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파인 스타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파인 스타일은 국제산악연맹(UIAA)에서 정의하는 등반 방식으로, 6명 이내의 등반가가 산소통, 고정 로프, 포터 또는 셰르파의 지원 없이 등반하는 방식을 말한다. 이 방식은 등반 기간을 단축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지만, 식량과 연료 제한으로 장기간 체류에 부적합하며, 악천후 시 탈수나 기아의 위험이 있고 추락의 위험이 높다는 단점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알파인 스타일 | |
---|---|
지도 정보 | |
개요 | |
정의 | 등반가가 최소한의 장비와 지원을 사용하여 산을 오르는 등반 스타일 |
특징 | 가볍고 빠른 등반 추구 등반 중 캠프 설치 최소화 사전 준비와 장비 의존도 최소화 기술적 등반 능력 요구 높은 수준의 자기 책임과 판단력 필요 |
목표 | 산을 보다 순수하고 도전적으로 등반 인간의 힘과 기술로만 산을 극복 자연과의 조화로운 등반 추구 윤리적 등반 방식 강조 |
역사 | |
기원 | 19세기 후반 유럽 알프스 지역에서 시작 |
초기 등반가 | 알베르트 프레데릭 머메리, 마티아스 차르브레겐 등 |
발전 | 20세기 중반 라인홀트 메스너 등에 의해 발전 |
영향 | 현대 등반에 큰 영향, 수많은 산악인들에게 영감을 줌 |
한국 | 1980년대부터 소개 및 발전, 박영석 등반가들의 활약 |
기술 | |
등반 기술 | 빙벽 등반 암벽 등반 혼합 등반 등 다양한 기술 필요 뛰어난 자기 확보 및 로프 기술 필요 |
독도법 | 지도와 나침반을 이용한 정확한 위치 파악 능력 |
기상 판단 | 기상 변화 예측 및 상황 대처 능력 |
장비 선택 | 최소한의 장비로 효율적인 등반 가능하도록 선택 |
자기 관리 | 체력 관리, 고소 적응 능력, 안전 관리 등 |
장비 | |
공통 장비 | 등반용 로프 하네스 카라비너 확보 장비 아이젠 피켈 |
개인 장비 | 등반화 헬멧 등반복 방한/방풍 장비 헤드램프 지도와 나침반 비상 식량 구급 용품 |
윤리 | |
자연 존중 | 등반 중 자연 훼손 최소화 |
흔적 남기지 않기 | 쓰레기 되가져오기 |
안전 우선 | 무리한 등반 자제, 안전 최우선 |
동료 존중 | 팀워크 및 협력 중요 |
책임감 | 자신의 행동에 대한 책임 |
참고 사항 | |
주요 등반 대상 | 알프스 3대 북벽, 히말라야 고봉, 로키 산맥 등 |
관련 단체 | 대한산악연맹 등 |
위험 요소 | 낙석 추락 악천후 고산병 조난 탈진 등 |
2. 역사
히말라야 고봉은 초기에는 소수 인원으로 등반되었으며, 그중에는 알파인 스타일로 등반하는 등반가도 있었다. 톰 롱스태프, 카빌 브라토키, 브로슐러 형제는 1907년 알파인 스타일로 Trisul|트리스르영어(7120m)에 초등정했다[1]. 그러나 소수 인원의 원정으로는 8000미터급 산봉우리를 정복하기 어려워, 그 후에는 극지법이 주류가 되었다. 다만, 소수 인원으로 등반을 시도하는 대도 있었으며, 1957년 4명으로만 구성된 오스트리아 대는 포터 없이 8047m의 브로드 피크에 초등정했고, 그 직후 2명이 알파인 스타일로 Skil Brum|스킬브룸영어(7360m)의 초등정에 성공했다. 1975년 라인홀트 메스너와 페터 하벨러가 K2에서 세계 최초로 8000미터급 산봉우리에 알파인 스타일로 등정함으로써, 이 방법은 유명해져 주목받았다. 최근 히말라야 고봉에서는 8000미터급 산봉우리를 비롯하여 등반가들에게 인기 있는 산에서 등반 시즌에는 정상 루트에 여러 등반대가 모여 루트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순수한 알파인 스타일로 등반하는 것이 어려워지고 있다. 그러한 산에서 알파인 스타일로 등반하는 경우, 등반객이 없는 시기나 루트를 선택하여 등반해야 한다.
국제산악연맹(UIAA)은 알파인 스타일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다.[2]
알파인 스타일은 등반 기간 단축으로 악천후나 눈사태 위험을 줄이고, 원정 비용을 절감하는 장점이 있다. 반면 식량과 연료를 최소한으로 줄여야 하므로 장기 체류에는 적합하지 않고, 악천후 시 탈수나 기아 위험이 있으며, 사전 루트 작업을 하지 않아 추락 위험이 있다는 단점이 있다.[1]
3. 정의
내용 등반가는 6명 이내이다. 산소통을 사용하지 않는다. 고정 로프를 사용하지 않는다. 셰르파 등 고산 포터의 지원을 받지 않는다.
4. 장점 및 단점
4. 1. 장점
등반 기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악천후나 눈사태에 휘말릴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원정에 드는 비용을 낮출 수 있다.[1]
4. 2. 단점
알파인 스타일의 단점은 등반 시 소지하는 식량과 연료를 최소한으로 줄여야 하기 때문에 장기간 체류에는 적합하지 않다는 것이다. 예상치 못한 악천후 등으로 체류가 불가피한 경우 탈수나 기아의 위험이 증가한다. 또한, 사전에 등정을 용이하게 하는 루트 작업을 하지 않으므로 추락의 위험이 항상 따른다.[1]
참조
[1]
서적
ヒマラヤ探検史
東洋書林
2015
[2]
간행물
山と渓谷 2012年3月号
山と渓谷
2012-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