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프간밭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프간밭쥐는 작고 다부진 몸과 둥근 주둥이, 둥근 귀를 가진 밭쥐의 일종이다. 털 색깔은 서식지에 따라 옅은 황갈색에서 회황색까지 다양하며, 짧은 꼬리는 아랫부분이 크림색 회색이다. 투르크메니스탄, 우즈베키스탄, 이란, 타지키스탄, 아프가니스탄의 준사막, 스텝 지역, 산악 지역에 분포하며, 해발 3,400m까지 서식한다. 초본 식물을 주로 먹으며, 무리 생활을 하고 복잡한 굴을 파서 산다. 가을, 겨울, 봄에 번식하며, 한 번에 최대 10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12년 기재된 포유류 - 회색손올빼미원숭이
  • 1912년 기재된 포유류 - 붓꼬리주머니쥐
    붓꼬리주머니쥐는 털이 많은 꼬리와 얼굴의 굵은 줄무늬가 특징인 중간 크기의 주머니쥐로, 볼리비아, 브라질, 콜롬비아, 에콰도르, 페루 등지의 열대 우림에 서식하며 삼림 벌채와 인간의 정착으로 위협받고 있는 주머니쥐과 *Glironia* 속의 유일한 종이다.
  • 물밭쥐아과 - 밭쥐속
    밭쥐속(Microtus)은 밭쥐에 속하는 포유류 속으로, 아메리카 대륙, 유라시아 대륙, 한국 등지에 다양한 종이 서식하며 한국에서는 갈밭쥐와 일본밭쥐가 발견된다.
  • 물밭쥐아과 - 발칸눈밭쥐
    발칸눈밭쥐는 5개의 아종으로 분류된다.
  • 올드필드 토머스가 명명한 분류군 - 티티원숭이
    티티원숭이는 신세계원숭이의 소형 영장류로, 다양한 털 색깔을 지니고 물가 숲에 서식하며, 일부일처제 가족 무리를 이루고, 과일을 주식으로 섭취하며, 듀엣 소리로 의사소통하고, 과거 *Callicebus* 속으로 분류되었으나 현재는 세 개의 속으로 나뉘며 종 수가 증가하였다.
  • 올드필드 토머스가 명명한 분류군 - 다산저녁쥐
아프간밭쥐 - [생물]에 관한 문서
지도
분류학적 정보
학명Microtus afghanus
명명자Thomas, 1912
부하라밭쥐속
아속Microtus (Blanfordimys)
이명Blanfordimys afganensis Agadzhanyan and Yatsenko, 1984
Blanfordimys balchanensis (Heptner and Shukurov, 1950)
Blanfordimys dangarinensis Golenishchev and Sablina, 1991
Blanfordimys afghanus
보존 상태
IUCN 적색 목록 상태최소 관심
IUCN 기준IUCN3.1
참고IUCN 적색 목록 데이터베이스 (최소 관심종으로 분류된 사유 포함)

2. 특징

아프간밭쥐는 작고 다부진 몸과 뭉툭하고 둥근 주둥이 그리고 둥근 귀를 갖고 있다.[7] 털 색깔은 서식지에 따라 옅은 황갈색에서 회황색까지 다양하다.[7] 짧은 꼬리는 비슷한 색이며, 아랫부분은 크림색 회색이다.[7] 핵형은 2n=58이다.[7] 몸길이는 110mm이고 꼬리는 30mm이다. 발의 길이는 16mm이며, 보통 6개의 발바닥 패드를 가지고 있지만, 드물게 5개가 있기도 하다.[7]

2. 1. 외형

아프간밭쥐는 작고 다부진 몸과 뭉툭하고 둥근 주둥이 그리고 둥근 귀를 갖고 있다.[7] 털 색깔은 서식지에 따라 옅은 황갈색에서 회황색까지 다양하다.[7] 짧은 꼬리는 비슷한 색이며, 아랫부분은 크림색 회색이다.[7] 핵형은 2n=58이다.[7] 몸길이는 110mm이고 꼬리는 30mm이다. 발의 길이는 16mm이며, 보통 6개의 발바닥 패드를 가지고 있지만, 드물게 5개가 있기도 하다.[7]

2. 2. 핵형

아프간밭쥐는 염색체 2배체 수(2n=58)를 갖는 것이 특징이다.

3. 분포

투르크메니스탄 남부와 우즈베키스탄 남부, 이란 북동부, 타지키스탄, 아프가니스탄의 준사막 지대와 스텝 지역 그리고 산악 지역에 널리 분포한다.[5][1] 대부분의 분포 지역에서 해발 500-600m 이하에서 살지만,[7][4] 최대 3,400m까지 서식하는 것으로 기록되었다.[5][1] 해발 1700m에서 발견되기도 한다.[7][4]

3. 1. 서식지

투르크메니스탄 남부와 우즈베키스탄 남부, 이란 북동부, 타지키스탄, 아프가니스탄의 준사막 지대와 스텝 지역 그리고 산악 지역에 널리 분포하며, 해발 최대 3400m까지 서식한다.[5] 대부분의 분포 지역에서 해발 500-600m 이하에서 살지만 해발 최대 1700m에서 발견되기도 한다.[7]

3. 2. 서식 고도

아프간밭쥐는 투르크메니스탄 남부와 우즈베키스탄 남부, 이란 북동부, 타지키스탄, 아프가니스탄의 준사막 지대와 스텝 지역 그리고 산악 지역에 널리 분포한다.[5][1] 대부분의 분포 지역에서 해발 500-600m 이하에서 살지만,[7][4] 최대 3400m까지 서식하는 것으로 기록되었다.[5][1] 해발 1700m에서 발견되기도 한다.[7][4]

4. 생태

아프간밭쥐는 휴경지와 건조지, 거친 초원과 관목 지대를 좋아한다.[7] 주로 초본 식물을 먹지만 씨앗과 과일, 꽃 그리고 뿌리를 먹기도 한다.[7] 겨울을 대비하여 최대 4.5kg의 먹이를 저장한다.[7] 무리 생활을 하며 복잡한 굴을 판다.[7] 굴 전체는 최대 180 제곱미터이고, 20개부터 145개까지 다양한 수의 많은 입구를 갖고 있으며, 네 마리부터 10마리까지 산다.[7] 가을과 겨울, 봄에 번식을 하며, 여름 가뭄에는 쉰다.[7] 한 번에 한 마리부터 10마리까지 새끼를 낳고, 몇 년 동안 개체군 크기가 증가하고 안정을 유지할 수 있다.[7]

4. 1. 먹이

아프간밭쥐는 주로 초본 식물을 먹지만 씨앗, 과일, 꽃 그리고 뿌리를 먹기도 한다.[7] 식물의 녹색 부분을 주로 먹는것으로 알려져 있다.[7] 겨울을 대비하여 최대 4.5kg의 먹이를 저장한다.[7]

4. 2. 굴 생활

아프간밭쥐는 무리 생활을 하며 복잡한 굴을 판다.[7] 굴 전체는 최대 180 제곱미터이고, 20개부터 145개까지 다양한 수의 많은 입구를 갖고 있으며, 네 마리부터 10마리까지 산다.[7] 겨울을 대비하여 최대 4.5kg의 먹이를 저장한다.[7]

4. 3. 번식

아프간밭쥐는 가을과 겨울, 봄에 번식을 하며, 여름 가뭄에는 번식을 쉰다.[7] 한 번에 한 마리부터 10마리까지 새끼를 낳는다.[7] 몇 년 동안 개체군 크기가 증가하고 안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7]

참조

[1] 간행물 Blanfordimys afghanus 2016
[2] 서적 Superfamily Muroidea https://www.departm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Baltimore 2005
[3] 웹사이트 Explore the Database https://www.mammaldi[...] 2021-07-09
[4] 웹사이트 AgroAtlas Pests http://www.agroatlas[...]
[5] 간행물 Blanfordimys afghanus
[6] 서적 Superfamily Muroidea http://www.bucknell.[...]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Baltimore 2005
[7] 웹사이트 AgroAtlas Pests http://www.agroatla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