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테 다네무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다테 다네무네는 1488년 다테 나오무네의 아들로 태어났으며, 1514년 부친의 사망으로 다테 가문의 14대 당주가 되었다. 그는 세력을 확장하며 무로마치 막부와의 관계를 통해 무쓰 수호에 임명되었으나, 가신들과의 갈등으로 덴분의 난을 겪고 가독을 장남 다테 하루무네에게 양도했다. 이후 은거하다 1565년에 사망했으며, 그의 혼인 정책은 다테 가문과 인척 세력 간의 유대를 강화하는 데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488년 출생 - 레 숙종
레 숙종은 레 헌종의 아들로, 짧은 재위 기간 동안 민생 안정에 힘쓰며 태평성대에 대한 기대를 모았으나 급사한 레 왕조의 황제이다. - 1488년 출생 - 익양군 (1488년)
익양군 이회는 조선 성종의 서9남으로 연산군 시대에 우매한 척 화를 피했으며 중종반정에 협력하여 정국원종공신에 책록되고 사후 순평의 시호가 추서, 묘소는 경기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 1565년 사망 - 문정왕후 (조선)
문정왕후는 조선 중종의 계비이자 명종의 어머니로서, 정치적 숙청과 불교 중흥 정책을 펼치며 조선 정치에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했고, 인종의 죽음 관련 의혹이 있으며, 그녀의 능은 태릉이다. - 1565년 사망 - 정난정
정난정은 조선 명종 시대 윤원형의 첩이자 정실 부인으로, 문정왕후의 측근으로 권력을 얻어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하다가 사림의 탄핵을 받아 윤원형과 함께 유배되어 자결했다. - 다테씨 - 후쿠시마성 (후쿠시마현)
후쿠시마성은 1413년 다테 모치무네가 축성한 다이부쓰성을 기원으로, 스기노메성으로 불리다 후쿠시마성으로 개칭되었으며, 에도 시대에는 번주가 교체되고 메이지 유신 이후 폐성되어 현재는 현청사와 공원이 조성된 터에서 다테씨 관련 유물이 발굴된다. - 다테씨 - 다테 히데무네
다테 마사무네의 서자이자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양자였던 다테 히데무네는 오사카 전투 공으로 이요 우와지마 초대 번주가 되었으며, 번정 개혁을 통해 우와지마 번의 경제적 성장과 사회적 안정에 기여했으나 권위주의적 통치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다테 다네무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다테 다네무네 |
일본어 이름 | 伊達 稙宗 (だて たねむね) |
로마자 표기 | Date Tanemune |
가명 | 지로(次郎), 수천(受天) |
시호 | 직산공(直山公) |
계명 | 지송원전직산원입대거사(智松院殿直山円入大居士) |
신호 | 해당사항 없음 |
묘소 | 후쿠시마현 후쿠시마시의 양림사 |
관직 | |
관위 | 종4위하 좌경대부 |
막부 | 무로마치 막부 무쓰국 슈고 |
가문 | |
씨족 | 다테 씨 |
아버지 | 다테 히사무네 |
어머니 | 센슈인 |
배우자 | 데이신인 |
측실 | 나카조 도노 시모다테 도노 나카다테 도노 와타리 도노 보 도노 |
자녀 | 다테 하루무네 다테 사네모토 야가타고젠 (소마 아키타네의 부인) 아시나 모리우지 정실 오사키 요시노부 다테 사네모토 니카이도 데루유키 부인 다무라 다카아키 부인 다테 무네스미 가케다 도시무네 부인 고오리 무네사다 가사이 하루키요 야나가와 무네키요 무라타 무네우에 고쿠라쿠인 무네히데 와타리 쓰나무네 와타리 모토무네 다이유 코호 고시가와고젠 (소마 요시타네 (16대 당주)의 부인) |
경력 | |
생년 | 1488년 |
사망일 | 1565년 7월 16일 |
가독 상속 | 1514년 |
은퇴 | 1548년 |
주요 전투 | 덴분 전쟁 |
소속 | |
소속 세력 | 15px 다테 씨 |
지휘 지역 | 무쓰 국 |
2. 생애
다테 히사무네의 장남으로 태어났으며, 어릴 적 이름은 지로(次郎)였다. 초쿄 2년 다테 나오무네의 적남으로 태어나, 11대 쇼군 아시카가 요시즈미에게 편휘를 받아 '다카무네'(たかむね, 초명)라고 이름 지었다.
아버지가 사망하자 무쓰국의 다이묘가 되었다. 1536년, 다테 지방 법전인 진카이슈를 공포했다.[2]
다네무네가 후사 없는 우에스기 사다자네를 설득하여 사네모토를 양자로 삼으려 한 시도는 1542년부터 1548년까지 덴분 내란을 일으켰고, 결국 다네무네는 다테 하루무네에 의해 가문의 수장 자리에서 물러났다.[3][4]
2. 1. 가독 상속과 세력 확장
에이쇼 11년(1514년), 아버지의 사망으로 다테 가문의 가독을 상속받아 14대 당주가 되었다. 같은 해, 모가미 요시사다를 나가야마 성에서 격파하고, 여동생을 요시사다의 부인으로 보내 모가미 씨를 실질적으로 지배하에 두었다.[6]에이쇼 14년(1517년), 10대 쇼군 아시카가 요시타네에게 상경 축하 선물로 거액을 보내고, 간레이 호소카와 다카쿠니에게 부탁하여 편휘를 받아 '다네무네'로 이름을 고쳤다. 동시에 사쿄노다이후에 임명되었다.[6] 원래 사쿄노다이후는 오슈탄다이 오사키 씨가 세습하는 관직이었으나, 다테 씨가 이 관직을 얻은 것은 오사키 씨와 실력이 대등해졌음을 의미한다.[6]
다네무네는 가사이 씨, 이와키 씨 등과 다투면서도 혼인 외교를 통해 세력을 빠르게 확장했다.[6]
에이쇼 17년(1520년), 모가미 요시사다가 후계자 없이 사망하자, 모가미 가문의 여러 장수들이 반기를 들었다. 다네무네는 가미야마 성, 야마가타 성, 텐도 성, 다카다마 성을 함락시키고,[8][9] 다이에이 원년(1521년)에는 사가에 씨를 공격했다. 다테 군은 가사이 씨, 소마 씨, 이와키 씨 등 여러 가문의 군세를 모아 한 달 동안 머물렀으나, 결국 다테 씨와 사가에 씨는 싸우지 않고 화해했다.[10] 이 싸움으로 모가미 군 및 무라야마 군 남부는 다테 씨의 세력 아래에 들어갔다.
다이에이 2년(1522년), 무로마치 막부로부터 무쓰 슈고에 임명되었다.[12] 이는 무쓰와 데와 지역에 슈고가 설치되지 않았던 전례를 깬 것이었다.[11] 다네무네는 오슈탄다이 직을 원했으나, 막부는 아시카가 가문 출신이 아닌 다테 씨의 탄다이 취임을 거부하고, 대신 슈고 직을 주어 다네무네를 달래려 했다. 그러나 다네무네는 이에 만족하지 못하고, 일시적으로 막부와의 관계가 나빠졌다.[16]
덴분 원년(1532년), 거성을 야나가와 성에서 고리 니시야마 성으로 옮기며 체제 강화를 꾀했다. 덴분 2년(1533년)부터 『창방의 규칙』, 『동역 일기』, 『어단전장』 등 징세 대장을 작성하고, 덴분 5년(1536년)에는 분국법인 『진카이슈』를 제정하여 통치 기구를 확충했다.[2] 같은 해, 오사키 요시나오의 요청으로 오사키 가문의 내란을 진압하고, 그 대가로 차남 오사키 요시노부를 오사키 가문에 양자로 들여보냈다. 이로써 오슈와 우슈의 양 탄다이 직을 사실상 다테 씨의 통제 하에 두는 데 성공했다.
그러나, 삼남 다테 사네모토를 우에스기 사다자네에게 양자로 보내는 문제와 사위 소마 아키타네에게 영지를 주는 문제 등을 둘러싸고, 장남 다테 하루무네 및 가신들과의 갈등이 심화되었다. 덴분 11년(1542년), 덴분 내란이 발발하여 다네무네는 다테 하루무네에게 가문의 수장 자리에서 물러났다.[3][4]
2. 2. 내정 개혁과 분국법 제정
에이쇼 11년(1514년), 아버지 다테 나오무네가 사망하자 가독을 상속받아 14대 당주가 되었다. 에이쇼 17년(1520년) 모가미 요시사다가 후계자가 없는 채로 사망하자, 다테 다네무네에게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을 싫어한 모가미 가문의 여러 장수들이 반기를 들어 다테 가문과 모가미 가문 사이에 대립이 일어났다. 다네무네는 파죽지세로 가미야마 성, 야마가타 성, 텐도 성, 다카다마 성을 함락하고[8][9], 다이에이 원년(1521년) 사가에를 공격했다. 이때 다테군은 카사이, 소마, 이와키, 아이즈, 미야기, 코쿠분, 모가미의 군세를 집결하여, 다카세산(현 사가에시 다카세산)에서 야와타하라(현 사가에시 모토마치)에 걸쳐 진을 쳤다. 한 달에 걸친 체류 중에 다테 가문과 사가에 가문 사이에 화의를 맺고, 싸우지 않고 다테군은 물러갔다[10]。이 싸움으로 모가미군 및 무라야마군 남부는 다테 가문의 산하에 들어갔다.다이에이 2년(1522년) 무로마치 막부에서는 전례가 없는 무쓰 국 슈고에 임명되었고[12], 다이에이 3년(1523년)에는 교토 이와시미즈 하치만궁 조영의 봉가를 명받았다[14]。 그러나 다네무네가 원했던 것은 오사키 가문을 대신하는 오슈탄다이 취임이었고, 무로마치 막부는 아시카가 가문 일문이 아닌 다테 가문의 탄다이 취임을 거부함과 동시에 다테 가문이 구니닌의 격식을 유지하는 것의 불편함을 인정, 슈고 직에 임명함으로써 "다이묘"의 격식을 부여하여 다네무네를 달래려 했다고 추측된다. 다만, 이 조치는 다네무네를 만족시키지 못했던 것 같고, 일시적으로 막부와의 관계가 악화되었다[16]。
덴분 원년(1532년) 거성을 야나가와 성 (현 후쿠시마현 다테시)에서 니시야마 성 (현 후쿠시마현 코리마치)으로 옮기면서 체제 강화를 위해 노력하고, 덴분 2년(1533년)에 『창방의 규칙』 13조를 제정했다. 덴분 4년(1533년)에는 『동역 일기』, 덴분 7년(1538년)에는 『어단전장』 등의 징세 대장을 작성했다. 덴분 5년(1536년)에는 171조에 달하는 분국법 『진개집』을 제정하여, 다테 가문의 통치 기구 확충을 도모했다.
2. 3. 덴분의 난
1542년부터 1548년까지 다테 가문 내에서 덴분의 난이 일어났다. 이 내전은 다테 다네무네가 후사가 없는 우에스기 사다자네를 설득하여 자신의 삼남 사네모토를 양자로 삼고 후계자로 만들려 한 시도가 발단이 되었다.[3][4] 이 과정에서 장남 다테 하루무네와 코리 가게나가, 나카노 무네토키 등 가신단과의 대립이 심화되었다.1542년 6월, 다네무네는 매사냥을 마치고 돌아오는 길에 하루무네에게 습격당해 니시야마 성에 유폐되었다. 그러나 곧 코야나가와 무네토모에 의해 구출되었고, 오슈의 여러 세력들을 규합하여 하루무네와 대립하였다.
전쟁 초기에는 다네무네 측이 우세했지만, 1547년 아시나 모리우지가 하루무네 측으로 돌아서면서 전세가 역전되었다. 결국 1548년 9월, 13대 쇼군 아시카가 요시테루의 중재로 하루무네에게 항복하고 가독을 양도한 뒤 마루모리 성에 은거하였다.[17]
6년에 걸친 덴분의 난으로 인해, 다테 가문에 종속되어 있던 오사키, 카사이, 모가미, 소마, 아시나 가문이 다테 가문에 대한 영향력을 확대하고 종속 관계에서 벗어났다.[18]
2. 4. 은거와 죽음
1548년 다테 하루무네에게 가독을 양도하고 마루모리 성에 은거하였다.[17] 6년에 걸친 덴분 내란의 영향으로, 종속 관계에 있던 오사키, 카사이, 모가미, 소마, 아시나 가문은 다테 가문에 대한 발언력을 높였고, 종속 관계에서 벗어났다. 은거 후에도 하루무네와의 대립은 완전히 해소되지 않았다는 설도 있다.[18]에이로쿠 8년 6월 19일, 마루모리 성에서 78세의 나이로 사망했다.[19] 유해는 자신이 개창한 요린지에 매장되었으며, 코야나가와 무네토모가 묘 앞에서 순사했다.
3. 가족 관계
관계 | 이름 | 비고 |
---|---|---|
아버지 | 다테 히사무네 | 1453년 ~ 1514년 |
어머니 | 센스인 | 1513년 사망 |
정실 | 데이신인 | |
측실 | 나카조도노 | 나카조 사다스케의 딸 |
측실 | 시모다테도노 | |
측실 | 나카다테도노 | |
측실 | 와타리도노 | 와타리 무네타카의 딸 |
측실 | 보도노 | |
장녀 | 야카타 고젠 | 소마 아키타네와 결혼, 소마 모리타네를 낳음, 데이신인 소생 |
차녀 | 아시나 모리우지와 결혼, 아시나 모리오키를 낳음, 데이신인 소생 | |
요절, 데이신인 소생 | ||
장남 | 다테 하루무네 | 1519년 ~ 1578년, 다테 테루무네의 아버지, 데이신인 소생 |
차남 | 오사키 요시노부 | 1526년 ~ 1550년, 데이신인 소생 |
4남 | 다테 겐반마루 | 요절, 데이신인 소생 |
3남 | 다테 사네모토 | 1527년 ~ 1587년, 다테 나리사다의 아버지, 나카조도노 소생 |
니카이도 테루유키와 결혼, 니카이도 모리요시를 낳음, 시모다테도노 소생 | ||
다무라 타카아키와 결혼, 다무라 키요아키를 낳음, 시모다테도노 소생 | ||
5남 | 다테 무네즈미 | 시모다테도노 소생 |
카케타 토시무네와 결혼, 카케타 요시무네, 카케타 무네하루를 낳음, 시모다테도노 소생 | ||
8남 | 야나기카와 무네키요 | 1532년 ~ 1605년, 나카다테도노 소생 |
13남 | 다이유 고호 | 토쇼지 14세 주지, 나카다테도노 소생 |
오가타 야스아지 | 나카다테도노 소생 | |
12남 | 와타리 모토무네 | 1530년 ~ 1594년, 와타리도노 소생 |
11남 | 와타리 쓰나무네 | 와타리 무네타카의 양자, 17세에 사망, 와타리도노 소생 |
6남 | 코오리 무네사다 | 코오리 카게나가의 양자, 17세에 사망, 보도노 소생 |
7남 | 카사이 하루키요 | 1517년 ~ 1547년, 보도노 소생 |
9남 | 무라타 무네타다 | 무라타 치카시게의 양자, 보도노 소생 |
10남 | 고쿠라쿠인 소에이 | 고쿠라쿠인 젠에이의 양자, 보도노 소생 |
14남 | 다테 시치로 | 요절, 보도노 소생 |
3녀 | 코시고 고젠 | 소마 요시타네와 결혼, 소마 토시타네를 낳음, 보도노 소생 |
다테 다네무네는 혈연 중심의 정치 구조(호라)를 구축하면서 다테 가문 및 인척 세력 간의 혼인을 촉진했고, 이는 많은 근친혼으로 이어졌다. 아들 다테 하루무네 또한 혼인 정책을 답습하여 근친혼이 계속되었다.
참조
[1]
서적
Japan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2005
[2]
서적
Date clan
https://books.google[...]
[3]
서적
1969
[4]
서적
1957
[5]
논문
南奥羽地域における守護・国人の同盟関係
1994
[6]
사료
大日本史料
1519-03-09 #永正14年3月9日
[7]
서적
在京大名細川京兆家の政治史的研究
思文閣出版
2014
[8]
사료
大日本史料
1520-06-21 #永正17年6月21日
[9]
문서
伊達正統世次考
[10]
서적
寒河江市史 上巻
[11]
서적
中世出羽の領主と城館
[12]
사료
大日本史料
1526-12-07 #大永1年12月7日
[13]
사료
大日本史料
[14]
사료
大日本史料
[15]
문서
알수없음 #문귀3년
[16]
논문
奥州探題考
高志書院
2012
[17]
사료
史料総覧
알수없음 #천문17년
[18]
논문
はるかなる伊達晴宗-同時代史料と近世家譜の懸隔
戎光祥出版
2019
[19]
사료
史料総覧
[20]
문서
奥相茶話記
1667
[21]
문서
[22]
문서
[23]
사료
史料総覧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