우스 아고라이오스''' (Ἀγοραῖος): 시장의 수호신이자 부정직한 상인들을 처벌하는 신.
- '''제우스 아레이오스''' (Αρειος): "전쟁의 신" 또는 "속죄하는 자".
- '''제우스 엘레우테리오스''' (Ἐλευθέριος): "자유를 주는 자"로, 아테네에서 숭배되었다.[277]
- '''제우스 호르키오스''': 맹세의 수호자. 거짓말을 한 자는 올림피아의 신전에 제우스에게 봉납물 조각상을 바쳐야 했다.
- '''제우스 올림피오스''' (Ολύμπιος): 신들의 왕이자 올림피아의 판헬레니아 경기의 수호신.
- '''제우스 판헬레니오스''' ("모든 그리스인의 제우스"): 아이기나의 아이아코스 신전에서 숭배됨.
- '''제우스 크세니오스''' (Ξένιος), '''필록세논''', 또는 '''호스피테스''' : 환대 (''크세니아'')와 손님의 수호신이자, 낯선 이에게 가해진 억울함을 벌하는 자.
아테네에는 제우스에게 바치는 거대한 신전이 로마 제국 하드리아누스 치세에 건설되었다. 기원전 550년경 페이시스트라토스가 건설을 시작했으나, 히피아스가 쫓겨나면서 중단되었다가 하드리아누스가 부활시켜 완성했다. 올림피아 제우스 신전이라고 불리는 이 신전은 내부에 올림피아의 제우스상 복제품이 있었던 데서 유래하며, 고대 세계에서 가장 큰 신전이고 기둥은 코린트식이다.
6. 다른 신들과의 관계
제우스는 여러 신들과 관계를 맺으며 자식을 낳았다. 다음은 제우스와 다른 신들 사이의 관계와 그 자식들에 대한 설명이다.
배우자 | 자식 |
---|---|
헤라 | 헤파이스토스, 아레스, 에일레이투이아, 헤베 |
메티스 | 아테나 |
데메테르 | 페르세포네[260] |
디오네 | 아프로디테 |
레토 | 아폴론, 아르테미스 |
마이아 | 헤르메스 |
테미스 | 아스트라이아, 네메시스, 호라이, 모이라이 |
므네모쉬네 | 무사이 (칼리오페, 클레오, 에라토, 탈리아, 멜포메네, 우라니아, 폴륌니아, 에우테르페, 테릅시코레) |
에우리노메 | 카리테스 (아글라이아, 에우프로쉬네, 탈리아) |
다나에 | 페르세우스 |
아이기나 | 아이아코스 |
알크메네 | 헤라클레스 |
에우로페 | 미노스, 라다만튀스, 사르페돈 |
라오다미아 | 사르페돈 |
이오 | 에파푸스 |
라미아 | |
레다 | 폴뤼데우케스, 헬레네 |
세멜레 | 디오니소스 |
니오베 | 아르고스, 펠라스고스 |
올림피아스 | 알렉산드로스 대왕 |
칼리스토 | 아르카스 |
- 헤라: 결혼과 가정, 여성의 여신으로 제우스의 7번째 부인이자 정실부인이다.
- 헤파이스토스: 신들 중 최고의 손재주를 지닌 대장간, 불, 세공기술의 신이다. 렘노스에서 가장 크게 추앙받았다.
- 아레스: 잔인한 전쟁의 신으로, 살육과 광기, 야만의 신이다.
- 에일레이투이아: 출산의 여신이다. 호메로스에서는 여러 여신을 일컫는 명사로 나온다.
- 헤베: 청춘의 여신으로, 훗날 신이 된 헤라클레스의 아내가 된다.
- 메티스: 오케아노스의 딸로 지혜가 뛰어났다. 제우스의 첫 번째 아내였으나, 제우스가 가이아에게서 그녀가 밴 제우스의 자식이 새로운 권력자가 된다는 예언을 듣고 그녀를 삼켜버렸다.
- 아테나: 지혜와 전쟁의 여신이다. 기술(특히 직조기술)과 학문의 여신이기도 하다. 제우스가 가장 사랑한 딸로 제우스의 머리에서 태어났다. 도시국가 아테나이의 수호신이었다. 제우스의 방패(또는 흉갑) 아이기스를 지니고 완전무장한 채로 다녔다. 아레스가 무조건적이고 대책없는 전쟁신인데 비해 아테네는 전략적인 전쟁의 전쟁신이었다.
- 데메테르: 대지와 곡식의 여신이다.
- 페르세포네: 하데스에 의해 납치되어 하데스의 아내가 되었다.[260]
- 디오네: 오케아노스의 딸로, 도도네에서 제우스와 함께 그의 아내로 숭배받았다.
- 아프로디테: 사랑과 아름다움, 풍요의 여신이다. 제우스와 디오네 사이에서 태어났다고도 하고, 바다에 떨어진 우라노스의 잘린 남근에서 태어났다고도 한다.
- 레토: 제우스의 6번째 아내로 헤라 다음 가는 여신이었다.
- 아폴론: 광명과 신탁, 궁술과 음악, 문학과 목축, 운동과 청소년의 신이다. 그리스 신화에서 가장 인기가 많은 미남 신이었다. 아버지인 제우스 못지않은 바람둥이 신이었다. 델포이와 델로스가 그의 성지였다.
- 아르테미스: 사냥과 동물, 임신과 출산, 달과 처녀의 여신이다. 사냥을 즐기고 결혼을 거부하는 처녀신이었다. 에페소스와 델로스가 그녀의 성지였다.
- 마이아: 아틀라스와 플레이오네 사이에서 태어난 플레이아데스 여신들 중 하나였다.
- 헤르메스: 신들의 사자로, 전령, 여행, 나그네, 장사, 사기, 도둑질, 지혜, 과학, 목축, 운동의 신이었다. 제우스의 전령이었고 행운을 가져다주는 신이었다.
- 테미스: 법과 질서, 율법의 여신으로 티타니데스 중 하나이다.
- 아스트라이아: 정의의 여신. 항상 저울을 들고 다녔다.
- 네메시스: 복수(애정의 복수)의 여신이다. 하데스의 수하이다.
- 호라이: 계절과 시간, 때(時)의 여신으로 에이레네, 디케, 에우노미아를 말한다.
- 모이라이: 운명의 여신들로, 제우스조차 이들의 권한을 침범하지 못했다. 클로토, 라케시스, 아트로포스를 말한다.
- 므네모쉬네: 기억력의 여신으로 티타니데스 중 하나이다.
- 무사이: 단수는 무사로, 문학과 예술, 음악의 여신들이었다. 칼리오페(서사시), 클레오(역사, 역사시), 에라토(서정시, 연가), 탈리아(희극), 멜포메네(비극), 우라니아(천문학), 폴륌니아(신화, 무언극), 에우테르페(합창), 테릅시코레(춤, 합창)을 말한다.
- 에우리노메: 오케아노스의 딸로 제우스의 3번째 아내이다.
- 카리테스: 우아함과 미의 여신들로 아글라이아, 에우프로쉬네, 탈리아를 말한다.

참조
[1]
문서
The sculpture was presented to Louis XIV as Aesculapius but restored as Zeus
http://cartelfr.louv[...]
Louvre Museum
[2]
서적
Larousse Desk Reference Encyclopedia
The Book People
[3]
서적
Mythology
https://archive.org/[...]
Back Bay Books
[4]
서적
unnamed
https://books.google[...]
[5]
웹사이트
Zeus
https://referencewor[...]
[6]
서적
Il.
[7]
서적
Symp.
[8]
서적
Theogony
http://data.perseus.[...]
[9]
서적
Homeric Hymns
[10]
서적
Theogony
[11]
서적
Greek Religion
[12]
서적
Il.
[13]
웹사이트
Pausanias, 2.24.4
https://www.perseus.[...]
[14]
사전
LSJ
[15]
서적
Lives of Eminent Philosophers
https://www.perseus.[...]
[16]
웹사이트
The Linear B word di-we and di-wo
http://www.palaeolex[...]
[17]
사전
American Heritage Dictionary
http://ahdictionary.[...]
2006-07-03
[18]
서적
Etymological Dictionary of Greek
Brill
[19]
사전
OEtymD
[20]
서적
The Indo-European Language Family : A Phylogenetic Perspectiv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1]
논문
Sigmatic Verbal Formations in Anatolian and Indo-European: A Cladistic Stud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openhagen, Department of Nordic Studies and Linguistics
[22]
서적
Greek Religion
https://archive.org/[...]
Harvard University Press
[23]
서적
Plato's Cratylu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3-11-06
[24]
서적
The Makers of Hellas
https://archive.org/[...]
C. Griffin, Limited
[25]
서적
Limiting the Arbitrary
https://books.google[...]
John Benjamins
[26]
웹사이트
Diodorus Siculus, Bibliotheca Historica, Books I-V, book 5, chapter 72
https://www.perseus.[...]
[27]
서적
Divine Institutes
https://topostext.or[...]
[28]
서적
Theogony
http://data.perseus.[...]
[29]
서적
various
https://books.google[...]
[30]
서적
various
https://books.google[...]
[31]
서적
1.1.6
http://data.perseus.[...]
[32]
서적
various
https://books.google[...]
[33]
서적
various
https://books.google[...]
[34]
서적
various
https://books.google[...]
[35]
서적
various
https://archive.org/[...]
[36]
서적
West 1966
[37]
서적
De Mensibus
https://archive.org/[...]
PEG
[38]
서적
Hymn to Zeus
https://archive.org/[...]
[39]
서적
Fowler 2013
https://penelope.uch[...]
[40]
서적
Bibliotheca
http://data.perseus.[...]
[41]
서적
Theogony
https://archive.org/[...]
[42]
서적
Theogony
http://data.perseus.[...]
[43]
서적
Bibliotheca
http://data.perseus.[...]
[44]
서적
Bibliotheca
http://data.perseus.[...]
[45]
서적
Bibliotheca
http://data.perseus.[...]
[46]
서적
https://penelope.uch[...]
[47]
서적
https://penelope.uch[...]
[48]
서적
https://penelope.uch[...]
[49]
서적
https://penelope.uch[...]
[50]
서적
Fabulae
https://topostext.or[...]
[51]
서적
Fabulae
https://topostext.or[...]
[52]
서적
Fabulae
https://books.google[...]
[53]
서적
https://archive.org/[...]
[54]
서적
De Astronomica
https://topostext.or[...]
[55]
서적
https://topostext.or[...]
[56]
웹사이트
J. Paul Getty Museum
https://www.getty.ed[...]
[57]
서적
Theogony
http://data.perseus.[...]
[58]
서적
Theogony
http://data.perseus.[...]
[59]
서적
Theogony
https://books.google[...]
[60]
서적
Theogony
http://data.perseus.[...]
[61]
서적
Theogony
http://data.perseus.[...]
[62]
서적
Theogony
http://data.perseus.[...]
[63]
서적
Theogony
http://data.perseus.[...]
[64]
서적
Theogony
http://data.perseus.[...]
[65]
서적
Bibliotheca
http://data.perseus.[...]
[66]
서적
Bibliotheca
http://data.perseus.[...]
[67]
서적
Bibliotheca
http://data.perseus.[...]
[68]
서적
Homeric Hymn to Demeter
http://data.perseus.[...]
[69]
서적
Theogony
http://data.perseus.[...]
[70]
서적
https://books.google[...]
[71]
서적
null
https://books.google[...]
[72]
서적
null
https://books.google[...]
[73]
서적
null
https://books.google[...]
[74]
서적
null
https://books.google[...]
[75]
서적
null
http://data.perseus.[...]
[76]
서적
null
https://books.google[...]
[77]
서적
null
http://data.perseus.[...]
[78]
서적
null
https://books.google[...]
[79]
서적
null
https://books.google[...]
[80]
서적
null
http://data.perseus.[...]
[81]
서적
null
https://books.google[...]
[82]
서적
null
https://books.google[...]
[83]
서적
null
https://books.google[...]
[84]
서적
null
https://books.google[...]
[85]
서적
null
https://books.google[...]
[86]
서적
null
https://books.google[...]
[87]
서적
null
https://books.google[...]
[88]
서적
null
https://books.google[...]
[89]
서적
null
https://books.google[...]
[90]
서적
null
https://www.perseus.[...]
[91]
서적
null
https://books.google[...]
[92]
서적
null
https://books.google[...]
[93]
서적
null
https://books.google[...]
[94]
서적
null
https://books.google[...]
[95]
서적
null
https://books.google[...]
[96]
서적
null
https://books.google[...]
[97]
서적
null
https://books.google[...]
[98]
서적
null
https://books.google[...]
[99]
서적
null
https://books.google[...]
[100]
서적
null
http://data.perseus.[...]
[101]
서적
null
https://books.google[...]
[102]
서적
null
http://data.perseus.[...]
[103]
서적
null
http://data.perseus.[...]
[104]
서적
null
https://www.loebclas[...]
[105]
서적
null
https://www.loebclas[...]
[106]
웹사이트
Hesiod, Theogony
https://www.loebclas[...]
[107]
웹사이트
Hesiod, Theogony
https://www.loebclas[...]
[108]
서적
Unspecified
https://books.google[...]
Google Books
2004
[109]
혼합
Unspecified
http://data.perseus.[...]
Google Books
2004
[110]
혼합
Bibliotheca
http://data.perseus.[...]
Google Books
2004
[111]
혼합
Bibliotheca
http://data.perseus.[...]
Google Books
2004
[112]
혼합
Iliad
http://data.perseus.[...]
2004
[113]
혼합
Unspecified
https://books.google[...]
2004
[114]
혼합
Unspecified
https://archive.org/[...]
1875a
[115]
혼합
Unspecified
https://archive.org/[...]
2004
[116]
혼합
Unspecified
http://data.perseus.[...]
[117]
혼합
Unspecified
https://www.loebclas[...]
[118]
혼합
Unspecified
https://archive.org/[...]
1903b
[119]
서적
Bibliotheca
[120]
서적
Unspecified
https://archive.org/[...]
[121]
혼합
Unspecified
https://books.google[...]
2004
[122]
혼합
Unspecified
https://books.google[...]
[123]
혼합
Unspecified
https://topostext.or[...]
2015
[124]
서적
Bibliotheca
http://data.perseus.[...]
[125]
혼합
Unspecified
https://penelope.uch[...]
2004
[126]
서적
Divine Institutes
[127]
혼합
Unspecified
http://data.perseus.[...]
2004
[128]
혼합
Unspecified
https://archive.org/[...]
1903b
[129]
혼합
Unspecified
https://archive.org/[...]
[130]
혼합
Unspecified
https://archive.org/[...]
[131]
서적
Unspecified
https://archive.org/[...]
[132]
혼합
Unspecified
https://www.loebclas[...]
1875a
[133]
혼합
Helen
https://www.loebclas[...]
2004
[134]
혼합
Unspecified
https://archive.org/[...]
2004
[135]
혼합
Bibliotheca
http://data.perseus.[...]
2004
[136]
혼합
Unspecified
https://archive.org/[...]
1875b
[137]
혼합
Unspecified
https://books.google[...]
2004
[138]
혼합
Dionysiaca
https://archive.org/[...]
[139]
서적
Unspecified
https://books.google[...]
2004
[140]
혼합
Bibliotheca
http://data.perseus.[...]
2004
[141]
서적
pp. 170–1
https://books.google[...]
2004
[142]
서적
[143]
서적
[144]
웹사이트
Library of History
https://penelope.uch[...]
[145]
서적
[146]
서적
p. 247
http://data.perseus.[...]
2004
[147]
서적
Brill's New Pauly
https://referencewor[...]
2004
[148]
서적
De Astronomica
https://topostext.or[...]
[149]
서적
p. 238
https://books.google[...]
2004
[150]
서적
p. 337
https://books.google[...]
2004
[151]
서적
Dialogues of the Gods
https://archive.org/[...]
2004
[152]
서적
p. 137
https://books.google[...]
2004
[153]
서적
Helen
http://data.perseus.[...]
2004
[154]
서적
Deipnosophists
https://www.loebclas[...]
2004
[155]
서적
Theogony
http://data.perseus.[...]
2004
[156]
서적
Theogony
http://data.perseus.[...]
2004
[157]
서적
Theogony
http://data.perseus.[...]
2004
[158]
서적
Orphic Hymn
https://books.google[...]
1983
[159]
서적
Compendium Theologiae Graecae
[160]
서적
Theogony
http://data.perseus.[...]
2004
[161]
서적
Theogony
http://data.perseus.[...]
2004
[162]
서적
Theogony
http://data.perseus.[...]
2004
[163]
서적
Theogony
http://data.perseus.[...]
2004
[164]
서적
Theogony
http://data.perseus.[...]
2004
[165]
서적
Theogony
http://data.perseus.[...]
2004
[166]
서적
p. 78
https://books.google[...]
2004
[167]
서적
p. 78
https://books.google[...]
2004
[168]
서적
Iliad
http://data.perseus.[...]
[169]
서적
Iliad
https://www.perseus.[...]
[170]
서적
Iliad
[171]
서적
Catalogue of Women
https://www.loebclas[...]
[172]
서적
Catalogue of Women
https://www.perseus.[...]
[173]
서적
Catalogue of Women
https://www.loebclas[...]
[174]
서적
Brill's New Pauly
https://referencewor[...]
[175]
웹사이트
Idylls
https://de.wikisourc[...]
[176]
서적
Fabulae
https://topostext.or[...]
ToposText
[177]
서적
Iliad
http://data.perseus.[...]
Perseus Digital Library
[178]
서적
Iliad
http://data.perseus.[...]
Perseus Digital Library
[178]
서적
Iliad
http://data.perseus.[...]
Perseus Digital Library
[178]
서적
Iliad
http://data.perseus.[...]
Perseus Digital Library
[178]
서적
Odyssey
http://data.perseus.[...]
Perseus Digital Library
[178]
서적
https://books.google[...]
[178]
서적
https://books.google[...]
[178]
서적
[179]
서적
Iliad
http://data.perseus.[...]
Perseus Digital Library
[179]
서적
https://books.google[...]
[179]
웹사이트
Sarpedon (2)
https://www.perseus.[...]
Perseus Digital Library
[180]
서적
Iliad
http://data.perseus.[...]
Perseus Digital Library
[180]
서적
Iliad
http://data.perseus.[...]
Perseus Digital Library
[180]
서적
Iliad
http://data.perseus.[...]
Perseus Digital Library
[180]
서적
Odyssey
http://data.perseus.[...]
Perseus Digital Library
[180]
서적
Odyssey
http://data.perseus.[...]
Perseus Digital Library
[180]
서적
Odyssey
http://data.perseus.[...]
Perseus Digital Library
[180]
서적
Iliad
http://data.perseus.[...]
Perseus Digital Library
[180]
서적
[181]
웹사이트
Cypria
https://www.loebclas[...]
Loeb Classical Library
[181]
서적
https://books.google[...]
[182]
서적
Catalogue of Women
https://www.loebclas[...]
Loeb Classical Library
[182]
서적
[182]
서적
De Mensibus
[183]
서적
Bibliotheca
http://data.perseus.[...]
Perseus Digital Library
[183]
서적
Catalogue of Women
https://www.loebclas[...]
Loeb Classical Library
[183]
서적
Odyssey
[183]
서적
[184]
서적
Catalogue of Women
https://www.loebclas[...]
Loeb Classical Library
[184]
서적
De Thematibus
[185]
서적
Olympian
http://data.perseus.[...]
Perseus Digital Library
[185]
서적
[186]
서적
Histories
http://data.perseus.[...]
Perseus Digital Library
[187]
서적
Ethnica
https://topostext.or[...]
ToposText
[187]
서적
[188]
웹사이트
Tityus
https://referencewor[...]
Brill's New Pauly
[188]
서적
https://books.google[...]
[188]
서적
FGrHist
[188]
서적
[188]
서적
https://books.google[...]
[189]
서적
De Natura Deorum
https://archive.org/[...]
Internet Archive
[190]
서적
Bibliotheca historica
https://penelope.uch[...]
University of Chicago
[191]
서적
https://penelope.uch[...]
University of Chicago
[191]
웹사이트
Saon
https://www.perseus.[...]
Perseus Digital Library
[192]
서적
De Natura Deorum
https://archive.org/[...]
Internet Archive
[193]
서적
Fabulae
https://topostext.or[...]
ToposText
[194]
서적
Geographica
https://topostext.or[...]
ToposText
[195]
서적
Argonautica
[196]
서적
Fabulae
https://topostext.or[...]
ToposText
[196]
서적
https://topostext.or[...]
ToposText
[196]
서적
http://data.perseus.[...]
Perseus Digital Library
[196]
서적
[196]
서적
https://books.google[...]
[197]
서적
Bibliotheca
http://data.perseus.[...]
Perseus Digital Library
[197]
서적
[197]
웹사이트
Asopus
https://www.perseus.[...]
Perseus Digital Library
[198]
서적
Bibliotheca
http://data.perseus.[...]
Perseus Digital Library
[198]
서적
https://books.google[...]
[199]
서적
Bibliotheca
http://data.perseus.[...]
Perseus Digital Library
[199]
서적
http://data.perseus.[...]
Perseus Digital Library
[199]
서적
https://books.google[...]
[199]
서적
[200]
웹사이트
Calyce (1)
https://referencewor[...]
Brill's New Pauly
[200]
웹사이트
Endymion
https://www.perseus.[...]
Perseus Digital Library
[200]
서적
Bibliotheca
http://data.perseus.[...]
Perseus Digital Library
[201]
서적
Bibliotheca
http://data.perseus.[...]
Perseus Digital Library
[201]
서적
[202]
서적
Bibliotheca
http://data.perseus.[...]
Perseus Digital Library
[202]
서적
https://books.google[...]
[203]
서적
Dionysiaca
https://topostext.or[...]
ToposText
[204]
서적
Bibliotheca historica
https://topostext.or[...]
ToposText
[205]
서적
Bibliotheca
http://data.perseus.[...]
Perseus Digital Library
[205]
서적
https://books.google[...]
[206]
서적
FGrHist
[206]
서적
Olympian
[207]
서적
http://data.perseus.[...]
Perseus Digital Library
[207]
서적
https://archive.org/[...]
Internet Archive
[207]
웹사이트
Britomartis
https://www.perseus.[...]
Perseus Digital Library
[208]
서적
[208]
서적
https://archive.org/[...]
Internet Archive
[208]
서적
Argonautica
[209]
서적
De Natura Deorum
https://archive.org/[...]
Internet Archive
[209]
서적
Deipnosophistae
https://www.loebclas[...]
Loeb Classical Library
[210]
서적
https://topostext.or[...]
ToposText
[210]
웹사이트
Acragas
https://www.perseus.[...]
Perseus Digital Library
[211]
서적
Pythian Odes
Hesychius of Alexandria
[212]
서적
FGrHist
[213]
웹사이트
Agdistis
https://www.perseus.[...]
[214]
웹사이트
Roman Antiquities
https://topostext.or[...]
[215]
웹사이트
Dionysiaca
https://topostext.or[...]
[216]
서적
Orphic Hymn to Melinoë
https://archive.org/[...]
[217]
웹사이트
Zagreus
https://archive.org/[...]
[218]
웹사이트
De Natura Deorum
https://archive.org/[...]
[219]
서적
https://books.google[...]
[220]
서적
https://archive.org/[...]
[221]
서적
Homeric Hymn to Selene
http://data.perseus.[...]
[222]
웹사이트
Bibliotheca
http://data.perseus.[...]
[223]
서적
Orphic fr. 58 Kern
https://archive.org/[...]
[224]
웹사이트
Thaleia (3)
https://www.perseus.[...]
[225]
웹사이트
Myrmidon
https://archive.org/[...]
[226]
웹사이트
Krētē
https://topostext.or[...]
[227]
웹사이트
Epaphus
https://archive.org/[...]
[228]
웹사이트
Dionysiaca
https://topostext.or[...]
[229]
웹사이트
Metamorphoses
https://topostext.or[...]
[230]
웹사이트
Description of Greece
https://www.perseus.[...]
[231]
웹사이트
Themisto
https://referencewor[...]
[232]
웹사이트
Description of Greece
http://data.perseus.[...]
[233]
웹사이트
Ōlenos
https://topostext.or[...]
[234]
웹사이트
Pisidia
https://topostext.or[...]
[235]
웹사이트
Orchomenus (3)
https://www.perseus.[...]
[236]
웹사이트
Agamedes
https://www.perseus.[...]
[237]
웹사이트
Bibliotheca
https://topostext.or[...]
[238]
웹사이트
Description of Greece
https://www.perseus.[...]
[239]
서적
Commentary on Homer
[240]
웹사이트
Commentary on Virgil's Aeneid
https://www.perseus.[...]
[241]
웹사이트
Bibliotheca
https://www.perseus.[...]
[242]
웹사이트
Fabulae
https://topostext.or[...]
[243]
웹사이트
Olympian Ode
https://www.perseus.[...]
[244]
서적
De mensibus
[245]
웹사이트
Commentary on Lycophron
https://archive.org/[...]
2024-02-00
[246]
서적
Iliad
http://data.perseus.[...]
[247]
웹사이트
Apollonius Rhodius, Argonautica, book 2, line 887
https://www.perseus.[...]
[248]
서적
Orphic Hymn to Dionysus
https://archive.org/[...]
Athanassakis and Wolkow
[249]
서적
Iliad, Posthomerica
http://data.perseus.[...]
[250]
서적
Argonautica
[251]
서적
Ethnica
https://topostext.or[...]
[252]
서적
https://www.perseus.[...]
[253]
서적
Bibliotheca historica
[254]
서적
Theogony
http://data.perseus.[...]
[255]
서적
Works and Days
http://data.perseus.[...]
[256]
서적
Metamorphoses
https://topostext.or[...]
[257]
서적
Flood, The Oxford Companion to World Mytholog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9-02-14
[258]
웹사이트
The Gods in the Iliad
https://web.archive.[...]
2015-12-02
[259]
서적
The Iliad
Penguin Classics
[260]
서적
Fabulae
https://topostext.or[...]
[261]
서적
https://books.google[...]
[262]
서적
Legatio Pro Christianis
https://books.google[...]
[263]
서적
Bibliotheca
https://topostext.or[...]
[264]
서적
Bibliotheca
https://topostext.or[...]
[265]
서적
Isthmian odes
https://topostext.or[...]
[266]
서적
https://www.perseus.[...]
[267]
서적
Bibliotheca historica
https://topostext.or[...]
[268]
서적
Theogony
http://data.perseus.[...]
[269]
서적
https://books.google[...]
[270]
서적
Metamorphoses, De Astronomica, Dionysiaca
https://www.poetryin[...]
[271]
서적
Dialogues of the Gods
http://lucianofsamos[...]
[272]
서적
A Catalogue of Sculpture in the Department of Greek and Roman Antiquities
British Museum
[273]
논문
The Propitiation of Zeus
https://www.jstor.or[...]
[274]
서적
Iliad, Isthmian Odes, De Astronomica
http://www.perseus.t[...]
[275]
서적
ad Callim. hymn. in Jov
[276]
서적
Aegiduchos,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Biography and Mythology
https://web.archive.[...]
2007-10-19
[277]
서적
Carnage and Culture: Landmark Battles in the Rise to Western Power
https://books.google[...]
Knopf Doubleday Publishing Group
2007-12-18
[278]
서적
[279]
서적
Zeus: A Study in Ancient Religion
http://digi.ub.uni-h[...]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14
[280]
웹사이트
A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biography and mythology, Aene'ius
https://www.perseus.[...]
[281]
웹사이트
A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biography and mythology, Aethiops
https://www.perseus.[...]
[282]
웹사이트
A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biography and mythology, Aetnaeus
https://www.perseus.[...]
[283]
웹사이트
A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biography and mythology, Agamemnon
https://www.perseus.[...]
[284]
웹사이트
A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biography and mythology, Agetor
https://www.perseus.[...]
[285]
웹사이트
A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biography and mythology, Agonius
https://www.perseus.[...]
[286]
웹사이트
Suda, alpha, 1155
https://www.cs.uky.e[...]
[287]
웹사이트
A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biography and mythology, Alexicacus
https://www.perseus.[...]
[288]
웹사이트
Zeus Titles & Epithets - Ancient Greek Religion
https://www.theoi.co[...]
Theoi Project
[289]
웹사이트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Geography (1854), Apesas
https://www.perseus.[...]
[290]
웹사이트
Zeus
https://www.perseus.[...]
William J. Slater, Lexicon to Pindar
[291]
웹사이트
A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biography and mythology, Atho'us
https://www.perseus.[...]
[292]
서적
Antioch as a Centre of Hellenic Culture as Observed by Libanius
https://books.google[...]
Liverpool University Press
[293]
웹사이트
Capitains Nemo
https://web.archive.[...]
2020-05-23
[294]
서적
Ancient Antioch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5
[295]
웹사이트
Suda, kappa, 1521
https://www.cs.uky.e[...]
[296]
사전
LSJ
[297]
웹사이트
Suda, delta, 1446
https://www.cs.uky.e[...]
[298]
웹사이트
A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Antiquities (1890), Vinum
https://www.perseus.[...]
[299]
웹사이트
Athenaeus, The Deipnosophists, 5.74
https://www.perseus.[...]
[300]
웹사이트
Henry George Liddell, Robert Scott, A Greek-English Lexicon, Eilapinastes
https://www.perseus.[...]
[301]
웹사이트
Agora Monument Stoa of Zeus - ASCSA.net
https://agora.ascsa.[...]
[302]
웹사이트
ε 804
https://www.cs.uky.e[...]
[303]
웹사이트
Plutarch, Theseus, 14
https://www.perseus.[...]
[304]
웹사이트
ε 3269
https://www.cs.uky.e[...]
[305]
웹사이트
Stephanus of Byzantium, Ethnica, Y650.13
https://topostext.or[...]
[306]
웹사이트
Idaeus
https://referencewor[...]
[307]
웹사이트
A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Antiquities (1890), William Smith, LLD, William Wayte, G. E. Marindin, Ed., Ithomaea
https://www.perseus.[...]
[308]
웹사이트
Suda, kappa, 887
https://www.cs.uky.e[...]
[309]
서적
The Orphic Hymns
https://books.googl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310]
웹사이트
Harry Thurston Peck, Harpers Dictionary of Classical Antiquities (1898), Laphystium
https://www.perseus.[...]
[311]
웹사이트
The Temple of Zeus Lepsinos at Euromus
https://libdigitalco[...]
[312]
웹사이트
Henry George Liddell, Robert Scott, A Greek-English Lexicon, leukaia
http://www.perseus.t[...]
[313]
웹사이트
s.v. Maemactes
https://www.perseus.[...]
[314]
웹사이트
Zeus Meilichios shrine (Athens)
https://topostext.or[...]
[315]
웹사이트
Pausanias, Description of Greece, *)hliakw=n *a, chapter 15, section 5
https://www.perseus.[...]
[316]
웹사이트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Geography (1854), Oeneon
https://www.perseus.[...]
[317]
웹사이트
ToposText
https://topostext.or[...]
[318]
웹사이트
CGRN File
http://cgrn.ulg.ac.b[...]
[319]
웹사이트
A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biography and mythology, Ogoa
https://www.perseus.[...]
[320]
웹사이트
Pausanias, Description of Greece, 8.10.4
https://www.perseus.[...]
[321]
웹사이트
Strabo, Geography, 14.2
https://www.perseus.[...]
[322]
웹사이트
The Princeton Encyclopedia of Classical Sites, PANAMARA (Bağyaka) Turkey
https://www.perseus.[...]
[323]
웹사이트
Ancient Inscription about Zeus Panamaros
https://epigraphy.pa[...]
[324]
웹사이트
A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biography and mythology, Panhellenius
https://www.perseus.[...]
[325]
웹사이트
Harry Thurston Peck, Harpers Dictionary of Classical Antiquities (1898), Panhellenius
https://www.perseus.[...]
[326]
서적
Childhood in Ancient Athens: Iconography and Social History
https://books.google[...]
Routledge
[327]
웹사이트
Athenaeus, The Deipnosophists, 14.45
https://www.perseus.[...]
[328]
서적
Childhood in Ancient Athens: Iconography and Social History
https://books.google[...]
Routledge
[329]
웹사이트
Temple of Zeus Sosipolis from Magnesia on the Maeander
https://artsandcultu[...]
[330]
웹사이트
pseudo-Aristotle, De mundo, Aristotelis Opera, Volume 3, Oxford, Bekker, 1837
https://cts.perseids[...]
2022-10-01
[331]
웹사이트
Plutarch, Parallela minora, section 3
https://www.perseus.[...]
[332]
웹사이트
A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biography and mythology, Zygia and Zygius
https://www.perseus.[...]
[333]
웹사이트
Gaza
http://www.plekos.un[...]
[334]
서적
The Life of Greece
Simon & Schuster
[335]
서적
Minoans: Life in Bronze-Age Crete
Routledge
[336]
서적
The Origins of Greek Religion
de Gruyter
[337]
서적
Zeus
Cambridge University Press
[338]
서적
Minoan-Mycenaean Religion, and Its Survival in Greek Religion
[339]
서적
Minoans: Life in Bronze-Age Crete
[340]
서적
Prehistoric Crete
Penguin
[341]
서적
The Origins of Greek Religion
[342]
문서
Lycaon's banquet for the gods
[343]
문서
morphological connection to lyke "brightness"
[344]
서적
Lykaia and Lykaion
University of California
[345]
웹사이트
Pausanias, Description of Greece, 8.38
https://www.perseus.[...]
[346]
문서
Republic 565d-e
[347]
서적
Zeus: A Study in Ancient Relig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348]
웹사이트
Strabo, Geographica, 14.1.42
https://www.perseus.[...]
[349]
웹사이트
Pausanias, Description of Greece, 4.33.2
https://www.perseus.[...]
[350]
웹사이트
A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Antiquities (1890), Hecatomphonia
https://www.perseus.[...]
[351]
웹사이트
Harry Thurston Peck, Harpers Dictionary of Classical Antiquities (1898), Hecatomphonia
https://www.perseus.[...]
[352]
웹사이트
Perseus Encyclopedia, Hecatomphonia
https://www.perseus.[...]
[353]
웹사이트
Pausanias, Description of Greece, 4.19.3
https://www.perseus.[...]
[354]
논문
Schol. ad Pind. Ol. vi. 162
[355]
논문
Hesiod, according to a scholium on Apollonius of Rhodes. Argonautika, ii. 297
[356]
서적
Odyssey 14.326-7
[357]
웹사이트
Pausanias, 3.18
https://www.perseus.[...]
[358]
서적
Freedom, Progress, and Society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Publishers
[359]
성경
2 Maccabees 6:2
[360]
서적
Daniel
Westminster John Knox Press
[361]
서적
Olympus: An Indian Retelling of Greek Myths
[362]
논문
Mit(h)ra(s) and the Myths of the Sun
2004
[363]
서적
Magical Hymns from Roman Egypt: A Study of Greek and Egyptian Traditions of Divin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6-10-13
[364]
서적
Indo-European Poetry and Myth
https://web.archive.[...]
Oxford University Press
2007-05-07
[365]
웹사이트
Zeus: A Study in Ancient Religion
https://archive.org/[...]
[366]
서적
The Play of Texts and Fragments: Essays in Honour of Martin Cropp
http://www.perseus.t[...]
[367]
웹사이트
Zeus: A Study in Ancient Religion
https://archive.org/[...]
[368]
웹사이트
Zeus: A Study in Ancient Religion
https://archive.org/[...]
[369]
웹사이트
Zeus: A Study in Ancient Religion
https://archive.org/[...]
[370]
웹사이트
Zeus: A Study in Ancient Religion
https://archive.org/[...]
[371]
웹사이트
Zeus: A Study in Ancient Religion
https://archive.org/[...]
[372]
서적
The Gods of the Greeks
1951
[373]
서적
Fourth Tractate 'Problems of the Soul'
[374]
웹사이트
Online Bible Study Tools – Library of Resources
https://www.biblestu[...]
[375]
서적
The International Standard Bible Encyclopaedia
1960
[376]
웹사이트
The Second Book of the Maccabees < Deuterocanonical Books (Deuterocanon) | St-Takla.org
https://st-takla.org[...]
[377]
서적
Theogony
[378]
서적
Iliad and Odyssey
http://data.perseus.[...]
[379]
서적
Theogony
https://www.perseus.[...]
[380]
서적
Theogony
https://www.perseus.[...]
[381]
서적
Theogony
https://www.perseus.[...]
[382]
서적
Iliad and Odyssey
http://data.perseus.[...]
[383]
서적
マンガギリシア神話1 オリュンポスの神々
中公文庫
2003
[384]
서적
ギリシア神話(上)
新潮文庫
1969
[385]
서적
神統記
岩波文庫
1984
[386]
서적
ギリシア神話の発想
1980
[387]
서적
ギリシア神話
青土社
1991
[388]
서적
ギリシア神話
[389]
서적
図書館
[390]
서적
ギリシア神話
青土社
199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