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위소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위소틀은 콜럼버스 이전 중앙 아메리카의 가장 위대한 군사 지도자 중 한 명으로, 아스테카 제국을 확장하고 템플로 마요르를 재건한 아스텍의 통치자였다. 그는 와스테카 반란을 진압하고 믹스텍, 사포텍 등 여러 민족을 정복했으며, 멕시코 태평양 연안에서 과테말라 서부에 이르는 지역까지 세력을 넓혔다. 아위소틀은 테노치티틀란의 확장에 따른 물 부족 문제를 해결하려다 사망했으며, 2006년 템플로 마요르 근처에서 그의 묘로 추정되는 석판이 발견되기도 했다. 2021년에는 그의 동상 이전을 둘러싼 논란이 있었다. 아위소틀은 1502년에 사망했으며, 그의 뒤를 조카인 모테코수마 2세가 이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502년 사망 - 아서 튜더
    헨리 7세와 요크의 엘리자베스 사이에서 태어난 잉글랜드 왕위 계승자 아서 튜더는 웨일스 공으로서 장미 전쟁 종식의 희망을 받았으나, 아라곤의 캐서린과 결혼 후 이듬해 의문사하여 동생 헨리 8세가 왕위를 잇게 되었다.
  • 1502년 사망 - 신승선
    신승선은 조선 초기의 문신으로 영의정까지 지냈으며 세종의 손녀 중모현주와 혼인하여 왕실과 인척 관계를 맺고 신수근, 신수겸, 신수영 등 3남 4녀를 두었으나, 딸이 연산군의 부인이 되면서 성종의 사돈이자 연산군의 장인이 되는 복잡한 관계로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이 동시에 부각되어 여러 작품에서 묘사된 인물이다.
아위소틀
기본 정보
아위소틀, 《멘도사 코덱스》에 묘사됨
아위소틀, 《코덱스 멘도사》에 묘사됨
재위 기간7 토끼 (1486년) – 10 토끼 (1502년)
계승자모크테수마 2세
선임자티소크
자녀치말필리 2세
쿠아우테모크
미확인된 딸
아버지테소소모크
어머니아토토스틀리 2세
출생15세기
사망10 토끼 (1502년)
사망 장소테노치티틀란, 아즈텍 삼각 동맹
종교아즈텍 다신교
출생지테노치티틀란, 아즈텍 삼각 동맹
직위
작위아즈텍 제국의 Huey Tlatoani
테노치티틀란의 Tlatoani
로마자 표기
나와틀어āhuitzotl
추가 정보
참고신화 속 동물 아위소틀

2. 생애

아위소틀의 이름은 "물(ātl)의, 가시(huitztli)가 있는 자"를 뜻하며, 신화 속 동물을 가리킨다. 아스테카 문자에서는 포유류의 일종이 그려져 있다.[7] 아샤야카틀(제6대), 티소크(제7대)와는 이복형제이며, 티소크보다 어리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7] 출생 연도는 불분명하다.

전승에 따르면, 티소크 사후 아스테카 군사력이 약화되자 각지에서 반란이 일어났다. 이 위기를 타개하기 위해 원로들은 시와코아틀(재상) 트라카엘렐에게 트라토아니가 될 것을 요청했지만, 그는 고령을 이유로 거절하고 대신 젊은 아위소틀을 천거하며 왕으로서의 교육을 시키려 했다.[8] 그러나 아위소틀은 경험 부족에도 불구하고 첫 전투에서 승리했다고 한다.[9]

그의 아들 중에는 테노치티틀란의 마지막 트라토아니인 쿠아우테모크가 있다.

2. 1. 군사적 업적

콜럼버스 이전 중앙 아메리카의 가장 위대한 군사 지도자 중 한 명으로 알려진 아위소틀은 와스테카 반란을 진압하면서 통치를 시작했으며, 이후 아스텍 지배 하의 영토를 두 배 이상 확장했다.[5] 그는 믹스텍, 사포텍, 멕시코 태평양 연안에서 과테말라 서부에 이르는 다른 민족들을 정복했다.[5] 아위소틀 시대에 아스테카는 강력한 군사 국가로 발전하여, 과거의 정복지를 재정복했을 뿐만 아니라 게레로 (태평양 연안), 베라크루스 (멕시코만 연안)에도 원정했다. 특히 치아파스의 소코누스코 해안으로의 원정은 카카오, 보석, 새 깃털 등 경제적으로 중요한 산지를 확보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타라스카 왕국의 공격에 대해서는, 몇몇 마을에 요새를 쌓아 방어했다.[7]

아스테카의 확장. 노란색이 아위소틀에 의한 정복지

2. 2. 내치와 테노치티틀란 재건

콜럼버스 이전 중앙 아메리카의 가장 위대한 군사 지도자로 알려진 아위소틀은 와스테카 반란을 진압하면서 통치를 시작했으며, 이후 아스텍 지배 하의 영토를 두 배 이상 확장했다. 그는 믹스텍, 사포텍, 멕시코 태평양 연안에서 과테말라 서부에 이르는 다른 민족들을 정복했다. 또한 웅대한 규모로 테노치티틀란을 재건하는 것을 감독했는데, 여기에는 템플로 마요르 확장도 포함되었으며, 이는 아스텍 달력의 8 리드 해(1487년)에 이루어졌다.[5]

아위소틀 시대에 아스테카는 강력한 군사 국가로 발전하여, 과거 정복지를 재정복했을 뿐만 아니라 태평양 연안의 게레로멕시코만 연안의 베라크루스에도 원정했다. 특히 주목할 만한 것은 머나먼 동쪽 치아파스의 소코누스코 해안으로의 원정인데, 이곳은 카카오, 보석, 새 깃털의 산지로서 경제적으로 중요했다. 서쪽 타라스카 왕국의 공격에 대해서는 몇몇 마을에 요새를 쌓아 방어했다.[7]

아위소틀 시대에 템플로 마요르는 크게 확장되었고, 희생되는 사람의 수도 전에 없이 커졌다.[7] 디에고 두란은 80,400명이나 되는 포로를 산 제물로 바쳤다고 전하지만, 이것은 물리적으로 불가능하다.[9]

테노치티틀란의 발달로 물 수요가 높아져, 아위소틀은 1500년 전후에 호수 남쪽 해안의 코요아칸 부근에서 새로운 수도를 끌어왔지만, 공사는 실패하여 홍수가 발생했다. 몇몇 연대기에 따르면, 아위소틀은 재해를 막으려다 머리를 강하게 부딪쳐 사망했다고 한다.[7]

2. 3. 죽음과 유산

아위소틀은 콜럼버스 이전 중앙 아메리카에서 가장 위대한 군사 지도자 중 한 명으로 알려져 있다. 그는 와스테카 반란을 진압하며 통치를 시작했고, 이후 아스텍 제국의 영토를 두 배 이상 확장했다. 믹스텍, 사포텍 등 여러 민족을 정복했으며, 멕시코 태평양 연안에서 과테말라 서부에 이르는 넓은 지역을 지배하에 두었다. 또한 큰꼬리까마귀를 멕시코 계곡에 도입하는 것을 감독했는데, 이는 서반구에서 인간이 매개한 조류 도입의 가장 초기의 기록된 사례이다.[5]

아위소틀은 아스텍 달력의 10 토끼 해(1502년)에 사망했으며, 그의 뒤를 이어 조카인 모테코수마 2세가 즉위했다. 아위소틀은 자신의 이름을 아위소틀 동물에서 따왔는데, 아스텍인들은 이 동물을 왕의 단순한 신화적 표현이 아니라 그 자체로 전설적인 생물로 여겼다.

아위소틀 시대에 템플로 마요르는 크게 확장되었고, 희생의 수도 전에 없이 커졌다.[7] 디에고 두란은 80,400명이나 되는 포로를 산 제물로 바쳤다고 전하지만, 이는 물리적으로 불가능하다고 여겨진다.[9]

테노치티틀란의 발달로 물 수요가 높아지자, 아위소틀은 1500년 전후에 호수 남쪽 해안의 코요아칸 부근에서 새로운 수도를 끌어왔지만, 공사는 실패하여 홍수 재해가 발생했다. 몇몇 연대기에 따르면, 아위소틀은 이 재해를 막으려다 머리를 심하게 부딪쳐 사망했다고 한다.[7]

2006년에는 템플로 마요르 근처에서 트랄테쿠틀리를 새긴 큰 석판이 발견되었다. 여기에는 아위소틀의 사망 연도인 1502년에 해당하는 10토끼 해가 기록되어 있어, 아위소틀의 묘일 가능성이 높다고 여겨지고 있다. 아스테카 황제의 묘는 아직 발견된 적이 없기 때문에, 이것이 사실이라면 매우 귀중한 발견이 될 것이다.[10]

2021년 1월, INAH는 아위소틀과 이트스코아틀의 동상("Indios Verdes"로 알려짐)을 과스타보 A. 마데로, 멕시코 시티의 "메스티사헤 공원"에서 파세오 데 라 레포르마로 옮길 것을 제안했다. INAH의 소장 디에고 프리토는 이 이전이 "멕시코의 웅장함과 우리나라의 콜럼버스 이전 시대 또는 중앙 아메리카 선조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역사적 해석을 회복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말했다.[6]

아위소틀 방패. 빈 세계 민족 박물관 소장

3. 아위소틀의 이름과 상징

"아위소틀"이라는 이름은 "물(ātl)의, 가시(huitztli)가 있는 자"를 의미하며, 신화 속 동물 아위소틀을 가리킨다. 아스테카 문자에서는 포유류의 일종이 그려져 있다.[7]

아위소틀은 자신의 이름에서 알 수 있듯, 아스텍인들이 왕의 단순한 신화적 표현이라기보다는 그 자체로 전설적인 생물로 여겼던 아위소틀 동물에서 따왔다.

4. 대중문화 속 아위소틀

알리에트 드 보다르의 ''Obsidian and Blood'' 시리즈에서 아위소틀은 테오미틀이라는 이름으로 주요 등장인물이며, 이 시리즈는 아샤야카틀 치세의 마지막 해와 티속 치세의 첫 해를 배경으로 한다.

개리 제닝스의 역사 소설 ''아즈텍''에서 아위소틀은 중요한 인물로 등장한다. 스페인 정복자들이 도착하기 직전을 배경으로, 그는 테노치티틀란의 수많은 확장 공사와 정복 전쟁, 무역, 성향 등을 설명한다.

참조

[1] 서적 Aztec Warfare
[2] 웹사이트 Ahuítzotl, "El espinoso del agua" (1486-1502) https://arqueologiam[...] 2016-07-14
[3] 서적 The Aztecs: New Perspectives https://books.google[...] ABC-CLIO 2005
[4] 서적 Handbook to Life in the Aztec World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7
[5] 간행물 Introduction of the Great-tailed Grackle (''Quiscalus mexicanus'') by Aztec Emperor Auitzotl: Provenance of the historical account (La Introducción de la Quiscalus mexicanus por el Emperador Azteca Auitzotl: Origen del Relato Histórico)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12-01
[6] 뉴스 Traslado de Indios Verdes, recupera discurso histórico https://www.eluniver[...] El Universal 2021-01-02
[7] 간행물 Los tlatoanis mexicas. La construcción de un imperio https://arqueologiam[...] Instituto Nacional de Antropología e Historia
[8] 서적 2000
[9] 서적 2000
[10] 서적 2012
[11] 서적 Aztec Warfare
[12] 웹인용 Ahuítzotl, “El espinoso del agua” (1486-1502) https://arqueologiam[...] 2019-06-04
[13] 저널 Introduction of the Great-tailed Grackle (''Quiscalus mexicanus'') by Aztec Emperor Auitzotl: Provenance of the historical account (La Introducción de la Quiscalus mexicanus por el Emperador Azteca Auitzotl: Origen del Relato Histórico)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12-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