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시나 모리우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시나 모리우지는 센고쿠 시대의 무장으로, 아시나 가문의 16대 당주이다. 1521년에 태어나 1541년 가독을 상속받았으며, 1561년 은거 후 시시사이(止々斎)라는 법명을 사용했다. 그는 아이즈 지역으로 세력을 확장하고 다테 가문과의 분쟁에서 활약했으며, 다무라 가문, 사타케 가문 등과 대립했다. 만년에는 가문의 쇠퇴를 겪었으며, 1580년에 사망했다. 그는 금주령을 내리고 측실을 두지 않는 등 독특한 면모를 보이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시나씨 - 와카마쓰성
    와카마쓰성은 1384년 축성되어 아즈치모모야마 시대부터 에도 시대까지 아이즈 지방을 대표하는 성곽으로, 가모 우지사토에 의해 근세 성곽으로 개축되어 쓰루가성으로 개명되었고, 보신 전쟁 후 복원되어 현재는 박물관으로 활용되며 일본 100명성에 선정되었으나, 역사 왜곡 시도와 역사적 의미에 대한 논란이 있다.
  • 아시나씨 - 스리아게하라 전투
    1589년 다테 마사무네가 아시나 가문을 격파한 스리아게하라 전투는 다테 마사무네의 영토 확장과 아시나 가문 내부 분열을 배경으로, 다테 마사무네가 남 오슈의 패자가 되었으나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오슈 시오키로 영지를 몰수당했으며, 문화적 영향도 남겼다.
  • 1521년 출생 - 다케다 신겐
    다케다 신겐은 가이 겐지 출신으로 센고쿠 시대를 대표하는 무장으로, '가이의 호랑이'라 불리며 우에스기 겐신과의 가와나카지마 전투, 이마가와 요시모토, 호조 우지야스와의 동맹, 오다 노부나가와의 일시적 동맹, 도쿠가와 이에야스와의 미카타가하라 전투 등 격변의 시대를 살았다.
  • 1521년 출생 - 모가미 요시모리
    모가미 요시모리는 센고쿠 시대의 무장으로, 다테 씨와의 관계 속에서 세력을 확장했으며, 아들 모가미 요시아키와의 갈등 끝에 은거하고 70세에 사망했다.
  • 1580년 사망 - 안드레아 팔라디오
    안드레아 팔라디오는 고대 로마 건축 원리에 기반한 팔라디오 양식을 정립하여 르네상스 건축에 큰 영향을 미친 이탈리아 건축가로, 《건축 사서》를 통해 이론적 기반을 제시하고 팔라디안 건축 운동을 일으켰다.
  • 1580년 사망 - 혜정옹주
    혜정옹주는 조선 중종의 딸로 태어나 혜정옹주로 봉해졌으며, 홍여와 혼인하여 딸을 낳았고, 폐서인되었다가 복권되었으며, 사위 윤호에게 의지하며 살다가 사망했다.
아시나 모리우지
기본 정보
아시나 모리우지 초상 (도쿄 대학 사료편찬소 소장)
아시나 모리우지 초상 (도쿄 대학 사료편찬소 소장)
씨족아시나 씨
시대센고쿠 시대
출생다이에이 원년 (1521년)
사망덴쇼 8년 6월 17일 (1580년7월 28일)
이명유명: 시로마루
가명: 헤이시로
호: 도도시사이
시호해당 사항 없음
신호해당 사항 없음
계명해당 사항 없음
묘소아이즈와카마쓰시덴네이지마치의 소에이지 (후쿠시마현아이즈와카마쓰시)
관위종4위하, 수리대부
가족 관계
부모아버지: 아시나 모리쓰나
어머니: 가네가미 모리오키의 딸
형제우지카타
아시나 모리우지
여자 (호리우치 지카타네의 부인)
배우자정실: 다테 다네무네의 딸
자녀모리오키
여자 (유키 요시치카의 부인)
양자모리타카 (니카이도 모리요시의 아들)
기타 정보
주군해당 사항 없음
막부해당 사항 없음
해당 사항 없음

2. 생애

다이에이 원년(1521년)에 아시나 가문 제15대 당주 아시나 모리키요의 아들로 태어났다.

에이로쿠 6년(1563년), 스카가와 성(須賀川城) 성주 니카이도 모리요시(二階堂盛義)를 공격하여 이와세군으로 진격하였다. 모리요시는 다테 하루무네의 장녀와 결혼하였기 때문에, 다테 군이 니카이도 가문을 구원하기 위하여 몇 번에 걸쳐 히바라(桧原)로 공격해 들어왔으나 이와야마 성(岩山城) 성주 아나자와 노부노리가 이를 격퇴하였다. 에이로쿠 9년(1566년)에는 니카이도 모리요시가 적남 모리타카를 인질로 보내고 항복하였기 때문에, 모리오키의 정실로 하루무네의 4녀 히코히메(彦姫)를 맞이하는 조건으로 아시나·다테 연합군과 화의를 맺었다. 덴쇼 2년(1574년)에는, 다테 사네모토와 함께 다무라 가문 휘하의 하타케야마 요시쿠니와 오우치 요시쓰나를 격파하고, 다무라 기요아키를 종속시켰다.

2. 1. 가독 상속과 세력 확장

덴분 6년(1537년) 다테 다네무네의 딸을 정실로 맞이하였고, 덴분 10년(1541년)에 가독을 상속하였다.[4]

덴분 11년(1542년), 야마노우치 가문(山内氏)을 쳐서 아이즈(会津)로 세력을 확대하였다. 같은 해에 발생한 다테 가문의 내분인 덴분의 난에서는, 당초에는 장인 다네무네의 편을 들었으나, 덴분 16년(1547년)에 같은 다네무네 파 다무라 다카아키와의 충돌로 하루무네 파로 돌아섰다. 이것으로 하루무네 파가 결정적으로 우위를 점하게 되어 덴분의 난은 하루무네의 승리로 끝나게 되었다.

덴분 19년(1550년)부터 본격적으로 나카도오리(中通り) 지방으로 진출하기 시작하여 다무라 다카아키와 싸웠다. 그러나 다카아키의 맹우 히타치의 사타케 가문의 방해로 진출이 순조롭게 진행되지 않아서, 사타케 가문의 적 호조 우지야스다케다 신겐과 동맹을 맺고 사타케 가문에 대항하였다.[4]

2. 2. 내정 강화와 은거

덴분 10년(1541년)에 가독을 상속받았다. 덴분 11년(1542년) 야마노우치 가문을 쳐서 아이즈로 세력을 확대하였다. 내정면에서는 야나다 씨를 상인 관리인으로 기용하여 유통 지배를 강화하였다. 에이로쿠 4년(1561년), 서형 우지카타의 모반을 진압하였다. 이 해, 모리우지는 가독을 적남 모리오키에게 물려주고 오누마군 이와자키 성으로 은거하고, 삭발하여 '''시시사이'''(止々斎)라는 법명을 얻었다. 그러나 은거 후에도 정치적·군사적 실권을 장악하고 계속 가문을 통제하였다.

2. 3. 모리오키의 죽음과 만년

에이로쿠 4년(1561년), 모리우지는 가독을 적남 모리오키(盛興)에게 물려주고 오누마군 이와자키 성으로 은거하고, 삭발하여 '''시시사이'''(止々斎)라는 법명을 얻었다. 그러나 은거 후에도 정치적·군사적 실권을 장악하고 계속 가문을 통제하였다.[4]

덴쇼 2년(1574년) 6월, 아들 모리오키가 29세의 젊은 나이로 급사하였다. 모리우지의 유일한 아들이었던 모리오키에게는 아들이 없었기 때문에, 인질로 삼고 있던 니카이도 모리요시의 아들 모리타카를 모리오키의 미망인(다테 하루무네의 딸)과 결혼시켜 아시나 가문의 가독을 잇게 하고, 모리우지가 후견인으로서 정무를 집행하였다.[4]

그 뒤에도 모리우지는 덴쇼 3년(1575년)에는 사위 유키 요시치카(結城義親)를 지원하여 시라카와 유키 가문(白河結城氏)의 가독 상속 문제에 개입하거나, 덴쇼 6년(1578년)에는 우에스기 겐신의 사후 일어난 우에스기 가게카쓰와 우에스기 가케토라 간의 후계자 분쟁(오타테의 난(御館の乱))에 개입하여 에치고로 출병하는 등 적극적인 공세를 계속하였다.[4]

그러나 니카이도 가문 출신의 신 당주 모리타카에게 반발하는 중신들과의 불화와 긴 기간에 걸친 다무라·사타케 와의 항쟁에 따른 전비 부족 등, 모리우지 만년에는 이미 아시나 가문은 서서히 전성기의 힘을 상실하게 되었다.[4]

덴쇼 8년(1580년) 6월 17일, 모리우지는 사망하였다.[4] 향년 60세.

3. 인물 및 일화


  • 모리우지의 만년(모리오키 사후), 구로가와 성(黒川城) 아래에 "데이네이지 강가의 돌은 야마토 님이, 마을의 세금은 누가 걷어가나"라는 낙서장이 붙었다고 한다. 이것은 돌이라면 사족을 못 썼다는 아시나 가문의 중신 사세 야마토노카미 다네쓰네(佐瀬大和守種常)가 자신의 수석 취미를 위하여 세금을 심하게 징수하고 있다는 시정을 풍자하는 것으로, 모리우지의 만년에는 아시나 가문의 쇠퇴가 시작되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 모리우지는 두 번에 걸쳐 금주령을 내렸다. 첫 번째 이유는 불명이지만, 두 번째는 적남 모리오키가 술 중독으로 급사했기 때문이라고 여겨진다.
  • 모리우지는 측실을 두지 않았고, 그로 인해 태어난 아들은 적자 모리오키 단 한 명이었다. 이는 아시나 가문의 쇠퇴의 원인이 되기도 했다. 후계자 확보를 위해 측실을 두는 것이 일반적이었던 시대에 측실을 두지 않은 모리우지의 의도는 분명하지 않지만, "근대적인 청결함이 있다"고 평가받고 있다.
  • 모리우지의 만년에 다테 데루무네는 자신의 차남(후일 다테 고지로)이 성장하면 모리우지의 양자로 삼겠다는 제안을 했고, 이에 응하는 약속을 교환했다[7]。모리우지 사후 발생한 아시나 씨의 가독 문제에서 데루무네와 그의 적자 마사무네는 그 약속의 이행(고지로가 아시나 씨의 양자가 되는 것은 동씨의 가독을 잇는 것을 의미한다)을 요구했다. 그러나 사타케 씨와의 관계를 강화하고 있던 아시나 씨의 가신단은 이에 응하지 않고 아시나·다테 양씨의 관계가 악화되어 마사무네가 아시나 씨 및 사타케 씨와 싸우는 원인이 되었다[8]

4. 가계

관계이름
아버지아시나 모리우지
어머니카네가미 모리오키의 딸
형제자매아시나 시카타, 여자 (호리우치 치카타네의 부인)
정실다테 타네무네의 딸
아들아시나 모리오키
여자 (유우키 요시치카의 부인)
양자아시나 모리타카 (니카이도 모리요시의 아들)


5. 가신

이름
마쓰모토 시스케
사세 타네쓰네
토미타 우지자네
토미타 타카자네
히라타 시게노리
게이토쿠 노리시게
니카이도 모리요시
카네가미 모리토모
이나와시로 모리쿠니
이나와시로 모리타네
하리오 모리노부


참조

[1] 서적 Historical and Geographical Dictionary of Japan
[2] 서적 Archives of Asian Art https://books.google[...] Asia Society 1982-01-01
[3] 서적 Japanese Art: Selections from the Mary and Jackson Burke Collection: [exhibition] https://archive.org/[...] Metropolitan Museum of Art 1975-01-01
[4] 서적
[5] 문서 同寺には盛氏坐像もあり国の[[重要文化財]]となっている。
[6] 서적 コンサイス日本人名辞典 第5版 株式会社三省堂
[7] 문서 某年正月26日付伊達輝宗書状(青山文書『福島県史 7』69-50)。年代は不明であるが小林清治はこの書状の中には天正2年(1574年)9月に死去した[[田村隆顕]]の話題も入っているため、同年以前の作成とする。
[8] 서적 伊達政宗の研究 吉川弘文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