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우세클리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우세클리스는 발트 신화에 등장하는 신으로, 새벽과 관련된 어원을 가지며 다양한 형태로 불린다. 그는 신들 중 가장 막내로 묘사되며, 달의 신 메네스와 밀접한 관련을 맺고 '신의 아들'로 여겨진다. 아우세클리스는 태양의 딸을 구애하는 신랑, 또는 천상의 결혼 드라마의 등장인물로 묘사되며, 종종 매우 어리고 장난기 많은 존재로 묘사된다. 또한 팔각별의 이름으로, 라트비아 독립 운동의 상징으로 사용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새벽의 남신 - 케찰코아틀
케찰코아틀은 "귀중한 뱀" 또는 "케찰-깃털 뱀"을 뜻하는 나와틀어에서 유래한 이름으로, 고대 메소아메리카 문명에서 숭배받던 깃털 달린 뱀의 신이자 종교적, 정치적 상징으로, 바람, 통치, 사제, 금성과 관련되어 현대 대중 매체, 항공, 고생물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아우세클리스 | |
---|---|
기본 정보 | |
![]() | |
다른 이름 | 아우스트리인슈 (Austriņš) |
신화 | |
분류 | 발트 신화 |
그룹 | 남신 |
관련 신 | 아우슈리네 (Aušrinė), 아우슈라 (Aušra) (리투아니아어 동등신) |
슬라브 동등신 | 조랴 |
배우자 | 사울레스 메이타 (사울레의 딸) |
상징 | 별, 새벽, 샛별 |
행성 | 금성 |
그리스 로마 신화 대응 | 에오스, 아우로라 |
지역 | 라트비아 |
민족 | 발트족 |
2. 어원
"아우세클리스"라는 이름은 "aus-"('새벽')에서 유래되었으며, 파생 접미사 "-eklis"가 붙어 다른 인도유럽어족 새벽 신들과 어원적으로 관련이 있다.[3]
아우세클리스는 신들 중에서 가장 막내로 언급되며, 태양 신의 시종이자 "천상의 목욕탕" 활동의 조력자로 묘사된다.[6][1]
이 신은 "아우세클레니스", "아우세클린슈", "아우세클리츠", "아우세클리티스", "아우세클리니슈", "아우세클리우스"로도 알려져 있다.[4]
3. 신화에서의 역할
3. 1. 천상의 결혼
아우세클리스는 사울레스 메이타(Saules meita)의 신랑으로 등장한다. 그는 Mēness ("달")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둘 다 ''Dieva dēli'' ("신의 아들")로 불리기도 한다. Ūsiņš도 마찬가지이므로 서로, 그리고 다른 남신들과 혼동되기도 한다.[5]
학자 Elza Kokare에 따르면, 아우세클리스는 "천상의 결혼"이라는 신화적 드라마에 참여하는 천상의 신 그룹에 속한다. 아우세클리스는 발트해의 여성 태양 Saule의 딸인 ''Saules meita''의 신랑으로 여겨지며, 다른 신들로는 달의 신 ''Meness''와 쌍둥이 신 ''Dieva deli''가 있다. 다른 설명에 따르면, 아우세클리스는 Saules meita와 다른 인물의 결혼식에서 손님 또는 신부 행렬의 일원이거나,[1] Meness의 싸움으로 인해 신부를 빼앗긴다.[7]
아우세클리스는 종종 매우 어리게 언급된다. 그는 다른 신들과 함께 일하기에는 너무 어리고 매우 장난기가 많으며, 그의 말은 그가 사거나 태양이 그를 위해 사준다.[8]
Marija Gimbutas의 분석에 따르면, 아우세클리스는 태양이 그에게 준 말을 가지고 나타나 (여성) 태양("Saules dukterims")의 딸과 사랑에 빠지는 "dievaitis"('작은 신')이다.[9]
리투아니아 민속학자이자 민족학자인 lt에 따르면, Haralds Biezais는 아우세클리스가 남신이자 Dievs("Dievo sunus")의 아들이라고 생각했다. 그는 또한 "천상의 결혼" 드라마의 일부였으며, 태양의 딸(Saules meita)의 첫 번째 약혼자였다.[10] 그는 달의 신 메네스와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둘 다 신의 아들인 디에바 델리와 같이 서로 다른 남성 신들과 혼동된다. 아우세클리스는 리투아니아 신화에 등장하는 아우슈리네의 신랑이다. 소수의 다이나는 아우세클리스가 말을 타기에는 너무 어리다는 것을 시사한다. 그렇기에 그를 위해 각각 말이 사지지만 "아들은 아직 그것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라고 말한다. 여기서 "아들"이라는 단어가 아우세클리스 자신을 가리키는 것인지, 아우세클리스의 아들을 가리키는 것인지, 혹은 말을 가리키는 것인지는 명확하지 않다.
3. 2. 젊음의 신
그는 신들 중에서 가장 막내로 언급된다. 소수의 다이나에서는 아우세클리스가 너무도 어리다는 것을 알려주고 있다. 사울레의 딸인 사울레스 메이타의 신랑으로 등장하는데, 다이나에서 아우세클리스가 말을 타기에는 너무 어려 그를 위해 각각 말을 구입하지만, "아들은 아직 그것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고 말한다.[5] 여기서 '아들'이라는 단어가 아우세클리스 본인을 지칭하는 것인지, 아우세클리스의 아들을 가리키는 것인지, 혹은 말을 가리키는 것인지는 명확하지 않다.
아우세클리스는 종종 매우 어리게 언급된다. 이러한 묘사는 그가 다른 신들과 함께 일하기에는 너무 어리고 매우 장난기가 많으며, 그의 말은 그가 사거나 태양이 그를 위해 사준다는 내용으로 이어진다.[8]
4. 상징
아우세클리스는 팔각별(등각 팔각성)의 이름이며, 리투베네 (악령)의 십자가 중 하나로도 알려져 있다. 리투베네의 또 다른 십자가는 오각별인데, 다른 문화권에서는 금성을 상징하기도 한다. 이처럼 팔각성과 오각별 모두 아우세클리스의 상징이 될 수 있으며, 처음에는 악마를 쫓기 위해 사용되었다. 팔망성 및 오망성은 한 획으로 그려야 한다.[1][2]
4. 1. 오각별과의 관계
아우세클리스는 팔각별(등각 팔각성)의 이름이기도 하다. 이는 리투베네 (악령)의 십자가 중 하나로도 알려져 있다. 리투베네의 또 다른 십자가는 다른 문화권에서 금성을 상징하는 오각별인데, 이는 두 기호가 원래 아우세클리스의 상징이었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현대에 오각별은 때때로 악의 상징으로 여겨지지만, 원래 두 기호 모두 악으로부터 보호하고 악을 물리치는 데 사용되었기 때문에 리투베네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두 기호 모두 보호가 효과적이도록 손을 떼지 않고 그려야 했다.[1]1980년대에 팔각성은 세 번째 라트비아 국민 각성 운동의 상징이 되었다.[1]
4. 2. 라트비아 독립 운동에서의 상징
1980년대에 팔각성은 세 번째 라트비아 국민 각성 운동의 상징이 되었다.[1] 아우세클리스는 소련으로부터의 라트비아 독립 운동(Third Latvian National Awakening)의 상징으로도 사용되었다.[2]5. 갤러리
5. 1. 건축물
5. 2. 기념물
5. 3. 문장 및 엠블럼
5. 4. 우표
참조
[1]
서적
The Routledge dictionary of gods and goddesses, devils and demons
Routledge
[2]
학술지
Indo-European Poetics and the Latvian Folk Songs
https://www.academia[...]
2021-12-04
[3]
서적
Latviešu etimoloģijas vārdnīca
Avots
1992
[4]
서적
Lietuvių mitologija
Mintis
[5]
간행물
A SOLAR CALENDAR FROM LATVIAN DAINAS
Klaipėda University Press
[6]
서적
Dictionary of gods and goddesses
Facts On File
[7]
간행물
A survey of the basic structures in Latvian mythology
http://www.folklore.[...]
[8]
서적
Encyklopedie baltské mytologie
Libri
[9]
서적
Baltai priešistoriniais laikais: etnogenezė, materialinė kultūra ir mitologija
Mokslas
[10]
서적
Senovės lietuvių dievas Perkūnas: kalboje, tautosakoje, istoriniuose šaltiniuose
Lietuviu literaturos ir tautosakos institutas
[11]
웹사이트
라트비아における言語状況と言語政策・言語教育政策
http://www.tufs.ac.j[...]
2010-01-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