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바노폴리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바노폴리스는 고대 도시로, 현재 북마케도니아 스코페 인근의 고르노 소네에서 발견된 장례 비문에 처음 언급되었다. 이 비문은 서기 1세기 말 또는 2세기 초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며, '알바노폴리스 출신'이라는 구절을 포함하고 있다. 프톨레마이오스가 『지리학』에서 알바노이 부족의 도시로 언급한 유일한 인물이며, 위치에 대한 다양한 가설이 존재한다. 오스트리아 외교관 요한 게오르크 폰 한은 즈게르데시를 알바노폴리스의 위치로 처음 제안했으나, 다른 학자들은 즈게르데시가 헬레니즘 시대에 번성하고 로마 제국 시대에 버려진 점을 들어 반박하며, 알바노폴리스가 블랙 드리니 강이나 바르다르 강의 샤르 산맥 계곡에 위치했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알바니아의 역사 - 알바니아 공국
알바니아 공국은 1914년 알바니아의 독립 승인으로 수립되어 빌헬름 공이 군주로 있었으나, 농민 반란과 제1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1914년 9월 붕괴되었고, 1925년 공화제 선포와 함께 폐지되었다. - 알바니아의 역사 - 데볼 조약
데볼 조약은 1108년 비잔티움 제국 황제 알렉시오스 1세와 안티오키아 공국의 보에몽 1세가 안티오키아 지배권 분쟁을 종식시키기 위해 체결한 조약으로, 보에몽이 황제의 봉신이 되어 제국에 충성을 맹세하고 안티오키아를 제국의 봉토로 받는다는 내용을 담고 있지만, 제대로 이행되지 않아 분쟁의 불씨로 남았다. - 고대 도시 - 로마
로마는 이탈리아의 수도이자 고대 로마 제국의 중심지로, 오랜 역사와 풍부한 문화유산을 지닌 세계적인 도시이며, 왕정과 공화정을 거쳐 로마 제국을 건설하고 지중해 세계를 지배했으며, 가톨릭 교회의 중심지로서 유럽 역사와 르네상스 및 바로크 시대 예술과 건축에 영향을 미쳤고, 현재는 이탈리아와 유럽 연합의 중요한 중심지이다. - 고대 도시 - 바빌론
바빌론은 고대 메소포타미아의 도시 국가이자 여러 왕조의 수도로, 함무라비 법전과 네부카드네자르 2세 시대의 번영으로 유명하며, 다양한 문명의 흔적을 간직한 채 현재 이라크에 위치, 2019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고, 문화적, 종교적 상징성이 커 현대 예술 및 대중문화에서도 중요한 모티프로 사용된다.
| 알바노폴리스 - [지명]에 관한 문서 | |
|---|---|
| 지리적 위치 | |
| 일반 정보 | |
| 유형 | 도시 |
| 언어 | sq: 알바노폴리스 grc: Ἀλβανόπολις (알바노폴리스) |
| 역사 | |
| 국가 | 로마 마케도니아 |
| 도시 | 에피루스 노바 |
| 추가 정보 | |
| 관련 부족 | 알바니 |
| 위치 | 이오니아 해 동쪽 지역, 현재의 알바니아 남부 지역으로 추정 |
| 중요성 | 알바니아 민족의 이름이 유래한 곳으로 추정 |
| 비고 | 클라우디오스 프톨레마이오스의 저작에서 알바니아인(Albani)과 함께 언급됨 안나 콤네나가 언급한 아르바논(Arbanon)과 동일한 장소인지는 불확실함 |
2. 명칭
알바노폴리스라는 명칭은 북마케도니아 스코페(스쿠피) 근처 고르노 소네에서 발견된 장례 비문에서 유래한다.[8] 이 비문은 1931년 니콜라 불리치가 발견했고, 1982년 보르카 드라고예비치-요시포브스카가 텍스트를 분석하고 출판했다. 비문은 라틴어로 "POSIS MESTYLU F[ILIUS] FL[AVIA] DELVS MVCATI F[ILIA] DOM[O] ALBANOP[OLI] IPSA DELVS"라고 새겨져 있으며, "플라비아의 아들, 델루스 무카티의 딸, 알바노폴리스 출신인 포시스 메스틸루"로 번역된다. 비문 제작 시기는 서기 1세기 말 또는 2세기 초로 추정된다.[8]
프톨레마이오스(100-170 AD)는 알바노폴리스를 언급한 유일한 저자이다. 그는 『지리학』 3권에서 알바노이 부족의 도시로 알바노폴리스를 언급했다.[9][10] 알바노이 부족은 마트 강과 슈쿰빈 강 사이 지역에 살았다. 요한 게오르크 폰 한은 다른 판본에서 "알바노스 폴리스" 또는 "알바노스"로 언급되기에, 접미사 -폴리스 ("도시")가 후대에 추가되었을 가능성을 제기했다.[9]
2. 1. 어원
알바노폴리스라는 지명은 현재 북마케도니아의 스코페(고대 스쿠피) 근처 고르노 소네의 장례 비문에서 발견되었다.[8] 이 비문은 1931년 니콜라 불리치가 발견했으며, 1982년 보르카 드라고예비치-요시포브스카에 의해 텍스트가 분석 및 출판되었다. 라틴어 비문은 "POSIS MESTYLU F[ILIUS] FL[AVIA] DELVS MVCATI F[ILIA] DOM[O] ALBANOP[OLI] IPSA DELVS"로 표기되어 있으며, "플라비아의 아들, 델루스 무카티의 딸, 알바노폴리스 출신인 포시스 메스틸루"로 번역된다. 이 비문은 서기 1세기 말 또는 2세기 초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8]프톨레마이오스(100-170 AD)는 알바노폴리스를 언급한 유일한 저자이다. 그는 『지리학』의 세 번째 책에서 알바노이 부족의 도시로 언급했다.[9][10] 그들은 마트와 슈쿰빈 사이 지역에 살았던 민족이었다. 요한 게오르크 폰 한은 접미사 -폴리스 ("도시")가 다른 저자에 의해 나중에 추가되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처음 언급했는데, 다른 판에서는 "알바노스 폴리스" 또는 "알바노스"로 언급되어 있다.[9]
2. 2. 최초 언급
알바노폴리스라는 지명은 현재 북마케도니아의 스코페(고대 스쿠피) 근처 고르노 소네의 장례 비문에서 발견되었다.[8] 이 비문은 1931년 니콜라 불리치가 발견했으며, 1982년 보르카 드라고예비치-요시포브스카에 의해 텍스트가 분석 및 출판되었다. 라틴어 비문은 "POSIS MESTYLU F[ILIUS] FL[AVIA] DELVS MVCATI F[ILIA] DOM[O] ALBANOP[OLI] IPSA DELVS"로 표기되어 있으며, "플라비아의 아들, 델루스 무카티의 딸, 알바노폴리스 출신인 포시스 메스틸루"로 번역된다. 이 비문은 서기 1세기 말 또는 2세기 초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8]프톨레마이오스(100-170 AD)는 알바노폴리스를 언급한 유일한 저자이다. 그는 『지리학』의 세 번째 책에서 알바노이 부족의 도시로 언급했다.[9][10] 그들은 마트와 슈쿰빈 사이 지역에 살았던 민족이었다. 요한 게오르크 폰 한은 접미사 -폴리스 ("도시")가 다른 저자에 의해 나중에 추가되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처음 언급했는데, 다른 판에서는 "알바노스 폴리스" 또는 "알바노스"로 언급되어 있다.[9]
3. 위치
요한 게오르크 폰 한은 즈게르데시가 고대 알바노폴리스의 위치라는 가설을 제시했다.[11] 그러나 토마스 마우러와 엘바나 메탈라 등은 즈게르데시가 헬레니즘 시대에 번성했고 로마 제국 시대에 버려진 반면, 알바노폴리스는 로마 제국 시대 초기에 중요 정착지로 여겨져 즈게르데시와 동일시될 수 없다고 보았다. 이들은 알바노폴리스가 블랙 드리니 강이나 상부 바르다르의 샤르 산맥 계곡 등 동쪽에 위치했을 것이라고 제안한다.[12]
3. 1. 즈게르데시 가설
오스트리아 외교관 요한 게오르크 폰 한은 즈게르데시가 고대 알바노폴리스의 위치라는 아이디어를 처음으로 제시한 학자였다. 즈게르데시는 제1차 세계 대전 중 오스트리아 고고학자 카밀로 프라스니커에 의해 방문되었지만, 그의 방문은 짧았고 어떤 결론을 도출할 시간이 없었다. 역사가 셀림 이슬라미에 따르면, 한의 가설은 결정적이지 않지만 타당성이 있을 수 있으며, 향후 연구가 필요하다.[11]그러나 토마스 마우러와 엘바나 메탈라 같은 고고학자들은 즈게르데시가 알바노폴리스와 동일시될 수 없다고 제안했다. 그들의 연구에 따르면 즈게르데시는 헬레니즘 시대에 번성했고 로마 제국 시대에 대부분 버려졌다. 반면에 알바노폴리스는 로마 제국 시대 초기 단계에서 중요한 정착지가 된 것으로 여겨진다. 대신 마우러와 메탈라는 알바노폴리스가 동쪽에 위치했을 것이라고 제안한다. 즉, 블랙 드리니 강이나 상부 바르다르의 샤르 산맥 계곡에 위치했을 것이다.[12]
3. 2. 기타 가설
오스트리아 외교관 요한 게오르크 폰 한은 즈게르데시가 고대 알바노폴리스의 위치라는 아이디어를 처음으로 제시한 학자였다. 즈게르데시는 제1차 세계 대전 중 오스트리아 고고학자 카밀로 프라스니커에 의해 방문되었지만, 그의 방문은 짧았고 어떤 결론을 도출할 시간이 없었다. 역사가 셀림 이슬라미에 따르면, 한의 가설은 결정적이지 않지만 타당성이 있을 수 있으며, 향후 연구가 필요하다.[11]그러나 토마스 마우러와 엘바나 메탈라 같은 고고학자들은 즈게르데시가 알바노폴리스와 동일시될 수 없다고 제안했다. 그들의 연구에 따르면 즈게르데시는 헬레니즘 시대에 번성했고 로마 제국 시대에 대부분 버려졌다. 반면에 알바노폴리스는 로마 제국 시대 초기 단계에서 중요한 정착지가 된 것으로 여겨진다. 대신 마우러와 메탈라는 알바노폴리스가 동쪽에 위치했을 것이라고 제안한다. 즉, 블랙 드리니 강이나 상부 바르다르의 샤르 산맥 계곡에 위치했을 것이다.[12]
참조
[1]
서적
Geography
[2]
서적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Geography
https://www.perseus.[...]
[3]
기타
Barrington
[4]
웹사이트
Albanopolis
http://albania.shqip[...]
2010-03-29
[5]
서적
Ethnic Groups and Population Changes in Twentieth-Century Central-Eastern Europe
M.E. Sharpe
[6]
서적
Studime gjuhësore: Gjuhë. Folklor. Letërsi. Diskutime
Rilindja
[7]
서적
The Illyrians
https://archive.org/[...]
[8]
서적
Inscriptions de la Mésie supérieure: Dragojević-Josifovska, B. Scupi et la région de Kumanovo
Centre d'études épigraphiques et numismatiques de la Faculté de philosophie de l'Université de Beograd
[9]
간행물
The Albanians in attestations from late antiquity until the early Middle Ages
https://drive.google[...]
Academy of Sciences of Albania
2020
[10]
서적
Nobody's Kingdom: A History of Northern Albania
Andrews UK Limited
[11]
서적
Monumente te Kultures ne Shqiperi Volume I
8 Nentori
1975
[12]
서적
The Albanian Language Area and its Surroundings from Late Antiquity to the High Middle Ages: Proceedings of the 7th German-Albanian Cultural Studies Conference (21.-22.April 2023, Hubmersberg/Pommelsbrunn)
Harrassowitz Verlag
2024
[13]
서적
Geography
https://archive.org/[...]
[14]
서적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Geography
http://www.perseus.t[...]
[15]
기타
Barrington
[16]
웹인용
Albanopolis
http://albania.shqip[...]
2010-03-29
[17]
서적
The Illyrian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