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 시은고택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본문
안동 시은고택(安東 市隱古宅)은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상리리에 있는 조선시대 가옥입니다. 1525년(중종 20년) 예안이씨 7세손 이훈(李薰, 1489~1552)이 기묘사화를 계기로 낙향하여 지은 집으로, 마을 이름을 따 상리종택(上里宗宅)이라고도 불립니다.
건립 배경 및 역사:
- 이훈은 1504년(연산군 10) 생원시에 급제하였으나, 1519년(중종 14) 기묘사화의 참혹한 현실을 보고 벼슬길에 나아갈 뜻을 버리고 낙향하였습니다.
- 1525년경 안동 시은고택을 짓고 이곳에 머물렀다고 합니다.
- 2016년 4월 27일 대한민국의 국가민속문화재 제287호로 지정되었습니다.
구조 및 특징:
- 풍산평야의 동쪽에 위치하며 동쪽에 주산을 두고 있습니다.
- 원래 사랑 마당 앞에 대문채가 있었고 안채 뒤쪽에 사당이 있었으나 현재는 'ㅁ'자형 정침(正寢)만 남아 있습니다.
- 경상북도 안동지역 ㅁ자형 주거 평면의 안채 영역은 대청이 중앙에 놓이고 좌우에 상방과 안방이 대칭으로 배치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시은고택은 대청이 좌측에 놓이고 안방이 중앙부, 상방이 대청 앞에 위치하는 특징을 지니고 있습니다.
- 평면 기둥열이 가구 구성과 일치하지 않고 자유롭게 구성되며, 안채의 경우 평주의 높이를 고주와 같이 높게 하고, 대청과 방 부분의 가구법을 달리하는 등의 가구 구성은 다른 집과 차별성을 지닙니다.
- 대청 부분은 대들보 위에 다시 맞보를 걸어 이중으로 보를 설치하고 종보를 걸어 5량가를 구성한 것도 다른 곳에서는 찾아보기 어려운 구조 형식입니다.
의의 및 평가:
- 16세기 초반의 평면 배치 및 구성, 구조 양식과 더불어 17세기를 전후한 시기 건축 양상의 변화를 살펴볼 수 있는 보기 드문 집입니다.
- 유학자 집안으로 조상들이 저술한 문집을 비롯한 고문서들이 상당수 소장되어 있고, 문중의 회의가 종택에서 열리는 등 한 문중의 중심을 잡는 종가로서 갖추어야 할 기본적인 요소를 가지고 있어 국가민속문화재로 보존할 가치가 있습니다.
현재:
-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국가민속문화재로 재지정되었습니다.
- 소유자 및 관리자는 예안이씨 이훈의 후손인 이항식입니다.
안동 시은고택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유형 | 국가민속문화재 |
지정번호 | 287 |
지정일 | 2016년 4월 27일 |
주소 | 경상북도 안동시 우렁길 37-1 (풍산읍, 안동 시은고택) |
시대 | 조선시대 |
소유자 | 이항직 |
면적 | 토지 1,775m2 |
수량 | 건물 1동 |
문화재청 | 18,02870000,37 |
참고 | |
비고 | 예안이씨상리종택은 2016년 4월 28일 해제됨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