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안토니우 헤이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안토니우 헤이스는 1927년 빌라 노바 데 가이아에서 태어나 1991년 리스본에서 사망한 포르투갈의 시인이자 영화 감독이다. 그는 리스본 연극 영화 학교에서 교사로 재직했으며, 마르가리다 코르데이루와 공동으로 여러 편의 영화를 제작했다. 주요 작품으로는 《자이메》, 《트라스-우스-몽트스》, 《아나》, 《로자 드 아레아》 등이 있다. 그는 또한 《Poemas Quotidianos》등의 시집을 출간했다. 헤이스는 포르투갈 국립 영화학교에서 가르쳤으며, 그의 교육 방식과 미학은 동시대 영화 제작자들과 후배 감독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포르투갈의 영화 감독 - 마노엘 드 올리베이라
    마노엘 드 올리베이라는 80년 넘게 다양한 형식의 영화를 제작하며 세계적 명성을 얻은 포르투갈의 영화 감독으로, 특히 60세 이후 왕성한 활동과 함께 인간의 삶과 운명, 종교, 예술 등의 주제를 탐구하는 작품으로 인정받았다.
  • 포르투갈의 영화 감독 - 마리아 드 메데이루스
    마리아 드 메데이루스는 《헨리 & 준》, 《펄프 픽션》 등의 영화 출연과 《세 형제》로 베네치아 국제 영화제 여우주연상 수상, 그리고 《4월의 대위들》 연출 및 출연, 음악 활동 등 다방면에서 활약하는 포르투갈의 배우, 영화 감독, 가수이다.
안토니우 헤이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안토니우 헤이스
안토니우 헤이스
이름안토니우 헤이스
원어명António Reis
본명안토니우 페헤이라 곤살브스 두스 헤이스
출생일1927년 8월 27일
출생지포르투갈 빌라노바드가이아 발라다레스
사망일1991년 9월 10일
사망지포르투갈 리스본
국적포르투갈
직업영화 감독
각본가
연출가
시인
조각가
민족지학자
배우자마르가리다 코르데이루
자녀아나 움벨리나 코르데이루 헤이스
기타 정보
관련 링크아나 헤이스 웹사이트

2. 생애

헤이스는 1927년 빌라 노바 데 가이아에서 태어났다.[2] 여러 해 동안 리스본 연극 영화 학교에서 교사로 재직했다.[3] 정신과 의사인 마르가리다 코르데이루와 여러 작품에서 협업했는데, 코르데이루는 ''자이메''(1974)의 부감독이었으며, 헤이스와 함께 ''트라스오스몬테스''(1976), ''아나''(1985), ''로자 드 아레아''(1989)를 공동 감독했다.[4] 헤이스는 1991년 9월 10일 리스본에서 원인을 알 수 없는 이유로 사망했다.

3. 작품 활동

(내용 없음)

3. 1. 영화

wikitext

연도제목비고
1959플로리페스의 자서전공동 연출
1962봄의 제전감독 마노엘 드 올리베이라, 공동 감독 (안토니우 소아르스, 도밍구스 카르네이루와 함께)
1963포르투의 패널
1964하늘에서 강까지공동 감독 (세자르 게하 레알)
1966라바강 고지공동 감독 (세자르 게하 레알)
1966움직이는 삶각본 (감독: 파울루 호샤)
1974자이메공동 감독 (마르가리다 코르데이루)
1976트라스오스몬테스공동 감독 (마르가리다 코르데이루)
1985아나공동 감독 (마르가리다 코르데이루)
1989사막의 장미공동 감독 (마르가리다 코르데이루)


3. 2. 시


  • 1957년 《Poemas Quotidianos|일상의 시por
  • 1959년 《Novos Poemas Quotidianos|새로운 일상의 시por
  • 1967년 《Poemas Quotidianos - Col. Poetas de Hoje|일상의 시 - 콜. Poetas de Hojepor》 (2017년 Tinta-da-China 재출판)

4. 유산

안토니우 헤이스는 포르투갈 영화계에서 교육자이자 영화 감독으로서 중요한 유산을 남겼다. 그는 국립 영화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며 독특한 교육 철학을 전수했고, 그의 작품과 영화에 대한 접근 방식은 동시대 및 후배 영화 감독들에게 깊은 영향을 미쳤다.

4. 1. 교육

안토니우 헤이스는 1977년부터 포르투갈 국립 영화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쳤다. 그는 '영화적 공간', '영화 분석', '이미지 역사', '배우 연출', '이미지 연구 입문' 등 다양한 강좌를 담당했다.[5]

그의 교수법은 주로 구두 설명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이론을 정리한 서면 자료는 거의 남기지 않았다. 이는 말로 전하는 고대의 구전 전통을 중요하게 생각했던 그의 신념을 반영하는 것으로 여겨진다.[6]

헤이스는 영화의 통일성을 구성하는 데 있어 매치 컷 기법의 가능성을 탐구하는 데 중점을 두었으며,[7] 시각적인 운율과 연상, 절제된 의미를 만들어내는 데 능숙했다. 이러한 특징은 그의 작품인 《자이메》나 《트라스-오스-몬테스》 등에서 잘 나타난다.

4. 2. 영향

안토니우 헤이스의 작품은 동시대 영화 감독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헤이스는 마노엘 드 올리베이라가 연출한 <봄의 제전>(Rite of Spring, 1963) 제작을 도왔으며, 파울루 호샤가 연출하고 헤이스가 각본을 쓴 <삶의 변화>에도 참여했다. 또한 주앙 세자르 몬테이루의 <노란 집의 추억>, <신의 코미디>, <실베스트르>와 같은 작품들에서는 헤이스의 영향을 명확하게 찾아볼 수 있다.[8] [1]

영화 잡지 아트포럼의 데니스 림은 "오늘날의 뛰어난 포르투갈 영화 제작자들에게 안토니우 헤이스보다 더 큰 영향력을 행사한 인물은 없다"고 평가하며 그의 중요성을 강조했다.[9] 헤이스는 에스콜라 수페리온 데 테아트로 에 시네마(포르투갈 국립 영화 학교의 전신)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후배 영화 제작자들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다. 그의 제자들로는 조아킴 사핀요, 비토르 곤칼베스, 페드루 코스타, 마누엘라 비에가스, 주앙 페드루 호드리게스 등이 있으며, 이들의 작품 세계 형성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이들 중 사핀요, 곤칼베스, 비에가스는 현재 모교에서 교수로 활동하고 있다.

역사가 하덴 게스트는 헤이스의 작품과 영화 철학이 후배 감독들에게 미친 영향을 강조하며, 이들을 영화적 "가족"으로 보고 비공식적으로 "헤이스의 학교"라고 칭하기도 했다.[1]

참조

[1] 웹사이트 The School of Reis official page at the Harvard Film Archive website https://web.archive.[...] 2012-07-01
[2] 웹사이트 António Reis - Temas e Debates https://www.temasede[...]
[3] 서적 ReFocus: The Films of Pedro Costa: Producing and Consuming Contemporary Art Cinema https://www.google.p[...] Edinburgh University Press 2019-11-27
[4] 웹사이트 Cinemateca - Retrospetiva de António Reis e Margarida Cordeiro, durante o mês de agosto em Braga https://www.cinemate[...]
[5] 웹사이트 Post on Reis' period as professor at the National Film School at the Official António Reis collection blog http://antonioreis.b[...] 2012-07-01
[6] 웹사이트 José Bogalheiro on António Reis classes at the official António Reis collection blog (in Portuguese) http://antonioreis.b[...] 2012-07-01
[7] 웹사이트 António Cabrita on António Reis classes at Expresso Newspaper (in Portuguese) http://antonioreis.b[...] 2012-07-01
[8] 웹사이트 Rite of Spring at The School of Reis official page at the Harvard Film Archive website http://hcl.harvard.e[...] 2012-07-01
[9] 웹사이트 Under The Influence, Dennis Lim article at ARTFORUM on The School of Reis http://artforum.com/[...] 2012-07-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